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080B1 -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디코더 - Google Patents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080B1
KR100390080B1 KR10-2001-7004031A KR20017004031A KR100390080B1 KR 100390080 B1 KR100390080 B1 KR 100390080B1 KR 20017004031 A KR20017004031 A KR 20017004031A KR 100390080 B1 KR100390080 B1 KR 10039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coder
potential
transis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464A (ko
Inventor
토마스 뢰어
하인츠 회니히슈미트
촐탄 만요키
토마스 뵘
게오르크 브라운
에른스트 노이홀트
Original Assignee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7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16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hre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Logic Circuit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출력(WLi)에서 3가지 상이한 전위(-2V, 0V, 4V)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코더(DE)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2 전위(0V)는 제 1 전위(-2V)와 제 3 전위(4V) 사이에 놓인다. 상기 디코더(DE)에 의해서는, 상기 3가지 전위(-2V, 0V, 4V)중에서 임의의 전위가 단자(1, 2, 3, 4)에서의 전위에 따라 출력(WLi)에서 발생될 수 있다.

Description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디코더 {DECODER ELEMENT FOR PRODUCING AN OUTPUT SIGNAL WITH THREE DIFFERENT POTENTIALS}
본 발명은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개의 디코더를 갖는 하나의 디코더 그룹의 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2개의 디코더를 갖는 하나의 디코더 회로의 실시예이며,
도 3은 디코더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2개의 디코더 그룹을 갖는 하나의 디코더 회로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2개의 디코더 회로를 갖는 하나의 디코더 회로의 실시예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디코더의 제 3 단자에서 하나의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의 실시예이고,
도 6은 상기 디코더의 한 출력에서 상이한 3가지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도 1에 따른 디코더의 단자에서의 전위를 나타낸 표이며,
도 7은 상기 디코더의 한 출력에서 상이한 3가지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도 3에 따른 디코더의 단자에서의 전위를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신호에 의존하여 하나의 출력에서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디코더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디코더를 포함하고, 제 3 및 제 4의 단자 연결부가 각각 서로 연결된 하나의 디코더 그룹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각각 상이한 3가지 전위를 갖는 2개의 상이한 출력에서 2개의 출력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디코더 그룹을 포함하고, 4개의 모든 디코더의 제 4 단자 연결부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디코더 회로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각각 상이한 3가지 전위를 갖는 4개의 출력에서 4개의 출력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각각 하나의 출력(WL0, WL1)을 갖는 2개의 디코더(DE)를 구비한 하나의 디코더 그룹(DG)을 보여준다. 각각의 디코더(DE)는 제 1 단자와 접지(0V) 사이에, p-채널-타입의 제 1 트랜지스터(T1) 및 n-채널-타입의 제 2 트랜지스터(T2)로 이루어진 하나의 직렬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디코더(DE)의 제 2 단자(2)는 p-채널-타입의 제 3 트랜지스터(T3) 및 n-채널-타입의 제 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제 3 단자(3)와 접속되며, 상기 실시예에서 제 3 단자(3)에는 -2V의 전위가 각각 인가된다. 상기 제 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는 출력(WLi)과 접속된다. 또한 상기 출력(WLi)은 n-채널-타입의 제 5 트랜지스터(T5)를 통해 제 3 단자(3)와 접속된다. 제 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는 제 3 트랜지스터(T3) 및 제 4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과 접속된다. 각 디코더(DE)의 제 4 단자(4)는 제 1 트랜지스터(T1), 제 2 트랜지스터(T2) 및 제 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와 접속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2개 디코더(DE)의 제 4 단자가 서로 접속된다.
도 1의 각각의 디코더는 4개 단자(1, 2, 3, 4)에서의 신호에 따라 상이한 3가지 전위를 취할 수 있는 출력 신호를 개별 출력(WLi)에서 발생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6에서는 단자에서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 3 단자에는 전위가 일정하게 -2V로 인가되기 때문에, 도 6에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다.
