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119Y1 - 칩형 트리머 콘덴서 - Google Patents

칩형 트리머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119Y1
KR0129119Y1 KR2019940039592U KR19940039592U KR0129119Y1 KR 0129119 Y1 KR0129119 Y1 KR 0129119Y1 KR 2019940039592 U KR2019940039592 U KR 2019940039592U KR 19940039592 U KR19940039592 U KR 19940039592U KR 0129119 Y1 KR0129119 Y1 KR 0129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pring member
trimmer capacitor
radial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011U (ko
Inventor
강명구
Original Assignee
강승구
주식회사광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구, 주식회사광원전자 filed Critical 강승구
Priority to KR2019940039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119Y1/ko
Publication of KR960025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119Y1/ko

Links

Landscapes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칩형 트리머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로우터(30)를 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상기 로우터의 원형 요입부 하측에 안착되는 판스프링 형태의 원반상 스프링부재(40)로 구성하여, 로우터(30)의 방사상 요입부(32) 내에 각기 배치되는 스프링부재의 수평 탄지부(41)로써 로우터(30)를 가압 지지하게 함으로써, 치병 트리머 콘덴서의 가공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취급에 따른 변형 우려를 배제하여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전체 세라믹부재에 접촉되는 로우터의 압접력을 보다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정전용량의 정확한 조정 및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칩형 콘덴서의 신로를 높일 수가 있다.

