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284B1 -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284B1
KR100390284B1 KR10-2000-0062101A KR20000062101A KR100390284B1 KR 100390284 B1 KR100390284 B1 KR 100390284B1 KR 20000062101 A KR20000062101 A KR 20000062101A KR 100390284 B1 KR100390284 B1 KR 10039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cathode ray
ray tube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150A (ko
Inventor
카가부켄
메라타게시
스도아키히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히타치 에레크토로닉 데바이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히타치 에레크토로닉 데바이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4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초의 프레스펀칭공정에 의해 판형상격자전극의 외형선을 형성하고,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판형상격자전극의 절단분리선을 형성한다. 외형선과 절단분리선의 교차부분의 각도는 70°이상 110°이하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선관용의 전자총을 구성하는 판형상격자전극의 끝말림을 저감해서 음극선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또한 음극선관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CATHODE RAY TUBE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전자총을 구성하는 판형상격자전극에 특징을 가지는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수상관이나 정보단말의 모니터관으로서 사용되는 컬러음극선관은, 진공엔빌로우프의 한쪽끝에 복수(일반적으로 3개)의 전자빔을 발사하는 전자총을 내장하고 있다. 컬러음극선관의 다른 끝내부면에는 복수색(일반적으로, 3색)의 형광체막을 도포한 형광면이 형성되고 있다. 형광면에 근접해서 색선택 전극인 새도마스크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총으로부터 출사되는 복수의 전자빔을 상기 진공엔빌로우프의 외부에 설치한 편향요크에서 발생한 자계에 의해 2차원 주사함에 따라서, 소요되는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은, 3개의 전자빔을 출사하는 전자빔발생수단(소위, 3극부)과, 이 전자빔을 형광면을 향해서 집속 및 가속시키기 위한 집속가속수단과, 최종전극쪽에 편향요크로부터의 누설자계를 차폐하기 위한 실드컵을 구비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전자총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원통형상격자전극 및 복수의 판형상격자전극을 관축방향으로 배열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형상격자전극은 상기 원통형상격자전극을 구성하는 판재보다도 두꺼운 판재를 프레스에 의해 펀칭가공해서 형성된다.
이런 종류의 판형상 격자전극의 프레스펀칭가공은, 띠형상금속판으로부터 다수의 동일종류의 전극을 1군으로해서 연결된 상태에서 순차 펀칭하는 최초의 공정과, 그후에 개개의 판형상격자전극으로 절단분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동일 종류의 판형상격자전극을 1군으로해서 최초의 프레스펀칭으로 가공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부호(31)은, 개개의 판형상격자전극이다. 이 판형상격자전극(31)은 모통이 부분의 곡율을 가지는 대략 직4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고, 그 한쪽의 평행한 2변에 당해 판형상격자전극을 비딩유리에 매설해서 고정하는 터부(36)을 형성하고 있다. 또, 직 4각형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따라서 인라인으로 배열된 3개의 전자빔통과구멍(30a),(30b),(30c)를 가지고 있다.
최초의 프레스펀칭공정에서 가공한 상태에서는, 판형상격자전극(31)의 다른쪽의 2변이 인접하는 영역에 연결부분(33)을 가지고 있고, 다음의 프레스펀칭공정에서 의해 이 연결부(33)을 펀칭선(35)에 의해 펀칭하여 제거해서 개개의 단위전극으로 절단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다음 프레스펀칭공정에서 절단분리되었을때, 개개의 전극의 끝부분에 돌기부(38)이 형성된다.
상기 종래의 프레스펀칭가공에서는, 연결부(33)을 펀칭선(35)에서 펀칭했을때에, 돌기부(38)의 끝부분에 끝말림이 발생하고 있었다.
도 11은 종래의 최초의 프레스펀칭공정에서 가공된 외형선과, 다음의 프레스펀칭공정에서 형성되는 외형선의 교차각도의 설명도이다. 도면중, 부호(34)는 최초의 프레스펀칭공정에서 펀칭된 외형선, 부호(35)는 다음 프레스펀칭공정에서 프레스펀칭되는 절단분리선을 표시한다.
