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396B1 - 지능화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화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396B1
KR100393396B1 KR10-2000-0068623A KR20000068623A KR100393396B1 KR 100393396 B1 KR100393396 B1 KR 100393396B1 KR 20000068623 A KR20000068623 A KR 20000068623A KR 100393396 B1 KR100393396 B1 KR 10039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broadcast
speak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131A (ko
Inventor
장병화
Original Assignee
장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997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933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병화 filed Critical 장병화
Priority to KR10-2000-006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3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396B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지능화 방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방송시스템은 터치스크린 상에 방송 제어를 위한 복수의 메뉴 선택창 및 표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된 상기 메뉴 선택창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와,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와 인터페이싱 되며, 지시 받은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음향신호 발생부와, 설정된 방송대상 위치마다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와, 음향신호의 스피커로의 선택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음향신호 발생부와 스피커 사이에 접속된 로컬처리부, 터치 스크린 입/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로컬처리부를 통해 음향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스피커로의 선택적 출력을 제어하는 마스터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능화 방송시스템에 의하면, 건물내 방송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방송 제어를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해 처리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지능화 방송 시스템{intelligent public address system}
본 발명은 지능화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해 방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지능화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빌딩용 방송시스템은 층별로 마련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한 음성신호가 사용자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각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된 스위치 조작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하고자 할 때, 먼저, 수작업에 의해 사용자가 방송하고자 하는 층 또는 구역의 스위치를 온시켜 놓고, 마이크를 통해 육성으로 방송을 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송 시스템은 방송된 내용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없고, 방송실을 벗어난 원격지에서 건물내부의 원하는 위치로 방송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송시스템은 화재 경보 시스템과 연동되게 설치되어있지 않고, 각각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빌딩내에 화재가 발생시 경보음 이외의 화재발생 안내정보를 제공해야할 구역에 대해 관리자가 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재 안내방송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 밖에, 주차관리를 위해 주차 대기차량 또는 출고차량에 대한 안내방송도 관리자가 일일이 육성으로 안내방송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건물내 방송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방송 제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방송제어를 원격지까지 확장할 수 있는 지능화 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화재발생 안내정보 및 주차안내방송 정보를 육성 입력 없이도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지능화 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화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2는 도 1의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3은 도 2의 방송운영 제어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보인 블록도 이고,
도 4는 도 3의 방송 운영 제어기의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창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예약창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비상창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모니터링창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방송내역창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도 4의 환경설정창을 선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향신호 발생부 19, 39: 스피커
20: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 27: 기억장치
30: 마스터제어부 40: 폰신호 처리부
50: 화재신호 처리부 60: 출력모니터링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화 방송시스템은 터치스크린 상에 방송 제어를 위한 복수의 메뉴 선택창 및 표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된 상기 메뉴 선택창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와 인터페이싱되며, 지시받은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음향신호 발생부와; 설정된 방송대상 위치마다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와; 상기 음향신호의 상기 스피커로의 선택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접속된 로컬처리부;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로컬처리부를 통해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상기 스피커로의 선택적 출력을 제어하는 마스터제어부; 상기 마스터 제어부 및 상기 로컬처리부와 접속되어 있고, 공중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착신 신호에 대해 ARS에 의해 응답 처리하고, 설정된 인증절차를 통과한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방송 내용이 대응되는 상기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폰신호 처리부; 설정된 화재 검출 위치마다 설치된 복수의 화재검출센서와; 상기 마스터 제어부와 상기 로컬처리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화재 검출센서로부터 화재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지역의 상기 스피커로 화재발생 방송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화재신호 처리부; 모드 선택키 및 숫자키를 포함한 다수의 조작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마스터 제어부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방송 출력장치로 주차 안내방송이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주차방송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의 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 상기 폰신호 처리부, 상기 화재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로컬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원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 상기 폰신호 처리부, 상기 화재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스피커로의 방송요청신호가 상호 중복되어 입력되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음향신호가 상기 로컬처리부에 의해 해당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메뉴선택창의 조작을 통해 방송 예약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설정된 예약 방송시간이 되면 예약된 방송내용이 상기 로컬처리부를 통해 해당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마스터제어부와 교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로컬처리부의 신호 출력단과 접속되어 있고, 검출에 대응되는 스피커 출력 상태정보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출력하는 출력모니터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컬 처리부는 상기 마스터제어부로부터 입력된 모니터링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출력 모니터링부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트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메뉴선택창중 모니터링창이 터치되면, 선택된 모니터링 스피커 위치정보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제어되어 상기 출력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마스터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모티터링 대상 스피커의 출력상태 정보를 표시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트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마스터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커로 출력된 방송내용에 대한 이력정보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메뉴선택창을 통해 방송내역 열람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력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방송 처리부는 입력된 숫자정보에 대응되는 주차 안내 음성정보를 기록된 음성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자동음성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숫자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차 안내 음성정보가 상기 음성메모리로부터 해당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파킹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화 방송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화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송시스템은 음향신호 발생부(10),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20), 마스터 제어부(30), 로컬처리부(37), 스피커(39), 폰신호 처리부(40), 회재신호 처리부(50), 주차방송처리부(70)(76), 조작부(71)를 구비한다.
