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763B1 - 화상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763B1
KR100391763B1 KR1019960020768A KR19960020768A KR100391763B1 KR 100391763 B1 KR100391763 B1 KR 100391763B1 KR 1019960020768 A KR1019960020768 A KR 1019960020768A KR 19960020768 A KR19960020768 A KR 19960020768A KR 100391763 B1 KR100391763 B1 KR 10039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ideo signal
signal
scree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811A (ko
Inventor
까즈히사 마루오까
에쯔꼬 모로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7Circuits special to multi-standar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마다 또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주파수마다 최적한 화면모드를 개별로 기억함으로써, 조작성이 우수한 화상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구성은 입력수단(I1∼I6)은 복수의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설정수단(9,10)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시켜서 각각 화면모드를 설정한다. 기억수단(17)은 설정수단(9,10)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화면모드정보를 기억한다. 표시수단(147)은 입력수단(I1∼I6)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화면표시한다. 판정수단(15)은 입력수단(I1∼I6)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정한다. 제어수단(146)은 판별수단(15)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입력수단(I1∼I6)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이 기억수단(17)에 기억된 상기 임의의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로 화면표시되도록 표시수단(147)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출력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및 액정등의 화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에서 화면표시하는 화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고정세도 텔레비전(이하, HDTV라고 한다)방식에서는 표준텔레비전(이하, NTSC라고 한다)방식에 비해, 현격하게 선명하고 현장감이 있는 화상과 음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때문에 해상도에 대해서는 수평, 수직과 함께 NTSC방식의 약 2배, 화면의 애스펙트비도 4:3보다 큰 가로길이인 것으로 하고,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가시거리는 화면의 높이의 약 3배정도로 하는 것 등이 필요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HDTV방식은 화질과 음질이 상당히 우수하기 때문에, 단순히 방송뿐만 아니라, 인쇄, 출판, 영화제작, 컴퓨터 화상등 광범위한 응용이 기대되고있다.
여기서, 예를들면 HDTV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HDTV신호와 수평주파수가 다른 NTSC신호도 수신하고, 화상 및 음성을 재생하는 화상출력장치에서는 수신하는 신호에 대해서 화면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전환하는 동시에, 그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예를들면 HDTV신호를 애스펙트비 16:9의 풀모드로 볼 수 있고, NTSC신호를 애스펙트비 4:3의 노멀모드로 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접속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의 화상을 보는 경우에도,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상기 화상출력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로 입력을 전환하는 동시에, 그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의 화상을 최적한 화면모드로 볼 수 있다.
제 4도는 상술한 바와같은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의 입력전환조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 상기 제 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화상출력장치에 설치된 리모트제어장치등을 이용하여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를 HDTV신호, 또는 NTSC신호,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로 전환하는 입력전환명령을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대하여 발행한다(스텝(S41)).
다음에, 사용자는 현재, 장치에서 화상출력되고 있는 영상신호를 체크한다(스텝(S42)).
다음에 사용자는 전환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화면모드는 적절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영상신호의 입력전환조작을 행하는데 있어서, 화면모드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43)).
화면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는 리모트제어장치등을 이용하여, 전환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 최적한 화면모드를 선택하고, 그 화면 모드의 설정명령을 상기 화면출력장치에 대해서 발행한다(스텝(S44)).
상술과 같은 입력전환조작 및 화면모드 설정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화면 출력장치에서는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가 전환되고, 그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가 된다.