최초의 프레스펀칭공정에서 잔류되는 연결부(33)은, 다음프레스펀칭공정에서 절단분리선(35)에 의해 절단분리된다. 이 절단분리선(35)는, 제거되는 연결부(33)쪽에 볼록하게되는 곡선으로 되어있다. 한편, 외형선(34)는 연결부(33)의 영역에서는 당해 판형상격자전극에 형성된 인라인배열의 전자빔통과구멍의 가상중심선(301)방향으로 접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최초의 프레스펀칭공정에서 펀칭된 외형선(34)와 펀칭선 즉 절단분리선(35)의 교차각도 α는 도시한 바와 같이 135°이상으로 되어 있었다.
또 종래, 교차각도 α를 가능한한 크게함으로써, 음극선관내부의 방전이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차각도α를 크게하면 교차부분의 끝말림이 크게되며, 이 끝말림에 기인하는 방전이 많았다. 그 때문에, 배럴연마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도 12는 상기의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연결부를 제거한 판형상격자전극의 돌기부의 모양을 설명하는 부분도면이고, 도 12A는 평면도, 도 12B는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C는 전극(31)의 측면도를 표시한다.
이런 종류의 프레스가공에서는,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형선(34)와 절단분리선(35)와의 교차부분의 각도α를 135°이상에서 프레스펀칭하면, 프레스가공기의 형(펀치와 다이스)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당해 양쪽선의 교차부분에서 재료가 바깥쪽으로 달아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도 12A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전극의 면방향으로 늘어지는 끝말림(37)이 발생한다. 또, 프레스펀칭의 단면방향으로 도 12B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전극의 면과 각도를 가지는 끝말림(38)이 발생한다. 특히, 도 12C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끝말림(38)은 교차부분 근처에서 크다. 또, 이와 같은 끝말림은 0.5㎜이상의 두께가 있는 전극의 형성시에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끝말림이 있으면, 그 전극을 전자총에 결합하는 경우, 이 끝말림이 공차이상으로 되어서 조립불가, 또는 초립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 전자총의 동작중에 이 끌말림에 전계가 집중해서 스파크를 발생하고, 전자총의 파괴 또는 음극선관의 파괴에 이르는 경우가 있는등, 음극선관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위에서 문제로 된다.
종래, 이와 같은 끝말림은 배럴연마 등의 적당한 연마방법으로 제거하고 있다. 이 연마후의 제품(판형상격자전극)의 모든 수량에 대해서, 전자총에 결합하기 위하여 필요할때까지 끝말림이 충분히 제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지 않으면 안되고, 공수삭감의 애로가 되며, 음극선관전체의 코스트를 삭감하는 위에서의 하나의 과제로 되어 있었다. 또, 끝말림을 제거하기 위한 배럴연마공정에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총을 구성하는 판형상격자전극의 끝말림을 저감해서 음극선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또한 음극선관의 제조공수를 삭감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표시한 설명도이며, 최초의 프레스펀칭으로 가공되는 연결부와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분리되는 펀칭선의 교차각도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표시한 설명도이며, 최초의 프레스펀칭으로 가공되는 연결부와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분리되는 펀칭선의 교차각도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표시한 설명도이며, 최초의 프레스펀칭으로 가공되는 연결부와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분리되는 펀칭선의 교차각도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표시한 설명도이며, 최초의 프레스펀칭으로 가공되는 연결부와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분리되는 펀칭선의 