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843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843B1
KR100301843B1 KR1019990020039A KR19990020039A KR100301843B1 KR 100301843 B1 KR100301843 B1 KR 100301843B1 KR 1019990020039 A KR1019990020039 A KR 1019990020039A KR 19990020039 A KR19990020039 A KR 19990020039A KR 100301843 B1 KR100301843 B1 KR 10030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lectron beam
electrode
diameter
mai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061A (ko
Inventor
조성호
김현철
손기복
김태규
김동영
김원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2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843B1/ko
Priority to JP37058699A priority patent/JP3677186B2/ja
Priority to CNB991273982A priority patent/CN1147913C/zh
Priority to US09/481,702 priority patent/US6373178B1/en
Publication of KR2001000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843B1/ko
Priority to JP2003097764A priority patent/JP2003303558A/ja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전자총에서 다이나믹 4극자(Dynamic Quadrupole)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에 관한 것으로, 고정세화 및 고주파의 사용으로 인한 화면상의 포커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렌즈경의 확대를 통한 화면상에서의 스폿경을 축소하는 경우 발생하는 DQ렌즈에서의 중앙빔과 외곽빔간의 불일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자빔(2)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8)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어전극(9)과 가속전극(10)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 프리 포커스렌즈부와, 화면 전영역에서 수직 할로를 제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 DQ렌즈부(13a)(13b)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2개의 주렌즈 형성전극으로 구성되어 주렌즈경 ≥ (네크경 × 0.26) + 1.4의 관계를 갖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DQ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전자빔부의 DQ렌즈 액션이 외곽 전자빔부보다 약해지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 또는 고정세도 산업용 모니터(Monitor)에 사용되는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자총에서 다이나믹 4극자(Dynamic Quadrupole)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횡단면도로서, 음극선관은 내측면에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물질이 도포된 패널(1)과, 상기 패널의 내측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전자빔(2)의 색선별역할을 하는 섀도우마스크(3)와, 상기 패널의 후방에 고정되는 펀넬(4)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4a)에 장착되어 전자빔(2)을 스크린측으로 주사하는 전자총(5)과,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전자총(5)의 각 전극들은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이 일정한 세기로 제어되어 스크린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전자빔이 통과하는 경로상에 수직되게 인라인(in-line)으로 배치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자총(5)은 히터(7)가 각각 내장되고 상호 독립되게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된 3개의 음극(8)과, 상기 음극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어 음극에서 발생되는 열전자를 제어하는 제 1 전극(9)과, 상기 제 1 전극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어 음극(8)의 전자 방사물질면(도시는 생략함)에 모여 있는 열전자를 당겨내어 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 2 전극(10) 및 제 3 전극(11), 제 4 전극(12), 제 5 전극(13a)(13b) 그리고 제 6 전극(14)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6 전극(14)의 상부에는 쉴드컵(1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쉴드컵에는 전자총(5)과 네크부(4a)를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면서 전자총을 네크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3개의 B.S.C(Bulb Space Connector)(1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전자총(5)은 음극(8)에 내장된 히터(7)가 스템핀(17)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면 상기 발열에 의해 음극(8)에서 전자가 방출되는데, 이렇게 방출되는 전자빔(2)은 제어전극인 제 1 전극(9)에 의해 제어되고 가속전극인 제 2 전극(10)에 의해 가속된 다음 제 2 전극(10), 제 3 전극(11), 제 4 전극(12) 그리고 제 5 전극(13a)(13b)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전자빔(2)은 분할된 2개의 제 5 전극(13a)(13b)사이에 형성되는 다이나믹 4극자렌즈(이하 'DQ렌즈'라 함)에 인가되는 편향량에 따라 가변되어 화면 주변부에서 스폿이 열화되는 현상을 보상하고, 주렌즈 형성전극인 포커스전극이라고도 불리는 제 5 전극(13a)과 애노드전극이라고도 불리는 제 6 전극(14)에 의해 주집속 및 가속된다.
이렇게 주집속 및 가속된 전자빔(2)은 형광면(18)에 근접되게 설치된 섀도우마스크(3)를 통과하면서 색선별되어 형광면(18)에 충돌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화면이 재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총(5)에서 방출된 전자빔(2)이 전자총을 떠나 스크린측으로 진행시 네크부(4a)에 설치된 편향요크(6)가 전자빔을 화면의 전영역에 걸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준다.