음향신호 발생부(10)는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와 통신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음향신호 발생부는 마이크(11), 복수의 오디오 기기(12, 13, 16), 믹서(17)를 구비한다.
오디오 기기(12, 13, 16)는 AM/FM 튜너(12), 카셋트 플레이어(13), 경보음 발생기(16)등 음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각종 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음향신호 발생부(10)의 각 장치내에는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와 교신하기 위한 통신장치와, 통신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발생을 위한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7은 믹서(1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기하여 증폭하는 모니터 앰프(18)이고, 19는 모니터 앰프(18)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9)이다. 따라서, 음향신호를 원하는 형태로 혼합할 수 있는 믹서(17)를 통해 출력되는 혼합 또는, 비혼합 신호를 사용자는 모니터앰프(18)를 통해 믹서(17)의 출력단과 접속된 스피커(1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20)는 터치스크린(21) 상에 방송 제어를 위한 복수의 메뉴 선택창 및 표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된 상기 메뉴 선택창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20)는 음향신호 발생부(10)의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음향신호 발생부(10)와 인터페이싱되게 접속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정보중 방송종류 및 방송위치정보를 포함한 방송선택정보를 마스터 제어부(30)에 출력한다. 또한, 기억장치에 내장된 음향신호를 신호원 선택부(33)를 통해 로컬 처리부(37)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컴퓨터로 구축되며, 중앙처리장치(CPU)(21), 롬(ROM)(22), 램(RAM)(23), 프린터(24), 터치스크린장치(25), 입력장치(26), 기억장치(27), 통신장치(28)를 구비한다.
터치스크린장치(25)는 입력된 표시정보를 터치스크린(21a)에 표시하고, 터치스크린(21a)에 표시된 메뉴창에 대한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입력장치(26)는 터치스크린 장치(25)와 병행하여 입력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를 포함한다.
기억장치(27)는 윈도우 98, 윈도우 2000,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27a) 및 방송운영제어기(27b)가 설치되어 있다.
방송운영제어기(27b)는 터치 스크린 입/출력 장치 구동시 실행되며, 방송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장치(25)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게 처리하고, 조작된 입력신호에 대응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된 응용 프로그램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송운영제어기(27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표시선택모듈(27b1), 외부기기 드라이버(27b2) 및 콘츄럴 모듈(27b3)을 구비한다.
메뉴선택 표시모듈(27b1)은 방송종류, 방송출력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장치(25)를 통해 표시처리한다.
외부기기 드라이버(27b2)는 음향신호 발생부(10) 및 메인제어부(30)와의 교신을 처리한다.
콘츄롤 모듈(27b3)은 외부기기드라이버(27b2) 및 메뉴선택 표시모듈(27b1)을 제어하며, 메뉴의 선택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송운영제어기(27b)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방송운영 제어기가 실행되어, 일반방송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면 화면이다.
화면구도를 먼저 살펴보면, 화면(25a) 상측에 가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 창들은 주메뉴창이고, 중앙부에 있는 창들은 숫자 입력창이고, 중앙 우측에 있는 창은 구역선택 및 스피커 온/오프 설정키이다. 화면 우측 하단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종류를 아이콘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좌측 중앙영역은 방송대상 영역 및 그 선택정보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고 있다. 즉, 건물의 각 층을 표시하는 영역 옆에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은 해당층에 현재 일반 방송이 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일반방송이란, 후술하는 음악방송(BGM방송), 비상방송, 예약방송을 제외한 방송을 말한다.
주메뉴창을 살펴 보면, BGM, 예약, 비상, 모니터링, 방송내역, 환경설정, 도움말, 종료 버튼이 양각으로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메뉴창인 일반창은 음각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메뉴창중 어느 하나의 창을 터치하면 대응되는 화면이 표시처리된다.