교차각도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1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2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3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4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전형예인 인라인형 컬러음극선관의 구조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0은, 전자총을 구성하는 동일종류의 판형상격자전극을 1군으로해서 최초의 프레스펀칭으로 가공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종래의 프레스펀칭가공에 있어서의 최초의 프레스펀칭으로 가공되는 연결부와 다음의 프레스펀칭을 행하는 펀칭선의 교차각도의 설명도
도 12는, 종래의 프레스펀칭가공에 있어서의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연결부를 제거한 판형상격자전극의 돌기부의 모양을 설명하는 부분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a, 30b, 30c: 전자빔 통과구멍 31: 판형상격자전극
33: 연결부 34: 외형선
35: 펀칭선(절단선) 36: 터부
38: 돌기부(끝말림) L1: 절단부분길이
L2: 전극높이
본 발명은, 최초의 프레스펀칭에 의한 외형선과 다음의 프레스펀칭에 의한 절단분리선과의 교차부분의 각도를 70°이상 110°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의 판형상격자전극간을 연결부에서 연결된 상태로 외형선을 형성하는 최초의 프레스펀칭공정과, 외형선에 대해 70°∼110°이하의 각도에서 교차하는 절단선을 형성하는 다음의 프레스펀칭공정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함으로써, 연결부를 제거할때의 프레스펀칭에서의 재료에 도피가 작아지고, 끝말림이 저감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음극선관은, 형광면을 형성하는 패널부분과, 전자총을 수용하는 넥부분과, 패널부분과 넥부분을 서로 잇는 깔때기형상의 퍼넬부로 형성된 진공엔빌로우프를 가진다. 상기 넥부분에 수용되는 전자총은, 음극과 원통형상격자전극 및 판형상격자전극으로 구성되고, 이들 음극 및 전극은, 관축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관계에 의해 배열되어 있다. 상기 판형상격자전극은, 평면형상이 대략 직4각형이며, 그 한쪽의 대향하는 2변에 당해격자전극을 비딩유리에 매설해서 고정하는 터부를 가진다. 또 격자전극은, 최초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복수의 판형상격자전극간을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고, 다음 프레스펀칭에 의해 다른쪽의 대향하는 2변의 상기 연결부가 제거된다. 연결부를 제거해서 생기는 돌기부는, 최초의 프레스펀칭에 의해 형성된 제 1의 변과 다음프레스펀칭에 의해 형성된 제 2의 변이 이루는 외각을 90°이상 110°이하로 했다.
돌기부의 인접하는 2변은 90°이상에서 교차하기 때문에, 연결부분을 제거해서 돌기부를 형성할때의 프레스펀칭에서의 재료에 도피가 작아지며, 끝말림발생이 저감된다.
(2): (1)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격자전극은 인라인배열한 3개의 전자빔통과구멍을 가지고, 상기 돌기부의 제 1의 변은 인라인 방향과 평행한 직선이고, 상기 돌기부의 제 2의 변은 인라인방향으로 수직인 직선이다.
(3):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격자전극은 상기 한쪽의 변으로 평행한 방향의 중앙선을 따라서 인라인 배열한 3개의 전자빔통과구멍을 가지고, 상기 돌기부의 제 1의 변은 상기 한쪽의 변쪽에 각각 오목하게 되는 원호(圓弧) 또는 타원호의 일부이며, 상기 돌기부의 제 2의 변은 상기 전자빔통과구멍쪽으로 오목하게 되는 원호 또는 타원호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차각도는 당해 교차점에서부터 90°이상이며 부채꼴로 확대되는 형상이 된다.
(4):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제 1의 변은 상기 한쪽의 변의 옆으로 각각 오목하게 되는 원호 또는 타원호의 일부이며, 상기 돌기부의 제 2의 변은 상기 다른쪽의 변과 평행인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인접하는 2변의 한쪽인 외형선은 만곡하고, 다른쪽인 절단분리선은 직선이지만, 상기 교차각도는 당해 교차점에서부터 90°이상이며 부채꼴로 확대하는 형상으로 된다.
(5):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제 1의 변은 상기 한쪽변쪽에 각각 오목하게 되는 원호 또는 타원호의 일부이며, 상기 돌기부의 제 2의 변은 상기 전자빔통과구멍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원호 또는 타원호의 일부이다.