도 2는 종래 전자총의 주렌즈 전극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주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전극(13a)과 애노드전극(14)의 대향면에는 3개의 전자빔(2)에 공통인 경주트랙 형상의 림(Rim)부(19)(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림부에서 일정 간격 전극내부로 후퇴된 지점에는 중앙 전자빔만을 둘러싸고 중앙부로 만곡된 사각형의 전자빔 통과공(21a)(22a)을 가진 정전장제어전극체(21)(22)가 고정되어 주렌즈경을 확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림부(19)(20)는 전극 제작시 일정 강도를 유지하여 공경의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전극의 내부로 약 1mm 정도 말려 있다.
도 3은 종래 전자총의 다이나믹 4극자렌즈부 전극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5 전극의 음극측 전극(13b)에 수평(인라인 방향)이 수직(인라인에 수직한 방향)보다 작은 종장형의 키홀 형상을 갖는 3개의 전자빔 통과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 내부의 일정 간격 후퇴된 지점에는 3개의 원형 전자빔 통과공(24a)이 형성된 판상전극(24)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측 전극(13b)에 대향하는 제 5 전극의 스크린측 전극(13a)에 형성된 3개의 전자빔 통과공(25)에는 수평방향의 평판 돌출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평판 돌출부(26)는 중앙의 돌출부 높이(h1)가 외곽의 돌출부 높이(h2)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총의 설계특성 중 화면상의 스폿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렌즈배율, 공간전하반발력 그리고 주렌즈의 구면수차 등이 있다.
그 중 렌즈배율로 인한 스폿경(Dx)의 영향은 기본적인 전압조건과 촛점거리및 전자총의 길이 등이 확정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전자총에서 설계요소로써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적고 그 효과 또한 매우 미비하다.
상기 공간전하반발력은 전자빔내의 전자들이 서로 반발 및 충돌함에 따라 스폿경이 확대되는 현상으로서, 공간전하반발력으로 인한 스폿경(Dst) 확대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자빔이 진행하는 각도(이하 '발산각 : α'이라 함)가 커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반면에 주렌즈의 구면수차 특성은 렌즈의 근축을 통과한 전자와, 원축을 통과한 전자간의 촛점거리 차이로 인한 스폿경(Dic)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간전하반발력과는 반대로 전자빔이 주렌즈에 입사하는 발산각이 작으면 작을수록 화면상에서 더 작은 스폿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상의 스폿경(Dt)은 아래의 식과 같이 3가지 요소의 합산으로 표현된다.
특히, 공간전하반발력과 구면수차를 동시에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주렌즈경을 확대하여 발산각이 큰 전자빔이 입사되어도 구면수차로 인한 스폿의 확대를 줄이고, 주렌즈를 통과한 후의 공간전하반발력도 줄여주므로 화면에서의 작은 스폿 구현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주렌즈경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고정된 전압 조건과 구조 그리고 촛점거리에 대하여 최적의 물점거리를 계산한 다음 도 10a와 같이 그 물점에서 일정 각도 증가하면서 전자 레이를 발사하여 주렌즈를 통과시킨 후 도 10b와 같이 각 레이들의 발산각(α)과 전자빔 경(R)을 축으로 그래프를 그려 원형 렌즈의 상기 특성과 비교하여 특정 주렌즈의 렌즈경을 원형 주렌즈경으로 환산하므로 가능하다.
도 10b에 의한 결과로 볼 때, 수평 주렌즈경(H)은 약 11.5mm, 수직 렌즈경(V)은 약 7.6mm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주렌즈경에 따른 스폿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기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주렌즈경이 크면 클수록 주렌즈 구면수차로 인한 스폿경의 확대가 작아져 화면상에서의 스폿경을 축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렌즈경을 확대하는 방법으로는 주렌즈 형성전극의 공경을 기구적으로 확대하는 방법과, 렌즈 보정작용을 하는 정전장제어전극체의 깊이를 깊게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구적인 전극의 공경을 확대하는 것은 네크부의 직경이 29.1mm로 한정되어 있는 제한요소가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렌즈 정전장제어전극체의 깊이를 깊게 설계하고 있으나, 도 2의 주렌즈 구조에서 포커스전극(13a)의 정전장제어전극체(21) 깊이(L1)를 약 3mm, 애노드전극(14)의 정전장제어전극체(22) 깊이(L2)를 약 3.6m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3개의 전자빔에 동일한 렌즈의 집속도와 요구 비점수차 그리고 외곽빔의 중앙빔으로의 집속작용으로 인한 화면상에서의 외곽빔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OVC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설계가 불가능하다.
