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411B1 - 전원코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코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411B1
KR100389411B1 KR10-2000-0071060A KR20000071060A KR100389411B1 KR 100389411 B1 KR100389411 B1 KR 100389411B1 KR 20000071060 A KR20000071060 A KR 20000071060A KR 100389411 B1 KR100389411 B1 KR 10038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holder
power cord
outer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249A (ko
Inventor
오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0-007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4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코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코드(54)가 내부에 수납되는 도관(50)을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20)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철판을 프레스하여 형성한 도관홀더(30)와 도관커버(40)를 사용한다. 상기 도관홀더(30)와 도관커버(40)는 상기 아웃케이스(20)에 동시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도관홀더(30)에는 상기 도관(50)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52)이 걸려지는 걸림턱(33)이 형성되고 상기 도관커버(40)의 도관수납부(42)에도 상기 요철(52)이 걸려지는 걸림돌기(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관수납부(42)는 그 기저부분(42a)과 선단부분(42b)이 소정의 높이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코드 고정장치의 부품이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가 절감되고 도관(50)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원코드 고정장치{A fastening apparatus for power cord}
본 발명은 전원코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를 전자제품의 아웃케이스를 관통하도록 고정하는 전원코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1)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통공(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2)의 주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나사(15,15')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통공(2)을 통해서는 도관(3)이 설치되고 상기 도관(3)의 내부에는 전원코드(5)가 설치된다.여기서 상기 도관(3)은 상기 아웃케이스(1)의 내부까지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전원코드(5)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도관(3)에는 그 외면에 나선형으로 요철부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관(3)을 상기 아웃케이스(1)에 고정하기 위해 도관홀더(7)를 사용하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관홀더(7)는 도관을 아웃케이스(1)에 고정하는 것으로 그 양측에는 체결날개(8,8')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날개(8,8')에는 체결나사(15,15')가 관통되는 체결공(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관홀더(7)에는 상기 아웃케이스(1)의 통공(2)을 통해 아웃케이스(1)의 내부로 삽입되는 나사부(10)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0)에는 상기 아웃케이스(1)의 내부에서 너트(11)가 체결되어 상기 도관홀더(7)를 아웃케이스(1)에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도관커버(12)가 상기 도관(3)이 상기 통공(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도관홀더(7)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을 복개한다. 상기 도관커버(12)는 상기 아웃케이스(1)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아웃케이스(1)와의 사이에 상기 도관(3)이 위치되게 한다.
상기 도관커버(12)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도관홀더(7)의 체결날개(8,8')와 대응되는 체결날개(13,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날개(13,13')에는 각각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4)에는 체결나사(15,15')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가 아웃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아웃케이스(1)의 통공(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관(3)에 도관홀더(7)를 끼우고, 상기 도관커버(13)의 체결날개(13,13')에 형성된 체결공(14)과 상기 도관홀더(7)의 체결날개(8,8')에 형성된 체결공(9)을 일치시킨 후, 상기 체결나사(15,15')를 상기 체결공(9)(14)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15,15')는 상기 아웃케이스(1)의 체결공(2')에 함께 체결한다.
