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315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315B1
KR100389315B1 KR10-2001-0044277A KR20010044277A KR100389315B1 KR 100389315 B1 KR100389315 B1 KR 100389315B1 KR 20010044277 A KR20010044277 A KR 20010044277A KR 100389315 B1 KR100389315 B1 KR 10038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pickup
lead screw
connection
ge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709A (ko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1-004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3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픽업베이스(20) 상에는 픽업(40)이 픽업가이드축(42,4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픽업(40)은 슬레드모터(22)의 구동력을 리드스크류(24)와 피드가이드(30)를 통해 전달받게 된다. 상기 피드가이드(30)는 상기 픽업(4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몸체부(32)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몸체부(32)에서 연장되어 연결지지판(3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지지판(33)의 하단 양측에서 연장되어 지지레그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부(35)에서 직교되게 연장되어 연결레그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레그부(36)의 상단부에는 상기 연결레그부(36)와 평행하게 형성된 기어판(37)이 연결되고, 상기 기어판(37)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4)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와 치합되는 랙기어(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레그부(36)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고 상기 기어판(37)과 연결지지판(33)의 사이에는 스프링(39)이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38)가 리드스크류(24)에 밀착되게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Pick-up driving apparatus for disk drive}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광픽업을 이송시켜 주는 디스크 드라비의 광픽업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디스크 드라브의 픽업베이스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픽업이송장치의 상세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픽업이송장치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픽업베이스(1) 상에는 디스크(D)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2)가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모터(2)에는 상기 디스크(D)가 안착되는 턴테이블(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광픽업(5)이 픽업가이드축(6,6')에 의해 상기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안내되게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5)의 일측에는 피드가이드(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드가이드(7)는 상기 픽업베이스(1)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슬레드모터(8)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9)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광픽업(5)이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은 피드가이드(7)에는 상기 리드스크류(9)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는 랙기어(7')가 기어판(7p)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7')는 소정의 리드각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기어판(7p)은 상기 피드가이드(7)의 몸체(7b)의 일측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다시 리드스크류(9)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레그부(7)와 그 하단에서 연결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판(7p)은 스프링(7s)에 의해 상기 몸체(7b)의 일측에 지지되어 탄성을 가져 상기 리드스크류(9)에 밀착되어 맞물리게 된다. 물론 상기 레그부(7f)에 의해서도 상기 기어판(7p)이 탄성을 가진다.
도면 부호 10은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단부를 지지하고 그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큐조정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턴테이블(3)에 디스크(D)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핀들모터(2)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D)가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레드모터(8)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9)가 회전되고, 상기 피드가이드(7)의 랙기어(7')가 상기 리드스크류(9)와 맞물려 동작되면서 광픽업(5)이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을 따라 이동되면서 광을 상기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조사하여 신호의 기록 및 독취를 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드가이드(7)가 상기 리드스크류(9)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됨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9)로부터 상기 랙기어(7')을 통해 전달받는 힘은 상기 랙기어(7')가 소정의 리드각을 가지고 형성됨에 의해 상기 광픽업(5)을 이송시키는 이송력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는 B방향 분력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리드스크류(9)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가 낙하되는 등에 의해 충격이 발생하면, 상기 광픽업(5)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드스크류(9)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리드스크류(9)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광픽업(5)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광픽업(5)에서 리드스크류(9)로 전달되는 힘에 대한 반력이 상기 피드가이드(7)의 랙기어(7')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력은 