상기한 주렌즈에서 얻을 수 있는 주렌즈경의 한계는 표 1과 같다.
구 분 주렌즈 수평경 주렌즈 수직경
종 래 중앙 렌즈 7.9mm 7.8mm
외곽 렌즈 8.6mm 7.5mm
본 발 명 중앙 렌즈 11.5mm 7.5mm
외곽 렌즈 10.7mm 7.6mm
여기서 특히, 화면의 고정세화 및 고주파의 채용에 따른 포커스 향상을 위해서는 화면상에서의 수평 스폿경의 축소가 더욱 절실하며, 이에 따라 전자총에서는 수평 스폿경의 축소를 위해 수평 주렌즈경의 확대가 더욱 크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전자총의 수평 렌즈경은 중앙렌즈가 외곽렌즈에 비해 약 0.7mm 정도 작게 나타나 도 6에서의 상관관계로 알 수 있듯이 DQ렌즈의 액션인 DQ렌즈를 통과한 후 주렌즈부에서의 전자빔 종횡비는 중앙렌즈가 외곽렌즈에 비해 낮아 최적의 DQ렌즈 액션을 얻기 위해서는 외곽렌즈의 DQ렌즈 액션을 강화시키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즉,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DQ렌즈 액션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 5 전극의 음극측 돌출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야 되므로 DQ렌즈부의 스크린측 제 5 전극의 음극측 돌출부 높이는 중앙(h1)이 외곽(h2)보다 높게 형성되어야만 화면 주변부에서의 스폿의 수평방향 집속력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정세화 및 고주파의 사용으로 인한 화면상의 포커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렌즈경의 확대를 통한 화면상에서의 스폿경을 축소하는 경우 발생하는 DQ렌즈에서의 중앙빔과 외곽빔간의 불일치를 보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 프리 포커스렌즈부와, 화면 전영역에서 수직 할로를 제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 DQ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2개의 주렌즈형성전극으로 구성되어 주렌즈경 ≥ (네크경 × 0.26) + 1.4의 관계를 갖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DQ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전자빔부의 DQ렌즈 액션이 외곽 전자빔부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횡단면도
도 2는 종래 전자총의 주렌즈 전극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전자총의 DQ렌즈부 전극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렌즈 전극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주렌즈경에 따른 스폿경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주렌즈경과 DQ렌즈 액션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제 5 전극의 돌출부 높이와 DQ렌즈 액션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림부의 공경비율과 비점수차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주렌즈경과 정전장제어전극체 깊이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a 및 도 10b는 주렌즈경의 환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및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음극 27, 28 : 림부
29, 30 : 컵전극 31, 32 : 정전장제어전극체
33, 34 : 캡전극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렌즈 전극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종래 전자총의 주렌즈 구조와 유사한 3개의 전자빔에 공통인 림부(27)(28)를 가지는 컵모양의 전극(29)(30)과, 3개의 원형 전자빔 통과공(31a)(32a)을 가진 판상의 정전장제어전극체(31)(32)와, 캡모양의 전극(33)(34)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극들은 용접 공정 등을 통해 상호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본 발명에서는 림부(27)(28)의 최대 수평경과 최대 수직경의 비율을 0.45 이상으로 형성하면서 최대 수평경을 19.2mm 이상, 그리고 최대 수직경은 8.7mm 이상으로 구성하여 주렌즈경의 기구적 치수를 확대하면서 림부(27)(28)에서 정전장제어전극체(31)(32)까지의 거리(L1')(L2')가 3.9mm 이상되게 설정하여 주렌즈경을 최대한 확대하였다.
그리고 애노드전극(14)의 정전장제어전극체(32)의 깊이(L2')를 포커스전극(13a)의 정전장제어전극체(31)의 깊이(L1')보다 깊게 설정하였고, 림부(27)(28)의 공경을 증대시키기 위해 종래의 림부에 형성되었던 공경부의 말린부위를 삭제하였다.
이에 따라, 전극의 제작시 강도의 저하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종래보다 두꺼운 원재료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도 2와 같은 종래의 전자총 주렌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림부(19)(20)의 최대 수평경이 대략 19.0mm, 최대 수직경이 8.0mm 이었기 때문에 수평경과 수직경의 비율은 약 0.42 정도이었다.
