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403B1 - 계산장치용인간/기계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계산장치용인간/기계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403B1
KR100393403B1 KR1019970701133A KR19970701133A KR100393403B1 KR 100393403 B1 KR100393403 B1 KR 100393403B1 KR 1019970701133 A KR1019970701133 A KR 1019970701133A KR 19970701133 A KR19970701133 A KR 19970701133A KR 100393403 B1 KR100393403 B1 KR 10039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digits
key
indicia
dig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5786A (ko
Inventor
브루스 윌리엄 맥도날드
Original Assignee
오스트라리언 인스티튜트 오브 마린 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트라리언 인스티튜트 오브 마린 사이언스 filed Critical 오스트라리언 인스티튜트 오브 마린 사이언스
Priority claimed from PCT/AU1995/000300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32461A1/en
Publication of KR97070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Manipulat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갖는 계산장치가 개시된다.
입력장치(10)은 각각이 인간손의 분리될 디짓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키(T, 1,2,3,4)를 갖는다.
키(T, 1,2,3,4)는 디짓트의 상대적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입력장치(10)은 처리장치(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처리 장치(30)은 다시 영상화면장치(50)에 연결되어 있다.
처리 장치(30)은 입력장치(10)으로부터 지시어 혹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장치에 표시될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처리 장치(30)은 인디시아(60 - 70)를 영상표시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며, 각 인디시움은 사용자 지시어나 데이터입력을 나타내며 하나이상의 키(T, 1,2,3,4)의 순차관계에 1:1로 대응되어 표시된다.

Description

계산장치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중 한가지 특정 형태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고 하며, 이는 명령어나 데이터를 영상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정보로 번역하는 계산장치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한가지 간단한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문서에 기초한 것이며(text-based) 스크린 주위를 탐색할 수 있도록 커서 제어(cursor control)를 이용하고 있으나, 공지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경향은 사용자에 의한 "포인트 앤드 클릭(point and click)" 동작으로 작동하는 윈도윙(windowing)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윈도윙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예로서는 Apple QUICKDRAW,Microsoft WINDOW 및 MIT에 의해 창작된 XWINDOWS를 들 수 있다. 종종 윈도윙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계산장치를 작동시 몇가지 형태의 탄력성을 부여하며 특히 데이터 입력에 대하여 탄력성을 부여하는 보다 쉬운 형태의 커서 제어를 결합한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아이콘 및 윈도윙구조는 명령 및 연산무리에 대한 접근은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통상의 키보드의 키를 조작해야 하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통상의 키보드 배열을 배우고 기억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다른예는 1994, North-Holland, Amsterdam 에서 출판한 M.J, Tauber 등의 "Cognitive Aspects of Visual Languages & Visual Interface"로부터 얻을 수 있다.
키보드, 마우스 및 트랙볼과 같은 통상의 사용자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함에 있어서 미세신경 시스템구동제어를 발휘하여야 하기 때문에 온화하고 안정된 환경을 필요로한다.
이동하는 환경은 이같은 양호한 환경이 아닌바, 계산장치의 연산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계산장치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압축 포맷으로 수행되는 계산장치 및 이동하거나 불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계산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1b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계산장치의 개략 배열도
도 2는 도1a 및 1b의 계산장치를 위한 기능 블록도
도 3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디스플레이
도 4는 도 3의 다른 디스플레이
도 5는 풀-아웃(pull-out) 디스플레이 배열
도 6은 이동된 상태를 예시한 다른 디스플레이
도 7a 및 7b는 팝-업(pop-up) 디스플레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8d는 다수의 다른 인디시아(indicia)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 셋트
도 9는 다수의 패드 배열도
도 10은 가상타자기
도 11은 가상 계산기
도 12는 교차 패널의 디스플레이
도 13 내지 16b는 다른 코드 배열
도 17a 내지 17c는 세그멘팅 커서 배열
도 18a 및 18b는 세그멘팅 포인터 배열
도 19는 입력장치의 기계적 배열
도 20a 및 20b는 다른 입력장치의 기계적 배열
도 21은 통상의 쿼티키보드(qwerty keyboard) 레이아웃을 나타내며,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법론을 지원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입력장치(input device)
20...멀티-스위치 유니트(multi-switch unit)
22...디바운스 및 래치 회로(debounce and latch circuit)
30...처리장치(processing device)
50...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최소한 개선시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유익한 선택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는 것은 누르는 것이다(what you see is what you press)"라는원칙하에 작동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며, 그러므로 사용자가 작동명령어나 통상의 키워드 배열에 익숙할 필요가 없으며, 입력장치에 대한 표시로 부터 직접 입력 키 스트로크를 사상(寫像)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특히 (a) 인간의 이동반경이 제약되는 수중;
(b) 고수준의 이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계산장치를 작동하기 어려운 지상이동 환경(특히 "내구성 컴퓨터(wearable computer)" 및 자동차내에서와 같은); 및
(c) 계산장치의 사용자에게 고수준의 이동이 작용하는 공중 환경;에 특히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에 대하여 정의한다.
사람손의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을 "디짓트(digits)"라 한다. 상기 용어 "디짓트"는 발가락도 포함하여 가르킨다.
"키(key)"는 하나의 디짓트에 의해 작동되는 입력 변환기(input transducer)로서 해석하기로 하며, 푸쉬버튼, 스위치, 힘변환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input device)"는 전형적으로 4개의 키, 각 손가락에 대하여 하나, 발가락이 손가락보다 기능이 좋다면 발가락에 대하여 하나이상의 키를 갖는다.
그렇더라도 1-5 범위의 키갯수가 있을 수 있다.
동시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키를 활성화/작동하는 것을 "코드(chord)"라고 한다. "쌍(couplet)"은 2개의 연속 코드 또는 오른쪽 및 왼쪽 팔로 수행되는 2개의동시코드이다.
"표시장치(display device)"는 비디오 모니터나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라고 부르기로 하는, 화상을 갖는 뷰어(viewer)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는 시각적으로 "인디시아(indicia)"를 제공한다.
인디시움(indicium)은 하나이상의 키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다수의 인디시아가 가까운 공간거리를 두고 혹은 순차배열로된 것을 "패널(panel)"이라고 한다.