그러나 상술과 같은 화면출력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종류의 수나, 수신신호 및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의 수에 관계없이, 전체에서 1종류의 화면모드를 기억하는 메모리밖에 갖추고 있지 않았다. 이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HDTV신호, 또는 NTSC신호, 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의 영상신호등에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전환할때마다, 사용자는 전환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 최적한 화면모드를 선택하여 재설정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즉, 사용자는 입력단자마다 다른 애스펙트비의 신호를 입력한 경우의 입력단자의 전환조작이나, 각각 주파수가 다른 영상신호의 전환조작을 행할때 마다, 전환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 최적한 화면모드를 선택하여 재설정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마다, 또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주파수마다 최적한 화면모드를 개별로 기억함으로써, 조작성이 우수한 화상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입력수단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시켜서 각각 화면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화면모드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화면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임의의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에서 화면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는 상기 설정수단은 각 영상신호의 주파수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의 주파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는, 상기 입력수단은 복수의 입력단자를 갖추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에 있어서, 각 입력단자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임의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입력단자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에서는 입력수단은, 복수의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설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시켜서 각각 화면모드를 설정한다. 기억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화면모드정보를 기억한다. 표시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화면표시한다. 판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정한다. 제어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임의의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에서 화면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에서는, 상기 설정수단은 각 영상신호의 주파수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의 주파수를 판정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에서는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의 복수의 입력단자에 있어서, 각 입력단자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판정수단은 임의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입력단자를 판정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는 예를들면 제 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하이텔레비전 장치(100)에 적용된다.
즉, 하이텔레비전 장치(100)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UHF/VHF(이하, U/V라고 한다) 방송용의 안테나로 수신된 U/V신호가 공급되는 U/V튜너(1)와, 도시하고 있지않은 위성방송(이하, BS라고 한다)용의 안테나로 수신된 BS신호가 공급되는 BS튜너(2)와, 선국마이크로 컴퓨터(이하, 선국마이컴이라고 한다)(3)와, 디코더단자(I1)와, 외부튜너단자(I2)와, 비디오단자(I3a∼I3c)와, MUSE(Multiple sub-Nyquist Sampling Encoding) 단자(I4a,I4b)와, HD(High Definition)단자(I5)와 RGB단자(I6)와, 리모트제어장치(이하, 리모콘이라고 한다)(9)와, 조작키(10)와, MUSE블록(5)과, MUSE마이크로 컴퓨터(이하, MUSE마이컴이라고 한다)(6)와, 비디오 스위치(4)와, 오디오 스위치(7)와, 3차원 컴필터(11)와, EDTV(Extended Definition Television)블록(13)과, 화면모드 판별부(12)와, 스피커(16)와, 오디오 제어부(8)와, 화면표시부(14)와, 메모리(17)와, 시스템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시스템 마이컴이라고 한다)(15)와를 갖추고 있다.
또, 디코더단자(I1), 외부튜너단자(I2), 비디오단자(I3a∼I3c), HD단자(I5), 및 RGB단자(I6)는 각각 영상신호 입력단자(p1)와, 음성신호 입력단자(p2)로 되어 있다.
또한, 화면표시부(14)는 RGB인터페이스부(141)와, 화면왜곡 조정부(142)와, 데이터 분리부(143)와, 메모리(144)와, 화면표시IC(145)와, 모니터 마이컴(146)과, CRT(Cathode Ray Tube)로 되는 표시부(147)와, 편향요크(148)와를 갖추고 있다.