그리고 정전장제어전극체(21)(22)의 깊이(L1)(L2)도 포커스전극(13a)은 약 3.5 ∼ 3.8mm 이고, 애노드전극(14)은 약 2.6 ∼ 3.6mm 로, 포커스전극(13a)의 정전장제어전극체(21)의 깊이(L1)가 애노드전극(14)의 정전장제어전극체(22)의 깊이(L2)보다 더 깊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렌즈 형성전극은 림부(27)(28)를 가지는 컵전극(29)(30)과, 판상의 정전장제어전극체(31)(32)와, 캡전극(33)(34)으로 구성하여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전자총에서 정전장제어전극체(21)(22)를 포커스전극(13a)과 애노드전극(14)에 고정하는 전자총 조립시 변형에 대한 대응강도가 약하여 정전장제어전극체 깊이 및 형상의 변형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현재 시장동향에서의 형광체 래드(Red)에 대하여 깊은 색감을 나타내는 디프 래드(Deep Red) 형광체의 비율이 그린(Green)과 블루(Blue)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므로써 야기되는 래드 전자빔 스폿의 포커스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외곽 주렌즈의 직경을 중앙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대하여 스폿의 축소를 해 줄 필요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외곽 주렌즈경을 확대하면서 발생되는 DQ렌즈의 중앙빔부와 외곽빔부간의 액션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외곽빔부의 DQ렌즈액션을 중앙빔부보다 더 강하게 형성시켜 화면 전영역에서 3개 전자빔의 균일한 포커스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전자총의 주렌즈경은 네크경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네크경 29.1mm 에서 주렌즈경의 중앙 전자빔부 렌즈경과 외곽 전자빔부 렌즈경간의 렌즈경 차이는 렌즈경 9.0mm 를 기준으로 그 이하에서 중앙이 외곽보다 렌즈경이 작고, 그 이상에서는 반대로 중앙이 외곽보다 렌즈경이 크게 나타내는 분기점이 된다.
네크경 24.4mm 의 경우는 렌즈경 약 8.0mm 이상에서 중앙렌즈가 외곽렌즈보다 렌즈경이 작아지는 분기점을 나타내며, 네크경 32.5mm 의 경우는 렌즈경 약 10.2mm 에서 분기점을 나타내는데,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네크경(mm) 24.3 29.1 32.5
주렌즈경(mm) 8.0 9.0 10.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중앙 렌즈경이 외곽 렌즈경보다 작게되는 주렌즈경은 네크경과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의 희귀선식을 가지게 된다.
주렌즈경 ≥ (0.26 × 네크경) + 1.4
상기 식에서 중앙 전자빔부의 DQ렌즈 액션이 외곽 전자빔부의 DQ렌즈 액션보다 약하여야만 된다.
도 6은 주렌즈경과 DQ렌즈 액션과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실험 결과로서, 주렌즈경이 크면 클수록 DQ렌즈 액션이 약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렌즈의 중앙빔부의 경이 외곽보다 작은 종래의 전자총인 경우 중앙빔부의 DQ렌즈의 액션을 외곽빔부보다 강하게 하여야 된다.
도 7은 제 5 전극의 스크린측 전극의 돌출부 높이와 DQ렌즈 액션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종래의 경우 중앙부의 돌출부 높이가 0.6mm, 외곽부의 돌출부 높이가 0.5mm 이나, 본 발명의 경우는 중앙부의 돌출부 높이가 0.75mm, 외곽부의 돌출부 높이가 0.85mm 이다.
종래의 전자총에서 주렌즈경을 확대하기 위해 주렌즈부의 정전장제어전극체(21)(22)의 깊이를 깊게 설정하면 3개 전자빔에 대한 렌즈의 동일한 액션 설계가 어려워 포커스전극(13a)의 주렌즈 정전장제어전극체(21)의 깊이(L1)를 3.8mm 이하, 그리고 애노드전극(14)의 정전장제어전극체(22)의 깊이(L2)를 3.6mm 이하로 제한하여야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부의 최대 수평경(H)과 최대 수직경(V)간의 비율(V/H)을 0.45 이상으로 설정하므로써 비점수차 특성을 -750V 이하로 얻을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정전장제어전극체의 깊이를 깊게 설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부(27)(28)의 최대 수평경과 최대 수직경간의 비율에 따른 주렌즈의 최적 설계가 가능한 최소 정전장제어전극체의 깊이(L)를 설계하여 본 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L ≥ 4.0 (V/H) + 2.1
또한, 정전장제어전극체(31)(32)의 깊이를 확대하면서 림부(27)(28)의 수평 및 수직경 비율을 0.45 이상으로 설계하므로써 종래의 전자총과는 달리 필수적으로 애노드전극(14)의 정전장제어전극체(32)의 깊이를 포커스전극(13a)의 정전장제어전극체(31)보다 깊어지게 설계하여야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렌즈경의 확대를 위해서는 주렌즈 형성전극의 기구적 공경의 확대와 정전장제어전극체의 깊이를 깊게 설계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구적으로 공경을 확대하여 주렌즈경을 확대시키기 위해 림부(27)(28)의 최대 수평경을 19.2mm 이상, 최대 수직경을 8.7mm 이상으로 확대하였다.