즉, 예약메뉴창이 터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뉴창이 음각으로 표시되고, 대응되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85는 녹음버튼이고, 81은 플레이버튼이고, 83은 스톱버튼이며, 87은 등록된 오디오 파일 검색 및 선택용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예약방송을 하고자 하는 내용을 녹음하고자 할 때, 녹음버튼(85)을 누른 다음 마이크(11)를 통해 녹음을 수행하고, 스톱버튼(83)을 누르면 믹서를 통해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로 수신되어 기억장치에 소정의 파일명으로 저장되고, 화면상에는 오디오 파일명 예컨대 안내방송1.wav로 등록된다. 오디오 파일은 3개까지 등록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3개 이후로 등록되는 파일에 대해서는 후 등록된 파일부터 역순으로 3개 까지만 등록시키고, 나머지는 삭제 처리한다. 플레이버튼(81)은 등록된 파일을 실행시켜 보고자 할 때 이용한다. 등록가능 파일수는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시키면 된다.
오디오파일 선택버튼(87) 옆에 표시된 숫자 1 내지 3은 등록된 3개의 오디오파일의 등록번호를 나타낸다.
한편, 등록된 오디오파일에 대해 원하는 층 또는 구역에 대한 방송대상 위치, 예약시간 등을 숫자키 또는 영역키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나서 예약 버튼을 누르면 예약처리가 완료되고, 예약된 내용이 화면 중앙하측의 예약정보 표시란에 표시된다. 그 밖에 예약방송을 위해 사용되는 나머지 기능키에 대해서는 화면상에 기입된 용어로서 그 기능이 충분히 설명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비상메뉴창이 선택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방송내용 및 방송선택지역 선택키가 표시된다.
도 7은 모니터링 메뉴창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방송지역에 대해 출력 모니터링부(60)에서 검출된 신호를 표시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니터링 메뉴창을 통해 스피커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방송내역창이 선택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별로 기억처리된 방송된 내역을 표시하여 준다. 상세정보창을 클릭하면 내역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해준다.
도면에서 인쇄시작버턴을 누르면 표시된 방송내역정보가 프린터(24)에 의해 인쇄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도 9는 환경설정메뉴창이 선택되었을 때 제공되는 화면으로 원하는 방송금지구역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체크하면 방송금지 구역으로 설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몇개의 층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방송금지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설정가능한 금지구역수를 3개로 하였다. 금지구역수는 필요에 따라 확장시키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통해 방송운영 제어기(27b)의 동작을 설명하였고, 방송운영제어기(27b)는 각 메뉴화면상에 제공되는 선택창들에 대해 선택된 신호 또는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내용에 대응되어 기억장치(27) 또는 마스터제어부(30), 음향신호 발생부(10)로 출력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설명한다.
폰신호 처리부(40)는 공중 통신망에 접속되어 등록된 전화번호를 통해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전화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폰신호 처리부(40)는 ARS서버(41), 인증처리부(43), 메모리(45), 처리부(47)를 구비한다.
ARS서버(41)는 발신자로부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착신신호에 대해 발신자가 원하는 방송내용 및 방송대상 위치설정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접수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증처리부(43)는 발신자가 ARS서버(41)의 지원을 통해 방송을 하고자 선택하면, 발신자로부터 방송접근자로 등록된 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처리한다. 방송접근자에 대한 등록정보는 자체적으로 메모리(45)에 저장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마스터 제어부(30) 또는 터치스크린/입출력장치(20)에 저장하여 놓고, 방송 접근자 등록정보를 요청하여 인증절차를 처리하도록 하여도 된다.
음성메모리(45)는 공중 통신망을 통해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육성의 방송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처리부(47)는 ARS서버(41) 및 인증처리부(43)에 의해 정상 처리된 발신자의 방송내용이 발신자가 요청한 위치의 스피커(39)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처리부(47)는 방송요청 및 방송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마스터 제어부(30)에 전송하고, 방송대상 음성정보는 신호원 선택부(33)로 출력한다.
화재신호 처리부(50)는 설정된 화재 검출 위치 마다 설치된 복수의 화재검출센서(51)와, 화재 검출센서(51)로부터 화재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지역의 스피커(39)로 화재발생 방송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화재신호 처리부(50)를 구비한다. 화재발생 방송내용은 싸이렌소리와 대피 안내방송멘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발생 방송내용은 음성메모리(51)에 저장되어 있다.