제 4 단자(4)에는 4V가 인가되고(디코더의 비활성) 제 1 단자(1) 및 제 2 단자(2)에는 제 1 트랜지스터(T1) 또는 제 3 트랜지스터(T3)의 작동 전압을 가산하여 최대 4V에 달하는 전위가 인가되면, 출력(WLi)에서 0V의 전위가 발생된다는 것을 도 6에서 알 수 있다.
제 4 단자(4)에서의 전위가 -2V로 변동되자마자, 디코더(DE)는 활성화되고 출력(WLi)에서의 전위는 제 1 단자(1) 및 제 2 단자(2)에서의 전위에 의존한다. 그 다음에 제 1 단자(1)에 4V가 인가되고 제 2 단자(2)에 -2V가 인가되면, 출력(WLi)에서 4V의 전위가 얻어진다. 디코더(DE)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 1 단자(1)에 -2V가 인가되고 제 2 단자(2)에 4V가 인가되면, 출력(WLi)에서 -2V의 전위가 얻어진다.
도 1에 따른 디코더의 기능 방식은 하기와 같다: 제 4 단자(4)에 4V가 인가되면, 4V + 개별 트랜지스터의 작동 전압보다 더 큰 전위가 제 1 단자(1) 및 제 2 단자(2)에 인가되지 않는 한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3 트랜지스터(T3)는 차단된다. 그와 동시에 제 2 트랜지스터(T2)가 도통 접속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접지(()V)가 출력(WLi)에 인가된다. 제 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가 출력(WLi)과 연결되기 때문에, 접지가 제 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에도 인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제 4 트랜지스터(T4)는 도통된다. 그럼으로써 제 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에는 제 3 단자(3)의 전위 V = -2V가 인가된다. 그에 따라 제 5 트랜지스터(T5)는 차단되고, 제 3 단자(3)는 출력(WLi)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제 4 단자(4)에 -2V가 인가되고 제 1 단자(1)에 4V가 인가되며, 제 2 단자(2)에 -2V가 인가되면, 제 1 트랜지스터(T1)는 도통되는 한편, 제 2 트랜지스터(T2) 및 제 3 트랜지스터(T3)는 차단된다. 그에 따라 4V가 출력(WLi)에 인가됨으로써 제 4 트랜지스터(T4)도 또한 도통 접속된다. 그에 따라 재차 전위 V = -2V가 제 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는 차단된다.
제 4 단자(4)에 -2V의 전위가 인가되고 제 1 단자(1)에 -2V가 인가되며, 제 2 단자(2)에 4V가 인가되면, 제 3 트랜지스터(T3)는 도통되는 한편,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는 차단된다. 그와 동시에 제 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에 4V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T5)는 도통 접속되어 제 3 단자(3)를 출력(WLi)과 접속시킨다. 그럼으로써 출력(WLi)은 -2V의 전위를 취하게 되는동시에 제 4 트랜지스터(T4)는 차단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 4 단자(4)의 전위가 4V인 경우에는 2개의 출력(WL0, WL1)에서 0V의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가 얻어진다. 제 4 단자(4)에서의 -2V 전위에 의해서 디코더(DE)가 활성화되면, 출력(WL0)에서는 4V의 전위가 그리고 다른 출력(WL1)에서는 -2V의 전위가 얻어지거나 또는 그 반대로 얻어지는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부 디코더(DE)의 제 1 단자(1)가 하부 디코더(DE)의 제 2 단자(2)와 접속되고, 상부 디코더의 제 2 단자(2)가 하부 디코더의 제 1 단자(1)와 접속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코더(DE)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바람직하게 출력(WL0, WL1)에 서로 상보적인 전위가 인가될 수 있다.
