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423B1 -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423B1
KR100392423B1 KR10-2001-0031085A KR20010031085A KR100392423B1 KR 100392423 B1 KR100392423 B1 KR 100392423B1 KR 20010031085 A KR20010031085 A KR 20010031085A KR 100392423 B1 KR100392423 B1 KR 100392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air conditioner
compressor torque
engine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000A (ko
Inventor
토가루카즈히로
아사다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6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a change in operation duty of a compressor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60H2001/3273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g. the compressor driving tor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부하에 따른 엔진제어 및 공조제어를 행함으로써 연비 및 조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외기온도(T)와 차량 주행속도(V)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와 냉매압력(P)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 중 높은 값의 쪽을 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로서 채용하며,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상태일때에는, 채용된 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11)의 운전상태 및 콤프레서(12)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ir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조장치와 엔진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실내의 온도, 습도, 송풍, 환기 등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공조장치의 에어컨 유닛은, 송풍기(환기기능)와 히터(난방기능)와 쿨러(냉방 ·제습기능)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중, 쿨러는 냉매의 기화와 액화에 의한 열교환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콤프레서와 콘덴서와 쿨링 유닛(팽창밸브, 증발기)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즉, 저압가스상태의 냉매가 엔진으로 구동되는 콤프레서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로 되며, 콘덴서에서 주행 바람이나 팬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되며, 고압액상태의 냉매가 팽창밸브에 의해 급격하게 팽창되어 미스트화(mist)되기 쉽게 되고, 증발기에서 주위의 핀(fin)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스상태의 냉매로 된다. 이 기화의 경우에 열을 대량으로 빼앗아 냉각을 행하며, 다시 저압가스상태의 냉매로 되어 콤프레서로 복귀된다.
이와같은 공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진으로, 예를 들면, 아이들 운전시에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가 온 되면, 엔진에는 콤프레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하가 작용하기 때문에 스로틀 개방정도를 크게하여 아이들 회전수를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근래, 내연기관을 이론공연비보다 큰폭인 린(lean) 공연비로 운전하여 연비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희박연소 내연기관이 실용화되고 있으며, 이와같은 희박연소 내연기관에서는 아이들 운전을 포함하는 저부하 운전영역에서는 린 공연비에서 운전되도록 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희박연소 내연기관에서의 아이들 운전시에, 에어컨 조작 스위치가 온 되면, 엔진은 콤프레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토오크가 필요하게 되며, 아이들 회전수를 상승시킴과 함께, 린 공연비에 의한 린운전을 멈추게하여 강제적으로 이론 공연비에 의한 스토이키오 운전으로 변경하도록 하고 있어서 연비가 악화되어 버린다. 또한, 에어컨의 부하, 즉, 콤프레서 토오크는 계절(외기온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에어컨 작동의 부하증대에 대한 엔진정지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최대부하를 기준으로서 아이들 회전수를 상승시키고 있으며, 여기에서 콤프레서 토오크의 변동이 크게되어 거친 아이들이 발생하며, 아이들 회전수가 오버숏(over shoot)되어 조작성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1-153052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내연기관의 아이들시 공연비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아이들 운전상태로서 린 운전이 허용되어 있을때에 에어컨 부하가 투입되면, 콤프레서의 토출측의 냉매압력을 에어컨 부하에 상당하는 값으로서 검출하며, 린 운전 및 공연비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내연기관의 아이들시 공연비 제어장치]에서는, 냉매압력 센서가 콤프레서의 토출측의 냉매압력을 에어컨 부하에 상당하는 값으로서 검출하며, 콘트롤 유닛이 이 냉매압력에 근거하여 공연비를 제어하고 있다.