화재 신호 처리부(50)는 화재 검출신호가 출력된 센서(51)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화재방송 요청신호를 마스터 제어부(30)에 출력하고, 음성메모리(51)에 기억된 화재 방송멘트를 신호원 선택부(33)로 출력한다.
신호원 선택부(33)는 음향신호 발생부(10), 터치스크링 입/출력장치(20), 폰신호 처리부(40), 화재신호 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중 마스터 제어부(30)의 신호원 선택신호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로컬처리부(37)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신호원 선택부(33)를 부가시키게 되면, 방송신호를 발생하되 상대적으로 이용빈도수가 적은 장치로부터 로컬처리부(37)로 입력시켜야할 음향신호선 수를 줄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음향신호 발생부(10)의 3개의 출력라인(a, b, c)중 하나(c)는 신호원 선택부(33)를 통해 선택되도록 하고, 나머지 두 개는 증폭부(35)로 입력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출력라인 a와 b는 상대적으로 이용도가 높은 음악방송 및 일반방송의 출력용으로 적용하고, 출력라인 c는 상대적으로 이용 빈도수가 낮은 비상방송용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신호원 선택부(33)로 입력되는 신호는 상대적으로 이용빈도가 낮은 것으로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예약방송, 폰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폰신호, 화재신호 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화재신호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폭부(35)는 음향신호 발생부(10)와 직접 연결된 2개의 입력라인(a,b)과 신호원 선택부(33)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입력라인(d) 각각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로컬처리부(37)로 출력한다.
로컬처리부(37)는 로컬선택부(37a)와 로컬제어부(37b) 및 모니터링 출력라인 선택부(37c)를 구비한다.
로컬 선택부(37a)는 다수의 입력채널에 대해 다수의 출력선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로컬제어부(37b)에 의해 선택된 채널선택신호 및 방송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입력 채널로 입력된 음향신호가 대응되는 스피커(39)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모니터링 출력라인 선택부(37c)는 로컬 선택부(37)로부터 각 스피커(39)로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로컬 선택부(37)의 각 출력라인과 출력모니터링부(60)를 연결시킬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로컬제어부(37b)의 스위치 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스위치가 온된다. 상기 스위치는 릴레이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컬제어부(37b)는 마스터제어부(30)로부터 인터페이스(77)를 통해 수신된 채널선택신호 및 방송위치 제어신호, 모니터링 선택신호에 따라 로컬선택부(37a)와 모니터링 출력라인 선택부(37c)를 제어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77)는 로컬처리부(37)가 다수 설치된 경우 각 로컬 처리부(37)로의 신호출력을 처리하기위한 것이다.
출력 모니터링부(60)는 모니터링 출력라인 선택부(37c)에 의해 선택된 출력라인으로부터 스피커(39)로 이어지는 신호선을 통해 입력된 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대응되는 스피커 출력 상태정보를 마스터 제어부(30)에 출력한다. 따라서, 마스터 제어부(30)는 출력 모니터링부(60)로부터 입력된 출력상태정보로부터 신호 출력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마스터 제어부(30)는 각 요소를 제어하고,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에서 제공하는 메뉴창의 선택에 대응되어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에 제공한다.
즉, 마스터 제어부(30)는 폰신호 처리부(40) 또는 화재신호 처리부(50)에서 방송요청신호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스피커(39)를 통해 방송내용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원 선택부(33) 및 로컬제어부(37)를 제어한다. 그리고, 방송처리된 내역정보는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에 제공한다.
마스터 제어부(30)는 출력 모니터링부(60)로부터 입력된 출력 상태정보를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에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제어부(30)는 음향신호 발생부(10), 폰신호 처리부(40), 화재신호 처리부(50),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에서 방송요청신호가 중복되어 입력되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음향신호가 신호선택부(33) 및 로컬제어부(37)를 거쳐 해당 스피커(39)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우선순위는 화재신호 처리부(50)의 화재방송요청신호,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20)의 비상신호, 예약방송 신호, 폰신호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예약방송 신호는 예약된 순서에 따라 그 순위가 결정된다.
참조부호 91은 마스터 제어부(30)에서 처리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기이고, 93은 마스터제어부(30)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용 입력장치이다.