상부 디코더의 제 1 단자(1) 및 하부 디코더(DE)의 제 2 단자(2)에는 제 1 신호(DRV)가 제공된다. 상부 디코더의 제 2 단자(2) 및 하부 디코더(DE)의 제 1 단자(1)에는 제 2 신호(R)가 제공된다. 제 4 단자(4)에는 제 3 신호(DEC0)가 제공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2개의 디코더 그룹을 갖는 하나의 디코더 회로를 보여준다. 각각의 디코더 그룹(DG)은 2개의 디코더(DE)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디코더 그룹(DG)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디코더 제 1 단자(1) 및 제 2 단자(2)에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제 1 신호(DRV) 및 제 2 신호(R)가 제공된다. 물론 도 2의 상부 디코더 그룹(DG)의 제 4 단자(4)에는 제 3 신호(DEC0)가 제공됨으로써, 하부 디코더 그룹(DG)의 제 3 신호(DEC1)와 구별된다. 도 2의 제 3신호들(DEC0, DEC1)은 본 실시예의 3개의 어드레스 비트(A0, A1, A2)로부터 NAND-게이트(N)에 의해서 발생된다. 상기 3개의 어드레스 비트(A0, A1, A2)가 높은 레벨을 갖는 경우에만 상부 제 3 신호(DEC0)가 -2V의 낮은 레벨을 가지는 한편, 도 2의 하부 제 3 신호(DEC1)는 2개의 제 1 어드레스 비트(A0, A1)가 높은 레벨을 가지고 제 3 어드레스 비트(A2)가 낮은 레벨을 갖는 경우에만 -2V의 낮은 레벨을 갖는다. 상기 어드레스 비트(A0, A1, A2)를 통해서는 개별 디코더 그룹(DG)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이루어진다.
도 2에서는 또한, 제 2 신호(R)가 제 1 신호(DRV)로부터 인버터(I)를 통해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DRV) 및 제 2 신호(R)는 본 실시예에서 -2V 또는 4V 중에서 단 하나의 전위만을 취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활성화된 각각의 디코더(DG)의 출력(WL0)에서는 다른 출력(WL1)에서와 다른 전위가 얻어진다.
도 2의 디코더 회로에 의해서는, 제 1 신호(DRV) 및 제 2 신호(R)와 연결된 디코더 그룹(DG)이 다수인 경우에 모든 디코더 그룹이 하나가 될 때까지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비활성화된 디코더 그룹(DG)의 2개 출력에는 0V의 전위가 인가된다. 디코더 그룹(DG)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하나의 출력에서는 4V의 전위가, 그리고 다른 출력에서는 -2V의 전위가 얻어진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디코더 회로는 예를 들어 각각 하나의 출력(WLi)과 접속된 집적 메모리 내부에 있는워드라인을 제어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디코더 회로는 집적 메모리의 워드라인 디코더이다.
도 3은, 각각 2개의 디코더(DE)를 갖는 각각 2개의 디코더 그룹(DG)이 하나의 공통의 제 4 단자(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디코더 회로의 일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3의 각각의 디코더(DE)는 하기의 점에서만 도 1의 디코더와 구별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과 제 2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사이에는 p-채널-타입의 제 6 트랜지스터(T6)가 배치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는 접지와 접속된다. 그밖에 상부 디코더 그룹(DG)의 디코더(DE)의 제 3 단자(3)는 전위 V0과 접속되고, 하부 디코더 그룹(DG)의 디코더(DE)의 제 3 단자(3)는 전위 V1과 접속된다. 각각의 디코더(DE)의 제 1 단자(1)에는 제 1 신호(DRVi)가 인가되고, 제 2 단자(2)에는 제 2 신호(Ri)가 인가된다.