시스템 마이컴(15)에는 리모콘(9)및 조작키(10)로부터의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선국마이컴(3), MUSE마이컴(6), 오디오 스위치(7), 오디오 제어부(8), 메모리(17), 비디오 스위치(4), 3차원 컴필터(11), 화면모드 판별부(12),EDTV블록(13), 및 모니터 마이컴(146)을 필립스사제 IIC버스인터페이스(이하, IIC버스라고 한다)(19a)에 의해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 모니터 마이컴(146)은 RGB인터페이스부(141), 화면왜곡 조정부(142), 콘버전스 보정부(143), 및 메모리(144)를 IIC버스(19b)에 의해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선국마이컴(3)은 3선시리얼버스(이하, MUSE버스라고 한다)(18a)에 의해 U/V튜너(1)를 제어하고, MUSE마이컴(6)은 MUSE버스(18b)에 의해 MUSE블록(5)을 제어하고, 모니터 마이컴(146)은 MUSE버스(18c)에 의해 화면표시(IC145)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비디오 스위치(4)에는 U/V튜너(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BS튜너(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디코더단자(11)를 거쳐서 입력된 영상신호 및 외부튜너단자(I2)를 거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어느 영상신호와 비디오단자(I3a∼I3c)를 거쳐서 입력된 각 영상신호가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비디오 스위치(4)의 출력신호는 3차원 컴필터(11)와 화면모드 판멸부(12)에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3차원 컴필터(11)의 출력신호는 RGB인터페이스부(14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MUSE블록(5)에는 BS튜너(2)의 출력신호와 MSUE단자(I4a,I4b)를 거쳐서 입력된 각 신호가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MUSE블록(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RGB인터페이스부(14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HD단자(I5)를 거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도, RGB인터페이스부(141)에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오디오 스위치(7)에는 U/V튜너(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BS튜너(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디코더단자(I1)를 거쳐서 입력된 음성신호, 및 외부튜너단자(I2)를 거쳐서 입력된 음성신호의 어느 음성신호와, 비디오단자(I3a∼I3e)를 거쳐서 입력된 각 음성신호와 MUSE블록(5)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HD단자(I5)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오디오 스위치(7)의 출력신호는 오디오 제어부(8)를 거쳐서 스피커(16)에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RGB인퍼페이스부(141)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EDTV블록(13)의 출력신호, MUSE블록(5)의 출력신호, HD단자(I5)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각각 공급되는 동시에, 화면표시 IC(145)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RGB인터페이스부(141)의 출력신호는 편향요크(148)를 거쳐서 표시부(147)에 출력되는 동시에, 화면왜곡 조정부(142)및 모니터 마이컴(146)에 각각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면왜곡 조정부(142) 및 데이터 분리부(143)의 각 출력신호는 편향요크(148)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한 하이텔레비전 장치(100)가 갖추는 각 구성요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모콘(9)및 조작키(10)는 사용자가 장치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리모콘(9)및 조작키(10)에 의해 전원 ON/OFF의 지시, 장치에서 화상출력하는 채널 및 입력영상신호의 전환, 음량등의 지정이 행하여진다.
또, 리모콘(9) 및 조작키(10)는 U/V튜너(1)에서 얻어진 영상신호, BS튜너(2)에서 얻어진 영상신호 및 디코더단자(I1), 외부튜너단자(I2), 비디오 단자(I3a∼I3c), MUSE단자(I4a,I4b)와, HD단자(I5)및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에 각각 대응한 화면모드를 개별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스템 마이컴(15)은 리모콘(9)및 조작키(10)에 의해 설정된 각 입력영상 신호마다 설정된 화면모드정보, 리모콘(9)및 조작키(10)에 의해 지정된 채널정보, 입력영상신호의 전환정보, 및 음성정보등을 메모리(17)에 격납한다. 그리고 시스템 마이컴(15)은 리모콘(9) 및 조작키(10)에 의한 지시에 따른 동작이 행하여지도록, 메모리(17)에 격납된 각 정보에 의거하여, IIC버스(19a,19b)를 이용하여 각종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메모리(17)에 격납된 각 정보중 화면표시에 필요한 정보, 예를들면 리모콘(9) 및 조작키(10)에 의해 지정된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정보나 화면왜곡등의 조정데이터등을 모니터 마이컴(146)에 공급한다.
모니터 마이컴(146)은 시스템 마이컴(15)으로 부터의 각 정보를 메모리(144)에 격납하고, 메모리(144)에 격납한 각 정보에 의거하여, IIC버스(19b)를 이용하여 화면표시를 위한 각종 제어를 행한다.
또한, 시스템 마이컴(15)및 모니터 마이컴(146)의 각종 제어에 대한 상세는후술한다.
U/V튜너(1)는 선국마이컴(3)의 제어에 의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U/V방송용 안테나로 수신된 U/V신호에서 소망의 채널을 선국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베이스밴드신호에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생성한다.
BS튜너(2)는 선국마이컴(3)의 제어에 의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BS방송용 안테나로 수신된 BS신호에서 소망의 채널을 선국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베이스밴드신호에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생성한다.
