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092B1 - 트리머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트리머 커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092B1
KR100391092B1 KR10-2000-0080250A KR20000080250A KR100391092B1 KR 100391092 B1 KR100391092 B1 KR 100391092B1 KR 20000080250 A KR20000080250 A KR 20000080250A KR 100391092 B1 KR100391092 B1 KR 10039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lectrode
stator
anchor portion
trimmer capacito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629A (ko
Inventor
오시마마사노리
다니구치슈이치
와타나베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6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4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 H01G5/06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due to rotation of flat or substantially flat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된 앵커부(anchor portion)를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있는 고정자의 상부면 부근의 고정자에 삽입한다. 고정 전극의 끝부분은 고정 전극으로부터 앵커부까지의 영역에서 고정 전극의 표면에 직각이거나 거의 직각인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고정자를 형성하는 공정 동안 고정자의 상부면을 연마하더라도, 고정 전극의 면적이나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트리머 커패시터{Trimmer Capacitor}
본 발명은 커패시터, 특히 정전 용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트리머 커패시터(trimmer capaci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리머 커패시터로서, 예를 들어, 칩형 트리머 커패시터가 일본국 특개평 6-20872호에 개시되어있다. 상기 트리머 커패시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자(31)는 수지(31a)에 의해 고정 전극(32)의 원주부에 형성된 앵커부(anchor portion)(40a, 40b)를 포함하는 반원형에 가까운 고정 전극(32) 및 유전체 재료의 세라믹 판(33a)에 가동 전극(34)을 제공함으로서 형성된 유전체 세라믹 판(33)을 포함하는 식으로 형성되며, 고정 전극이 형성된 고정자(31)의 상부면 및 가동 전극(34)이 형성되지 않은 유전체 세라믹 판(33)의 하부면은 서로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금속 조절 축(35)은 고정자의 축 홀(38) 및 유전체 세라믹 판(33)의 관통홀(39)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금속 조절 축(35)의 끝부분과 금속 스프링(36)(회전자 스프링 워셔)이 서로 짝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그런후, 상기 트리머 커패시터에, 고정자(31)의 상부면이 유전체 세라믹 판(33)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유전체 세라믹 판(33)을 회전시키고, 가동 전극(34)에 대향하는 고정 전극(32)의 면적, 즉, 겹쳐지는 면적을 바꿈으로서, 고정 전극(32) 및 가동 전극(34)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트리머 커패시터에, 고정 전극을 수지(31) 내에 일체적으로 삽입한 후에는, 고정자(31)의 상부면 및 고정자 위쪽으로 노출된 고정 전극(32)의 표면의 평면도(平面度)가 높아져서 트리머 커패시터의 특성이 향상되며, 고정자 (31)의 상부면을 연마하는 공정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한 트리머 커패시터에서는, 고정자(3)가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부드럽기 때문에, 안정되게 연마 작업를 행하는 것이 어려우며, 연마 공정을 함으로서, 고정 전극이 들려지는 문제가 있다. 들려진 고정 전극(32)은 고정 전극(32)을 수지(31a)에 접착하는 것이 약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고, 고정 전극(32)이 고정자(31)에 삽입되더라도, 고정 전극(32b)가 들려질 때에 연마 작업을 행하면, 과다한 연마가 이루어지고, 결국, 트리머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트리머 커패시터에, 고정자 내의 고정 전극의 인출부(37)에 더하여 고정 전극(32)에 구비된 앵커부(40a, 40b)를 삽입함으로서, 고정 전극(32)은 세개의 점에 고정되고, 고정자(31)에 대한 고정 전극(32)의 실장 강도가 증가한다.