각각의 패널은 다수의 개념적인 중복되지 않은 영역을 덮고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상기 영역은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분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인디시움은 본질적으로 상기 영역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이상의 영역에 걸쳐 펼쳐질 수 있다,
인디시움 그 자체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일수 있다.
인디시움은 또한 "버튼"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본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각각의 키가 사람손의 별도의 디짓트에 상응하고 그 디짓트의 상대적인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키를 갖는 입력장치;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지시어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시장치로 정보를 출력하며,
인디시아를 육안 표시되게 프로그램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각각의 인디시움은 사용자의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나타내며 하나 또는 그이상 키의 순차관계에 1:1 대응하여 표시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계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산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이론적으로 상기 표시장치의 시각적인 표시를 복수의 비-중복영역(non-overlapping regions)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이 디짓트중 하나에 상응하고, 그 영역은 그 디짓트와 동일한 순차관계에 있으며, 이에 따라 어느 인디시움에 의해 교차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영역이 인디시움에 의해 나타난 지시어나 데이터에 영향을 주는 키조합에 일치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디시아와 상기 영역은 직교하여 배열되는 것이 좋으며, 또한 5개의 키가 있으므로 5개의 개념영역이 있는 것이 좋다.
유익하게는 몇몇 사용자 지시어나 데이터 입력은 최소 2개의 독립된 키조합에 상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디시아가 패널내에 배열되고 다수의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 좋다. 패널은 상응하는 영역과 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장치가 또한 각각이 엄지손가락키에 관하여 엄지손가락 각각의 마주보는 관절에 의해 작동가능하며, 엄지손가락 관절방향을 나타내도록 엄지손가락 라인을 패널 위나 아래에 있도록 배열하는 것과 같이 별도의 인디시움으로 각각의 엑스트라키를 표시수단 상에 육안 표시되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각각이 사람손의 별도의 디짓트에 상응하고 그 디짓트의 상대적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키, 영상표시장치(visual display device) 및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프로세서 장치를 포함하는 계산장치에 구현하기 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개시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장치로부터 지시어나 데이터를 받는 입력요소;
화면정보를 화면장치로 보내는 출력요소; 및
상기 입력요소와 출력요소에 연결되고 인디시아를 표시하게 하며, 각각의 인디시움은 사용자 지시나 데이터 입력을 나타내며 하나이상의 키의 순차관계와 일대일(1:1) 대응되게 표시되는, 처리요소;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몇몇 사용자 지시어나 데이터 입력은 최소 2개의 독립된 키 조합에 상응한다.
본발명의 또다른 견지에 의하면,
각각이 사람손의 별도의 디짓트에 상응하고 그 디짓트의 상대적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키를 갖는 입력장치 및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계산장치에 대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구현방법이 개시되며,
처리 수단에서 수행되는 상기 구현방법은,
각각의 인디시움이 하나이상의 키의 순차관계와 일대일(1:1) 대응되어 지시어나 데이터 입력이 하나 이상의 키 각각에 의해 각 인디시움에 의해 나타내도록 상기 화면장치에 인디시아를 시각적으로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는,
각각이 키에 상응하고 디짓트와 동일한 순차관계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비-중복영역(non-overlapping region)으로 상기 영상표시장치를 관념적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인디시움에 의해 나타낸 지시어나 데이터 입력에 영향을 주도록 인디시움에 의해 교차된 하나 이상의 영역에 상응하는 하나이상의 키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5개의 키 및 따라서 5개의 관념적 영역이 있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각각의 인디시움이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의 이동된 상태에 상응하는 2개의 부가적인 인디시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다른 지시어나 데이터 입력의 구현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본발명은 또한 각각이 사람손의 별도의 디짓트에 상응하고 그 디짓트의 상대적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키, 및 영상표시장치를 갖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계산장치에 대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구현방법이 개시되며,
처리 수단에서 수행되는 상기 구현방법은,
어레이의 각각의 횡과 열이 하나이상의 키의 순차관계에 직교방식으로 대응(상응)하고, 각각의 인디시움이 횡과 열 키의 순서에 대응함으로서 지시어나 데이터 입력이 각각의 키 순차에 의해 각 인디시움에 의해 나타낼수 있도록 영상장치상에규칙적인 인디시아 어레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키의 순서는 엄지손가락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계산장치상에 구현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개략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입력장치(10)은 처리장치(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처리장치(30)은 표시장치(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입력장치(10)은 4,3,2,1 및 T로 나타낸 5개의 입력키를 가지고 있다.
사람의 손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손가락과 엄지손가락 각각은 동일한 부호로 순차적으로 대응(상응)하고 있으며, 한가지 또는 조합한 키의 활성화는"코드(chord)"를 형성한다.
도 1b는 T키 이외에 다음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엄지키 C,A를 나타낸다.
처리장치 30은, 예를들어 PC/104 포맷에서, 가동적용시에는 작고 단단해야 하겠지만, 어떠한 종류의 선반재고(off-the-shelf) PC 일수 있다.
표시장치(50)은 통상의 것일 수 있으나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같은 측면에서 Reflection Technology, Inc.에서 제조된 PRIVATE EYE(TM) 장치가 특히 적합하다.
작동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30)은 표시장치(50)에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 이 정보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키코드를 이용하여 지시나 데이터를 입력한다.
표시장치(50)에 표시된 인디시아는 특정코드에 직접 상응하며, 이에 따라 인디시움으로 나타낸 지시나 데이터 입력 중 어느것에 영향을 끼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원칙은 본질적으로 "보는 것은 누르는 것(What you see is what you press)"인 것이다.
도 2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가 구현될수 있는 계산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입력장치(10)은 도 1a에 도시된 키 4-1, T로 구성된 멀티 스위치 유니트(2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20)는 키의 초기 압압상태시에 대한 것과 반대로써 키를 해제시켰을 때에만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바운스 및 래치 회로(22)에 연결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는, 키조합내의 키 각각은 제시간내에 따로따로 압압될수 있으나 전체조합은 모든키가 동시에 해제될 때에만 신호가 처리된다.
