KR100393450B1 - 인자장치 - Google Patents

인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450B1
KR100393450B1 KR10-2001-0052032A KR20010052032A KR100393450B1 KR 100393450 B1 KR100393450 B1 KR 100393450B1 KR 20010052032 A KR20010052032 A KR 20010052032A KR 100393450 B1 KR100393450 B1 KR 10039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oklet
conveying
roller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790A (ko
Inventor
호리모리토요
하츠토리타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6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2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ards, envelopes, or the like, e.g. credit cards, cut visit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9Diverting sheets at a section where at least two sheet conveying paths converge, e.g. by a movable switching guide that blocks access to one conveying path and guides the sheet to another path, e.g. when a sheet conveying direction is reversed after printing on the front of the sheet has been finished and the sheet is guided to a sheet turning path for printing on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폭을 갖는 통장등 책자류에 대해서 압착롤러축을 연접하여 2분할하여 각각 독립하여 압착하고, 책자류의 제본부에 걸리지 않도록 롤러를 배치하는 것으로서 정확하며 안정된 책자류의 반송을 실현하는 반송기구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인자장치{PRINTER}
본 발명은 인자(印字)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별하게 금융기관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통장등의 책자매체의 처리를 실행하는 인자장치에 속한 것이다.
종래 인자장치의 반송롤러의 배치로서는 일본국 특공평6-3092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과 같이 각 롤러를 독립적으로 걸쳐 실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복수의 폭을 갖는 통장등의 책자류의 반송에 있어서, 좌우 페이지의 사이의 두께를 흡수하여 롤러를 책자류에 압착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유효하다. 그런데, 충분한 반송력을 구하기 위하여 각 롤러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접부의 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롤러가 독립적이기 때문에 각각의 회전에 시간차가 발생하고 안정한 반송을 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폭을 갖는 통장등의 책자류의 취급인자장치에 있어서, 정확하며 안정적인 책자류의 반송을 실현하는 반송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자장치는, 반송롤러축과 반송롤러에 대향한 롤러를 배치한 압착롤러축을 구비한다. 또한, 압착롤러축은 각 중앙위치에서 연접하여 2분할 되어 있다. 분할된 각각의 압착롤러축은 독립하여 반송롤러축으로 압착되는 부착수단을구비하고, 또한, 각각의 압착롤러축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출롤러축은 안내가이드와 최소폭 책자의 제본선 위치에 끼워진 영역에 적어도 2개의 롤러를 동일축상에 구비하고, 또한, 최대폭 책자의 제본선위치와 최소폭채작의 우측위치에 끼워진 영역에 동일축상의 2개의 롤러를 구비하였다.
도 1 은 인자장치를 상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2 는 인자장치의 단면도로서 책자류의 반송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은 인자장치의 압착롤러축에 있어서의 롤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인자장치의 있어서의 인자부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인자장치에 있어서의 인자부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축(shaft)과 압착롤러축과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1 : 삽입부 2 : 책자매체
3 : 폭가이드 4 : 기준가이드
5, 6 : 압착롤러축 7a, 7b : 연접부재
8a ~ 8e : 스프링 9 : 인자부
10 : 축 11,13 : 기어
12 : 반송롤러축 14 : 가이드
15a, 15b : 스프링 16 : 인자헤드
16a : 인자헤드 노이즈부 17 : 카피롤러
18 : 서포트레일 19 : 기준롤러
20 : 카피가이드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인자장치의 한 실시예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인자장치의 상면에서 본 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책자매체(2)는 열린 상태에서 인자장치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또한, 그 삽입방향 및 반송방향은 책자매체(2)의 제본부(2a)와 평행한 방행이다. 책자매체(2)로서는 예를들면 좌우 펼쳐지는 통장이다.
본 실시예의 인자장치에 있어서의 삽입부(1)는 책자매체(2) 폭에 맞추어서 취부위치를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폭가이드(3)와 책자매체(2)의 반송시에 책자매체(2)의 좌측단을 안내하는 기준가이드(4) 외측가이드(14)를 구비하고 있다. 책자매체(2)가 조작삽입부(1)에 삽입되면, 미도시의 센서등을 이용한 기존의 수단이 책자매체(2)가 삽입된 것을 검지한다. 본 실시예의 인자장치는 반송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의 방향폭이 다른 복수종류의 책자매체(2)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한다.