여기서, 앵커부(40a, 40b)는 고정 전극(32)의 원주부에 형성되며, 고정 전극(32)의 표면에 우측으로 약간 각이 있으며, 끝부분쪽으로 갈수록, 폭과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진다. 이는 앵커부에 의해 야기된 부유 정전 용량을 감소시키며, 고정자(31)의 굽힘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트리머 커패시터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앵커부(40a, 40b)가 고정 전극(32)의 원주부 및 앵커부(40a, 40b)와 접속된 회선(line)이 고정자의 축 홀(38)을 관통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고정 전극(32)의 끝부분(41a, 41b)은 앵커부(40a, 40b) 및 고정 전극의 인출부(37)를 연결하여 형성된 삼각형 면적의 외부에 위치하며, 단순하게 세개의 점에 고정 전극 (32)을 부착시키는 것으로는, 고정 전극의 끝부분(41a, 41b)이 들려지는 것을 막을 수 없을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 전극(32)의 끝부분(41a, 41b)에 추가적으로 앵커부를 구비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들 앵커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극 특개평 57-140731호에 개시된 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 전극(51)의 원주부(52)를 프레스 가공하여 고정 전극(51)을 고정자(53) 확실하게 부착시키며, 고정 전극(51)이 수지 재료를 절삭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을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사용하고, 앵커부 (50a, 50b)가 고정 전극의 끝부분(41a, 41b)에 더 구비된 트리머 커패시터가 도 7에 도시된다. 도 5 및 도 7의 트리머 커패시터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트리머 커패시터에서, 앵커부(50a, 50b)가 고정 전극의 끝부분(41a, 41b)에 더 구비되기 때문에, 고정 전극(32)은 또한 끝부분에서 고정자 (31)에 확실하게 부착되며, 고정 전극(32)이 들뜨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으로, 앵커부(50a, 50b)가 고정 전극의 끝부분(41a, 41b)에 구비된 트리머 커패시터는 다음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 8은 도 7의 몰드 고정자(31)에 삽입된 고정 전극(32)의 Y-Y'선을 따라서 얻어진 확대 단면도이며, 아직 연마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면에서 처럼, 앵커부(50b)는 고정 전극의 표면 (32a)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자(31)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고정자(31)의 상부면 및 고정자(31)에 삽입된 고정 전극의 면(32b)은 A-A'선으로 연마되며, 고정 전극(32)의 길이는 Y-Y'의 방향으로 L까지 연장된다. 즉, 고정 전극(32)의 면적이 증가한다. 여기서, 앵커부(50a, 50b)가 앵커부(50a, 50b)에 대향하는 가동 전극(34)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고정 전극(32)의 면적이 앵커부(50a, 50b)의 방향으로 커지고, 이는 가동 전극(34)에 대향하는 면적, 즉, 겹치는 면적이 커짐을 의미하므로, 트리머 커패시터에서 정전 용량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정자를 연마하는 공정에서, 고정자들 간에 연마량을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연마로 인해 정전 용량이 변하며, 따라서, 각 고정자의 정전 용량이 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자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고정자의 상부면 및 고정자에 삽입된 고정 전극의 표면의 평면도를 증가시키도록 고정자의 상부면을 연마하더라도,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고, 트리머 커패시터가 안정스런 특성을 갖는 트리머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고정자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며, 도면은 도 1의 X-X'선을 따라 얻어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고정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트리머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트리머 커패시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고정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및
도 8은 도 7의 Y-Y'선을 따라 얻어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반원형 고정 전극이 실장된 상부면에 있는 고정자, 및 가동 전극이 실장된 상부면에 있는 유전체 세라믹 판을 포함하고, 유전체 세라믹 판의 하부면은 고정자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고정자 위에서 유전체 세라믹 판을 회전시키고 가동 전극에 대향하는 고정 전극의 면적을 바꿈으로서, 고정 전극 및 유전체 세라믹 판을 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가동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양이 조절되며, 앵커부는 높이가 다르거나 고정 전극면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며,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서 고정자의 상부면 부근에서 고정자에 삽입된다.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앵커부를 형성함으로서,고정자의 상부면이 고정자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연마되는 경우, 고정 전극의 면적이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정자들 간의 연마량이 변하더라도, 고정 전극의 면적은 일정하게 남게 되며, 따라서, 가동 전극에 대향하는 면적, 즉, 겹치는 면적이 변하지 않고, 트리머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앵커부를 형성함으로서, 고정 전극의 끝부분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 작업을 과하게 하더라도, 트리머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이 감소하지 않을 것이다.
고정 전극의 끝부분은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앵커부까지의 영역 내의 고정 전극의 표면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한 단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식으로, 고정 전극의 끝부분의 단면이 정밀할 수록, 고정자를 연마하는 공정에서 고정 전극의 면적을 변하게 하는 것이 어려우며, 따라서, 정전 용량이 변하지 않는 정밀한 트리머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전극의 끝부분 및 앵커부가 개별 홀딩 지그(holding jig)에 의해 지지되도록 앵커부를 형성하며, 앵커부의 측면에 있는 홀딩 지그는 고정 전극의 끝부분의 측면에 있는 홀딩 지그에 대하여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직각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앵커부까지의 영역에서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아주 정밀한 단면을 갖는 앵커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앵커부는 고정 전극의 외부 원주부에도 형성되며, 앵커부는 실질적으로 고정 전극의 표면에 수직하며, 그것의 폭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끝부분 방향으로 증가한다.