도 5로부터는, 도 3에 도시된 디코더(DE)의 제 3 단자(3)에서의 전위 발생을 알 수 있다. 도 3의 상부 디코더 그룹(DG)을 위한 전위(V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코더 그룹의 2개 디코더(DE)의 제 2 신호(R0, R1)로부터 발생된다. 도 3에 도시된 하부 디코더 그룹(DG)의 디코더(DE)의 제 3 단자(3)에서의 전위(V1)는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디코더의 제 2 신호(R2, R3)로부터 발생된다. 도 5에 따라 제 2 신호(R0, R1)는 NAND-게이트(N)의 입력과 접속되고, 상기 게이트의 출력은 인버터(I)를 통해 레벨 변환기(LS)와 접속되며, 상기 변환기의 출력에서는 제 3 단자(3)의 전위(V0)가 발생된다. 상기 NAND-게이트(N) 및 인버터(I)에는 4V 및 -2V가 공급되는 한편, 레벨 변환기(LS)에는 0V 및 -2V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변환기의 출력에서의 전위는 0V 또는 -2V를 취하게 된다. 상기 2개의 제 2 신호(R0, R1)가 4V의 높은 레벨을 가지면, 전위(V0)는 0V이다. 상기 제 2 신호(R0, R1) 중에서 하나의 신호가 -2V의 낮은 레벨을 가지자마자, 전위(V0)도 또한 -2V의 값을 취한다.
도 7로부터는, 도 3에 도시된 디코더(DE)의 출력(WLi)에서의 전위가 단자(1, 2, 3, 4)에서의 전위에 따라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별 트랜지스터(T1, T3)의 작동 전압(U)을 가산한 제 1 단자(1) 및 제 2 단자(2)의 전위가 초과하지 않는 한, 제 4 단자(4)에서의 전위가 4V의 높은 레벨을 가짐으로써 재차 디코더(DE)의 비활성화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 3 단자에서의 전위(Vi)는 임의적일 수 있다. 그 경우에는 개별 출력(WLi)에서 0V의 전위가 얻어진다.
디코더의 제 4 단자(4)에서의 전위가 -2V의 낮은 레벨을 취함으로써 디코더(DE)가 활성화되면, 출력(WLi)에서의 전위는 제 1, 제 2 및 제 3 단자의 전위에 의존한다. 제 1 단자(1)에 4V가 인가되고, 제 2 단자(2)에 -2V가 인가되며 제 3 단자(3)에 -2V가 인가되면, 출력(WLi)에서 4V의 전위가 얻어진다. 제 1 단자(1) 및 제 3 단자(3)에 -2V가 인가되고 제 2 단자(2)에 4V가 인가되면, 출력(WLi)에서 -2V가 얻어진다. 제 1 단자(1)에 -2V가 인가되고, 제 2 단자(2)에 4V가 인가되며 제 3 단자(3)에 0V가 인가되면, 출력(WLi)에서 0V의 전위가 얻어진다.
방금 전에 기술한 출력 전위의 발생시에 디코더(DE)의 기능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디코더의 기능 방식과 대체로 일치한다. 디코더가 활성화될 때(제 4단자(4)에서의 전위가 -2V일 때) 및 제 1 단자(1)에 -2V가, 제 2 단자에 4V가 그리고 제 3 단자(3)에 0V가 인가될 때에는 도통 접속된 제 5 트랜지스터(T5)를 통해 출력(WLi)과 접속된 0V의 전위가 제 1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에 직접 인가되지 않도록 도 3의 제 6 트랜지스터(T6)가 작용하며, 그럼으로써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가 도통 접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디코더 회로(DC)에 의해서는, 관련 제 2 신호(R2, R3)가 4V의 높은 전위를 취하는 동시에 2개의 상부 출력(WL0, WL1)에서 서로 상보적인 -2V 및 4V의 전위가 발생되어 상기 제 2 신호(R0, R1)가 서로 상이한 전위를 취함으로써, 디코더(DE)의 활성시(제 4 단자(4)에서의 전위 = -2V) 예를 들어 2개의 하부 출력(WL2, WL3)에서는 0V의 전위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2개의 디코더 회로를 갖춘 하나의 디코더 회로를 보여준다. 상기 회로의 기능 방식은 실제로 도 2의 실시예의 기능 방식과 일치한다. 그렇기 때문에 도 4에서는 다시 한번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 1 신호(DRVi)가 필요하며, 상기 신호로부터 인버터(I)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관련된 제 2 신호(Ri)가 발생된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동일한 형태의 추가 디코더 회로(DC)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디코더 장치가 임의로 확대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밖에, 각각 별도의 제 1 신호(DRVi) 및 제 2 신호(Ri)를 갖는 추가의 디코더 그룹(DG)을 부가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디코더 회로(DC)를 확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의 장점은, 부트스트랩-효과 없이 출력(WLi)에서 3가지의 출력 전위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디코더는 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Claims (9)