센서등에 의해 삽입을 검지하면 역시 미도시의 인자장치의 제어부에 그 정보가 송신된다. 제어부는 인자장치내의 각 유니트, 예를 들면, 반송롤러축(12) 이 반송롤러축(12)에 스프링(8a ~ 8d)에 의해 위에서부터 압착된 압착롤러축(5, 6)을회전시키는 모터와 인자부(1)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수취한 정보를 이용하여 반송롤러축(12) 및 압착롤러축(5, 6)을 미도시의 모터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제어부는 삽입부(1)에서 책자매체(2)를 흡입하고 인자부(9)까지 반송하여 소망의 인자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좌우의 두께로부터 다른 책자매체(2)에 대한 원활한 반송을 실현하는 반송롤러축(12)과 압착롤러축(5, 6)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책자매체(2)를 반송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반송기구 가운데 반송되는 책자매체(2)에 대해서 반송롤러축(12)이 하측에 있고 압착롤러축(5, 6)이 상측에 구성되어 있다.
책자매체(2)를 반송할 때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송롤러(12)는 샤프트(12S)와 4개의 롤러(22a ~ d)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되는 책자매체(2)의 펼쳐진 면을 압착하기 위하여 롤러축은 두개의 지축 즉 압착롤러축(5, 6)으로 이루어진다. 이 압착롤러축(5, 6)샤프트(5S, 6S, 10)와 각 2개씩의 롤러(5a, b와 6a, b)의 4개의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롤러축(12)의 롤러(22a ~ d)의 롤러와 압착롤러축(5, 6)의 롤러(5a, b, 6a, b)의 4개의 롤러는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착롤러축(5, 6)의 롤러(5a, b, 6a, b)는 스프링(8a ~ d)에 의해 반송롤러축(12)의 각 롤러에 압착하고 있다.
또한, 반송롤러축(12)의 축(12S)과 압착롤러축의 축(10)은 각각 기어(13, 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축(10)은 도 1에 나타나는 스프링(8e)에 의해 반송롤러축(12)의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기어(13, 11)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기어(13, 11)가 미도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책자매체(2)의 반송의 원동이 된다.
또한, 압착롤러축(5, 6)사이는 연접부재(7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축(10)과 압착롤러축(6)과의 사이는 연접부재(7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접부재(7a, b)는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분의 각도가 가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압착롤러(5, 6)와 기어(13)에 접속한 축(10)이 각각 연접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결부분의 상세한 구성을 도 6B에 나타낸다.
구성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롤러의 축(13)에는 핀(23a, b)이 주입되어 있어 이핀(23a, b)과 연접부재(7a, b)의 파임(24a, b)이 연결하여 구동력(회전력)이 전달된다. 또한, 압착롤러축(5, 6)과 샤프트(10)와의 연결은 핀(23a, b)과 파임(24a, b)을 맞추어서 끼우는 것 만으로 두개의 롤러축(5, 6)은 회전방향에는 구속되지만 수직(상하)방향에는 구속되는 경우가 없는 기구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의 구성에 의해 기어(13)에서 구해지는 구동력(회전력)을 압착롤러축(5, 6)에 전달하면서 좌우열림통장등(국내에서는 우편저금통장)의 좌우 페이지의 두게가 다른 매체를 반송하는 경우에 그 단차를 흡수하고 2개의 롤러부품의 매체로의 누름압력이 균등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13)와 샤프트(10)에 대해서도 연접부재와 동일한 연결구성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또한 단차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접부재(7a)에 의해 책자매체(2)의 좌우두께의 상이함을 흡수하고 연접부재(7b)에 의해 책자매체(2)의 우측절반의 두께와 책자매체(2)가 통과하지 않는 부분과의 상이함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어(13, 11)가 끼워져 있는 것 및 압착롤러축(5, 6)과 샤프트(10)가 연접부재(7a, b)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성에 의해 이들의 압착롤러축(5, 6)은 반송롤러축(12)의 회전과 동기하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압착측의 롤러축이 두개의 롤러축(5, 6)으로 분할되고, 각도가 가변되는 연접부재에 의해 각각 및 샤프트와의 연결에 의해 압착롤러축(5)이 반송하는 책자매체(2)의 좌측편면과 압착롤러축(6)이 반송하는 책자매체(2)의 우측편면과의 두께가 다르게 되어 있어도 두께의 상이함을 흡수하고 좌우 각페이지에 대해서 압착롤러축(5, 6)을 균일하게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롤러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우페이지간의 두께가 다른 책자매체(2)를 안정되고 확실하게 반송하기 위해서는 책자매체의 제본부(2a)에 롤러가 걸리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폭이 상호다른 복수종류의 책자매체의 취급을 가능하게 하기위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롤러배치로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압착롤러축을 위에서 본 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인자장치에서 취급하는 책자매체의 최소폭을 Wmin,최대폭을 Wmax로 한다. 따라서, 1/2Wmin~ 1 /2Wmax의 범위(B)는 어느 하나의 책자매체의 제본부가 통과하는 영역이된다. 이 범위에 롤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롤러가 직접책자매체의 제본부에 접하는 것에 의해 압착이 불완전해지기 때문에 책자매체의 위치이탈과 반송걸림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 범위내에는 반송롤러축측, 압착롤러축측 모두 롤러를 배치하지 않는 대신으로 이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연접부재(7a)를 배치하게 된다. 연접부재(7a)는 반송되는 책자매체(2)에는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위치이탈과 반송걸림의 원인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각 압착롤러축에 있어서의 롤러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착롤러축(5)의 롤러(5a, 5b)는 기준가이드(4 ~ 1Wmin)의 범위(A)에 배치한다. 최소폭의 책자매체를 반송하는 경우에서도 범위(A)와 범위(B)의 경계선 부근에 제본부(2a)가 통과한다. 따라서, 취급 책자매체(2)의 제본부는 어느하나도 범위(A)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준가이드(4)측의 롤러(5a, b)를 배치한다.