그렇지만, 콤프레서의 작동 개시직 후, 콤프레서의 토출 측의 냉매압력은 0에 가깝고, 콤프레서가 작동하여 소정시간 경과되고 나서 냉매압력이 상승하며, 에어컨 부하에 상당하는 값으로 된다. 즉, 콤프레서의 작동 개시 직후는, 냉매 압력센서가 검출된 냉매압력에는 시간적인 지연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의 냉매압력은 실제의 에어컨 부하에 상당하는 값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실제의 에어컨부하에 따른 공연비 제어를 실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컨 부하에 따른 엔진 제어 및 공조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연비 및 운전성의 향상을 도모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에어컨용 냉매를 순환시키는 콤프레서와,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장치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장치와, 상기 에어컨의 콤프레서가 필요로 하는 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하는 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장치와, 상기 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장치는 상기 외기온도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외기온도 및 상기 차속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주행속도에 근거하여 제 1 콤프레서 토오크의 추정을 행하며, 상기 제 1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냉매압력에 대한 콤프레서 토오크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외기온도에 대한 차속에 따른 냉매압력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엔진 12 : 콤프레서
13 : 콘덴서 14 : 리시버
15 : 팽창밸브 16 : 증발기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한 제어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냉매압력에 대한 콤프레서 토오크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4는 외기 온도에 대한 차속에 따른 냉매압력을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 1에 도시한다. 에어컨 유닛은 쿨러(냉방 ·제습기능)와 히터(온방기능)와 송풍기(환기기능)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 쿨러는 냉매의 기화와 액화에 의한 열교환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며, 엔진(11)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서(12)에 콘덴서(13)가 연결되고, 이 콘덴서(13)에는 리시버(14)를 통해 팽창밸브(15) 및 증발기(16)로 이루어진 쿨링 유닛(17)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쿨링 유닛(17)과 콤프레서(12)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저압가스상태의 냉매가 콤프레서(12)에 의해 압축되어 고압고온의 가스로 되며, 콘덴서(13)에서 주행바람이나 팬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되며, 증발기(16)에서 주위의 핀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스상태 냉매로 된다. 이 기화의 경우에 열을 대량으로 빼앗아 냉각을 행하며, 다시 저압가스상태의 냉매로 되어 콤프레서(12)로 복귀된다.
또한, 히터는 수냉 엔진의 라디에이터의 냉각수(온수)를 열원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며, 엔진(11)의 도시생략된 워터쟈킷에는 라디에이터(18)가 순환경로를 통해 연결됨과 함께, 히터유닛(19)의 히터 코어(2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라디에이터(18)에는 라디에이터 팬(21)이 마련되며, 히터유닛(19)에는 블로우팬(2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11)의 워터쟈킷에서 따뜻해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18)로 보내지지만, 그 일부가 히터코어(20)로 보내지며, 블로우팬(22)의 바람에 의해 히터코어(20)로부터 열을 빼앗아 공기가 따뜻해지며, 열을 빼앗긴 냉각수는 엔진(11)으로 복귀된다.
또한, 송풍기에는 자연환기와 강제환기가 있으며, 자연환기는 차량의 주행에의해 발생하는 풍압으로 행해지고, 전방의 공기 취입구로부터 외기를 취입하여 배기구로부터 후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강제 환기는 공기 취입구로부터 차내에서의 취출구까지의 사이에 전동 팬을 설치하며, 강제적으로 외기를 취입하고 있다. 또한, 이 환기에 관해서는 외기 도입과 내기순환이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외기도입이 기본이지만, 냉방이나 온방의 경우에는 내기 순환의 쪽이 효율이 좋다.
그리고, 상술한 엔진(11)에는 ECU(전자 콘트롤 유닛)(23)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ECU(23)에 의해 엔진(11)을 포함한 본 실시형태 공조장치의 종합적인 제어가 행해진다. 즉, ECU(23)에는 차속 센서(차속 검출수단)(24)나 도시생략된 엔진 회전수 센서, 엑셀 개방도 센서, 공기 유량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류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들 센서류로부터의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연산된 연료 분사량이나 점화 시기등의 최적치에 의해 적정량의 연료가 적정한 타이밍으로 분사되며, 점화 플러그에 의해 적정한 타이밍으로 점화가 실시된다.