상기 디바운스 및 래치회치(22)로 부터 나온 출력은 통상의 형태의 양방향 평행포트 24로 통과하여 그 출력은 처리장치(30)내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디코드될 수 있는 비트 패턴을 구성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입력 비트 패턴은 2진화되어 키조합이 압압됨에 따라 어떠한 코드에 대하여 원래의 10진값으로 되는 것이 좋다.
통상의 키보드가 PC에 입력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입력 비트 패턴은 작동 시스템에 대하여 인터럽트(interrupt)로서 작용한다. 상기 인터럽트 기능은 인터럽트 취급기(32)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상기 인터럽트는 그후 입력 파서(input parser)를 지나 명령관리기(36)으로 간다.
상기 명령관리기(36)은 호스트 작동시스템 38, 피드백관리기(40) 및 이에 결합된 오디오 취급기(42), 그리고 응용 소프트 웨어(44)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명령관리기(36)은 또한 영상취급기(46)와도 협력하고 영상취급기(46)는 표시장치(50)를 구동한다.
상기 오디오 취급기는 어떠한 키를 활성화시켰을 때 오디오 피드백 기구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5음계가 바람직하며, 이는 한 옥타브를 5개의 불연속적인 주파수로 분할한 것이다.
이 분할은 균일한 것이 아니며, 차라리 어떤 음이 귀에 듣기 좋은 것인가에대한 시간적인 고려에 기초한 것이다.
둘이상의 키를 코딩함으로서 조합된 각각의 음을 재생/피드백하게 된다.
5음계 자체는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인터페이스의 소프트웨어 성분은 본질적으로 사용자에게 명확하다.
화면은 손의 디짓트에 해당하는 키의 순차관계에 관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장치 상에 나타난 화면만 고려한다.
도 3은 표시장치(50)에 나타난 화면을 보여준다.
이때 화면은 밴드와 같이 화면을 가로질러 신장하는 5개의 비-중복영역으로 관념적으로(시간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표시된 인디시아/버튼(60-70)으로 구성된 패널은 그 치수가 전체화면과 동일하다.
상기 영역은 도 1a와 1b의 키/디짓트에 상응하는 명칭으로 나타나 있다.
처리장치는 관념상의 분할을 고려하지 않으며, 차라리 원래의 코드값으로 색인된 현재-표시된 인디시아의 페이지 테이블을 간단히 유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원 코드값을 대조 루틴(look-up routine)에서 비교하여 데이터 입력의 코드지시에 영향을 준다.
"화살표" 인디시아(60, 64)는 작동시스템 수준을 통해 갈 수 있는 명령어를 나타내는 반면, "QUIT" 인디시움은 세션을 종결시키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다른 3개의 인디시아(66- 70)는 워드-프로세싱 패키지, "2-업" 게이밍 응용이나 다른 비-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명령어를 나타낸다.
이들 영역 각각은 입력장치(10)상의 키의 상대적 순차배열에 직접 배치된다(동일시된다). 즉, 각 인디시움의 순차관계와 하나이상의 키의 순차관계가 1:1 대응된다.
상기 용어 순차가 사용되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일대일(1:1) 대응은 키의 공간적 관계 또는 키의 순서로서도 생각될 수 있으며, 여기서 공간적 관계 또는 순서는 그 자신 디짓트와 1:1 대응이다.
최상부는 새끼손가락 키(4)의 위치에 해당하고 최하부는 엄지키(T)에 해당한다.
인디시아 중 어느하나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사용자는 각각의 인디시아에 해당하는 키조합(즉, 코드)을 선택한다. 이는 어느 영향이 인디시움에 의해 교차되는지(중복, 교차, 커버, 신장 또는 일치됨)를 관찰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QUIT" 명령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키들(코드) "3,2,1" 조합을 활성화한다.
WP(워드프로세스) 사용자는 키조합 "1&B"를 코드한다.
"2-업(TWO UP)"은 키조합 "2&1"에 의해 수행되며, "APP'N3"는 키조합 "4&3"에 의해 얻어진다. 사용자는 어느 영역이 어느 인디시움에 의해 교차되는지를 간단히 식별한 후 관찰되는 것을 코드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패널(즉, 인디시아 셋트), 그리고 이같이 하여 5개의 영역은 화면의 전영역에 걸쳐 신장한다.
영역의 상대적 순차관계가 키와 1:1 대응이 유지된다면 패널과 이에 관련된 영역이 화면의 전영역에 걸쳐 신장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같은 경우이다.
상기 영역을 화면의 수직으로 신장하도록 배열하는 것도 역시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인디시아는 수평방향으로 신장할 것이다. 본질적으로, 인디시아와 영역은 수직적이다.
또한 엄지의 상대위치를 스크린의 상부로 배치하도록 거꾸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따라 새끼손가락이 스크린의 하부로 배치된다.
이들 가능성의 견지에서, 인디시아에 키의 순서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엄지 기점(thumb origin)"이라고 부르는 것도 편리한 것이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디짓트/키와 영역 사이의 상대적 순차관계는 입력장치(10)이나 표시장치(50)의 특정 배열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5미만의 키가 제공될 수 있다.
통상 채택되는 것은 항상 엄지로 시작하는 순서이며, 이와 같이 하여 오직 3개의 키만을 갖는 입력장치는 엄지 및 인지 및 중지에 상응한다.
도 4는 도 3의 "TWO UP" 응용프로그램이 선택되었을 때 나타난 화면을 보여준다.
상기 화면은 다수의 인디시아를 갖는 패널(72)를 포함한다.
인디시움 각각은 'TWO UP' 코인 토스게임을 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를 나타낸다.
패널(72)은 앞서 표시된 이름으로 나타낸 5개의 영역으로 관념적으로 나뉘어져 있다. 패널(72)에 있어서의 인디시아/버튼 각각은 유일한 코드로 활성화된다. $10 버튼은 "T/B" 단일 키코드에 의해, $5 버튼은 "1" 단일키에 의해, "CANCELBET" 버튼은 "T/B와 1" 키코드에 의해 그리고 코인토스버튼은 모든 키에 의해 형성된 코드(즉, T/B 와 1과 2와 3 과 4)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화면은 또한 "행잉-다운(hanging-down)" 패널(74)와 "행잉-업(hanging-up)" 패널 76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패널 72의 영역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5개의 영역으로 관념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패널은 접합된 엄지위치에 해당하는 도 1b에 도시된 별도의 엄지키 A 및 C와 관련된 특정기능에 관련한다.