이때의 제 1의 변과 제 2의 변은 각각 만곡되어 있다. 상기 교차각도는 90°이상이기 때문에 프레스펀칭에서의 재료에 도피가 작아지며, 끝말림발생이 저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넥직경이 29㎜의 컬러음극선관에 사용하는 전자총이고, 이 전자총의 격자전극의 최외경이 22㎜인 것에 제공한 경우를 예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위의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는 프레스펀칭가공의 설명도이다. 또 도 1에는 최초의 프레스펀칭(이하, 제 1의 펀칭가공이라 칭함)에 의해 가공되는 전극의 외형과, 다음의 프레스펀칭(이하, 제 2의 펀칭가공이라 칭함)에 의해 절단분리되는 펀칭선(또는 절단선이라 칭함)의 교차각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면중, 부호(31)은 판형상격자전극, (33)은 연결부, (34)는 제 1의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외형선, (35)는 펀칭선(절단선), (36)은 비드유리에 매설해서 전극을 고정하는 터부, (38)은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돌기부, L1은 절단부길이, L2는 전극높이이다. 또한, 이 전극에는 당해 판형상격자전극(31)의 길이방향중심부에 3개의 전자빔통과구멍 30a, 30b, 30c가 인라인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빔통과구멍은 외형(34)를 형성하는 펀칭과 동시에 형성된다.
제 1의 펀칭공정에서 복수의 전극을 연결부(33)에서 연결한 상태로 형성된다. 외형선(34)는, 제 1의 펀칭공정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펀칭선(35)는 상기 연결부(33)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형선(34)와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전극(31)의 외형선(34)와 펀칭선(35)의 교차부분의 각도 α는 70°이상 110°이하로 제어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항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 2의 펀칭가공시에 교차부분의 각도α가 45°미만 또는 135°이상이면 끝말림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이 각도α를 90°로 함으로써, 재료의 도피가 저감되어서 끝말림(38)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그 결과, 끝말림제거처리가 불필요 또는 간단하게 되어, 제조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 전수검사하는 일없이 양호한 제품을 얻게된다.
판두께 0.7㎜의 전극의 교차부분의 각도 α를 90°로해서 제조했던바, 끝말림(38)의 평균높이는 15㎛이하로 되었다. 한편, 교차부분의 각도α를 135°로 한 전극(종래의 전극)에서는, 끝말림(38)의 평균높이는 30㎛였다. 특히, 판두께가 0.5㎜이상의 전극에서는 끝말림(38)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 전극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또 판두께 1.5㎜를 초과하면, 전극의 제조가 어렵게 된다.
또, 전극높이 L2에 대해 절단길이 L1이 짧기때문에, 제 2의 펀칭가공을 행하여도, 펀칭선(35)에 근접하는 전자빔통과구멍(30c),(30a)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교차부분의 각도α를 90°이상 110°이하로 제어하면, 음극선관내에서의 방전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는 펀칭가공의 설명도이다. 도 2A에서는 제 1의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외형, 도 2B에는 제 2의 펀칭가공후의 전극형상을 표시하고 있다.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기능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의 펀칭공정은, 복수의 전극을 연결부(33)에서 연결한 상태로 띠형상금속을 펀칭가공한다. 연결부(33)은, 그 중앙부에 전자빔통과구멍의 가상중심선(301)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돌출부를 가진다. 외형선(34)는, 연결부(33)의 돌출부와 전극(31)의 사이에서 전자빔통과구멍의 가상중심선방향으로 볼록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펀칭선(35)는, 연결부(33)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상기 연결부(33)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형선(34)와 70°이상 110°이하의 범위에서 교차하도록 설정된다. 또, 돌기부(38)은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이각도α를 70°이상 110°이하(70°≤α≤110°)로 함으로써, 재료의 도피가 저감되어서 끝말림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된다. 또, 끝말림제거처리가 불필요 또는 간단하게 되어, 전수검사를 하는 일없이 제품을 얻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는 펀칭가공의 설명도이다. 도 3A에는 제 1의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외형, 도 3B에는 제 2의 펀칭가공후의 전극형상을 표시하고 있다.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기능부분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펀칭공정은 복수의 전극을 연결부(33)에서 연결한 상태로 띠형상금속을 프레스펀칭한다. 외형선(34)는, 그 돌기부(38)의 형성베이스를 지나서 연결부(33)의 중앙부에 갈수록 항복하도록 만곡하고 있다. 즉, 연결부의 중앙일수록 폭이 짧다.