디코더단자(I1)에는 예를들면 상기 BS방송용 안테나로 수신되어 BS튜너(2)에서 선국된 BS신호에 있어서, 비가입자에 의한 수신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램블된 신호를 디코드하는 도시하지 않은 디코더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디코더에서 얻어진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선국마이컴(3)은 시스템 마이컴(15)의 제어에 의거하여 U/V튜너(1)에서 얻어진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BS튜너(2)에서 얻어진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디코더단자(I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및 외부튜너(I2)를 거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에서 1계통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국마이컴(3)은 선택한 1계통의 영상신호가 비디오 스위치(4)에 공급되도록 또, 상기 1계통의 음성신호가 오디오 스위치(7)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 비디오단자(I3a∼I3b)를 거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도 비디오스위치(4)에 공급되고, 비디오단자(I3a∼I3b)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도 오디오 스위치(7)에공급된다. 또한, HD단자(I5)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도 오디오 스위치(7)에 공급된다.
한편, HD단자(I5)를 거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RGB인터페이스부(141)에 공급된다.
MUSE단자(I4a,I4b)에는 하이비전을 BS방송의 1채널로 방송하는 것을 목적으로써 개발된 대역압축신호 전송방식인 MUSE방식에 의해 대역압축된 MUSE신호가 입력된다.
MUSE블록(5)은 MUSE마이컴(6)의 제어에 의거하여, BS튜너(2)에서 복조된 신호, MUSE단자(I4a,I4b)를 거쳐서 입력된 MUSE신호를 디코드하고, 하이비전신호 및 음성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MUSE블록(5)은 생성한 하이비전신호를 RGB인터페이스부(141)에 공급하고, 생성한 음성신호를 오디오 스위치(7)에 공급한다.
비디오 스위치(4)는 시스템 마이컴(15)의 제어에 의거하여, 선국마이컴(3)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 및 비디오단자(I3a∼I3b)를 거쳐서 입력된 각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화면모드 판별부(12)및 3차원 컴필터(11)에 각각 공급한다.
화면모드 판별부(12)는 시스템 마이컴(15)의 제어에 의거하여, 비디오 스위치(4)로부터의 영상신호중의 와이드 식별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시스템 마이컴(15)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드 식별신호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의해 재생된 재생신호의 수직귀선구간내에 중접되어 있는 영상 신호 식별정보의 일종이다.
따라서, 시스템 마이컴(15)은 화면모드 판별부(12)로부터의 와이드 식별신호의 검출결과를 영상신호의 판별정보로써 메모리(17)에 격납하는 동시에, 화면표시를 위한 정보로써 모니터 마이컴(146)에 공급한다. 그리고 모니터 마이컴(146)은 시스템 마이컴(15)으로부터의 정보를 메모리(144)에 격납한다.
3차원 컴필터(11)는 움직임 적응형의 3차원 시공간의 YC분리방식으로 휘도 신호와 색신호로 YC분리하는 빗형 필터이다. 따라서, 3차원 컴필터(11)는 시스템 마이컴(15)의 제어에 의거하여 비디오 스위치(4)로부터의 영상신호를 YC분리하여, YC분리한 영상신호를 EDTV블록(13)에 공급한다.
여기서 EDTV는 제 1세대와 제 2세대로 나뉘어져 있고, 어떤것도 현행의 NTSC방식과 양립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제 1세대의 EDTV는 애스펙트비가 4:3이며, 제 2세대의 EDTV(이하, EDTV(2)라고 한다)는 애스펙트비가 4:3이상, 예를들면 16:9이다.
그래서 EDTV블록(13)은 시스템 마이컴(15)의 제어에 의거하여, 3차원 컴필터(11)에 의해 YC분리된 영상신호에서 EDTV(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제어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보강신호의 디코드를 행한다. 그리고, EDTV블록(13)은 3차원 컴필터(11)에서 YC분리된 영상신호를 RGB인터페이스부(141)에 공급하는 동시에, 식별제어신호의 검출결과, 및 디코드한 보강신호를 시스템 마이컴(15)에 공급한다.
시스템 마이컴(15)은 EDTV블록(13)에서 얻어진 식별제어신호의 검출결과 및 보강신호를 영상신호의 판별정보로써 메모리(17)에 격납하는 동시에, 모니터 마이컴(146)에 화면표시를 위한 정보로써 식별제어신호의 검출결과 및 보강신호를 공급한다. 모니터 마이컴(146)은 시스템 마이컴(15)으로 부터의 정보를 메모리(144)에 격납한다.