상기 별도의 엄지키 A, C는 특정 '이동(shift)' 기능을 한다.
이동된 상태는 오직 5개의 키(T 및 1-4) 만으로 가능한 최대 31(25-1)로 부터 설정된 지시어/데이터 입력을 증대시킨다.
C키는 편리하게 예비-이동(pre-shift) 기능이 지시되었으며, 활성시 이동상태에 진입하여 그후의 코드는 C키가 압압되지 않았을 때 가졌던 것과는 다른 지시어나 데이터 진입값을 갖는다.
도 4의 실시예를 고려하면, 키 C를 압압하면 행잉-다운 패널(74) 및 이에 포함된 5개의 인디시아에 접근된다. 이 경우, 상기 5개의 인디시아 각각은 단 하나의 영역에 대응한다. 물론, 하나의 영역보다 많은 영역에 걸친 인디시움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기능의 다른 형태를 '즉시 이동(shift immediate)' 라고 한다. 이는 A키에 의해 수행된다.
이 상황은 키 A가 단독사용시 키 B에 대한 선택을 이루고 다른 키 1-4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통상의 키보드에서 발견되는 이동키와 다소 유사하다. 상기 행잉-업 패널(76)은 A키와 키 1-4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접근된다.
도 5는 도 4 화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특히 행잉-다운 예비 이동패널(74)을 가리킨다. 상기 예비-이동키 C가 수행되면, 그 결과 코드는 인디시아 중 하나를 실행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결과 조합은 "3"키 단독순차이다(도면에서 EDIT 기능이다).
그 결과 패널(78)이 '풀-아웃(pulled-out)'되며, 어떠한 결과 코드도 그 새로운 패널(78)에 표시된 5개의 인디시아중 하나 각각에 접근한다.
또한 이는 단지 인디시아가 5개 영역에 1:1 대응한다는 편리를 위해서이다.
도 6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배열을 보여준다.
3개의 "부동패널(floating Panel: 80, 82, 84)"가 화면(50)내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패널 각각은 다수의 인디시아를 포함하며, 각각의 패널은 순차적으로 키에 위치하는 5개의 영역으로 관념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패널(80)의 인디시아는 키 A나 C를 사용하지 않고 접근된다.
패널(82)은 패널의 하부에 진한 선으로 표시한 '엄지선(thumbline: 88)'(또는 베이스라인)을 포함한다.
이 엄지선(88)은 패널(82)내의 인디시아에 접근하는데 이동상태가 필요하다는 것을 영상으로 나타낸다.
상기 패널 저부에 있는 엄지선(88)은 A키를 압압할 필요성을 가르킨다. 다시말해서, '즉시 이동' 기능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실행될 것이다.
상기 즉시 이동 기능에 대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패널내에는 단지 4개의 관념 영역만이 있을 것이다.
이는 즉시 이동상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A키를 활성화시키는데 엄지가 사용되고 이와같이 하여 사용가능한 4개의 디짓트만이 남기 때문이다.
엄지선 배열에는 특정로직이 있으며, 여기서 엄지는 A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통상의 B키로 부터 떨어져 하향으로 이어져야 하며, 그 하향 센스는 패널(82)의 하부까지 있는 엄지선(88)에 일치한다.
나머지 부동패널(84)는 상부에 위치한 엄지선(90)을 갖는다. 이는 예비-이동상태를 위해 C키를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엄지를 상향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예비-이동 상태에서는, 5개의 관념 영역이 있다.
상기 화면은 또한 화면의 좌측상단에 역 L-자 형태로된 패널(86)을 포함한다.
"행잉-다운" 규칙이 패널(86)에 적용되지 않으며, 차라리 엄지선 원칙이 적용된다.
패널(86)은 하나의 패널로 도시되어 있으나 2개의 분리된 관념 영역을 포함하므로 보다 적절한 것은 2개의 패널이다.
화면의 좌측 하단으로 나타난 인디시아는 그 하부 가장자리에 나타난 엄지선 92에 결합되어 있으며 표시된 바와 같이 관념 영역으로 관념적으로 분할되어 있다.
엄지선(92)은 패널의 이부분의 저부에 있기 때문에 A키로 사용함을 나타내며, 이경우는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단지 4개의 영역만이 있다.
화면의 상단을 가로질러 신장하는 인디시아는 다른 엄지선(94)에 결합되어 있다.
이 엄지선은 다시 패널의 저부에 있기 때문에 A키의 사용을 나타낸다.
도 7a는 5개의 인디시아를 갖는 패널(96)을 도시한다.
이들 키에 대응하는 관념영역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만일 "1"키가 코드되면, 다른 패널(98)이 팝-업(pop-up)한다.
다른 패널(98)은 5개의 다른 인디시아를 포함한다.
주지한 바와같이, 프레임내의 영역은 모 프레임(parent frame: 96)에 해당하는 프레임에 대한 영역에 수직이다. 제1 패널(96)의 다른 인디시아에 대하여도 마찬가지 팝-업 효과는 생길 것이다.
도 8a 및 8b는 5-버튼 입력장치에 대한 완성코드셋트(혹은 '갤럭시')를 나타낸다.
점선은 인디시아가 경계를 이룬 5개의 관념영역의 경계를 나타낸다.
인디시아는 빗금으로 표시하였으며, 편의를 위해 "바코드(bar chords)"라고 이름을 붙힌 것들이다.
바코드의 수는 연속 키 프레스로 형성되지 않으며 이들 특정코드는 "중공 바코드(hollow bar chords)"라고 부른다.
각 인디시움 옆에 보이는 것은 "원코드 값(raw chord value)"이다.
규칙에 따라 엄지기점 좌측에 있으며, 관념영역은 2진법으로 나타냄으로써 어느 코드도 10진수로도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도움이 된다.
2진 규칙은 역진되어 우측에서 좌측으로 0 - 31로 증가되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0 - 31로 증가될 수도 있다.
도 8c는 10진값 1- 5를 갖는 코드에 대하여 5개의 다른 형태의 코드 배열을 보여주며 제1 칼럼(좌측단)은 5개의 영역으로 분할이 그래픽 프롬프트없이 영상화되어야 하는 바코드를 보여준다 - 이것과 제3 칼럼의 바코드를 비교하시오.