그리고, 펀칭선(35)는 연결부(33)쪽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외형선(34)와 펀칭선(35)의 교차부분의 각도 α는 70°이상 110°이하로 되어 있고, 이 펀칭선(35)에 의해 제 2의 펀칭가공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이 각도α를 70°이상 110°이하로 함으로써, 재료의 도피가 저감해서 끝말림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되고, 끝말림제거처리가 불필요 혹은간단하게 되어, 전수를 검사하는 일없이 제품을 얻게된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설명하는 펀칭가공의 설명도이다. 도 4A에는 제 1의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외형, 도 4B에는 제 2의 펀칭가공후의 전극형상을 표시하고 있다. 도 1과 동일 부호는 동일기능부분에 대응한다.
도 4A, 도 4B에 있어서, (34)는 제 1의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된 외형선, (35)는 제 2의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펀칭선이다.
제 1의 펀칭가공에서는 터부(36)의 근처의 외형을 형성하였다. 외형선(34)의 펀칭선(35)와의 교차부분 근처는, 곡률반경 r을 가지는 만곡부분 R과 직선부분 L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펀칭가공에 의해 가공된 띠형상금속판은, 제 2의 펀칭가공에 의해, 도 4B와 같이 펀칭선(35)를 따라서 펀칭된다.
도 4A, 도 4B의 격자전극은, 교차부분을 전극(31)의 위아래의 변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인라인방향으로 위치하는 2변은, 넥내벽에 근접해서 배치되기 때문에, 만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의 에너지가 적어지며, 음극선관내에서의 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31)의 외형선(34)와 펀칭선(35)의 교차부분의 각도α는 70°이상 110°이하로 제어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차부분의 α가 90°이상 110°이하이면 양호하다.
본 실시예의 전극은, 외형선(34)와 펀칭선(35)의 교차부분을 넥내벽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넥부와 끝말림(38)의 발생개소와의 거리가 확대되어 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부분 L은 전자빔통과구멍의 중심선(30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펀칭선(35)는 교차부분 근처에서 전자빔통과구멍의 중심선(301)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교차부분을 직선부분 L위에 배치함으로써, 교차부분의 각도α를 9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직선부L은 중심선(30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뻗치않아도, 또는 펀칭선(35)의 교차부분 근처가 중심선(301)에 평행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교차부분의 각도α가 70°이상 110°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만곡부R의 영역을 작게하고, 직선부분L의 영역을 크게하면, 제 1의 펀칭 또는 제 2의 펀칭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도, 확실하게 교차각도α를 90°이상 110°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대표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표시한 전자총은 어디까지나 예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위 판형상격자전극 및 유사한 판형상전극부분을 가진 각종의 격자전극, 또는 프레스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다른 전극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1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컬러음극선관에 사용하는 인라인형 3빔전자총을 당해 인라인 배열면과 직각인 면에서 센터빔을 따라서 절단한 것이다.
이 전자총은, 히터H를 내장한 캐소드 K와 판형상의 제1 격자전극(21) 및 동 제 2격자전극(22)로 구성되는 3극부(전자빔발생부), 앞단 4중극부인 통형상격자전극(23B)와 (23T)로 이루어진 제 3격자전극군(23), 두꺼운판의 판형상격자전극인 제 4격자전극(24), 제 5격자전극군(25)를 구성하는 통형상격자전극(25B)와 통형상격자전극(25AP)와 (25M) 및 통형상격자전극(25T), 양극(26), 중간격자전극(27)로 구성된다. 또한, 양극(26)의 형광면쪽에는 실드컵(28)이 장착되어 있다.