이때 상기 도관홀더(7)의 나사부(10)는 상기 아웃케이스(1)의 통공(2)을 통해 아웃케이스(1)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10)에 상기 너트(11)를 체결하여 상기 도관홀더(7)가 아웃케이스(1)에 체결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도관(3)은 상기 도관홀더(7)에 의해 체결되어 아웃케이스(1)에 체결되는데, 상기 도관(3)을 상기 나선형의 요철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쉽게 상기 도관홀더(7)와 도관커버(12)에서 쉽게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전원코드 고정장치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작업이 복잡하며, 상기 도관홀더(7)와 도관커버(12)는 다이캐스팅으로 형성하므로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또한 상기 도관홀더(7)에는 나사부(10)를 형성하여야 하고 상기 도관홀더(7) 및 도관커버(12)에도 다수개의 체결공(9)(14)을 가공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구성부품이 간소화된 전원코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코드를 아웃케이스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전원코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에 의해 전원코드가 아웃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고정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관커버 및 도관홀더와 도관이 결합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관커버, 도관홀더 및 도관이 하나의 조립체로 된 상태를 보인 조립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전원코드가 아웃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조립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관이 도관홀더와 도관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보인 고정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아웃케이스 22: 통공
24: 가이드슬롯 26: 걸림편
28: 체결공 29: 가이드공
30: 도관홀더 32: 통공
34: 삽입가이드편 36: 삽입슬롯
37: 체결공 38: 조립공
40: 도관커버 42: 도관수납부
42a: 기저부분 42b: 선단부분
43: 걸림돌기 44: 체결공
45: 조립공 46: 삽입가이드편
50: 도관 52: 요철
54: 전원코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고 소정 길이의 가이드슬롯과 전원코드의 관통을 위한 통공을 구비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전원코드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아웃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며 그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도관과, 상기 도관이 통과하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도관의 요철이 일측에 걸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이 구비되며 일측에 소정 길이의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통공을 복개하도록 상기 아웃케이스에 체결되는 도관홀더와, 상기 도관이 수납되는 도관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이 구비되어 상기 도관홀더를 아웃케이스에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도관홀더 상에 체결되어 상기 도관홀더를 통과하는 도관의 부분을 복개하고 상기 도관의 요철이 일측에 걸어지는 도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에는 상기 도관홀더를 걸어주는 걸림편이 구비된다.
상기 도관홀더는 철판을 프레스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일측에는 상기 도관의 요철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도관커버는 철판을 프레스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기 도관이 수납되는 도관수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관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도관의요철이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도관수납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도관홀더에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설치위치가 안내되고, 상기 도관홀더와 도관커버에는 각각 삽입슬롯과 삽입돌편이 구비되어 서로의 체결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도관홀더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도관커버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상기 도관의 나선형 요철의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상기 도관의 끝부분에는 테이프가 감아지고 상기 테이프가 감아지는 부분은 상기 도관삽입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전원코드의 고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도 견고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20)의 일측에는 통공(2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품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통공(22)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에는 가이드슬롯(24)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24)은 아래에서 설명될 도관홀더(30)의 삽입가이드편(34)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통공(22)의 타측에는 걸림편(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26)은 도관홀더(30)를 상기 아웃케이스(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22)의 양측, 즉 상기 가이드슬롯(24)과 인접한 위치와 그 반대되는 위치에는 체결공(28)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28)은 도관홀더(30)를 체결나사(60,60')로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일측 체결공(28)과 걸림편(26)의 사이에는 가이드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공(29)은 아래에서 설명될 조립나사(62)의 끝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도관홀더(30)는 상기 통공(22)을 복개하도록 상기 아웃케이스(20)에 체결된다. 상기 도관홀더(30)는 철판을 프레스하여 만드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도관(50)이 관통되는 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2)의 일측으로는 도관(50)의 요철(52)이 걸려지는 걸림턱(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33)의 형성 방향은 상기 요철(52)의 나선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관홀더(30)의 일측에는 상기 아웃케이스(20)의 가이드슬롯(24)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가이드편(34)은 상기 가이드슬롯(24)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도관홀더(30)의 조립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삽입가이드편(34)은 상기 도관홀더(30)의 일측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한 것이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될 도관커버(4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삽입슬롯(36)이 상기 도관홀더(30)의 일측에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관홀더(30)에는 상기 통공(32)을 중심으로 양측에 체결공(3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7)은 상기 아웃케이스(20)에 형성되는 체결공(28)과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아웃케이스(20)의 가이드공(29)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조립공(38)이 천공되어 있다.