이에 따라, 19.0mm 이던 종래의 림부 수평경이 19.6mm 로, 그리고 8.0mm 이던 림부 수직경이 9.2mm 로 확대되어 주렌즈의 수평경이 8.8mm 에서 9.4mm로 약 7%정도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주렌즈부의 정전장제어전극체의 깊이는 포커스전극 3.5mm, 애노드전극은 2.6mm 로 동일하게 고정하였을 때의 결과이다.
그리고 정전장제어전극체의 깊이를 확대하여 주렌즈경을 확대하기 위해 림부의 최대 수평경과 최대 수직경의 비율을 0.45 이상으로 설계하므로써 도 8에서와 같이 정전장제어전극체가 없는 림부 자체의 비점수차가 종래의 0.42일 때, -850V 이던 것이 -750V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포커스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평경을 축소시키기 위해 수평 주렌즈경을 약 11.0mm 까지 확대하므로써 종래의 주렌즈에 비해 약 25% 확대하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 고정세화 및 고주파수 요구에 대응하는 작은 스폿경의 구현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중앙 렌즈경과 외곽 렌즈경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중앙빔부의 DQ렌즈 액션을 외곽빔부의 DQ렌즈 액션보다 약하게 하므로 화면 전영역에서 보다 우수한 포커스 특성을 얻게 된다.

Claims (4)

  1.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 프리 포커스렌즈부와, 화면 전영역에서 수직 할로를 제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된 DQ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2개의 주렌즈형성전극으로 구성되어 주렌즈경 ≥ (네크경 × 0.26) + 1.4의 관계를 갖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DQ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전자빔부의 DQ렌즈 액션이 외곽 전자빔부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렌즈 형성전극은 각각 주렌즈 형성전극의 상호 대향면에 3개 전자빔의 공통 통과공인 림부와, 상기 림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주렌즈 형성전극에 고정된 정전장제어전극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2 항에 있어서,
    림부의 수평경을 H, 수직경을 V, 림부에서 정전장제어전극체까지의 거리를 L이라 할 때, L ≥ 4.0(V/H) + 2.1 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Q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은 종장형 키홀 형상의 전자빔 통과공을 가진 전극과, 일부 수평 돌출된 평판전극이 전자빔 통과공의 주위에 형성된 전극이 상호 대향되게 구성되고, 상기 중앙 전자빔부의 평판전극 돌출부가 외곽 전자빔부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90020039A 1999-01-12 1999-06-01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0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039A KR100301843B1 (ko) 1999-06-01 1999-06-01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37058699A JP3677186B2 (ja) 1999-01-12 1999-12-27 カラー陰極線管用の電子銃
CNB991273982A CN1147913C (zh) 1999-01-12 1999-12-29 彩色阴极射线管电子枪
US09/481,702 US6373178B1 (en) 1999-01-12 2000-01-12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2003097764A JP2003303558A (ja) 1999-01-12 2003-04-01 カラー陰極線管用の電子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039A KR100301843B1 (ko) 1999-06-01 1999-06-01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061A KR20010001061A (ko) 2001-01-05
KR100301843B1 true KR100301843B1 (ko) 2001-09-29

Family

ID=1958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039A KR100301843B1 (ko) 1999-01-12 1999-06-01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34B1 (ko) * 2001-08-01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들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061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722B1 (ko) 컬러음극선관
US4764704A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CA2123021C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three astigmatic lenses
KR1003018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A1174263A (en) Electron gun with improved beam forming region
KR10032369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940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384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EP0275191B1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KR100221926B1 (ko) 해상도가 개선된 컬러음극선관
KR100198589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프리 포커스 렌즈부
KR100198562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프리 포커스 렌즈부
KR20010018884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39263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KR10031389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8161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20016878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KR20036082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5922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967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383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1893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4977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0136Y1 (ko) 메인렌즈의 중앙 전자빔통과공 플랜지부 음극선관의 다이내믹 전자총
KR20020003614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