제2 칼럼에서는 5개 영역의 영역이 하부수평선 및 수직선마크로 코드되는 키에 의해 표현되고 있다.
이 표현을 "그리프 코드(glyph chords)"라 한다.
제 4칼럼은 수평배열의 바코드라기 보다는, 하부에 엄지기점이 생기는 수직 배열 바코드를 나타낸다.
제5 칼럼의 점선과 선마크로 나타낸 것을 "점선코드(dot chords)"라 한다.
도 8d는 그리프 코드와 그 원코드값 무리를 보여준다.
도 9는 숫자 키패드 형태로된 패널(104)를 보여준다.
모든 디짓트 0-9가 나타내어져 있다.
엄지기점은 "1"인디시움의 좌측단 하부에 있다.
패널 104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첫 번재 부분은 수 1 -9의 3×3어레이이며, 두 번째 부분은 수 0의 버튼 108이다.
"0" 버튼은 "T와 1과 2"를 코딩함으로써 활성화된다.
다른 숫자들은 "한쌍(couplet)"을 코딩함에 의해 접근된다.
즉, 3 × 3 어레이에서는 각각의 특정숫자 버튼은 접근을 위하여 2개의 코드를 별도로 순차 조합함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1" 버튼은 쌍 "T"와 "T"에 의해 접근되며, 반면 "6" 버튼은 쌍 "1" 및 "3"에 의해 접근된다.
쌍(couplet) 코딩은 팝-업 버튼이 숨어있기 보다는 항상 표시된다는 점에서 앞서 기술한 팝-업 메뉴와 다소 유사하다.
도 10은 기본적으로 양측면에 2개의 패널(110, 112)를 포함하는 가상 타자기 형태를 보여준다.
패널사이의 분할은 수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패널 110은 알파벳 25문자로 나타내는 25버튼의 5 × 5어레이를 포함한다.
각각의 문자 버튼의 활성화는 쌍 코딩에 의한다.
패널 110의 엄지기점은 "e" 버튼의 좌측하단에 있다.
예를 들어, "2" 및 "2"를 코딩하여 문자 "r" 버튼이 활성화되며, "j" 버튼은 "3" 및 "4"를 코딩하여 활성화된다. "스페이스" 버튼은 " T, 1, 2, 3 및 4"를 코딩하여 활성화된다.
문자버튼의 공간배열은 영어에서의 사용빈도에 따라 이루어지며 엄지와 손가락의 빈도를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모음 a, e, i 및 o 는 가장 능란한 디짓트인 엄지와 첫 번째 손가락을 조합하여 접근된다.
패널(112)는 전형적인 워드 프로세싱 기능을 부여한다.
패널(112)에 대한 엄지기점은 "피리어드(Period)" 버튼의 좌측하부에 있다. 이 패널은 또한 쌍 코딩을 근거로 동작한다
이와같이 "탭(tap)" 버튼은 코드 "T, 1, 2, 2"에 의해 접근된다 "쉬프트" 버튼은 코드 "3,4" 및 "T"에 의해 접근된다.
"넘버(number)" 및 "심볼(symbol)" 버튼은 각각 도 9에 도시된 패널 104와 같은 숫자 패널 및 기타 심볼셋트에 관한 쌍 패널어레이에 접근하는 팝-아웃 메뉴의 성질을 갖는다.
패널(110, 112) 양자내에 포함된 쌍 코드 각각은 다른 어느 것으로부터도 유일한 것이다.
우측패널은 제2 입력 장치가 제공되면 사용자의 다른 손으로 코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배열은 워드 프로세싱 기능에 적합하며 통상의 분자배열 키보드 방식에서 최소노력으로 타이핑이 가능하다.
도 11은 가상 계산기 114의 한가지 형태이다.
상기 계산기는 3 × 3 쌍 패드 어레이(10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포함하며, 엄지기점은 "1" 버튼의 좌측하부에 있다.
상기 계산기 114는 또한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쌍 패드 어레이(106)로부터 묘사된 다수의 싱글코드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코드 버튼에 대한 엄지기점은 패널(116)의 좌측단에 있다.
상부 윈도우(118)는 통상의 휴대용 계산기에서와 같이 계산기(114)의 기능을 나타내는 내부 화면을 나타낸다.
기능버튼 중 어느 것이나 "0" 버튼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싱글 코드는 패드 어레이(106)내에 있는 버튼에 속하는 어느 쌍의 제 1코드와 독립적이다.
예를 들어, 번호643은 순차 "1" 및 "2", "1" 및 "T", 그리고 "T" 및 "2"에 의해 코드된다.
이 숫자는 이어지는 코드 "4" 후 "T" 및 "1" 그리고나서 "T 및 1 및 2 및 3 및 4"에 의해 2만큼 곱해지게 작동될 수 있다.
도 12는 교차-코드라고 부르는 화면배열을 보여준다.
좌측단을 따라 화면의 상부면에 신장하고 있으며 화면의 중앙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점선으로 된 버튼에 대한 엄지기점은 T1으로 예시되어 있다.
화면(50)의 화부우측에 배열된 버튼에 대한 엄지기점은 T2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또한 각 버튼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코드를 나타내며, 각 코드는 상호 다른 것으로 부터 비양립적이다.
도 13은 인디시움(13)의 다른 표현을 보여준다.
이경우의 규칙은 단지 4개의 사각박스 천정이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엄지는 항상 코드의 일부를 이룬다.
다른 저면 좌측천정의 규칙이 기점이라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코드는 조합 "T 및 3 및 4"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점선 코드 표현이 역시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바코드(bar chords) 와 쌍(couplets)을 이루는 2개의 인디시아(132, 134) 조합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2개의 가능한 바코드는 그위에 중첩된 점선 코드값(dot chord value)을 가지며, 각각은 "T" 및 "1 및 2 및 3 및 4" 로 형성된다.
제 2 인디시움(134) 역시 그위에 중첩된 5개의 바코드에 대하여 인디시아(136-144)와 결합한 쌍 형태로 사용될수 있다.