RGB인터페이스부(141)는 모니터 마이컴(146)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술한 MUSE블록(5)으로 부터의 영상신호, HD단자(I5)를 거쳐서 입력된 영상신호,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된 영상신호, 및 EDTV블록(13)에서 YC분리된 영상신호에서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신호에서 표시부(147)를 구동하기 위한 R,G,B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먼저 RGB인터페이스부(141)는 모니터 마이컴(146)의 제어에 의거하여, 리모콘(9) 또는 조작키(10)에 의해 지정된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신호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신호에서 수평/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RGB인터페이스부(141)는 검출한 수평/수직동기신호를 화면왜곡 조정부(142) 및 모니터 마이컴(146)에 각각 공급한다.
모니터 마이컴(146)은 RGB인터페이스부(141)로부터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카운트하고, 현재 RGB인터페이스부(141)에서 출력되고 있는 R,G,B신호를 감시한다. 또, 모니터 마이컴(146)은 메모리(144)에 격납된 화면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화면표시IC(145)용으로 정형하고, 정형한 데이터를 화면표시(IC145)에 공급한다.
화면표시IC(145)는, 모니터 마이컴(146)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관면표시용 RGB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관면표시용 RGB신호를 RGB인터페이스부(141)에공급한다.
또, 모니터 마이컴(146)은 메모리(144)에 격납된 화면표시를 위한 각 정보를 RGB인터페이스부(141), 화면왜곡 조정부(142), 및 콘버전스 보정부(143)에 공급한다.
RGB인터페이스부(141)는 모니터 마이컴(146)으로 부터의 각 정보에 의거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신호에 대해서, 화이트 밸런스조정, 픽처 및 밝기등의 조정을 행하여, 표시부(147)를 구동하기 위한 R,G,B신호를 생성한다. 또, RGB인터페이스부(141)는 생성한 R,G,B신호에 화면표시IC(145)로 부터의 관면표시용 RGB신호를 중첩하여 편향요크(148)에 공급한다.
편향요크(148)는 RGB인터페이스부(141)로부터의 관편표시용 RGB신호가 중첩된 R,G,B신호에 의해 편향, 주사되어서 표시부(147)의 화면상에 래스터(raster)를 형성한다. 이때, 화면왜곡 조정부(142)는 모니터 마이컴(146)으로 부터의 각 정보에 의거하여 편향요크(148)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왜곡의 조정을 행한다. 또, 콘버전스 보정부(143)는 모니터 마이컴(146)으로 부터의 각 정보에 의거하여 편향요크(148)를 제어함으로써, 콘버전스의 조정을 행한다. 따라서, 표시부(147)의 화면에는 리모콘(9) 또는 조작키(10)에 의해 지정된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이 그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에서 표시된다.
한편, 오디오 스위치(7)는 시스템 마이컴(15)의 제어에 의거하여, 선국마이컴(3)에 의해 선택된 음성신호, 비디오 단자(I3a∼I3b)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 HD단자(I5)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RGB단자(I6)를 거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에서 상술한 비디오 스위치(4)로 선택된 영상신호에 대응한 음성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음성신호를 오디오 제어부(8)에 공급한다.
오디오 제어부(8)는 시스템 마이컴(15)의 제어에 의거하여, 오디오 스위치(4)로 선택된 음성신호에 대해서 음성, 밸런스, 음질의 조정을 행하고, 스피커(16)를 거쳐서 출력한다.
따라서, 상술과 같이 하여 전환된 영상신호에 대응한 음성이 스피커(16)에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제 2도 및 제 3도는 상술한 바와같은 하이텔레비전 장치(100)에서의 입력전환조작 및 입력전환조작시의 장치 내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 상기 제 2도 및 제 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를 전환하고 싶을 경우, 상기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사용자는 리모콘(9)을 조작함으로써, 입력전환명령을 하이텔레비전 장치(100)에 대해서 발행한다(스텝(S21)). 이들과 동시에 하이텔레비전 장치(100)는 리모콘(9)에 의한 입력전환명령을 수신한다.