  1. 하나의 출력(WLi)에서 상이한 3가지 전위(-2V, 0V, 4V)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디코더(DE)로서,
    상기 제 2 전위(0V)는 제 1 전위(-2V)와 제 3 전위(4V) 사이에 놓이며,
    제 1 도전형의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도전형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제 2 전위(0V)와 연결된 제 1 단자(1)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와 제 2 트랜지스터(T2) 사이에서 하나의 스위칭 단자가 출력(WLi)과 접속되며,
    제 1 도전형의 제 3 트랜지스터(T3) 및 제 2 도전형의 제 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제 3 단자(3)와 접속된 제 2 단자(2)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T4)의 제어 단자가 출력(WLi)과 접속되며,
    제 1 트랜지스터(T1), 제 2 트랜지스터(T2) 및 제 3 트랜지스터(T3)의 제어 단자와 접속된 제 4 단자(4)를 포함하며,
    출력(WLi)과 제 3 단자(3) 사이에 배치된 제 2 도전형의 제 5 트랜지스터(T5)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가 제 3 트랜지스터(T3)와 제 4 트랜지스터(T4) 사이에서 스위칭 노드와 접속되도록 구성된 디코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위(-2V)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제 2 단자(2)에는제 3 전위(4V)가 인가되고, 제 1 단자(1), 제 3 단자(3) 및 제 4 단자(4)에는 제 1 전위(-2V)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전위(0V)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개별 단자(1, 2)와 접속된 트랜지스터(T1, T3)의 동작 전압(U-)을 가산한 제 3 전위(4V) 보다 더 작은 전위가 제 1 단자(1) 및 제 2 단자(2)에 인가되고, 제 4 단자(4)에는 제 3 전위(4V)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전위(0V)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제 1 단자(1)에는 제 1 전위(-2V)가 인가되며, 제 2 단자(2)에는 제 3 전위(4V)가 인가되고, 제 3 단자(3)에는 제 2 전위(0V)가 인가되며, 제 4 단자(4)에는 제 1 전위(-2V)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전위(4V)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제 1 단자(1)에는 제 3 전위(4V)가 인가되고, 제 2 단자(2), 제 3 단자(3) 및 제 4 단자(4)에는 제 1 전위(-2V)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트랜지스터(T1)가 제 1 도전형의 제 6 트랜지스터(T6)를 통해 제 2 트랜지스터(T2)와 접속되며, 제 6 트랜지스터(T6)와 제 2 트랜지스터(T2) 사이에서 하나의 스위칭 노드가 출력(WLi)과 접속되며, 상기 제 6 트랜지스터(T6)의 제어 단자가 제 2 전위(0V)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7. 제 1 항에 따른 2개의 디코더(DE)를 갖춘 디코더 그룹(DG)으로서,
    상기 디코더(DE)의 제 3 단자(3) 및 제 4 단자(4)가 각각 서로 접속되는 디코더 그룹.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DE)의 제 1 단자(1)가 제 2 디코더(DE)의 제 2 단자(2)와 접속되며,
    상기 제 1 디코더(DE)의 제 2 단자(2)가 제 2 디코더(DE)의 제 1 단자(1)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그룹.
  9. 제 7 항에 따른 2개의 디코더 그룹(DG)을 갖는 디코더 회로로서,
    4개의 모든 디코더(DE)의 제 4 단자(4)가 서로 접속되는 디코더 회로.