각 코드에 상응하는 점선코드 표현이 도시되어 있다.
배경 인디시움(134)에서 중간 인디시움(140)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는, 쌍 코딩순차는 "1,2,3,4" 및 "3"이다.
도 15a 및 15b는 인디시아(150-156의) 수에 대한 쌍코딩의 다른 표현을 나타낸다.
역시 도시된 것은 상응하는 점선코드 표현이다.
채택된 규칙(convention)은 수평이 수직보다 우선하여 도 15a의 경우에 있어서는 쌍 "4" 및 "4" 그리고 도 15b에 대하여는 "3 및 4" 그리고 "T 및 4"로 된다.
도 16a는 3개의 바코드를 나타내는 인디시움(160)의 생략된 형태를 나타낸다.
인디시움(16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 2개의 탭(162, 164)은 3개의 중첩된 부(sub)인디시아(166-170)중 어느하나에 접근하는데 "T 및 1"이 요구된다는 것을 가르킨다.
이들 3개의 부(sub)인디시아(166-170)에 대한 점선코드 표현이 역시 도시되어 있다.
도 16b에서, 탭(182, 184)는 인디시움 180의 우측에 위치하며, 이는 코드를 실행시키기 위하여는 중첩된 부-인디시아(186-190)의 상응하는 키도 필요하다는 것을 가르킨다.
규칙의 라이브러리는 선택 가능하며, 여기 실시예에 따르는 바와같이, 인디시움의 좌측 및/하부가 엄지기점을 나타낸다는 것은 명확하다.
상기 엄지는 항상 출발점이며 - 이는 5미만의 키가 제공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한 것이다.
시계 반대 방향보다 시계 방향이 우선하는 바와 같이 수평이 수직에 우선한다. 모든 인디시움은 이들이 "압압통로(press path)"로 분해가능하다는 규칙을 만족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계산 장치에 관련하여 즉시 응용가능하다.
캠코드같은 조망제어시스템, 오토텔러(autotellers), 팩스 및 사진복사기, 매설 인터페이스(예를들어 자동판매기 유지 인터페이스), 자동차 전화, 호출기, 휴대기기(예를들어 서비스 장치), 비디오 및 전화원격제어기, 상호 TV 제어기, 개인용 스테레오, 가정용품(예를들어 클럭 라디오), 자동차용품(예를들어 에어컨, 크루즈제어, 스테레오, 캐빈제어등), 전기용품인터페이스(예를들어 권총형 드릴), 제어마운트(예를들어 조향휠이나 죠이스틱), 게임 및 완구인터페이스, 전자슬레이트-형장치, 포켓 오가나이저(pocket organiser), 휴대용 계산장치, 노트북 및 펜 컴퓨터 등에도 적용될수 있다.
본발명에 의한 잇점은 인디시아가 쉽게 스케일되면서도 그 정보내용을 보지한다는 것이다. 이는 통상의 윈도윙-형 시스템과는 대비되는 것으로써, 종래의 시스템은 아이콘은, 만일 아이콘들이 수축될수 있었다면, 그들의 정보내용을 잃어버리고 포인팅장치를 이용하여 접근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종래의 윈도윙 시스템은 "윈도우"나 윈도우내의 아이콘을 스케일링하지 않으며, 윈도우 스스로 간단히 붕괴되는 것이다.
본발명에 따라 인디시아를 사용함으로써, 이같은 포인팅이 필요하지 않으며, 물론 표시장치의 화소 해상도에 따라 눈이 인디시움을 분해하는 한 정보내용은 유지될 것이다.
이는 통상의 윈도윙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휠씬 많은 수의 인디시아가 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a- 17c는 여성초상이 도시된 화면을 보여준다.
상기 화면은 예를 들어 맵 또는 IC 레이아웃일 수 있다.
상기 화면(50)은 화면전체를 차지하는 5 × 5 어레이 영역을 보여준다.
앞서 언급한 쌍 코딩 원칙(couplet chording principle)을 이용하여 분할 커서나 "줌(zoom)"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엄지기점은 화면(50)의 좌측하단에 위치하며,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의 제 1 코드는 "2"이며 그결과가 도 17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쌍 코드 "3"의 다른 반을 활성시키면, 이 특정 코드된 버튼이 확대되어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을 차지한다.
다시 쌍 코딩함으로써, 여전히 보다 큰 확대물을 얻을수 있다.
도 18a 및 18b 는 분할된 화면의 변형을 보여주며, 이는 포인팅 기능이다.
쌍 코드 "3" 및 "2"를 누름으로써(keying), 그 특정 버튼은 나아가 그위에 중첩된 분할된 어레이를 갖는다.
나아가 코드된 쌍은 다시 표시된 물체상에 보다 상세히 분해된 포인트까지 강조된 버튼내의 어느 하나의 버튼을 분할할 수 있다.
도 19는 입력장치(10)에 대한 기계적 배열을 보여준다.
본체(11)은 사용자의 손바닥내에 맞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도시된 배열은 왼손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엄지는 본체(11)의 측면 둘레를 잡으며, 반면 4개의 손가락은 상부를 가로질러 잡게 된다.
따라서 디짓트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키를 활성화시킨다.
이같은 배열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본체(11)은 손바닥에 견고하게 잡혀있으며, 디짓트는 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동작이외의 동작에서는 움직이지 않는다.
도시된 배열은 거꾸로함으로써 간단히 오른손에도 사용하기 적합하게 할 수 있으므로 양손 모두 사용가능한 것이다.
도 20a 및 20b는 입력장치(10')의 변형된 배열을 나타낸다.
휴대 장치(10')는 함께 경첩 연결된 2개의 본체부(12, 13)를 포함한다. 본체부(12, 13) 각각에 대한 키의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배열의 잇점은 양손이라는 것이며, 또한 손바닥으로 잡았을 때 각각의 본체부(12, 13)이 서로 예각을 이루게 도 19의 제어기 10에서 도시된 방법이나 혹은 온 - 벤치 키보드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공통평면내에 본체부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1은 통상의 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같은 통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코딩과/문자배열의 결합된 형태를 제공한다.