상기 랙기어(7')에 대해 F방향의 힘과 B방향의 분력으로 나누어져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F방향의 힘은 상기 스프링(7s)과 레그부(7f) 자체의 탄성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되고 상기 B방향의 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그부(7f)의 R부분을 중심으로 기어판(7p)이 회전되어 리드스크류(9)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하지만, 낙하 등의 충격시에는 광픽업(5)이 급격하게 이동하게 되므로 F방향의 힘보다 B방향의힘이 더 크게 되어, 상기 B방향의 힘이 도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작용할 때, 상기 레그부(7f)의 F방향으로의 변형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상기 기어판(7p)이 R부분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그부(7f)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9)에서 상기 랙기어(7')가 이탈되어 복원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레그부(7f)가 상기 기어판(7p)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F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기어판(7p)에 모멘트가 작용하면서 회전(특히 반시계방향으로)하게 되어 도 4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B방향의 힘이 도면을 기준으로 리드스크류(9)의 상방으로 작용할 때는 상기 리드스크류(9)가 상기 랙기어(7')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리드스크류(9)와 피드가이드(7) 사이의 동력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충격에 의해 리드스크류와 피드가이드의 조립상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 드라이브의 내충격성을 높이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광픽업 이송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드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픽업베이스 22: 슬레드모터
24: 리드스크류 30: 피드가이드
32: 연결몸체부 33: 연결지지판
35: 지지레그부 36: 연결레그부
37: 기어판 38: 랙기어
40: 픽업 42,42': 픽업가이드축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와, 디스크가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검출하는 광픽업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소정의 리드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피드가이드와, 상기 피드가이드와 연결되어 피드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고 독취하는 광픽업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드가이드에는 상기 광픽업과 연결되는 연결몸체부 일측에 연장되어 연결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판의 선단에 상기 리드스크류방향으로 연장되게 지지레그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부의 선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랙기어가 구비되는 랙기어판과 연결되는 연결레그부가 상기 랙기어판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지지판은 상기 연결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랙기어판과 마주보게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랙기어판에 지지되는 스프링의 타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랙기어판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리드스크류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지지레그부는 상기 연결지지판의 선단 하단부에서 상기 연결레그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레그부는 그 상단이 상기 랙기어판의 상단과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지지레그부의 선단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레그부는 상기 지지레그부와 상기 기어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와, 디스크가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검출하는 광픽업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소정의 리드각을 가지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판과, 상기 광픽업에 고정되는 연결몸체부와, 적어도 2개이상의 탄성부를 가지고 상기 랙기어판과 상기 연결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랙기어판과 상기 연결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몸체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연결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판의 선단에는 지지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그의 선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랙기어판과 연결되는 연결레그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지지판과 상기 지지레그의 연결부위에 제1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레그부와 상기 랙기어판의 연결부위에 제2탄성부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몸체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랙기어판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피드가이드와 리드스크류사이의 치합이 분리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드가이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6의 방향은 피드가이드를 뒤집어서 상방에서 보도록 하였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픽업베이스(20)의 일측에는 픽업(40)을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슬레드모터(22)가 설치된다. 상기 슬레드모터(22)에는 웜기어 형태의 리드스크류(24)가 연결되어 슬레드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리드스크류(24)는 상기 슬레드모터(22)와 직결되거나 다수개의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드스크류(24)에는 그 외주면을 둘러 나선형으로 치(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리드스크류(24)는 픽업(40)의 이동방향과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24)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피드가이드(30)가 설치된다. 상기 피드가이드(30)는 픽업(40)에 일단부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구비된 랙기어(38)가 상기 리드스크류(24)의 치와 치합된다.