또한, ECU(23)에는 A/C(에어컨) 콘트롤러(25)가 접속되며, 차속 정보나 엔진 회전수 정보 등의 필요한 정보가 보내진다. 한편, 이 A/C콘트롤러(25)에는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에어컨 작동 상태 검출수단)(26)이 접속됨과 함께 외기온 센서(외기 온도 검출수단)(27) 및 콤프레서(12)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냉매압력을 검출하는 냉매압 센서(고압냉매 압력 검출수단)(2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ECU(23)는 A/C콘트롤러(25)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콤프레서(12)를 온/오프 한다. 또한, A/C콘트롤러(25)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표시부(29)에 공조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공조장치에서는, 아이들 운전시나 주행중에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되면, 엔진(11)에는 콤프레서(12)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하가 작용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기온도와 차량주행 속도에 근거하여 에어컨의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제 1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수단)함과 함께, 냉매압력에 근거하여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제 2 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수단)하며, ECU(제어수단)(23)는 이 제 1,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 중 높은 값의 쪽을 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로서 채용하며,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가 온 상태일때에는 채용된 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11)의 운전상태 및 콤프레서(12)(에어컨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2의 흐름도에 도시하듯이 스텝 S1에서,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에어컨이 오프라면 아무것도 행하지 않고 이 루틴을 벗어난다. 한편, 조작 스위치(26)가 온 되어 있으면, 스텝 S2에서 차속센서(24)로부터의 차속(V)과, 외기온 센서(27)로부터의 외기온도(T)와, 냉매압 센서(28)로부터의 냉매압력(P)을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3에서 냉매압력(P)에 근거하여 콤프레서(12)의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한다. 이 경우, 냉매압력(P)과 콤프레서 토오크와는 상관관계에 있으며, 도 3의 그래프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또한, 도 3의 그래프에 근거한 상관식에 의해 산출하여도 좋다. 이 추정 냉매압력에 근거하여 콤프레서(12)의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한다. 이 경우, 외기온도(T)와 냉매압력과는 상관관계에 있으며, 또한, 차속(V)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이며, 도 4의 그래프로부터 추정 냉매압력을 구하며, 이 추정 냉매압력에 근거하여 도 3의 그래프로부터 콤프레서(12)의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그래프에 근거한 상관식에 의해 산출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하여, 제 1,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가 구해지면, 스텝 S5에서 그 제 1,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의 대소를 비교하며, 스텝 S6, S7에서 높은 값의 쪽을 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로서 채용한다. 즉,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됨과 동시에 콤프레서(12)가 온 되는 것이 아닌,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되면, 에어컨 부하에 대응하는 엔진(11)측의 제어, 예를 들면, 엔진 회전수의 상승이나 공연비의 리치화 등이 행해진 후에 콤프레서(12)가 온 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된때의 콤프레서(12)의 출구측의 냉매압력(냉매압 센서(28)의 검출값)(P)은 0 이다.
그래서,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된 직후(소정시간이 경과될때까지)에는, 외기온도(T)와 차속(V)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채용한다. 즉, 스텝 S5에서, 거의 0 인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로부터 외기온도(T)와 차속(V)으로부터 구해진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의 쪽이 크게 되며, 스텝 S6으로 이행하여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채용한다. 그리고, 스텝 S8에서 이 채용된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11)의 운전상태, 구체적으로는, 엔진(11)이 아이들 운전상태라면, 엑셀 개방도를 크게하여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또한, 주행 상태라면, 목표 공연비를 거의 리치화하여 필요에 따라서 린 운전으로부터 스토이키오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와같이 에어컨 부하에 대응하는 엔진(11)측의 제어가 완료되면, 스텝 S9에서 콤프레서(12)를 온 한다.
한편,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되어 콤프레서(12)도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매압 센서(28)의 냉매압력(P)은 소정값으로 되어 있다. 그때문에 이 냉매압력(P)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채용한다. 즉, 스텝 S5에서 높은 정도로 구해진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는 외기온도(T)와 차속(V)으로부터 구해진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보다 크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텝 S7로 이행하여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채용한다. 그리고, 스텝 S8에서 상기 채용된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11)의 운전상태, 즉, 엔진 회전수나 목표 공연비를 변경한다. 또한, 모든 콤프레서(12)가 온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는, 외기온도(T)와 차량주행 속도(V)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와, 냉매압력(P)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 중의 높은 값의 쪽을 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로서 채용하며,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상태일때에는 채용된 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11)의 운전 상태 및 콤프레서(12)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26)가 온 된 직후에 콤프레서(12)가 작동전의 냉매압 센서(28)의 냉매압력(P)이 거의 0 일때에는, 외기온도(T)와 차속(V)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에 따라서 엔진(11)의 운전상태를 제어한 후에 콤프레서(12)를 온 하게 되며, 콤프레서(12)의 작동 전에 있어서도 에어컨 부하를 적정하게 파악하며, 엔진(11)의 스로틀 개방도나 공연비 등을 높은 정도로 제어하거나 에어컨의 콤프레서를 정확하게 온 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어 연비 및 운전성을 향상 할 수 있다. 한편, 콤프레서(12)가 모두 온 되어 있을때에는, 냉매압력 센서(28)의 냉매압력(P)이 소정값이기 때문에 이 냉매압력(P)에 근거하여 추정된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11)의 운전상태를 제어하게 되며, 항시 엔진 운전상태를 고정도로 피드 포워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콤프레서(12)의 작동에 의해 엔진(11)에 작용하는 에어컨 부하는, 외기온도나 냉매량, 일사량 등에 따라서 약간이라 할 수 있지만 변화되며, 차량의 주행상태에 있어서도, 외기온도(T)와 차속(V)으로부터 구해진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가 냉매압력(P)으로부터 구해진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보다도 크게 되는 일이 있으며, 스텝 S5에서 제 1, 제 2추정 콤프레서 토오크의 높은 값의 쪽을 채용함으로써, 외기온도 등의 외부 부하 변동에 따라서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가 상승 측으로 변동된 때에는, 이 제 1추정 콤프레서 토오크를 채용함으로써 콤프레서(12)가 작동하고 있는 때라도 엔진 부하를 예측하여 적정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에어컨 부하에 따른 엔진 제어 및 공조제어를 행함으로써, 연비 및 운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Claims (9)