이같이 도 21에 도시된 키보드는 통상의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으나, 관련 처리 장치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는 통상의 입력에 대하여 하나의 키를 압압하는 것과는 달리 코드가 키지정(keying)될 때 인식할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홈(home)"키와 스페이스바는 코딩 조작용 키로 사용된다.
만일 코딩을 위해 오른손이 사용되고 있다면, 엄지로 시작하는 디짓트의 순서에 상응하는 문자배열 키보드키의 순서는 "스페이스바, J, K, L,;"이다.
이 개념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의 작동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시된 화면은 중첩된 코딩인디시아를 갖는 통상의 워드프로세싱 패키지 일 수 있다.
유일한 제약점은 소위 "싱글톤(singleton)" 코드(즉, 싱글 디짓트 프레스)가 제외된다는 것이다.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코드를 기재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내지 24에 포함된 것은 코딩방법론, 쌍(couplet) 방법론 및 코드/문자배열 방법론의 흐름도이다.
도 22에서, 단계(200)이 키압압을 검출한다.
단계(202)에서, 릴리이스(release)시 코드가 형성된다면, 그후 단계(204)는 모든 키가 압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단계(206)는 코드값을 보낸다.
만일 릴리이스시 코드가 형성되지 않으면, 단계(208)는 코드값 송부를 지연시킨다.
도 23은 도 22를 쌍 형성까지 연장한 것이다.
단계(210)는 코드 압압을 대기함을 나타내며, 일단 수신되면, 단계(212)는 압압된 코드가 현재 쌍의 일부인지를 판단한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210)으로 복귀한다.
단계(212)의 결과가 YES라면, 단계(214)는 본쌍에 대하여 제2 부분을 대기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NO라면 단계(216)는 그것이 제1 부분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다시 NO라면 단계(218)는 코드를 무시하고 단계(210)로 복귀하여 다음 코드를 기다린다.
그러나 만일 이것이 코드의 제1 부분이라면, 단계(220)는 "대기" 플랙을 설정하고 단계(210)으로 복귀한다.
단계(214)에서, 만일 YES 라면, 단계(220)는 그 코드가 제2 부분인지를 판단하고, 만일 단계(210)로 복귀하지 않으면, 단계(222)는 "대기" 플랙을 클리어하고압압된 쌍을 송부한다.
도 24는 결합된 코딩/문자배열 작동을 나타낸다.
단계(230)는 다음 키압압을 대기하며, 그후 단계(232)에서 코딩이 허가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NO라면, 단계(234)에 의해 그 문자배열값에 대한 키 압압이 송부된다.
코딩이 허여되면, 단계(236)는 그 값이 코드키(즉 기술된 바와 같은 홈키)에 대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238)는 동작이 코딩용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단계(240)는 키 압압을 무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키압압된 값이 그 통상의 문자배열값에 대하여 단계(242)에서 송부된다.
단계(236)에서 만일 키 압압값이 코드에 대한 것이라면, 단계(242)는 코드를 형성한다.
그후 단계(242)에서는 그 코드가 싱글톤(singleton, 단일원소) 코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계(244)는 그 코드압압된 값을 송부하고, 만일 그렇다면 단계(246)는 싱글톤 코드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248)는 명목상의 문자배열 키값을 송부한다. 싱글톤이 허용된다면, 단계(250)는 코드압압된 값을 송부한다.
이하, 코딩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포함된 것이며, 도 22내지 도 24의 흐름도와 일치하는 것이다. 코딩은 미국은 Asymetrix Corporation에 의해 출판된 Window(TM)-based multi-media authoring tool인 프로그램 ToolBook(TM) 버전 3.0에서 수행하도록 기재되었다.
코드는 "--"로 나타낸 바와같이 주를 달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본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계산장치나 혹은 고도의 이동환경내에서 사용하기에 유익한 산업상이용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24)

  1. 각각의 키가 사람손의 특정 일 디짓트에 지정되고 그 디짓트의 상대적인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물리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를 갖는 입력장치;
    영상표시장치(visual display device); 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지시어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장치에 연결되며,
    각각이 사용자의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나타내며 그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짓트의 조합과, 이에 따라 각각 활성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를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복수의 인디시아의 시각적인 표시를 위해 프로그램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시움은 상기 디짓트의 동시 조합이 상기 표시된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실행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복수의 비중복영역(non-overlapping regions)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이 디짓트 중 하나에 상응하고, 그 영역은 상기 디짓트와 동일한 순차관계에 있으며, 인디시움에 의해 교차된, 소정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그 인디시움에 의해 표시된 지시나 데이터를 실행하는, 디짓트 조합 및 이에 따른 키 조합에 상응함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시아와 상기 영역은 직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중복영역은 5개이며, 상기 복수의 키도 5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각각이 사람손의 특정 일 디짓트에 지정되고 그 디짓트의 상대적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물리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를 갖는 입력장치와, 영상표시장치 및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계산장치에서 실행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지시어나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요소;
    상기 표시장치로 표시정보를 전송하는 출릭요소; 및,
    상기 입력요소와 출력요소에 연결되며,
    각각이 사용자의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나타내고 그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짓트 조합과 이에 따라 각각 활성화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를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복수의 인디시아의 표시를 위한 처리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시움은 상기 디짓트의 동시 조합이 상기 표시된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실행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6. 각각이 사람손의 특정 일 디짓트에 지정되고 그 디짓트의 상대적 순차관계에 일치하도록 물리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키를 갖는 입력장치와,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계산장치를 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처리수단에서 실행되며,
    각각이 사용자의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나타내고 그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짓트 조합과 이에 따라 각각 활성화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를 나타내도록 표시되는, 복수의 인디시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시움은 상기 디짓트의 동시 조합이 상기 표시된 지시나 데이터입력을 실행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됨- ; 및,