도관커버(40)는 상기 도관홀더(30)의 통공(32)을 통과하여 나온 도관(50)을 복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도관홀더(30)에 체결된다. 상기 도관커버(40)는 철판을 프레스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그 중앙에서 일단부를 향해 도관수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관수납부(42)는 상기 도관홀더(30)와의 사이에서 도관(50)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도관수납부(42)는 도관커버(40)의 일면에서 보면 요입형성되고 타면에서 보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관수납부(42)는 상기 도관홀더(30)의 통공(32)에 대응되는 기저부분(42a)과 상기 걸림돌기(43)가 형성된 선단부분(42b)이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분(42a)이 선단부분(42b)에 비해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상기 도관수납부(42)에는 도관(50)의 요철(52)이 걸려지는 걸림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43)는 상기 도관수납부(42)의 요입형성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43)는 상기 요철(52)의 형성방향에 대해 상기 걸림턱(33)과는 반대방향 또는 도관(5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관커버(40)에는 상기 도관홀더(30)의 체결공(37)에 대응되는 체결공(44)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조립공(38)과 대응되는 조립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관커버(40)의 일측에는 상기 도관홀더(30)의 삽입슬롯(36)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삽입가이드편(46)은 상기 도관커버(4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품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54)는 도관(50)의 내부에수납되어 아웃케이스(20)의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도관(50)은 상기 도관홀더(30)와 도관커버(40)에 의해 상기 아웃케이스(20)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외면에 나선형의 요철(5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관(50)의 끝부분에서부터 상기 도관(50)을 빠져나온 상기 전원코드(54)의 부분까지를 테이프(T)로 감아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관홀더(30)와 도관커버(40)는 체결나사(60,60')에 의해 상기 아웃케이스(20)에 체결되고, 체결전에 상기 도관홀더(30)와 도관커버(40)는 조립나사(62)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정장치에 의해 전원코드(54)가 들어 있는 도관(50)이 아웃케이스(20)에 체결되는 것을 설명한다. 즉 전원코드(54)가 들어 있는 도관(50)의 일단부를 상기 도관홀더(30)의 통공(32)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도관(50)에서 나온 전원코드(54)는 통공(32)을 통해 소정 길이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관홀더(30)의 걸림턱(33)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관(50)의 요철(52)에 걸려지도록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관홀더(30)의 상면에 상기 도관커버(4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도관홀더(30)의 삽입슬롯(36)에 상기 도관커버(40)의 삽입가이드편(46)이 삽입되게 하고, 상기 도관수납부(4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43)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관(50)의 일측 요철(52)에 걸려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나사(62)를 상기 도관커버(40)와 도관홀더(30)의 조립공(45)(38)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도관홀더(30), 도관커버(40) 및 도관(50)이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 및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체를 상기 아웃케이스(20)에 체결하면 된다. 이때에는 상기 도관홀더(30)의 삽입가이드편(34)을 상기 아웃케이스(20)의 가이드슬롯(24)에 위치시키고 상기 조립나사(62)의 끝부분을 상기 아웃케이스(20)의 가이드공(29)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60,60')를 각각 상기 도관홀더(30)의 체결공(37), 도관커버(40)의 체결공(44) 및 아웃케이스(20)의 체결공(28)에 체결시켜 상기 조립체를 아웃케이스(20)에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걸림편(26)을 상기 도관홀더(30) 상에 겹쳐지게 절곡시켜 주면 된다. 물론 상기 걸림편(26)의 절곡은 반드시 상기 체결나사(60,60')의 체결후에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조립체에서 상기 삽입가이드편(34)을 가이드슬롯(24)에 조립나사(62)를 가이드공(29)에 위치시킨 후 상기 체결나사(60,60')의 체결전에 조립체를 아웃케이스(20)에 가체결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조립되어 아웃케이스(20)를 관통하는 도관(50)을 체결함에 있어서, 상기 도관(50)의 나선형 요철(52)의 형성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 또는 일측이 도관(5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33)과 걸림돌기(43)의 구성에 의해 도관(50)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도관홀더(30)와 도관커버(40)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관(50)의 끝부분중 상기 도관수납부(42)의 기저부분(42a)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테이프(T)가 감아져 있어 상기 도관(50)이 당겨지더라도 상기 테이프(T)가 감아져 있는 도관(50)의 끝부분이 상기 도관수납부(42)의 선단부분(42b)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에 있어서 상기 도관홀더(30)와 도관커버(40)의 체결시 이들의 체결위치를 정하여 주는 삽입슬롯(36)과 삽입가이드편(46)이 있고, 또한 도관홀더(30), 도관커버(40) 및 도관(50)이 조립체로 된 상태에서 아웃케이스(20)에 체결함에 있어서도 상기 도관홀더(30)의 삽입가이드편(34)이 상기 아웃케이스(20)의 가이드슬롯(24)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조립나사(62)의 