제 5격자전극군(25)의 통형상격자전극(25AP)와 (25M)의 대향부에는 각각, 수평판(25APH), 수직판(25MV)가 고정되고 있고, 이들 수평판(25APH), 수직판(25MV)로 정전 4중극이 형성된다.
이 전자총의 격자전극중의, 제 1격자전극(21), 제 2격자전극(22), 제 4격자전극(24), 제 5격자전극군(25)의 전극(25AP)와 (25M)의 일부 및(25T)의 일부, (25M)의 이너전극(25TI), 양극(26)의 이너전극(261)은 판형상격자전극이다.
이 구성의 전자총에서는, 제 2격자전극(22)와 제 4격자전극(24)에 가속전압 Vg2를, 제 3격자전극군(23)의 한쪽인 톱전극(23T)와 제 5격자전극군(25)의 보톰전극(25B) 및 제 5격자전극중간전극(25M)에 일정치의 포커스전압 Vfs를, 제 3격자전극군(23)의 보톰전극(23B)와 제 5격자전극군(25)의 개구전극(25AP) 및 톱전극(25T)에는 일정전압 Vfd에 다이나믹전압 dvf를 중첩한 다이나믹포커스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Eb는 양극전압이고, 중간전극(27)에는 양극전압 Eb를 저항분할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구성의 전자총은, 제 3격자전극군(23)을 구성하는 전극(23B)와 (23T)로앞단정전4중극이 형성되고, 제 5격자전극군(25)의 개구전극(25AP)와 제 5격자전극중간전극(25M)로 정전 4중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판형상격자전극의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나, 특히 판두께가 큰 제 4판형상격자전극(24)의 프레스가공에 있어서 유효하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3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컬러음극선관에 사용하는 인라인형 3빔전자총을 당해 인라인배열면과 직각인 면에서 센터빔을 따라서 절단한 것이다.
이 전자총은, 도 5에 표시한 제 3격자전극군(23)을 단일의 통형상격자전극으로서 앞단정전 4중극을 제거한 것을 제외해서 도 5와 마찬가지이다. 이 전자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상기의 판형상격자전극의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나, 특히 판두께가 큰 제 4판형상격자전극(24)의 프레스가공에 있어서 유효하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3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컬러음극선관에 사용하는 인라인형 3빔전자총을 당해 인라인배열면과 직각인 면에서 센터빔을 따라서 절단한 것이다.
이 전자총은, 도 5에 표시한 중간격자전극군(27)을 제거한 것을 제외해서 도 5와 마찬가지이다. 이 전자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상기의 판형상격자전극의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나, 특히 판두께가 큰 제 4판형상격자전극(24)의 프레스가공에 있어서 유효하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전자총의 제 4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컬러음극선관에 사용하는 인라인형 3빔전자총을 당해 인라인배열면과 직각인 면에서 센터빔을 따라서 절단한 것이다.
이 전자총은, 도 5에 표시한 제 3격자전극군(23)을 단일의 통형상격자전극으로서 앞단정전 4중극을 제거하는 동시에, 중간격자전극군(27)을 제거한 것을 제외해서 도 5와 마찬가지이다. 이 전자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상기의 판형상격자전극의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나, 특히 판두께가 큰 제 4판형상격자전극(24)의 프레스가공에 있어서 유효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전형예인 인라인형 컬러음극선관의 구조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 컬러음극선관은, 형광면(4)를 구성하는 패널부(1)과, 전자총(13)을 수납하는 넥부(2)와, 패널부(1)과 넥부(2)를 서로 잇는 퍼넬부(3)으로 이루어진 진공엔빌로우프로 이루어진다.