    상기 키 중 하나 또는 일 조합의 동시 활성화에 의해 상기 지시 또는 데이터 입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디시움은 n개의 제1 그래픽요소 및 m개의 제2 그래픽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그래픽요소는 상기 각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그래픽요소는 상기 각 키의 비활성화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는 z개이며, 여기서 n은 0부터 z까지의 범위이면서, m은 z부터 0까지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z는 5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요소는 선분이며, 상기 제2 그래픽요소는 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요소는 상기 제2 그래픽요소가 음영되거나 채워진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요소는 신장된 디짓트이며, 상기 제2 그래픽요소는 수축된 디짓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처리 장치에 의해, 복수의 비중복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이 디짓트 중 하나에 상응하고, 그 영역은 상기 디짓트와 동일한 순차관계에 있으며, 인디시움에 의해 교차된, 소정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그 인디시움에 의해 표시된 지시어나 데이터를 실행하는,디짓트 조합 및 이에 따른 키 조합에 상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시아와 상기 영역은 직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디시움은 n개의 제1 그래픽요소 및 m개의 제2 그래픽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그래픽요소는 상기 각 키의 활성화를 나타내고, 상기 제2 그래픽요소는 상기 각 키의 비활성화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는 z개이며, 여기서 n은 0부터 z까지의 범위이면서, m은 z부터 0까지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z는 5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요소는 선분이며, 상기 제2 그래픽요소는 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요소는 상기 제2 그래픽요소가 음영되거나 채워진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요소는 신장된 디짓트이며, 상기 제2 그래픽요소는 수축된 디짓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와 비중복영역은 5개이며, 상기 복수의 키도 5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짓트의 동시조합은 상기 키의 동시발생 릴리이스(release)를 통해 상기 표시된 지시 또는 데이터 입력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짓트의 동시조합은 상기 키의 동시발생 릴리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된 지시 또는 데이터 입력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짓트의 동시조합은 상기 키의 동시발생 릴리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된 지시 또는 데이터 입력을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701133A 1994-08-19 1995-05-23 계산장치용인간/기계인터페이스 KR100393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M7560 1994-08-19
AUPM7560A AUPM756094A0 (en) 1994-08-19 1994-08-19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PCT/AU1995/000300 WO1995032461A1 (en) 1994-05-23 1995-05-23 A human/machine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5786A KR970705786A (ko) 1997-10-09
KR100393403B1 true KR100393403B1 (ko) 2003-11-01

Family

ID=378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133A KR100393403B1 (ko) 1994-08-19 1995-05-23 계산장치용인간/기계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776500B1 (ko)
JP (2) JPH11501740A (ko)
KR (1) KR100393403B1 (ko)
CN (1) CN1103074C (ko)
AT (1) ATE327534T1 (ko)
AU (1) AUPM756094A0 (ko)
CA (1) CA2196881C (ko)
DE (1) DE69535004T2 (ko)
FI (1) FI118357B (ko)
NZ (1) NZ2853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1235B1 (en) 2000-06-13 2004-05-25 Michael Gor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US7190351B1 (en) 2002-05-10 2007-03-13 Michael Gor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input
JP5618380B2 (ja) * 2012-01-24 2014-11-05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認証用入力装置および認証システム
CN102650909B (zh) * 2012-04-16 2015-01-21 杨林 字符输入装置及字符输入方法
US9497069B2 (en) * 2012-10-11 2016-11-15 Pismo Labs Technology Limited Managing actions of a network device through a manual information input module
US8976202B2 (en) * 2013-01-28 2015-03-10 Dave CAISSY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6888147B (zh) * 2015-12-15 2024-03-01 安波福电子(苏州)有限公司 一种车载即时通讯免提系统
CN106648138B (zh) * 2016-12-14 2019-07-12 日照京华电商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计算机领域中人机交互下的虚拟打字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431A (en) * 1976-03-12 1978-01-10 Whitaker Ranald O Combinational keyboard with movable keys and adapted for one-handed keying of numerical information
JPS56119185A (en) * 1980-02-23 1981-09-18 Fujitsu Fanuc Ltd Picture display system
DE3686930T2 (de) * 1985-07-18 1993-05-13 Yoshiro Hashimoto Tastatur fuer eine informationenverarbeitende vorrichtung.
FR2585487B1 (fr) * 1985-07-29 1990-09-07 Guyot Sionnest Laurent Claviers pour ordinateurs, < a 70 cm2 et a moins de 13 contacts actionnes de facon combinee par les doigts d'une seule main
US4791408A (en) * 1987-05-14 1988-12-13 Ted Scudder Keyboard for one-hand operation
FI91686C (fi) * 1992-08-31 1994-07-25 Kai Markus Martesuo Instrument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76500A4 (en) 1999-11-24
CA2196881A1 (en) 1995-11-30
FI118357B (fi) 2007-10-15
EP0776500B1 (en) 2006-05-24
NZ285346A (en) 1999-02-25
JPH11501740A (ja) 1999-02-09
CN1103074C (zh) 2003-03-12
JP2007035059A (ja) 2007-02-08
CN1157044A (zh) 1997-08-13
DE69535004D1 (de) 2006-06-29
FI970262A (fi) 1997-02-18
JP4502990B2 (ja) 2010-07-14
AUPM756094A0 (en) 1994-09-15
KR970705786A (ko) 1997-10-09
FI970262A0 (fi) 1997-01-22
ATE327534T1 (de) 2006-06-15
DE69535004T2 (de) 2006-12-07
CA2196881C (en) 2005-11-01
EP0776500A1 (en) 199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3553B2 (en) A human/machine interface
US5999950A (en) Japanese text input method using a keyboard with only base kana characters
US93897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US5515305A (en) PDA having chord keyboard input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data thereto
EP1536316B1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6098086A (en) Japanese text input method using a limited roman character set
JP2792597B2 (ja) ソフトキーボードを利用した携帯用情報端末機及び情報入力方法
JP4502990B2 (ja) 計算装置用の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
KR19990087081A (ko) 화면표시식 키이입력장치
JP2009527041A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データを入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50119112A (ko) 터치 스크린용 명료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감소된 키보드시스템
JPWO2008152679A1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入力装置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JP2000056877A (ja) タッチパネル式レイアウトフリーキーボード
JPH07295720A (ja) 入力装置
JPS60198623A (ja) デ−タ入力装置
JPH0744306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H064211A (ja) 情報入力装置
KR0162163B1 (ko) 수기문자 및 도형입력 겸용 키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수첩
TW413779B (en) Touch screen type keyboard input device
JPS6210087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2251250A (ja) 携帯型情報機器
JPH04299723A (ja) データ入力装置
JPH0962425A (ja) 文字・記号入力装置
JPH03100821A (ja) キャラクタ表示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