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099B1 -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099B1
KR100392099B1 KR10-2000-0045365A KR20000045365A KR100392099B1 KR 100392099 B1 KR100392099 B1 KR 100392099B1 KR 20000045365 A KR20000045365 A KR 20000045365A KR 100392099 B1 KR100392099 B1 KR 10039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s
guide
rolle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1811A (ko
Inventor
고증현
Original Assignee
고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증현 filed Critical 고증현
Priority to KR10-2000-0045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0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21F3/02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 부딪히고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단순하여 구성 및 조작이 용이한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 되도록 설치되되, 서로의 외주면이 면접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긴장롤러와 ; 상기 긴장롤러들의 일측에 설치되어 미가공의 와이어를 상기 긴장롤러들 사이로 유도하는 와이어가이드와 ; 상기 긴장롤러들과 대향되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긴장롤러들을 통과하는 미가공 와이어의 일측 단부를 당겨 와이어가 직선이 되게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단부를 그 측방에 설치된 제1 및 제2안내롤러들 사이로 밀어주는 제1 및 제2푸싱롤러와 ; 상기 제1 및 제2안내롤러들 사이를 통과하여 밀려나오는 와이어의 단부가 하방으로 굽혀지게 하는 제3안내롤러와 ; 상기 제3안내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굽혀진 와이어의 단부가 전방으로 굽혀지도록 안내하는 제4안내롤러와 ; 상기 제4안내롤러에 의해 전방으로 굽혀진 와이어의 단부가 다시 측방으로 굽혀지게 하는 제5안내롤러 및 상기 제 1내지 제5안내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변형된 와이어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6안내롤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manufacture device of spiral wire}
본 발명은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롤러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나선각과 크기의 나선형 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방 축조용 철망이나 경계용으로 사용되는 망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시공의 편리성을 위해 그 가장자리에 보강대를 형성한 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철망은 그 시공의 편리함을 위해 폭이나 높이를 제한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이를 지공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철망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철망에 연결시키거나 지지대에 연결시키는 방법으로는 용 방법이나 철선을 감아 꼬아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은 시공시 용접기나 기타 용접을 위한 보조 장비를 휴대하여야 함으로 시공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시공된 철망을 철거할 경우에도 일일이 용접부위를 제거하거나 또는 용접된 부분을 절단해야 함으로 철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철거한 철망을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철선으로 결속시키는 방법은 다수개의 철선은 부분적으로 감고 그 단부를 꼬아 감아주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철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일이 철선을 꼬아야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철거시에도 각각의 철선을 절단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나선형으로 비틀린 와이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망체의 결합 부분을 결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나선형 와이어를 제작하는 제조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조작이 용이하고, 나선의 나선각과 크기의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의 나선형 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의 상부 일측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 되로록 설치되되, 서로의 외주면이 면접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긴장롤러와 ; 상기 긴장롤러들의 일측에 설치되어 미가공의 와이어를 상기 긴장롤러들 사이로 유도하는 와이어가이드와 ; 상기 긴장롤러들과 