다음에, 상기 제 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시스템 마이컴(15)은 화상출력하는 영상신호가 입력전환명령에 의해 지정된 영상신호로 전환하도록 비디오 스위치(4)를 제어한다(스텝(S31)).
다음에, 시스템 마이컴(15)은 입력전환명령에 의해 지정된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정보, 및 화면왜곡 데이터등의 화면표시를 위한 각 정보를 메모리(17)에서 독출한다(스텝(S32)).
그리고, 시스템 마이컴(15)은 메모리(17)에서 독출한 각 정보를 모니터 마이컴(146)에 공급한다(스텝(S33)).
다음에, 모니터 마이컴(146)은 시스템 마이컴(15)으로 부터의 각 정보를 메모리(144)에 격납한다. 그리고 모니터 마이컴(146)은 메모리(144)에 격납한 각 정보중 화면왜곡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화면왜곡 데이터를 화면왜곡 조정부(142)에 공급한다. 화면왜곡 조정부(142)는 모니터 마이컴(146)으로 부터의 화면왜곡 데이터에 의거하여 편향요크(148)에 있어서의 화면왜곡을 조정함으로써, 전환된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로 변경한다(스텝(S34)).
또, 모니터 마이컴(146)은 화면표시IC(145)에 관면표시용 RGB신호인 표시전송데이터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부(147)의 화면상에는 입력전환명령에 의해 지정된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이 그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로 표시된다(스텝(S35)).
상술한 바와같이, 본실시예에서는 주파수나 입력단자가 다른 각 영상신호마다의 각 화면모드정보를 메모리(17)에 개별로 격납하고, 메모리(17)에 격납된 각 화면모드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전환명령에 의해 지정된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그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면모드로 화면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입력전환조작을 행할때마다 화면모드의 재설정조작을 행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영상신호마다의 각 화면모드를 한번 설정하여 놓으면, 입력전환조작만으로 희망하는 화상을 최적의 화면모드로 볼 수 있다.
예를들면 HD단자(I5)에는 수평주파수 33.75kHz의 하이비전신호가 입력되고, RGB단자(I6)에는, 수평주파수 31.5kHz의 VGA신호가 입력되고, 하이비전신호는 애스펙트비 16:9의 풀모드, VGA신호는 애스펙트비 4:3의 노멀모드로 보고싶을 경우에는 하이비전신호에 대응하는 화면모드(16:9)및 VGA신호에 대응하는 화면모드(4:3)를 한번 설정하여 놓으면, 하이비전 신호 및 VGA신호의 입력전환조작만으로, 전환한 화상을 최적한 화면모드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에서는 입력수단은 복수의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설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시켜서 각각 화면모드를 설정한다. 기억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화면모드정보를 기억한다. 표시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화면표시한다. 판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정한다. 제어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임의의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로 화면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입력수단으로 영상신호가 전환될때마다 화면 모드를 재설정하는 바와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에서는 상기 설정수단은 각 영상신호의주파수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의 주파수를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각 주파수마다 대응한 각 화면모드를 개별로 기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에서는,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의 복수의 입력단자에 있어서, 각 입력단자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판정수단은 임의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입력단자를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각 입력단자마다 대응한 각 화면모드를 개별로 기억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출력장치를 적용한 하이텔레비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2도는 상기 하이텔레비전 장치에서의 입력전환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 3도는 상기 입력전환조작시의 장치내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 4도는 종래의 입력전환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U/V튜너 2. BS튜너
3. 선국마이컴 4. 비디오 스위치
5. MUSE블록 6. MUSE 마이컴
7. 오디오 스위치 8. 오디오 제어부
9. 리모콘 10. 조작키
11. 3차원 컴필터 12. 화면모드 판별부
13. EDTV 블록 14. 화면표시부
15. 시스템 마이컴 16. 스피커
17. 메모리 18a,18b,18c. 3선시리얼버스
19a,19b. IIC버스 100. 하이텔레비전 장치
141. RGB인터페이스부 142. 화면왜곡 조정부
143. 데이터 분리부 144. 메모리
145. 화면표시IC 146. 모니터 마이컴
147. 표시부 148. 편향요크
I1∼I6. 입력단자

Claims (3)

  1. 복수의 영상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입력수단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시켜서 각각 화면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복수의 화면모드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을 화면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화상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임의의 영상신호에 대응한 화면모드로 화면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각 영상신호의 주파수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된 임의의 영상신호의 주파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복수의 입력단자를 갖추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에 있어서, 각 입력단자마다 화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임의의 영상신호가 입력된 입력단자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장치.