상기 표시기(91)와 입력장치(93)는 마스터 제어부(30)가 터치스크린 입/출력장치(20)와 충분히 이격 설치되어 있을 때 마스터 제어부(30)와 근접된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방송시스템은 주차 또는 안내 방송용 조작부(71)와, 주차방송 처리부(73) 및 보조 방송출력장치(75)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71)는 주차관리실 또는 내방객을 안내하는 안내실등에 설치되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모드설정키, 숫자키, 차량번호 호출용 호출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가 마련된 키입력부(71a)와, 키입력부(71a)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미도시) 및 마이크(71b)를 구비한다.
모드 설정키는 자동음성모드와 수동 음성모드의 설정용이다.
마이크(71b)는 사용자가 직접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71b)를 통해 원하는 방송위치로 방송하고 할 때는 수동 음성모드로 모드를 선택하고 사용하면 된다. 즉, 수동 음성모드가 설정되면, 마이크(71b)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로컬 선택부(37a)로 출력되고, 키입력부(71b)를 통해 선택된 방송위치 선택정보는 인터페이스(70)를 통해 로컬제어부(37b)로 출력된다. 조작부(71)에서 로컬 제어부로 직접 방송위치선택신호가 출력되도록 해도된다.
자동 음성모드는 마이크(71b)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번호 호출을 하고자 할 때 이용된다.
주차방송 처리부는 인터페이스(70), 자동 주차방송처리부(76)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70)는 조작부(7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수신된 신호를 주차실용 방송출력장치(75) 또는 자동주차 방송처리부(76)로 출력한다.
자동 주차방송 처리부(73)는 파킹제어부(76a), 음성메모리(76b) 및 증폭부(76c)를 구비한다.
파킹제어부(76b)는 조작부(71)의 자동 음성모드 설정에 의해 조작부(71)로부터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입력된 차량번호 숫자정보에 대응되는 주차 안내 음성정보를 음성 메모리(76b)로부터 출력하여 증폭기(76c)를 통해 로컬선택부(37a)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즉, 조작부(71)가 자동 음성모드로 선택된 상태에서 차량호출 선택버튼을 누른 다음, 호출하고자 하는 차량번호를 입력하고, 방송하고자 하는 방송위치를 선택하면, 선택에 의해 생성된 정보가 인터페이스(70)에 출력되고, 방송위치선택정보는 마스터 제어부(30)를 통해 로컬제어부(37b)를 출력되고, 차량호출용 숫자정보는 파킹제어부(76)의 처리에 의해 음성메모리(76b)로부터 대응되는 차량번호 호출 음성으로 출력되어 해당 스피커로 방송된다.
예컨대, 조작부(71)를 통해 자동 음성모드를 설정한 다음, 1234란 번호를 입력하고 차량호출을 선택한 다음, 방송대상 영역을 키조작을 통해 설정하고 나서 방송지시키를 누르면, 설정된 정보가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출력된 후, 파킹제어부(76a)의 처리에 의해 "차량번호 1234호 차량은 주차리프트 앞으로 진입하십시요"라는 멘트가 로컬선택부(37a)를 거쳐 해당 스피커로 송출된다.
방송출력장치(75)는 별도의 주차실용으로 설치된 것으로 스피커(75a)와 표시장치(75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장치(75b)에는 조작부(71)를 통해 입력된 차량번호를 주차방송 처리부(73)에 제어되어 표시한다.