대향되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긴장롤러들을 통과한 미가공 와이어의 일측 단부를 당겨 와이어가 직선이 되게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단부를 그 측방에 설치된 제1 및 제2안내롤러들 사이로 밀어주는 제1 및 제2푸싱롤러와 ; 상기 제1 및 제2안내롤러들 사이를 통과하여 밀려나오는 와이어의 단부가 하방으로 굽혀지게 하는 제3안내롤러와 ; 상기 제3안내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굽혀진 와이어의 단부가 전방으로 굽혀지도록 안내하는 제4안내롤러와 ; 상기 제4안내롤러에 의해 전방으로 굽혀진 와이어의 단부가 다시 측방으로 굽혀지게 하는 제5안내롤러 및 상기 제 1내지 제5안내롤러에 의해 나선형으로 변형된 와이어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6안내롤러로 구성된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20 : 제1긴장롤러
20': 제2긴장롤러 30 : 제1푸싱롤러
30': 제2푸싱롤러 41 : 제1안내롤러
42 : 제2안내롤러 43 : 제3안내롤러
44 : 제4안내롤러 45 : 제5안내롤러
46 : 제6안내롤러
50 : 와이어가이드 60 : 와이어 스프래더
61 : 와이어 지지구 70 : 롤러 가압 수단
71 : 고압스프링 72 : 축하우징
73 : 가압봉 74 : 고정너트
75 : 가압핸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의 일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는 다수의 안내롤러들(41~46)과,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들 및 제1 및 제2긴장롤러들(20, 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상기 긴장롤러들(20, 20')사이로 유도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50)와, 와이어가 직선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와이어 스프래더(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긴장롤러들(20, 20')과 푸싱롤러(30, 30')들은 미 도시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긴장롤러들(20, 20')중 위에 설치된 제2긴장롤러(20')와, 푸싱롤러들(30, 30') 중 위에 설치된 제2푸싱롤러(3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이동 폭은 와이어의 굵기에 의해 제한됨으로 좁고,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 롤러 가압 수단(70)에 의해 하부에 설치된 제1긴장롤러(20)와 제1푸싱롤러(30)을 향해 지속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2긴장롤러(20')와 제2푸싱롤러(30')를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서 각각의 롤러쌍들 사이에 끼인 와이어가 보다 견고하게 당겨지거나 밀릴 수 있도록하였다.
상기 롤러 가압 수단(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싱롤러들(30, 30')과 긴장롤러들(20, 20')중 상부에 위치한 각각의 롤러(20' 30') 위에 설치되며, 각각 제2긴장롤러(20')와 제2푸싱롤러(30')의 회전축을 하방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며, 롤러축을 감싸고 있는 축하우징(71)와 일체로 설치된 고압스프링(72)과 고압스프링(72)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압봉(73)과 가압봉(73)을 회전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74) 및 가압핸들(75)로 구성되며, 고정너트(74)를 풀고 가압핸들(75)을 회전시켜 축하우징(71)의 높이 즉, 제1긴장롤러(20)와 제2긴장롤러(2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한 후 고정너트(74)를 조여 고정시킴에 의해 제2긴장롤러(20')의 높이를 조절하고 긴장롤러들(20, 20') 사이를 통과하는 펴지지 않은 와이어의 굴곡에 따라 상기 고압스프링(72)이 작동하여 와이어가 곧게 펴지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긴장롤러(20, 20')는 그 측방에 설치된 와이어 가이드(5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한 와이어를 잡아줌과 동시에 그 일측에 설치된 와이어 스프래더(spreader)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는 상기 제1 및 제2긴장롤러(20, 20')와 상호 작용하여 그 사이의 와이어 스프래더(60)사이에 위치한 와이어가 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 스프래더(60)를 통과하여 직선으로 펴진 와이어를 그 일측에 설치된 안내롤러들(41~46)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긴장롤러(20, 20')들의 회전속도보다 다소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서 와이어 스프래더(60)를 관통하는 와이어가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직선이 되게 한다.
상기 와이어 스프래더(60)의 중단에는 다수개의 와이어 지지구(61)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와이어 지지구(61)를 관통하여 와이어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 스프래더(60)를 관통하는 와이어가 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의 일측에는 제1내지 제6안내 롤러들(41~46)이 자전되게 설치되어 있어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에 의해 밀려나오는 와이어가 휘어지는 방향을 유도하고 있다.