Description

칩형 트리머 콘덴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프링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종래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일례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케이싱 13 : 중공축
20 : 유전체 세라믹부재 30 : 로우터
30b : 지지돌기 31 : 원형 요입부
32 : 방사상 요입부 32a : 개방부
40,40' : 스프링부재 41,41' : 탄지부
본 고안은 각종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소형 가변 콘덴서의 일종인 칩형 트리머 콘덴서(chip type trimmer capaci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우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로우터를 유전체 세라믹부재에 탄력적으로 접속시키는 스프링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로우터의 회동에 의한 정전용량의 가변조성시 회전토오크의 기계적 성능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정전용량의 조정작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게 한 칩형 트리머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칩형 트리머 콘덴서는 통상, 정전용량의 조정시 로우터에 회전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구동판(driver plate)이 설치되고, 그 구동판으로 부터 하향 절곡 형성된 스프링 러그의 하단부가 로우터의 상면부에 탄력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로우터의 저면에 형성된 반원형 전극을 유전체 세라믹부재의 전극측으로 압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판에는 드라이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로우터에 호전토오크를 가하여 트리머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가변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5도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트리머 콘덴서의 일례를 보인 것으로서, 로우터 단자(la)로우터 단자(la)와 스테이터단자(lb)가 하측에 구비된 케이싱(1)의 내부에 하측에 상기 유전체 세라믹부재(2)가 설치되고, 그 유전체 세라믹부재(2)의 상측에 정전용량의 조정을 위한 로우터(3)가 설치되며, 그 로우터(3)의 상측에는 구동판(4)이 결합된다. 이들 유전체 세라믹부재(2)와 로우터(3) 및 구동판(4)은 그 중앙부가 상기 케이싱(1)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축(5)에 각 각 삽입되며, 그 중공축(5)의 상단부에 형성된 확장부에 의해 상기 구동판(4)과 로우터(3)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로우터(3)는 그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삽입홈(3a)으로 부터 4개의 스프링러그 삽입홈(3b)이 十 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판(4)에는 상기 로우터(3)의 원형삽입홈(3a)에 대응하는 원형삽입부(4a)와 그 변부측을 十 자형으로 타발하여서 된 타발부(4b) 및 그 각 타발부(4b)로 부터 하향 절곡 형성된 4개의 스프링 러그(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동판(4)의 하측을 절곡된 각 스프링 러그(4c)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로우터(3)의 상면을 가압 지지하는 접촉단부(4c')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유전체 세라믹부재(1)와 로우터(3)및 구동판(4)을 케이싱(1)내에 차례로 삽입 조립하게 되면, 상기 구동판(4)이 로우터(3)의 상측에 결합되어 그 스프링 러그(4c)로써 로우터(3)를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로우터(3)를 유전체 세라믹부재(2)에 압접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칩형 트리머 콘덴서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판(4)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삽입부(4a)와 그 원형삽입부(4a)를 방사상으로 타발하여 하방으로 절곡 형성한 각 스프링 러그(4c)가 상기 로우터(3)의 원형삽입홈(3a) 및 스프링러그 삽입홈(3b)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각 스프링 러그(4c) 하단의 경사 접촉단부(4c')가 로우터(3)의 상면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된 트리머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조정하기 위한 로우터(3)의 회동 조작시에는 상기 구동판(4)의 상부에 형성된 십자형 타발부(4b)에 일자형 드라이버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그 구동판(4)을 회동시킴으로써 로우터(3)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연동회동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동판(4) 및 로우터(3)의 회동조작시에는 상기 구동판(4)을 타발하여 형성된 스프링 러그(4c)와 이들 각 스프링 러그(4c)가 삽입되도록 로우터(3)에 형성된 십자형 스프링 삽입홈(3b) 사이의 유격(간극)으로 인하여, 구동판(4)의 회동시 로우터(3)에 가해지는 회전토오크가 정확히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정전용량의 미세 조정 및 정밀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판(4)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정밀한 가공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생산성의 저하와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갖게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판(4)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각 스프링 러그(4c)는 부품의 운반 취급 및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는 접촉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각 스프링 러그(4c) 및 그 접촉단부(4c')의 배치형태가 쉽게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만약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스프링 러그(4c)중 하나의 스프링 러그(4c)나 그 접촉단부(4c') 만이라도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는 4개로 구성된 스프링 러그(4c)가 균일한 탄력을 가자고 로우터(3)의 상면부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로우터(3)와 유전체 세라믹부재(2) 간의 압접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갖지 않는 칩형 트리머 콘덴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전용량의 미세, 정밀조정이 가능한 칩형 트리머 콘덴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며, 로우터와 유전체 세라믹부재 간의 압접상태를 상시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칩형 트리머 콘덴서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조정시, 상기 종래의 구동판가 같이 별도의 구동부재를 회전시켜 그 구동부재에 의해 로우터가 연동되게 하지 않고, 로우터의 상부면에 형성된 드라이버 삽입홈을 이용하여 로우터를 직접 회동시킬 수 있으며, 로우터를 유전체 세라믹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압접수단이 로우터측 드라이버 삽입홈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되는 칩형 트리머 콘덴서에 의해 달서될 수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동 결합상태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 세라믹단자(12)와 로우터단자(11)가 각각 구비된 절연케이싱(10)의 내측 중앙부에 상기 로우터단자(11)에 접속되는 중공축(13)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중공축(13)에는 세라믹 전극(20a)이 저면에 배치된 유전체 세라믹 부재(20)와 로우터 전극(30a) 및 지지돌기(30b)가 저면에 구비된 로우터(30)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중공축(13)의 단부가 확장가공되어 로우터(3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로우터(3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 요입부(31) 및 그 원형 요입부(31)에서 十자형으로 형성된 방사상 요입부(32)의 깊이를 각각 소정깊이 만큼 하부로 연장 형성하고, 그 원형 요입부(31) 및 방사상 요입부(32)의 내면 안쪽에 수평 탄지부(41)를 갖는 원반상 스프링부재(40)를 삽입하여, 그 스프링부재(40)의 중앙부를 통해 상부로 관출되는 중공축(13) 상단이 확장부(13a)로서 상기 로우터(30)의 원형 요입부(31) 바닥면에 안착된 스프링부재(40)를 지지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방사상 요입부(32)내에 삽입되는 원반상 스프링부재(40)의 수평 탄지부(41)로서 로우터(30)의 상면부를 탄력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로우터(30)의 상면붸 형성한 원형 요입부(31)와 방사상 요입부(32)의 깊이는 상기 본 고안의 원반상 스프링부재(40)가 삽입된 조리상태에서 그 상부에 노출되는 방사상 요입부(32)를 통하여 일자형 드라이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된 방사상 요입부(32) 중의 하나, 즉 상기 로우터(3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지지돌기(30b)와 일치하는 방향에 배치된 방사상 요입부(32)에는 그 방사상 요입부(32)이 외측단부를 로우터(30)의 외측변부까지 연장시켜서 된 개방부(32a)가 형성되어 있어, 그 개방부(32a)에 의하여 정전용량의 조정시 로우터(30)의 회동 조절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2는 상기 스프링부재(4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축(13)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축공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칩형 트리머 콘덴서에 있어서는, 상기 로우터(30)를 가압하는 스프링부재(40)가 원반상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그 가공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며 부품의 취급에 따른 변형의 우려가 적으므로,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반상 스프링부재(40)는 상기 로우터(30)의 원형 요입부(31) 내부 안쪽(하측)에 안착되고, 그 스프링부재(40)의 주연에 배치된 수평 탄지부(41)가 상기 로우터(30)의 방사상 요입부(32) 내에 각기 배치되어 로우터(30)의 상면부를 가압 지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기 유전체 세라믹부재(20)에 접촉되는 로우터(30)를 보다 균일하고 안정되게 탄력 지지하여 칩형 트리머콘덴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조정시에는 상기 절연케이싱(10)의 상부에 노출되는 로우터(30)의 방사상 요입부(32)에 일자형 드라이버의 단부를 삽입하고 로우터(30)를 회동시켜 그 정전용량을 증감 조정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조정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별도의 구동부재(구동판)에 의해 로우터를 회동시키지 않고 상기 방사상 요입부(32)의 상측에 삽입되는 드라이버의 단부로서 로우터(30)를 직접 회동시키게 되므로, 정전용량의 정확한 조정 및 미세한 폭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정전용량의 조정시 상기 로우터(30)의 일측 방사상 요입부(32)에 형성된개방부(32a)를 기준점으로하여 정전용량의 조정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전용량의 조정에 따른 최대값 및 최소값의 위치확인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제4도는 상기 본 고안의에 의한 스프링부재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이 스프링부재(40')는 몸체가 부분 구면의 형태로 구성되며 이에 구비된 방사상 탄지부(41')의 단면형상 또한 스프링부재(40')의 구면과 같은 곡률을 갖도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형태의 탄지부(41')는 상기 제1실시례의 스프링부재(40)에 형성된 수평 탄지부(41)에 비하여 그 접촉면적의 크기가 작아 로우터(30)를 지지하는 안정성면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례에 따른 스프링부재(40)에 비하여 약간 저하되나 로우터(30)에 대한 탄지력에 있어서는 보다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고안들은 로우터를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원방상 판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원반상 스프링부재는 상기 로우터의 원형 요입부 내부 하측에 안착되며, 스프링부재의 주연에 형성된 수평 탄지부가 상기 로우터의 방사상 요입부 내에 각기 배치되어 로우터의 상면부를 가압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칩형 트리머 콘덴서의 가공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취급에 따른 변형 우려를 배제하여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유전체 세라믹부재에 접촉되는 로우터의 가압력을 보다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정전용량의 정확한 조정 및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침.형 트리머 콘덴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세라믹전극(20a)이 저면에 배치된 유전체 세라믹부재(20)와, 로우터전극(30a) 및 지지돌기(30b)가 저면에 구비된 로우터(30)가 절연케이싱(10)의 중앙부에서 설치된 중공축(13)에 각각 삽입 지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3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원형 요입부(31) 및 방사상 요입부(32)의 깊이를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하고, 그 원형 요입부(31) 및 방사상 요입부(32)의 내부 하측에 상기 중공축(13) 상단의 확장부(13a)에 의해 지지되는 원반상 스프링부재(40)를 삽입하여, 상기 방사상 요입부(32)내에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부재(40)의 수평 탄지부(41)로서 유전체 세라믹부재(20)에 접촉되는 로우터(30)를 탄력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칩형 트리머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30)의 상면부에 형성된 방사상 요입부(32)중 상기 로우터(3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지지돌기(30b)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된 방사상 요입부(32)는 그 방사상 요입부(32)의 외측단부를 로우터(30)의 외측벽부까지 연장시켜서 된 개방부(32a)가 구비된 칩형 트리머 콘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40)가 부분 구면 형태의 몸체를 갖는 구면형 스프링부재(40')로 구성되고, 그 스프링부재(40')의 각 탄지부(41')가 상기 구면몸체와 같은 구면으로 된 칩형 트리머 콘덴서.
KR2019940039592U 1994-12-31 1994-12-31 칩형 트리머 콘덴서 KR0129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592U KR0129119Y1 (ko) 1994-12-31 1994-12-31 칩형 트리머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592U KR0129119Y1 (ko) 1994-12-31 1994-12-31 칩형 트리머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11U KR960025011U (ko) 1996-07-22
KR0129119Y1 true KR0129119Y1 (ko) 1998-12-15