퍼넬부(3)의 넥부(2)쪽에는 편향요크(12)가 외부장착되어 있다. 또, 패널부(1)의 내부에서, 형광면(4)에 근접해서 색선택전극인 새도마스크(5)가 당해 패널(1)의 안쪽벽에 매달아 지지되어 있다. 새도마스크(5)는 마스크프레임(6)에 한방향을 팽팽하게 걸어서 고정되고, 스프링(7)을 개재해서 패널부(1)의 안쪽벽에 매설한 스터드(8)에 매달려 있다. 또, 마스크프레임(6)에는 자기실드(9)가 고정되어 있다.
퍼넬부의 내벽에는 내장도전막(11)이 도포되어 있으며, 관벽을 관통해서 설치한 애노드버튼(10)에 공급되는 고전압(애노드전압Eb)을 전자총(13)의 양극과 형광면(4)에 인가한다.
넥부(2)에 수납된 전자총(13)은, 형광면(4)를 향해서 일수평면상에 거의 평행으로 3개의 전자빔 Bc, BsX2를 인라인에 출사하고, 새도마스크(5)에서 각각의 형광체마다 선별되어서 사돌하고, 소요의 컬러화상을 형성하여, 컬러화상을 재현한다.
이 컬러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판형상격자전극을 사용한 전자총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각실시예는, 3개의 전자빔을 발사하는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음극선관을 예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외에 단일의 전자빔을 사용하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을 구성하는 판형상격자전극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는 일없이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교차부분의 각도α를 70°이상 110°이하로 했으나, 교차부분의 각도α를 90°이상 110°이하로하면 음극선관내에서의 방전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는 2회의 펀칭에 의해 전극의 외형을 완성시켰으나, 3회이상의 펀칭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총을 구성하는 판형상격자전극의 프레스가공에 있어서, 끝말림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밤령은, 전자총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음극선관내의 내전압특성이 향상하고, 품질이 좋은 고신뢰성의 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형광면을 형성한 패널부와, 전자총을 수용한 넥부와, 패널부와 넥부를 연결하는 퍼넬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전자총은, 음극과, 복수의 격자전극과, 양극을 음극선관의 관축을 따라서 배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격자전극중 하나는 판형상격자전극이고, 상기 판형상 격자전극은, 제 1의 펀칭가공과 제 2의 펀칭가공을 포함해서 그 외형이 형성되고, 상기 판형상 격자전극의 제 1의 펀칭가공과 제 2의 펀칭가공의 교차부분의 각도는 70°이상 1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분의 각도는 90°이상 1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격자전극은 평면형상이 대략 직4각형이고, 그 한쪽의 대향하는 2변에 비딩유리에 매설되는 터부를 가지고, 상기 교차부분은 터부의 어느 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격자전극은, 평면형상이 대략 직4각형이고, 그 한쪽의 대향하는 2변에 비딩유리에 매설되는 터부를 가지고, 다른 대향하는 2변은 곡선이고, 상기 교차부분은 다른 대향하는 2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격자전극의 판두께는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형광면을 형성한 패널부와, 전자총을 수용한 넥부와, 패널부와 넥부를 연결하는 퍼넬부를 가진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총의 전극은, 제 1의 펀칭공정과 제 2의 펀칭공정을 포함하여 그 외형이 형성되고, 제 2의 펀칭공정은 제 1의 펀칭공정에 대해 전극쪽의 교차부분의 각도를 70°이상 110°이하에서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KR10-2000-0062101A 1999-10-22 2000-10-21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390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00502 1999-10-22
JP30050299 1999-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150A KR20010040150A (ko) 2001-05-15
KR100390284B1 true KR100390284B1 (ko) 2003-07-07

Family

ID=1788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101A KR100390284B1 (ko) 1999-10-22 2000-10-21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41903B1 (ko)
EP (1) EP1094489A3 (ko)
KR (1) KR100390284B1 (ko)
CN (1) CN11348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12B1 (ko) * 2001-07-05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총 전극