  1.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에어컨용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콤프레서와,
    외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장치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장치와,
    상기 에어컨의 콤프레서가 필요로 하는 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하는 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장치와, 상기 콤프레서 추정장치는 상기 외기 온도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외기 온도 및 상기 차속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주행속도에 근거하여 제 1콤프레서 토오크의 추정을 행하며,
    상기 제 1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에서의 냉매회로의 고압 냉매압력을 검출하는 고압 냉매압력 검출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장치는, 상기 고압 냉매압력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고압 냉매압력에 근거하여 제 2콤프레서 토오크를 추정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콤프레서 토오크 또는 상기 제 2콤프레서 토오크 중 어느 하나의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콤프레서 토오크 또는 상기 제 2콤프레서 토오크 중 높은 쪽의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의 제어를 행한 후, 상기 콤프레서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온/오프를 행하는 에어컨 조작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에어컨 조작 스위치가 온 되어 소정 시간 경과할때까지는 상기 제 1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고압 냉매압력 검출장치가 검출한 고압 냉매압력이 소정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 1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에어컨용 냉매를 순환시키는 콤프레서와,
    상기 에어컨에서 냉매회로의 고압 냉매압력을 검출하는 고압 냉매압력 검출장치와,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외기 온도 검출장치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엔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기온도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외기 온도 및 상기 차속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컨의 콤프레서가 필요로 하는 제 1콤프레서 토오크의 추정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고압 냉매압력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고압 냉매압력에 근거하여 상기 에어컨의 콤프레서가 필요로 하는 제 2콤프레서 토오크의 추정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콤프레서 토오크 또는 상기 제 2콤프레서 토오크 중 높은 쪽의 콤프레서 토오크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콤프레서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엔진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에어컨의 온/오프를 행하는 에어컨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컨의 조작 스위치의 온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 스위치가 온 되어 소정 시간 경과할때까지는 상기 제 1콤프레서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엔진 제어방법.
  9.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에어컨용 냉매를 순환시키는 콤프레서와,
    상기 에어컨의 콤프레서가 필요로 하는 콤프레서 토오크를 외부 부하변동에 근거하여 추정하는 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장치와,
    상기 콤프레서 토오크 추정장치에 의해 추정된 콤프레서 토오크에 근거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1-0031085A 2000-06-07 2001-06-04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92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0019A JP3452030B2 (ja) 2000-06-07 2000-06-07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2000-170019? 2000-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000A KR20010111000A (ko) 2001-12-15
KR100392423B1 true KR100392423B1 (ko) 2003-07-23

Family

ID=1867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85A KR100392423B1 (ko) 2000-06-07 2001-06-04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53775B2 (ko)
JP (1) JP3452030B2 (ko)
KR (1) KR100392423B1 (ko)
DE (1) DE1012652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69B1 (ko) * 2001-09-26 2007-11-27 한라공조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공기조화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4082013B2 (ja) * 2001-10-10 2008-04-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負荷トルク推定装置
JP3594583B2 (ja) * 2002-01-10 2004-12-0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エッチング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US20030197595A1 (en) * 2002-04-22 2003-10-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trol of multiple remote electronic systems
FR2840259B1 (fr) * 2002-05-31 2004-08-27 Valeo Climatisation Installation de climatisation de vehicule muni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de controle
FR2841828B1 (fr) * 2002-07-02 2004-08-27 Valeo Climatisation Installation de climatisation pour vehicule a moteur, muni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de controle