Family

ID=1940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592U KR0129119Y1 (ko) 1994-12-31 1994-12-31 칩형 트리머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1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624A (ja) * 2001-11-30 2003-06-13 Murata Mfg Co Ltd 可変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11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177B1 (ko) 가변 콘덴서
JP3111916B2 (ja) 可変コンデンサ
KR0129119Y1 (ko) 칩형 트리머 콘덴서
US4112480A (en) Tunable extended range chip capacitor
US6353527B2 (en) Variable capacitor
US4283751A (en) Variable capacitor
US4477859A (en) Rotary electric component
JP3379382B2 (ja) 可変コンデンサ
US4389696A (en) Trimmer capacitor
KR100391092B1 (ko) 트리머 커패시터
US3090024A (en) Variable resistor
US4056842A (en) Ceramic trimmer capacitor
US4220980A (en) Trimmer capacitor
US3840786A (en) Precision trimmer capacitor
JPS603526Y2 (ja) 可変抵抗器
US4006389A (en) Variable disc capacitor
JP2531015B2 (ja) トリマコンデンサ
JPS6311714Y2 (ko)
JPS6311712Y2 (ko)
JPS5938039Y2 (ja) 可変磁器コンデンサ
JPS62104020A (ja) 電子機構部品
JP3355754B2 (ja) 可変コンデンサ
JPS6342520Y2 (ko)
JP3692936B2 (ja) 可変コンデンサ
KR20000014731U (ko) 가변 자기 커패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