이런 식으로, 원주부 내의 앵커부를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더 제공함으로서, 고정 전극을 다섯개의 점, 즉, 고정 전극의 끝부분의 두개의 앵커부, 고정 전극의 원주부의 두개의 앵커부, 및 고정 전극의 인출부에서 고정자에 부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 전극의 실장 강도가 향상된다. 특히, 고정 전극은 주로 세개의 부분, 즉, 고정 전극의 원주부 내의 두개의 앵커부 및 고정 전극의 인출부에 의해 부착되며, 세점을 연결함으로서 형성된 삼각형 면적의 외부에 위치한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앵커부를 더 구비함으로서, 고정 전극의 끝부분이 들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트리머 커패시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리머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또한, 이 트리머 커패시터의 고정자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조가 도 5에 도시된 종래 트리머 커패시터와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특징인 고정자의 구조, 특히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있는 앵커부에 초점을 두어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5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같은 부분을 가르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지(1a)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트리머 커패시터의 고정자(1)를 고정자(1)에 삽입된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의 고정 전극(2)과 일체적으로 형성하며, 고정 전극(2)를 고정자(1)의 상부면에 구비한다.
그런후, 고정 전극의 표면(2a)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앵커부(10a, 10b)이 고정 전극(2)의 끝부분에서 고정자의 상부면 근처에 삽입되고, 고정 전극(2)의 외부 원주부에 형성된 앵커부(4a, 4b)가 고정자(1)에 삽입되도록고정자를 형성한다. 앵커부(4a, 4b)는 실질적으로 고정 전극(2)의 표면(2a)에 수직하며, 두께가 일정하더라도, 폭은 끝부분 방향으로 증가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트리머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고정자(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소정의 형상으로 금속 판을 스탬프한 후, 앵커부(10a, 10b), 앵커부(4a, 4b) 및 인출부(7)을 소정의 형상에 형성하도록, 금속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고정자(1)에 삽입되는 고정 전극(2)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굽힙 방법으로 앵커부(4a, 4b) 및 인출부(7)를 형성하며, 이하에, 본 발명의 특징인 앵커부(10a, 10b)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고정자(1)에 삽입된 고정 전극(2)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도 1의 X-X'선을 따라 얻어진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별 홀딩 지그(12, 13)로 고정 전극(2)의 앵커부(10b)가 될 끝부분(11b)과 부분(10b')을 지지하고, 앵커부(10b')의 측면에 있는 홀딩 지그(3)는 고정 전극의 표면(2a)으로부터 직각 반대 방향으로 아래로 움직이며, 한편, 고정 전극의 끝부분(11b)의 측면에 있는 홀딩 지그(1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된다. 따라서, 앵커부 기능을 하는 부분(10b')은 고정 전극의 표면(2a)으로부터 수직하게 미끄러진다. 고정 전극(2)의 표면(2a)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고정 전극의 표면(2a)에서 앵커부(10b)까지의 고정 전극(2)의 끝부분(11b)의 영역에 있는 고정 전극의 표면(2a)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한 단면을 포함하는 앵커부(10b)를 간단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고정 전극(2)의 끝부분(11b) 및 앵커부(10b)가 홀딩 지그(12, 13)로부터 제거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앵커부(10a)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형성된 고정 전극(2)을 수지(1a) 내에 삽입함으로서 고정자(1)를 형성한다. 앵커부(10a, 10b), 앵커부(4a, 4b) 및 인출부(7)를 고정자(1)에 삽입하고, 이들 다섯개의 구조물을 사용하여 고정 전극(2)을 고정자(1)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고정자(1)의 표면 및 고정자에 삽입된 고정 전극(2)의 표면의 평면도를 높이고, 트리머 커패시터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정자(1)의 상부면을 연마한다. 이때, 고정자(1) 내에 삽입된 앵커부(10a, 10b)까지 이르지 않도록 연마를 조절하고, 본 발명에서는 도 3c의 B-B'선까지 연마를 한다. 여기서, 앵커부(10b)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 전극의 표면(2a)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고, 고정 전극(2)의 끝부분(11b)에서 고정 전극의 표면(2a)으로부터 앵커부(10b)까지의 영역 내의 고정 전극의 표면(2a)에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한 단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고정자의 상부면을 연마하더라도, 고정 전극의 표면적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마를 해도 가동 전극(34)에 대향하는 면적, 즉, 겹치는 면적은 변하지 않으며, 고정자들 간의 연마 정도가 변하더라도, 각 트리머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고정자(1), 가동 전극(34)이 구비된 유전체 유전체 판(33), 금속 조절 축(35) 및 금속 스프링(회전자 스프링 워셔)(36)를 결합함으로서 트리머 커패시터가 완성된다.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서 고정자의 상부면 부근에 형성된 상술한 트리머 커패시터 내의 앵커부(10a, 10b)는, 다음 방식에서, 고정 전극의 표면에 거의 수직하게 되도록 고정 전극의 끝부분을 구부리고, 상기 부분의 끝을 다시 약간 오른쪽 각도로 구부린 L형 앵커부와는 다르다. 즉, 고정 전극의 끝부분을 고정 전극의 표면에 약간 오른쪽으로 각을 주어 구부려서 L형 앵커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구부러진 부분은 약간 휘어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부(10a, 10b)는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미끄러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L형 앵커부와 비교했을 때, 고정 전극(2)의 끝부분(11a)은 고정 전극의 표면(2a)에서 앵커부(10a, 10b)까지의 영역에서 보다 정밀한 수직단부를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전극(2)이 다섯개의 구조물, 즉, 앵커부(10a, 10b), 앵커부(4a, 4b) 및 인출부(7)에 의해 고정자(1)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전극(2)의 실장 강도가 보다 높아진다. 