끝부분이 가이드공(29)에 안내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코드 고정장치는 철판을 프레스하여 형성한 도관홀더와 도관커버를 아웃케이스에 체결하여 도관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품의 제조가 간단하고 부품의 개수가 적어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관홀더와 도관커버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도관이 외력에 의해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고 도관홀더의 도관수납부 자체의 높이차이와 도관에 감겨진 테이프에 의해 또한 탈거가 방지되므로 도관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관홀더, 도관커버 및 도관을 하나의 조립체로 조립한 상태에서 아웃케이스에 체결하고 이들의 체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 사용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고 소정 길이의 가이드슬롯과 전원코드의 관통을 위한 통공을 구비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전원코드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아웃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며 그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도관과,
    상기 도관이 통과하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도관의 요철이 일측에 걸어지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이 구비되며 일측에 소정 길이의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통공을 복개하도록 상기 아웃케이스에 체결되는 도관홀더와,
    상기 도관이 수납되는 도관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이 구비되어 상기 도관홀더를 아웃케이스에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도관홀더 상에 체결되어 상기 도관홀더를 통과하는 도관의 부분을 복개하고 상기 도관의 요철이 일측에 걸어지는 도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스에는 상기 도관홀더를 걸어주는 걸림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전원코드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홀더는 철판을 프레스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일측에는 상기 도관의 요철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커버는 철판을 프레스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상기 도관이 수납되는 도관수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관수납부의 일측에는 상기 도관의 요철이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도관수납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홀더에는 상기 아웃케이스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설치위치가 안내되고, 상기 도관홀더와 도관커버에는 각각 삽입슬롯과 삽입돌편이 구비되어 서로의 체결위치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홀더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도관커버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상기 도관의 나선형 요철의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 고정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끝부분에는 테이프가 감아지고 상기 테이프가 감아지는 부분은 상기 도관삽입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코드 고정장치.
KR10-2000-0071060A 2000-11-27 2000-11-27 전원코드 고정장치 KR10038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60A KR100389411B1 (ko) 2000-11-27 2000-11-27 전원코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60A KR100389411B1 (ko) 2000-11-27 2000-11-27 전원코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249A KR20020041249A (ko) 2002-06-01
KR100389411B1 true KR100389411B1 (ko) 2003-06-27

Family

ID=1970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060A KR100389411B1 (ko) 2000-11-27 2000-11-27 전원코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95Y1 (ko) * 2010-11-16 2012-04-26 조성기 전선 접속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접속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249A (ko) 200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4379A (ko) 클립
CN110417277B (zh) 滑扣式机壳装置
JP2894586B2 (ja) プロテクタへのバンドクランプの係止構造
KR100389411B1 (ko) 전원코드 고정장치
JP3998203B2 (ja) コネクタ
KR2009013236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01182Y1 (ko) 간섭을 방지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26643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구조
KR20170138969A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JPH0711831U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具
KR2004011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분리구조
JP4429582B2 (ja) 配線用ボックス
JPH0142385Y2 (ko)
JP2601495Y2 (ja) 固定具
KR102484839B1 (ko) 이중 잠금 밴드케이블
CN220135399U (zh) 一种隐藏式布线的光电模组及灯具
JP2010282764A (ja) 配線方向規制構造
JP4036758B2 (ja) 光ケーブル端末固定具
KR960008114Y1 (ko) Led 고정장치
KR0128318Y1 (ko) 케이블 고정용 스트랩 클립
JP4869146B2 (ja) 余長線収納型ローゼット
JPS6022489Y2 (ja) 照明器具
KR200162355Y1 (ko) 와이어 고정구
KR0128504Y1 (ko) 화재감지기용 베이스
JP4018792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