본 발명의 지능화 방송시스템은 빌딩 뿐만아니라, 대단위 물류센터 건물, 백화점 등 건물내의 방송지역을 세분화 하는 경우에는 어느 곳에서나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화 방송시스템에 의하면, 건물내 방송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방송 제어를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해 처리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방송제어를 공중 통신망까지 확장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방송을 할 수 있게 한다. 그 밖에 관리자의 관여 없이도 화재 센서와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비상 안내방송이 수행됨으로서, 즉각적인 대피 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터치스크린 상에 방송 제어를 위한 복수의 메뉴 선택창 및 표시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된 상기 메뉴 선택창에 대응하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와 인터페이싱되며, 지시받은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음향신호 발생부와;
    설정된 방송대상 위치마다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와;
    상기 음향신호의 상기 스피커로의 선택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접속된 로컬처리부;
    상기 터치 스크린 입/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로컬처리부를 통해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상기 스피커로의 선택적 출력을 제어하는 마스터제어부;
    상기 마스터 제어부 및 상기 로컬처리부와 접속되어 있고, 공중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착신 신호에 대해 ARS에 의해 응답 처리하고, 설정된 인증절차를 통과한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방송 내용이 대응되는 상기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폰신호 처리부;
    설정된 화재 검출 위치마다 설치된 복수의 화재검출센서와;
    상기 마스터 제어부와 상기 로컬처리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화재 검출센서로부터 화재검출신호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지역의 상기 스피커로 화재발생 방송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화재신호 처리부;
    모드 선택키 및 숫자키를 포함한 다수의 조작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마스터 제어부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방송 출력장치로 주차 안내방송이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주차방송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 방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의 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 상기 폰신호 처리부, 상기 화재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로컬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원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 방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 발생부, 상기 폰신호 처리부, 상기 화재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스피커로의 방송요청신호가 상호 중복되어 입력되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음향신호가 상기 로컬처리부에 의해 해당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 방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메뉴선택창의 조작을 통해 방송 예약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설정된 예약 방송시간이 되면 예약된 방송내용이 상기 로컬처리부를 통해 해당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마스터제어부와 교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방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로컬처리부의 신호 출력단과 접속되어 있고, 검출에 대응되는 스피커 출력 상태정보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출력하는 출력모니터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컬 처리부는 상기 마스터제어부로부터 입력된 모니터링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출력 모니터링부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 방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트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메뉴선택창중 모니터링창이 터치되면, 선택된 모니터링 스피커 위치정보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제어되어 상기 출력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마스터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모티터링 대상 스피커의 출력상태 정보를 표시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 방송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트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마스터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피커로 출력된 방송내용에 대한 이력정보를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메뉴선택창을 통해 방송내역 열람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력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 방송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방송 처리부는
    입력된 숫자정보에 대응되는 주차 안내 음성정보를 기록된 음성 메모리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자동음성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숫자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차 안내 음성정보가 상기 음성메모리로부터 해당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파킹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화 방송시스템.
KR10-2000-0068623A 2000-11-17 2000-11-17 지능화 방송 시스템 KR10039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23A KR100393396B1 (ko) 2000-11-17 2000-11-17 지능화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23A KR100393396B1 (ko) 2000-11-17 2000-11-17 지능화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131A KR20010044131A (ko) 2001-06-05
KR100393396B1 true KR100393396B1 (ko) 2003-07-31

Family

ID=1969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623A KR100393396B1 (ko) 2000-11-17 2000-11-17 지능화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461B1 (ko) 2004-11-17 2006-09-27 권영현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자동 방송장치
KR102588122B1 (ko) * 2022-12-01 2023-10-11 이정희 전관방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952A (ko) * 2001-08-06 2003-02-14 (주)애니컨트롤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원격 제어 전관 방송 시스템
KR100359926B1 (ko) * 2001-08-10 2002-11-11 주식회사 인터엠 지능형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021664B1 (ko) * 2011-01-26 2011-03-14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복수의 타이머 프로그램 컨트롤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34564B1 (ko) * 2014-07-15 2015-07-09 (주)신화유디텍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576A (ko) * 1995-04-29 1996-11-21 배순훈 간이형 터치스크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576A (ko) * 1995-04-29 1996-11-21 배순훈 간이형 터치스크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461B1 (ko) 2004-11-17 2006-09-27 권영현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자동 방송장치
KR102588122B1 (ko) * 2022-12-01 2023-10-11 이정희 전관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131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55822A1 (en) Braill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KR100393396B1 (ko) 지능화 방송 시스템
KR100430574B1 (ko) 방송운영 제어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3134784U (ja) 呼び出し装置
JP2011150740A (ja) 少なくとも1つのアプリケーションデバイスを有する電気/電子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KR20170014772A (ko) 자동 응답 시스템
JP3330015B2 (ja) Av機器
JP2004271748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0331862B1 (ko) 자동전관장치
JPH0876965A (ja) 音声認識システム
JPH0876978A (ja) Lcd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JP7294941B2 (ja) 構内放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0113354A (ja) 集合住宅監視システム及び警報通知装置
KR100249720B1 (ko) 엘리베이터의 정보입출력장치 및 그 방법
JP4221717B2 (ja) 住宅情報盤
JP4899533B2 (ja) 表示器を有する装置
JP3042509U (ja) 留守番録音装置
JP6667872B2 (ja) 多言語再生装置
JP2003335468A (ja) エレベータの自動放送装置
JP2001245365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7143078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683448B2 (ja) 防災監視設備
JP2834090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3142041B2 (ja) 消防通報システム
JP4102208B2 (ja) 放送制御装置、ページングシステム、放送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406

Effective date: 200601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323

Effective date: 20060427

EXTG Extinguishm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