특히, 고정 전극은 주로 고정 전극의 원주부 내의 앵커부(4a, 4b) 및 고정 전극의 인출부(7)등 세개의 부분에 부착되며, 또한, 세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삼각형 영역의 외부에 위치한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앵커부(10a, 10b)를 구비함으로서, 고정 전극의 끝부분(11a, 11b)가 들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앵커부(10a, 10b)는 고정 전극의 끝부분(11a, 11b)에 형성되고, 앵커부(4a, 4b)는 고정 전극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그러나, 세개의 구조물, 즉, 앵커부(10a, 10b) 및 인출부(7)에 의해서만 고정 전극(2)이 적절하게 부착되는 경우에는, 앵커부(4a, 4b)가 고정 전극의 외주부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앵커부(5a, 5b)를 앵커부(10a, 10b)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 전극의 외주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 전극(2)의 끝부분의 앵커부(20a, 20b)를 계단형 부분이 구비되고 앵커부가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지는 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계단형으로 내려가도록 앵커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고정자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고정자의 상부면을 연마하더라도, 고정 전극의 면적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자들 간의 연마량이 변하더라도 고정 전극의 면적은 일정하기 때문에, 가동 전극(34)에 대향하는 면적, 즉, 겹치는 면적이 변하지 않으며, 트리머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앵커부를 형성함으로서 고정 전극의 끝부분이 들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마를 과다하게 하더라도, 트리머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는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앵커부까지의 영역 내에 수직하거나 거의 수직한 부분을 포함되기 때문에, 고정자의 상부면을 연마할 경우, 고정 전극의 면적이 거의 변하지 않으며, 따라서 정밀한 트리머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전극의 끝부분 및 앵커부가 개별 홀딩 지그에 의해 고정 전극의 끝부분의 홀딩 지그에 대하여 고정되는 식으로 상술한 앵커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부의 홀딩 지그는 고정 전극의 표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작동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앵커부까지의 영역 내에 매우 정밀한수직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전극의 원주부에는, 고정 전극의 표면에 거의 직교하며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과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지는 앵커부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런 식으로,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고정 전극의 원주부 내의 앵커부를 제공함으로서, 다섯개의 점, 즉,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 있는 두개의 앵커부, 고정 전극의 원주부에 있는 두개의 앵커부 및 고정 전극의 인출부에 고정 전극을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 전극의 실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동안,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실시예들이 당업자에 이해될 것이다.

Claims (7)

  1. 실질적으로 반원형 고정 전극이 상부면 위에 실장되어 있는 고정자; 및
    가동 전극이 상부면에 실장되어 있는 유전체 세라믹 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세라믹 판의 하부면은 상기 고정자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상기 고정자 위에서 상기 유전체 세라믹 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가동 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전극의 면적을 바꿈으로서, 상기 고정 전극 및 상기 유전체 세라믹 판을 통해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가동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을 조절하며,
    상기 고정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단차를 설치하여 일체로 형성된 앵커부가, 상기 고정 전극의 끝부분에서 상기 고정자의 상부면 부근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커패시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극의 끝부분이 상기 고정 전극으로부터 상기 앵커부까지의 영역 내의 상기 고정 전극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단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커패시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고정 전극의 끝부분 및 상기 앵커부가 개별 홀딩 지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앵커부의 측면에 있는 상기 홀딩 지그는 상기 고정 전극의 끝부분의 측면에 있는 상기 홀딩 지그에 대하여 상기 고정 전극의 표면에 직각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커패시터.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극의 외부 원주부에 상기 앵커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앵커부는 상기 고정 전극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며,
    상기 앵커부의 폭과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끝부분쪽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커패시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극의 외주부에 상기 앵커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앵커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 전극의 표면에 직각이며,
    상기 앵커부의 폭과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끝부분쪽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커패시터.