상기 피드가이드(30)는 연결몸체부(32)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몸체부(32)는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픽업(4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픽업(40)의 일측 상면에 스크류(30s)로 체결된다. 상기 연결몸체부(32)의 일측에는 상기 픽업(40)의 측면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게 연결지지판(3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지지판(33)의 일면은 상기 리드스크류(24)와 마주보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지지판(33)에는 스프링돌기(3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지지판(33)의 하단부 양측에는 지지레그부(35)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부(35)는 상기 연결지지판(33)과 연결되는 기저부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레그부(36)와 연결되는 선단부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판(33)과 지지레그부(35)의 연결부위에는 제1탄성부(R1)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레그부(35) 선단에는 연결레그부(36)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레그부(36)는 그 일면이 상기 연결지지판(33)과 마주보는 동시에 타면이 아래에서 설명된 기어판(37)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레그부(35)의 선단부와대략 직교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레그부(36)는 상기 지지레그부(35)나 기어판(37)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판과의 연결부위에 제2탄성부(R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레그부(36)는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연결레그부(36)의 선단은 제2 탄성부(R2)를 통해 기어판(37)과 연결된다. 상기 기어판(37)은 상기 연결레그부(36)의 일면과 마주보는 동시에 상기 리드스크류(24)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지지판(33), 연결레그부(36) 및 기어판(37)은 대체로 차례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판(37)의 일면 즉 상기 연결지지판(33)과 마주보는 면에는 스프링돌기(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스크류(24)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4)의 치와 치합되는 랙기어(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38)는 상기 리드스크류(24)에 형성된 치와 대응되게 소정의 리이드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어판(37)의 스프링돌기(37')와 연결지지판(33)의 스프링돌기(33')에는 스프링(39)의 양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39)이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어판(37)의 랙기어(38)가 상기 리드스크류(24)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픽업베이스(20)에는 픽업(40)이 픽업가이드축(42,4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픽업(40)은 상기 피드가이드(30)와 연결되어 상기 슬레드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픽업(40)은 상기 피드가이드(30)와 리드스크류(24)를 통해 전달되는 슬레드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픽업가이드축(42,42')을 따라 이동하면서 디스크의 신호기록면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드가이드(30)의 기어판(37)에 형성된 랙기어(39)는 상기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24)에 밀착되어 상기 랙기어(39)와 리드스크류(24)의 치 사이의 치합이 항상 이루어지도록 된다.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24)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충격력에 의한 관성으로 상기 픽업(40)은 상기 리드스크류(2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힘은 상기 리드스크류(24)에 가해지고 이에 대한 반작용력이 상기 피드가이드(30)에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피드가이드(30)에 가해지는 반작용력은 상기 랙기어(38)의 리이드각의 존재에 의해 도 7의 화살표 B방향분력과 화살표 F방향 분력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화살표 B방향 분력은 상기 랙기어(38)를 도 7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랙기어(38)가 상기 리드스크류(24)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화살표 F방향 분력은 상기 랙기어(38)와 리드스크류(24)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기피드가이드(30)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즉, F방향의 힘에 의해 R2점을 중심으로 기어판(37)이 F방향으로 이동하고, 그후, R1점을 중심으로 기어판(37)이 F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F방향분력에 의한 피드가이드(30)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상기 B방향 분력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게 되고, 상기 충격력에 의한 관성으로 상기 픽업(40)이 리드스크류(24)를 따라 이동하려는 경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F방향 분력에 의해 피드가이드(30)의 기어판(37)이 리드스크류(24)에서 분리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리드스크류(24)의 인접한 치에 랙기어(38)가 치합되거나, 상기 랙기어(38)가 상기 리드스크류(24)의 치 상에 얹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랙기어(38)가 리드스크류(24)의 치 위에 얹혀지더라도 상기 리드스크류(30)가 슬레드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 다시 리드스크류(24)의 치와 랙기어(38)가 치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레그부(35)가 상기 지지레그부(34) 및 기어판(37)과 탄성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F방향 분력에 의한 상기 기어판(37)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 상기 B방향 분력에 의한 랙기어(37)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에서는 피드가이드의 랙기어가 외부의 충격력에 의해 리드스크류의 상하단으로 분리되려는 변형보다 랙기어가 리드스크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력이 디스크 드라이브에 작용하더라도 랙기어가 리드스크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어 내충격성이 좋아지고, 디스크 드라이브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베이스와,
    디스크가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검출하는 광픽업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소정의 리드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랙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피드가이드와,