KR10-2001-7004031A 1998-09-29 1999-07-28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디코더 KR100390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4728A DE19844728C1 (de) 1998-09-29 1998-09-29 Decoderelement zur Erzeugung eines Ausgangssignals mit drei unterschiedlichen Potentialen
DE19844728.0 1998-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464A KR20010075464A (ko) 2001-08-09
KR100390080B1 true KR100390080B1 (ko) 2003-07-04

Family

ID=788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031A KR100390080B1 (ko) 1998-09-29 1999-07-28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디코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92445B2 (ko)
EP (1) EP1118080A1 (ko)
JP (1) JP3505149B2 (ko)
KR (1) KR100390080B1 (ko)
CN (1) CN1139074C (ko)
DE (1) DE19844728C1 (ko)
TW (1) TW448622B (ko)
WO (1) WO2000019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8545A (ja) * 2003-04-25 2004-11-18 Sharp Corp デコード回路ならびにそれを用いる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受光アンプ回路および光学ピックアップ
EP2568155B1 (en) 2011-09-09 2018-11-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alve assembly and injection valve
CN103117085B (zh) * 2013-01-25 2016-06-08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行译码器的偏置电压产生电路及存储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6275A (ko) * 1975-02-20 1976-08-24
EP0061513B1 (de) * 1981-04-01 1984-10-10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Integrierte Auswahlschaltung in CMOS-Technik für vier Potentiale und deren Vereinfachung für drei Potentiale
US5079552A (en) * 1990-01-11 1992-01-07 U.S. Philips Corporation Digital-to-analog converter
US5274278A (en) * 1991-12-31 1993-12-28 Intel Corporation High-speed tri-level decoder with dual-voltage isolation
JPH0969295A (ja) * 1995-08-31 1997-03-11 Sanyo Electric Co Ltd 不揮発性多値メモリ装置
DE19841445C2 (de) 1998-09-10 2002-04-25 Infineon Technologies Ag Halbleiter-Schaltungs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0266A (zh) 2001-10-31
US20010026485A1 (en) 2001-10-04
JP3505149B2 (ja) 2004-03-08
DE19844728C1 (de) 2000-03-30
JP2002526952A (ja) 2002-08-20
KR20010075464A (ko) 2001-08-09
US6392445B2 (en) 2002-05-21
WO2000019435A1 (de) 2000-04-06
EP1118080A1 (de) 2001-07-25
TW448622B (en) 2001-08-01
CN1139074C (zh)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924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30518B2 (en) Level shifter having low peak current
KR96000352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칩 초기화 신호 발생회로
KR940018864A (ko) 반도체 장치
US7629830B1 (en) Voltage level shifter
US5608344A (en) Comparator circuit with hysteresis
US5180965A (en) Direct-current power source circuit with back gate control circuit for power MOS-FET
US20030098712A1 (en) Level conversion circuit for which an operation at power voltage rise time is stabilized
US5939932A (en) High-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channel breakdown prevention
KR100390080B1 (ko) 3가지 상이한 전위를 갖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디코더
KR970001697B1 (ko) 레벨 변환 회로
JP2769653B2 (ja) 反転回路
KR0135477B1 (ko) 다(多)비트 출력 메모리 회로용 출력 회로
KR950001992A (ko) 반도체 트랜지스터로 형성된 논리게이트 회로
US6396740B1 (en) Reference cell circuit for split gate flash memory
JP3147869B2 (ja) 半導体集積回路
US6480055B2 (en) Decoder element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having three different potentials and an operating method for the decoder element
US6639445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H11326398A (ja) 電圧検知回路
KR100186345B1 (ko) 레벨시프트 회로
KR100384833B1 (ko) 면적 소모가 적은 레벨 쉬프터
KR100215761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레벨 쉬프트회로
JPH0793557B2 (ja) 半導体回路
KR100237627B1 (ko) 문턱전압 둔감회로
JP3031090B2 (ja) 出力ポート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