  6.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극에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커패시터.
  7.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극은 고정자에 수지로 몰드되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커패시터.
KR10-2000-0080250A 1999-12-22 2000-12-22 트리머 커패시터 KR100391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64757 1999-12-22
JP36475799A JP2001185450A (ja) 1999-12-22 1999-12-22 トリマ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629A KR20010062629A (ko) 2001-07-07
KR100391092B1 true KR100391092B1 (ko) 2003-07-12

Family

ID=1848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250A KR100391092B1 (ko) 1999-12-22 2000-12-22 트리머 커패시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501637B2 (ko)
JP (1) JP2001185450A (ko)
KR (1) KR100391092B1 (ko)
CN (1) CN1178241C (ko)
TW (1) TW4737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7100C (zh) * 2005-07-14 2008-11-26 上海大学 表面功函数测量仪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1951A (en) * 1975-07-28 1978-07-1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Variable capacitor
US4220980A (en) * 1977-09-01 1980-09-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Trimmer capacitor
KR890003568A (ko) * 1987-08-17 1989-04-15 우수이 유우타로오 온도감응형 유체식 팬커플링 장치
JPH08102429A (ja) * 1994-09-30 1996-04-16 Kyocera Corp トリマーコンデンサ
JPH1167589A (ja) * 1997-08-13 1999-03-09 Chichibu Onoda Cement Corp 可変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906Y2 (ja) * 1979-06-12 1984-10-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トリマ−コンデンサ
JPS60124910A (ja) * 1983-12-12 1985-07-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構部品
JPS60156738U (ja) * 1984-03-27 1985-10-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コンデンサ
JP3201416B2 (ja) * 1991-04-22 2001-08-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リマコンデンサ
US5461535A (en) * 1993-11-26 1995-10-24 Murata Mfg. Co., Ltd. Variable capaci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1951A (en) * 1975-07-28 1978-07-1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Variable capacitor
US4220980A (en) * 1977-09-01 1980-09-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Trimmer capacitor
KR890003568A (ko) * 1987-08-17 1989-04-15 우수이 유우타로오 온도감응형 유체식 팬커플링 장치
JPH08102429A (ja) * 1994-09-30 1996-04-16 Kyocera Corp トリマーコンデンサ
JPH1167589A (ja) * 1997-08-13 1999-03-09 Chichibu Onoda Cement Corp 可変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1637B2 (en) 2002-12-31
TW473752B (en) 2002-01-21
CN1301029A (zh) 2001-06-27
JP2001185450A (ja) 2001-07-06
KR20010062629A (ko) 2001-07-07
US20010033472A1 (en) 2001-10-25
CN1178241C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44113C (zh) 在电子装置中表面安装所用的弹簧连接器及其制造方法
KR100391092B1 (ko) 트리머 커패시터
KR0143177B1 (ko) 가변 콘덴서
US5053742A (en) Variable resistor
KR100272425B1 (ko) 가변 커패시터 및 이를 이용한 lc 복합부품
JP3187106B2 (ja) 電気回路素子のパッケージ構造
KR0129119Y1 (ko) 칩형 트리머 콘덴서
US4213106A (en) Tun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H03225913A (ja)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US5721526A (en) Compact 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JPS62194608A (ja) 可変コンデンサ
JP3382446B2 (ja) 回転形可変抵抗器
KR100302068B1 (ko) 압전소자용2단자부품
JP2985872B2 (ja) フープ部材の研磨方法
US20040201325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H0620872A (ja) トリマコンデンサ
JPS5852675Y2 (ja) 可変コンデンサ
KR100241158B1 (ko) 유전체 유니트의 제조 방법
KR100396181B1 (ko) 가변 커패시터 및 가변 커패시터용 금속 로터의 제조 방법
JPS6244489Y2 (ko)
JP3823442B2 (ja) 可変コンデンサ
KR20000014731U (ko) 가변 자기 커패시터
JP4269331B2 (ja) 簡易smd型水晶振動子
JPS586281B2 (ja) 可変抵抗器の製造方法
JP2000164462A (ja) 可変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