JP4023249B2 (ja) * 2002-07-25 2007-1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内部状態推定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5016352A (ja) 2003-06-24 2005-01-20 Sanden Corp 圧縮機出力算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御装置
JP2006001505A (ja) 2004-06-21 2006-01-05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DE102004057159A1 (de) 2004-11-26 2006-06-01 Volkswagen Ag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JP2006152982A (ja) * 2004-12-01 2006-06-15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圧縮機のトルク推定装置
JP4982326B2 (ja) 2007-10-29 2012-07-25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KR101427423B1 (ko) * 2007-12-27 2014-08-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상토크 산출방법
ES2550603T3 (es) * 2008-06-11 2015-11-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ondicionador de aire para uso en vehículo, sistema de gestión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del vehículo, y método de gestión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del vehículo
DE102009033429B4 (de) * 2009-04-10 2018-10-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bgleich einer Klimaanlagendrehmoment-Kompensationsenergie mit einem Massenträgheitstransfer
JP6197745B2 (ja) * 2013-07-31 2017-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518961B1 (ko) * 2014-05-20 2015-05-1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08793A (ja) * 2015-06-19 2017-01-1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
US10632820B2 (en) 2016-10-20 2020-04-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C cut cycles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based on high vehicle pitch conditions
US10214078B2 (en) 2016-10-20 2019-02-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C cut cycles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based on high ambient temperature
JP2022052822A (ja) * 2020-09-24 2022-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9753A (en) * 1987-09-10 1989-03-15 Nissan Motor Idle revolution speed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00701561A (ko) * 1988-09-01 1990-12-03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컨슈머 제어 방법 및 회로 설비
KR970034345A (ko) * 1995-12-26 1997-07-22 전성원 주행속도에 따른 에어콘 제어방법
KR1999002051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에어콘 선택시 엔진 보상장치 및 방법
KR19990050676A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에어컨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459B2 (ja) * 1989-05-18 1999-05-3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装置の制御装置
US5285649A (en) * 1991-10-09 1994-02-15 Nippondens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torque of variable capacity type compressor
US5199272A (en) * 1992-06-04 1993-04-06 Nippondenso Co., Ltd. Idling speed control system
JPH0886232A (ja) * 1994-07-20 1996-04-02 Nippon Soken Inc エンジン制御装置
JP3465550B2 (ja) * 1997-09-11 2003-1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3329275B2 (ja) * 1997-10-07 2002-09-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4058784B2 (ja) 1997-11-20 2008-03-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アイドル時空燃比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9753A (en) * 1987-09-10 1989-03-15 Nissan Motor Idle revolution speed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00701561A (ko) * 1988-09-01 1990-12-03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컨슈머 제어 방법 및 회로 설비
KR970034345A (ko) * 1995-12-26 1997-07-22 전성원 주행속도에 따른 에어콘 제어방법
KR19990020516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에어콘 선택시 엔진 보상장치 및 방법
KR19990050676A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에어컨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000A (ko) 2001-12-15
DE10126524B4 (de) 2006-05-04
JP3452030B2 (ja) 2003-09-29
JP2001347828A (ja) 2001-12-18
US6553775B2 (en) 2003-04-29
DE10126524A1 (de) 2002-05-16
US20020184899A1 (en)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4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779821B2 (en) Intake-air coo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JP2653140B2 (ja) 車載空調機の制御装置
US10508588B2 (en) Coo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36295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0666853B1 (ko) 인터쿨러 시스템 및 흡입공기 냉각 방법
JP4707145B2 (ja) 吸気加熱装置
KR1011520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JP2005256806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576748B2 (ja) 内燃機関の出力制御装置
JPS60244614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3008137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補助ヒータ制御装置
JP4088364B2 (ja) エンジン駆動冷媒圧送循環式熱移動装置におけるエンジンの調速制御方法及び装置
JP4315041B2 (ja) 冷却水温度制御装置
US20210310450A1 (en) Intake-air cooling system
KR100249246B1 (ko) 냉각 팬 작동 제어방법
JPH10131797A (ja) 内燃エンジンの希薄燃焼制御方法
JP383962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279420B2 (ja) エンジン駆動冷媒圧送循環式熱移動装置
JPH11141369A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KR20230163838A (ko) 엔진의 흡기 온도 저감 장치
KR19980075063A (ko) 순간가열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H10131795A (ja) 内燃エンジンの希薄燃焼制御方法
JP2001004247A (ja) ヒートポンプ駆動用ンジンの点火時期制御方法
KR100206250B1 (ko) 흡기 온도 조정을 통한 엔진성능 향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