도 1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는 서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되고 두 롤러들(41, 42) 사이로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들 사이를 통과한 와이어가 직선 상태로 통과할 수 있도록 두 롤러들(41, 42)사이의 틈이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들 사이의 틈과 수평을 이룬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의 옆으로 제3안내롤러(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3안내롤러(43)는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사이로 통과한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로서 와이어의 단부가 아래로 휘어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들 사이의 인접부보다 그 중심축이 높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3안내롤러(43)에 의해 아래로 휘어진 와이어가 만나는 부분에는 제4안내롤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4안내롤러(44)는 제3안내롤러(43)에 부딛혀 아래로 휘어진 와이어를 전방으로 휘어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제5안내롤러(45)가 설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와이어의 단부를 다시 측방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에 의해 밀려난 와이어는 제1안내롤러(41)에서 제5안내롤러(45)까지 통과하면서 나선형으로 휘어지고 제6안내롤러(46)에 의해 최종적으로 휘어진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긴장롤러(20, 20')와 와이어 스프래더(60) 사이에 다수의 철선을 꼬아주는 꼬임장치(도시되지 않았음)를 더 설치함으로서 굵기가 가는 다수의 철선을 꼬아 만든 나선형 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꼬임장치는 와이어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중앙에 와이어 관통공을 형성시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꼬임장치는 다수의 와이어를 와이어 관통공에 삽입하고 회전체를 회전시키면 다수의 와이어가 서로 꼬이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롤러들(41~45, 20, 20' 30, 3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가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안착홈(41a~45a, 20a, 20'a, 30a, 30'a)이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가 롤러들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롤러들 중 각각의 안내롤러들(41~46)은 서로에 대한 이격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각각의 안내롤러들(41~4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만들어지는 나선형 와이어의 나선각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의 작동예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와이어 가이드(50)를 관통하여 긴장롤러들(20, 20') 사이의 틈과 와이어 스프래더(60) 및 푸싱롤러들(30, 30')사이의 틈을 지나도록 삽입한 후, 장치를 구동시키면 푸싱롤러들(30, 30')이 와이어를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사이의 틈으로 밀고 와이어는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들 사이로 밀려나온 와이어의 단부는 제3안내롤러(43)의 외주면에 부딛혀 아래로 휘어진다.
아래로 휘어진 와이어는 제4안내롤러(44)의 외주면에 부딛혀 다시 전방으로 휘어지고, 전방으로 휘어진 다시 제5안내롤러(45)의 외주면에 부딪히고 제5안내롤부딪히고(45)의 회전에 따라 부딪혀 휘어져 제6안내롤러(46)측으로 유도되고 제6안내롤러(46)에 닿는 와이어는 안내롤러와 부딪혀 다시 휘어져 측방으로 방향이 바뀌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제1 내지 제6안내롤러(41~46)들 사이의 거리를 보다 멀리 함으로서 와이어가 휘어지는 각을 보다 완만하고 크기를 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본 발명에 따른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 용이하여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롤러를 교체함으로서 다양한 나선각과 크기의 나선형 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받침대(10)의 상부 일측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 되도록 설치되되, 서로의 외주면이 면접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긴장롤러(20, 20')와 ;
    상기 긴장롤러들(20, 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미가공의 와이어를 상기 긴장롤러들(20, 20') 사이로 유도하는 와이어가이드(50)와 ;
    상기 긴장롤러들(20, 20')과 대향되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긴장롤러들(20, 20')을 통과한 미가공 와이어의 일측 단부를 당겨 와이어가 직선이 되게 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단부를 그 측방에 설치된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들 사이로 밀어주는 제1 및 제2푸싱롤러(30, 30')와 ;
    상기 제1 및 제2안내롤러(41, 42)들 사이를 통과하여 밀려나오는 와이어의 단부가 하방으로 굽혀지게 하는 제3안내롤러(43)와 ;
    상기 제3안내롤러(43)에 의해 하방으로 굽혀진 와이어의 단부가 전방으로 굽혀지도록 안내하는 제4안내롤러(44)와;
    상기 제4안내롤러(44)에 의해 전방으로 굽혀진 와이어의 단부가 다시 측방으로 굽혀지게 하는 제5안내롤러(45)와;