    상기 피드가이드와 연결되어 피드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지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고 독취하는 광픽업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드가이드에는 상기 광픽업과 연결되는 연결몸체부 일측에 연장되어 연결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판의 선단에 상기 리드스크류방향으로 연장되게 지지레그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부의 선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랙기어가 구비되는 랙기어판과 연결되는 연결레그부가 상기 랙기어판과 평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판은 상기 연결몸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랙기어판과 마주보게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랙기어판에 지지되는 스프링의 타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랙기어판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리드스크류방향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부는 상기 연결지지판의 선단 하단부에서 상기 연결레그부 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그부는 그 상단이 상기 랙기어판의 상단과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지지레그부의 선단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그부는 상기 지지레그부와 상기 기어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탄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6. 베이스와,
    디스크가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검출하는 광픽업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소정의 리드각을 가지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판과,
    상기 광픽업에 고정되는 연결몸체부와,
    적어도 2개이상의 탄성부를 가지고 상기 랙기어판과 상기 연결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랙기어판과 상기 연결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몸체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연결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판의 선단에는 지지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그의 선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랙기어판과 연결되는 연결레그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지지판과 상기 지지레그의 연결부위에 제1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레그부와 상기 랙기어판의 연결부위에 제2탄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 이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랙기어판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KR10-2001-0044277A 2001-07-23 2001-07-23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KR10038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277A KR100389315B1 (ko) 2001-07-23 2001-07-23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4277A KR100389315B1 (ko) 2001-07-23 2001-07-23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709A KR20030009709A (ko) 2003-02-05
KR100389315B1 true KR100389315B1 (ko) 2003-06-25

Family

ID=2771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277A KR100389315B1 (ko) 2001-07-23 2001-07-23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631B1 (ko) * 2002-11-14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유닛 피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6371A (ja) * 1987-10-20 1989-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プレーヤ
JPH05198105A (ja) * 1992-01-20 1993-08-06 Pioneer Electron Corp ピックアップのスライド送り機構
KR970063080A (ko) * 1996-02-27 1997-09-12 김광호 광 픽업의 액튜에이터 지지구조
JP2001023321A (ja) * 1999-07-06 2001-01-26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の送り機構
JP2001160274A (ja) * 1999-12-01 2001-06-12 Alpine Electronics Inc 光ピックアップの移送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6371A (ja) * 1987-10-20 1989-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プレーヤ
JPH05198105A (ja) * 1992-01-20 1993-08-06 Pioneer Electron Corp ピックアップのスライド送り機構
KR970063080A (ko) * 1996-02-27 1997-09-12 김광호 광 픽업의 액튜에이터 지지구조
JP2001023321A (ja) * 1999-07-06 2001-01-26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の送り機構
JP2001160274A (ja) * 1999-12-01 2001-06-12 Alpine Electronics Inc 光ピックアップの移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709A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065B1 (ko) 광학 픽업 이동 장치
KR100389315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JPH01237970A (ja) ピボットアーム用の自動摩耗補償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ドライブ
US20060212890A1 (en) Optical disk apparatus
US5214634A (en) Optical disc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ignals on both surfaces of a disk with a single optical pickup
US7647601B2 (en) Pickup drive mechanism and recording medium drive having the same
KR100366415B1 (ko) 디스크 드라이버
KR10060479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이송장치
KR100582055B1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광픽업 이송장치
KR20030031705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유니트 이송안내장치
JP3876860B2 (ja) 記録再生装置
KR920001375Y1 (ko)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KR100202018B1 (ko) 광 픽업 유닛트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장력조절장치
KR100531778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이송장치
KR910005213Y1 (ko)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이송나사 착설기구
KR20010027569A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광픽업 이송장치
JP3462766B2 (ja) 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KR20000008792U (ko) 광기록재생기의 픽업이송장치
JP4459511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960007893B1 (ko) 광학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이송장치
KR200416682Y1 (ko) 광픽업용 스프링너트
KR100199390B1 (ko) 광디스크 재생기록장치의 동력전달장치
KR100195143B1 (ko) 광픽업 이송장치
KR100501257B1 (ko) 광픽업 가이드 샤프트의 스큐 조정장치
KR920003069Y1 (ko)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이송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