압착롤러축(6)의 롤러(6a, 6b)는 1 /2Wmax~ Wmin)의 범위(C)에 배치한다. 최대폭의 책자매체가 반송되는 경우에는 제본부(2a)는 범위(B, C)의 경계선 부근을 통과한다. 따라서, 책자매체(2)의 제본부는 어느하나의 범위(C)를 통과하지 않기때문에 이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가이드(14)측의 롤러(6a, 6b)를 배치한다. 또한, 최소폭의 책자매체(2)를 반송하는 경우에도 두개의 롤러(6a, 6b)가 어느하나라도 사용이 되도록 하기 때문에 범위(D)도 포함되는 구성이 아닌 범위(C)의 영역으로 하였다.
연접부재(7b)는 Wmin에서 가이드(14)의 범위(D)로 배치된다.
또한, 롤러(5a. 5b 및 6a, 6b)는 각각 범위 A내 또는 C내로 가능한한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롤러를 페이지의 중앙부에 배치하여 반송하는 것에 의해 페이지의 양단부 부근에 배치하는 편이 보다 안정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송정밀도가 향상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두께가 좌우가 다른 책자매체(2)에 대한 반송을 반송롤러축(12)의 회전과 동기하여 구동하는 것에 의해 안정한 반송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 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압축롤러축(5, 6)에 2 개씩 롤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3개씩 롤러를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도 3에 있어서의 범위 A 또는 C내에 압착롤러축(6)의 롤러를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분을 두개로 하고 이분할 한 압착롤러축을 또한, 축(10)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최후에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인자부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둔다. 복수의 폭이 다른 책자매체에 인자하기에는 도 4,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기구로 한다. 도 4는 인자부(9)를 측면에서 본 도이고 도 5는 인자부를 정면에서 본 도이다.
인자부(9)는 인자헤드(16) 인자헤드노이즈부(16a) 책자매체(2)를 누르는 카피롤러(17) 서포트레일(18) 기준롤러(19) 카피가이드(20) 압반(壓盤, Platen)(2)를책자매체(2)에 부착하기 위한 스프링(15a, 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자위치까지 반송된 책자매체(2)는 스프링(15a, b)에 의해 인자헤드(16)의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압반(21)에 의해 인자헤드노이즈부(16)의 카피롤러(17)에 압착부착되고, 인자헤드노이드 선단과 책자매체(2)와의 지면갭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인자헤드(16)는 서포트레일(18)과 인자헤드(16)에 취부된 기준롤러(19)가 카피서포트레일(18)과 평행하게 배치된 카피가이드(20)에 의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고 화살표인(D)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자를 실행한다. 따라서, 좌우페이지사이의두께가 다른 책자류에서도 항상 인자헤드노이즈부 선단과 책자매체와의 지면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본부의 위치가 변경하여도 문제없이 인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본 발명의 특징인 좌우 열림의 책자류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고 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 상하 열림의 책자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우 반송방향은 통장의 제본부(2a)에 대해서 앞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관계이지만 인자부(9)에 있어서의 인쇄되는 글자의 방향이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자장치를 예로 한것이기 때문에 책자매체의 열린면을 위로하여 압착롤러축(5, 6)에 압착되면서 반송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책자매체의 표지측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경우는 하측에 압착롤러축(5, 6)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용이하다.
또한, 본 실 시예에서는 인자장치에 있어서의 반송기구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하게 반송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반송기구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폭을 갖는 통장등 책자류를 정확하게 또한 안정되게 반송가능한 반송기구 및 인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 하다.