KR1019960020768A 1995-06-22 1996-06-11 화상출력장치 KR100391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56188 1995-06-22
JP7156188A JPH099171A (ja) 1995-06-22 1995-06-22 画像出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811A KR970004811A (ko) 1997-01-29
KR100391763B1 true KR100391763B1 (ko) 2003-10-22

Family

ID=1562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768A KR100391763B1 (ko) 1995-06-22 1996-06-11 화상출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03657A (ko)
JP (1) JPH099171A (ko)
KR (1) KR100391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462B2 (ja) * 1995-02-15 2000-04-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DE29605818U1 (de) * 1996-03-28 1996-07-25 Trw Repa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einem Gurtstraffer
US5917552A (en) * 1996-03-29 1999-06-29 Pixelvision Technology, Inc. Video signal interface system utilizing deductive control
KR100186409B1 (ko) * 1996-04-23 1999-05-01 구자홍 피씨와 티브이 적응형 피아이피 영상신호 처리회로
KR100225037B1 (ko) * 1996-12-23 1999-10-15 구자홍 모듈티브이와 모듈티브이 제어 방법
US6300980B1 (en) * 1997-02-19 2001-10-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mputer system design for distance viewing of information and media and extensions to display data channel for control panel interface
US7265765B1 (en) * 1998-07-15 2007-09-04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djusting device for projection-type display
KR100423455B1 (ko) * 2001-10-24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7636125B2 (en) * 2002-10-22 2009-12-22 Broadcom Corporation Filter module for a video decoding system
JP4607468B2 (ja) * 2004-01-27 2011-01-0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753606B1 (ko) * 2006-08-1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JP2008304563A (ja) * 2007-06-05 2008-12-18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056211B2 (ja) * 2007-06-29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変換装置及び映像信号変換方法並びに映像表示装置
US20100053436A1 (en) * 2008-08-29 2010-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WO2011074073A1 (ja) * 2009-12-15 2011-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512B2 (ja) * 1990-08-28 2000-06-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
KR950000828B1 (ko) * 1991-12-11 1995-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내장형 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9171A (ja) 1997-01-10
KR970004811A (ko) 1997-01-29
US5703657A (en) 1997-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4884B1 (en) Multisystem television which is usable as a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and a method thereof
US6011594A (en) Television device having text data processing function
US6373527B1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plural images contained in broadcasting signals of mutually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US7864249B2 (en) Method and apparatus displaying double screen
KR100391763B1 (ko) 화상출력장치
US5949494A (en) Aspect ratio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7184138A (ja) 2画面映像処理回路
JPS62159583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19990009021A (ko) 평판디스플레이를 채용한 tv의 디지탈 특성조성장치
US6067123A (en) Monitor output device in high-definition television
KR100233388B1 (ko) 티브이 및 피씨화면 동시 디스플레이장치
JPH0620532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212729A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機器
JP299815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GB2316594A (en) Automatic wide screen display method for a TV set
JPH07162779A (ja) 多画面表示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7307904A (ja) 2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77939B1 (ko) 영상/음성정보가 동시에 저장 가능한 부화면칩을 이용한 티브이 시스템의 구동장치 및 음성메세지의 송수신 방법
JP2603673Y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0182931B1 (ko) Ntsc 및 svhs 수신 겸용 와이드 스크린 모니터
JPH0529251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8331608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の調整方法
JP200017511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93718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9990051695A (ko) Hdtv 모니터의 osd 위치 자동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