US6794807B2 (en) * 2001-10-15 2004-09-21 Samsung Sdi Co., Ltd.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468422B1 (ko) * 2002-05-14 2005-01-2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891A (ko) * 1987-12-26 1990-07-09 아오이 죠이찌 칼라 수상관 장치
JPH08250025A (ja) * 1995-03-13 1996-09-27 Toshiba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用電子銃の組立方法
JPH0987808A (ja) * 1995-09-28 1997-03-31 Nikko Kinzoku Kk 電子銃部品用Fe−Ni合金並びに電子銃プレス打ち抜き部品
KR19980072350A (ko) * 1997-03-04 1998-11-05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의 내부 도전막 형성 방법
KR19990043957A (ko) * 1997-11-30 1999-06-25 김영남 캐소드 스트랩 가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4044A (en) * 1979-05-18 1980-12-01 Hitachi Ltd Electrode structure of electron gun and its manufacture
JPS58163128A (ja) * 1982-03-23 1983-09-27 Toshiba Corp C−crt電子銃のグリツドの製造方法
KR910004753B1 (ko) * 1989-01-20 1991-07-10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 전자총용 전극의 제조방법
JPH05325828A (ja) * 1992-05-26 1993-12-10 Hitachi Ltd 陰極線管
JPH07249384A (ja) 1994-03-09 1995-09-26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JPH0831336A (ja) * 1994-07-13 1996-02-02 Sony Corp 電子銃用の主レンズ部材及び電子銃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891A (ko) * 1987-12-26 1990-07-09 아오이 죠이찌 칼라 수상관 장치
JPH08250025A (ja) * 1995-03-13 1996-09-27 Toshiba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用電子銃の組立方法
JPH0987808A (ja) * 1995-09-28 1997-03-31 Nikko Kinzoku Kk 電子銃部品用Fe−Ni合金並びに電子銃プレス打ち抜き部品
KR19980072350A (ko) * 1997-03-04 1998-11-05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의 내부 도전막 형성 방법
KR19990043957A (ko) * 1997-11-30 1999-06-25 김영남 캐소드 스트랩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94489A2 (en) 2001-04-25
EP1094489A3 (en) 2006-02-08
US6541903B1 (en) 2003-04-01
CN1134813C (zh) 2004-01-14
KR20010040150A (ko) 2001-05-15
CN1294406A (zh) 200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3566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apertured mask for a cathode-ray tube
JPH053695B2 (ko)
KR100390284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CZ278262B6 (en) Shadow mask for color picture tube
EP1096540A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de assembly
JPH0714527A (ja) 3つの非点収差レンズを設けたインライン電子銃を有するカラー画像管
US4584500A (en) Electron gun integral beam correctors in a color cathode ray tube
US6353281B2 (en) Cathode ray tube
KR100242924B1 (ko) 음극선관의 편향수차보정방법 및 이것을 적용한 음극선관 및 화상표시장치
US5189334A (en) Cathode ray tube having shadow mask
US4409513A (en) Electrode for an electron gun
KR100413173B1 (ko) 컬러 수상관
JP2001189139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133743A (ja) カラ−ブラウン管用電子銃
JP3058670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電極
US4898556A (en) Electron gun integral beam correctors and method
JP3818074B2 (ja) カラー受像管
KR100274898B1 (ko) 비점수차를 개선한 인라인 전자총_
KR930007365B1 (ko) 개선된 확대 접속 렌즈형의 인라인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 수상관
GB2144903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n gun having an astigmatic beam forming region
KR1003018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30004791Y1 (ko) 칼라 음극 선관용 전자총 구체
JP3562933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19990027067A (ko) 하프에칭 슬리트를 무효화면부분에 지니는 음극선관용 플랫마스 크
GB2240212A (en) Inline type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