Claims (12)

  1. 폭이 다른 복수의 통장등 책자류를 반송하여 인자하는 기능을 구비한 인자장치에 있어서,
    한축에 복수개의 롤러를 배치하고 모터로 회전구동하는 하측반송롤러축과,
    상기 하측반송롤러에 대향한 롤러를 배치한 상측압착롤러축과,
    상기 상측압착롤러축은 대략 중앙위치에서 연접부재로 2분할 되고 각각의 상측압착롤러축은 독립하여 하측반송롤러축에 압착되는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상측압착롤러축에는 복수개의 롤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송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제본선을 갖는 복수폭의 책자를 펼쳐 반송하고, 펼쳐진 책자의 한측의 페이지에 대해서 상기 하측 반송롤러축 및 상측압착롤러축에는 복수개의 롤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반송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제본선을 갖는 복수폭의 책자를 펼쳐 반송하고,
    상기 책자의 좌측단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와 최소폭의 책자의 제본선위치에 끼워진 영역에 동일 축상의 2개의 롤러를 배치하고, 최대폭 책자의 제본선위치와 최소폭책자의 우측단 위치에 끼운 영역에 동일축상의 2개의 롤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측단을 우측단으로, 우측단을 좌측단으로 교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장치.
  5. 펼쳐진 상태의 책자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기구에 있어서,
    상기 책자매체의 제 1 면에 향하는 제 1 반송롤러축과,
    상기 책자매체의 제 2 면에 향하는 제 2 반송롤러축에 있어서 제 1 지축과 제 2 지축을 가지는 제 2 반송롤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지축은 상기 책자매체의 제 1 페이지에 접하는 제 1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축은 상기 책자매체의 제 2 페이지에 접하는 제 2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면은 책자매체의 펼쳐진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사이를 책자매체의 제본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책자메체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축과 상기 제 2 지축은 연접부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9. 폭이 다른 복수의 책자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기구에 있어서,
    반송되는 책자매체의 일단이 접하는 가이드와,
    상기 반송되는 책자매체의 하면에 접하는 제 1, 제 2 롤러를 구비하는 제 1 반송롤러축과,
    상기 반송되는 책자매체의 상면에 접하는 제 3, 제 4 의 롤러를 구비하는 제 2 반송롤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반송롤러축은 제 1지축과 제 2 지축을 갖고,
    상기 가이드측에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과 제 3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3 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제 3 영역에 상기 제 4 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지축과 상기 제 2 지축의 접속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해당반송기구는 제본부를 가지는 책자매체를 펼쳐진 상태로 반송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영역은 최소폭의 상기 책자매체에 있어서의 상기 가이드에 접하는 일단에서 제본부까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최소폭의 책자매체에 있어서의 제본부와 최대폭의 책자매체에 있어서의 제본부의 사이의 영역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 4의 롤러는 상기 책자매체의 펼쳐진 면에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3 롤러는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롤러와 상기 제 4 롤러는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3 롤러를 압착하는 제 1 부착수단과,
    상기 제 2 롤러와 상기 제 4 롤러를 압착하는 제 2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기구.
KR10-2001-0052032A 2001-01-30 2001-08-28 인자장치 KR100393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1015 2001-01-30
JP2001021015A JP3774629B2 (ja) 2001-01-30 2001-01-30 印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790A KR20020063790A (ko) 2002-08-05
KR100393450B1 true KR100393450B1 (ko) 2003-08-02

Family

ID=1888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032A KR100393450B1 (ko) 2001-01-30 2001-08-28 인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74629B2 (ko)
KR (1) KR100393450B1 (ko)
CN (1) CN121016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9186B2 (ja) * 2018-12-20 2022-11-10 株式会社Pfu 媒体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74629B2 (ja) 2006-05-17
CN1210160C (zh) 2005-07-13
JP2002225366A (ja) 2002-08-14
KR20020063790A (ko) 2002-08-05
CN1368432A (zh)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81001134A1 (en) Drive mechanisms for passbooks
KR20040066390A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CN108973357B (zh) 记录装置
KR100393450B1 (ko) 인자장치
CN104411501A (zh) 具有十字交叉双工器的打印机
JP5623809B2 (ja) 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搬送方法
CN101112830A (zh) 送纸机构
US4813800A (en) Paper feed apparatus for printer
US8833756B2 (en) Sheet-shaped medium feeding device and sheet-shaped medium processing device
US20040188925A1 (en) Print media stack clamp and method
JP2002154701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H08259029A (ja) プリンタの印刷用紙搬送装置
US7686526B2 (en) Document feeder device
CN215944062U (zh) 一种宽度可调的标签打印机
JP3554017B2 (ja) 媒体搬送ガイド
JP3950552B2 (ja) 刷本供給装置
KR100318731B1 (ko) 프린터용 용지 정렬 장치
JP3556940B2 (ja) 媒体搬送ガイド
JPH08187906A (ja) 用紙搬送機構及びプリンタ
JP2003128267A (ja) 画像記録装置
JPH0551653U (ja) 印字装置
JPH11322119A (ja) 紙押え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S5957777A (ja) 帳票送り装置
CN114476198A (zh) 制证设备的分切装置及其制证通道
KR20230058979A (ko) 용지 정렬을 위한 용지 정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