    상기 제 1내지 제5안내롤러(41, 42, 43, 44, 45)에 의해 나선형으로 변형된 와이어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제6안내롤러(46) 및
    상기 긴장롤러들(20, 20')과 푸싱롤러들(30, 30') 사이에 설치되어져 내부에 미가공 와이어가 직선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와이어 지지구(61)를 구비하는 일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와이어 스프래더(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롤러들(20, 20')과 푸싱롤러들(30, 30')들 중 어느 일측의 롤러(20, 30)은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들과 대면되는 롤러들(20' 30')은 롤러 가압 수단에 의해 각각의 대향 롤러들(20, 30)측으로 가압되어 보다 견고하게 와이어를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45365A 2000-08-04 2000-08-04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KR10039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365A KR100392099B1 (ko) 2000-08-04 2000-08-04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365A KR100392099B1 (ko) 2000-08-04 2000-08-04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811A KR20020011811A (ko) 2002-02-09
KR100392099B1 true KR100392099B1 (ko) 2003-07-22

Family

ID=1968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365A KR100392099B1 (ko) 2000-08-04 2000-08-04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77B1 (ko) * 2013-01-28 2015-03-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 성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5841A (ja) * 1982-08-21 1984-02-27 Nitto Shoko Kk ワイヤ矯正装置
JPS60133942A (ja) * 1983-12-21 1985-07-17 Kazushige Tabata 金属線材直線化装置
JPH10155598A (ja) * 1996-11-18 1998-06-16 Spuehl Ag マットレス及び詰め物のバネを巻き取る電気的に調整され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5841A (ja) * 1982-08-21 1984-02-27 Nitto Shoko Kk ワイヤ矯正装置
JPS60133942A (ja) * 1983-12-21 1985-07-17 Kazushige Tabata 金属線材直線化装置
JPH10155598A (ja) * 1996-11-18 1998-06-16 Spuehl Ag マットレス及び詰め物のバネを巻き取る電気的に調整され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77B1 (ko) * 2013-01-28 2015-03-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811A (ko) 200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6451B2 (ja) 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
JP5905391B2 (ja) 編み込まれたワイヤを用いた防護金網、並びにその製造機械及び製造方法
EP3807022B1 (en) Hexagonal wire netting,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hexagonal wire netting
KR100392099B1 (ko) 나선형 와이어 제조장치
DE102008038343B4 (de) Garnspulmaschine und Garntexturiermaschine
DE602004006430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drahtcords
CH662365A5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uendelgarn aus einem faserbaendchen.
KR20110126890A (ko) 강선 삽입기
WO2008145344A1 (de) Doppelschlag-verlitzmaschine
JP3576321B2 (ja) ゴム製品補強用スチールワイヤの波付け加工装置
JPS6130245A (ja) 菱形金網製造装置
EP1664406B1 (de) Falschdrallvorrichtung
EP2151275A1 (de) Rührer aus einem Metallgestänge zum Einsatz in eine Antriebsmaschine, Herstellverfahren für einen Rührer und Biege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Herstellverfahrens
JP5853261B2 (ja) 遊技機の可動装飾装置
DE3447506C2 (ko)
AT518346A1 (de) Fertigungsanlage zum Verarbeiten eines zu einer Drahtspule gewickelten Drahtmaterials
JPH07243183A (ja) ワイヤロープ及びワイヤ波付け装置
EP1681259A2 (de) Unidirektionale Antriebsvorrichtung für Fadenchangierer
DE3140713A1 (de) Nichtzylindrische rohrschlang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12012005348B4 (de) Spinnmaschine mit einer Oszilliervorrichtung für eine Längsoszillation eines Vorgarnes
DE300334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ransportbandelementen fuer Schraubenwendel-Transportbaender
CN111088599B (zh) 圆绳带机
JP4729415B2 (ja) 撚線機
DE211246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draehtigen Stranges oder Kardeels
EP0867894B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Kabelversei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