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375Y1 -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375Y1
KR920001375Y1 KR2019890004698U KR890004698U KR920001375Y1 KR 920001375 Y1 KR920001375 Y1 KR 920001375Y1 KR 2019890004698 U KR2019890004698 U KR 2019890004698U KR 890004698 U KR890004698 U KR 890004698U KR 920001375 Y1 KR920001375 Y1 KR 920001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inclined surface
protrusion
connecting member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276U (ko
Inventor
기도구니오
Original Assignee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90004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375Y1/ko
Publication of KR900019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4Automatic feed mechanism producing a progressive transducing traverse of the head in a direction which cuts acros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ecording medium, e.g. helical scan, e.g. by lead-screw
    • G11B21/046Automatic feed mechanism producing a progressive transducing traverse of the head in a direction which cuts acros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ecording medium, e.g. helical scan, e.g. by lead-screw details of the feed mechanis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제1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 기구를 아랫쪽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연결부재 주변의 하면도.
제5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와 동상도.
제6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와 동상도.
제7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와 동상도.
제8도는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와 동상도.
제9도 및 제10도는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 및 제4도와 동상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 및 제4도와 동상도.
제13도 및 제14도는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 및 제4도와 동상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 및 제4도와 동상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제11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 및 제4도와 동상도.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제12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 및 제4도와 동상도.
제22도 내지 제13실시예를 나타내는 연결부재 주변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제23도는 제14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와 동상도.
제24도 및 제25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제1도 및 제4도와 동상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픽업 유닛 5 : 본체
6 : 판스프링 8 : 너트
10a, 10b : 가이드간 12 : 픽업 보냄 나사
13 : 제1압접부(원추돌기) 14 : 제2압접부(원추구멍부)
15 : 위치 규제기구
본 고안은 픽업 보냄 나사와 너트와의 사이의 갭 및 픽업 유닛의 본체에서 연출하는 연결부재와 너트와의 계합부 사이에서의 픽업 보냄 나사축선방향 및 회전방향의 갭의 존재에 기인하는 픽업 유닛의 진동을 감소시켜서 픽업 유닛의 위치탐색을 용이하게 행하게 한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Compact Disk)등의 소위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는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면서 픽업 유닛에서 기록매체의 기록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해서 기록면에서의 반사광을 기초로 정보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계적인 동작으로서는 픽업 유닛을 고정한 상태에서 대물렌즈의 경사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므로서 레이저광의 조사방향을 기록매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읽어내기를 하고 그 이동량이 일정량(예컨데, 0.5mm)에 도달할때 마다 픽업 유닛을 반경방향 외방으로 보내며(피치보냄), 같은 동작을 되풀이 한다. 그리고, 픽업 유닛을 피치보냄을 할때는, 대물렌즈가 민첩하게 움직여서 픽업 유닛의 위치정보를 탐색하며, 또 픽업 유닛도 심하게 또한 잔 걸음으로 진퇴 방향으로 왕복동작해서 결국은 다음의 정위치에 낙착하게 된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취부는 픽업 유닛내에서 극히 예민하게 움직일수가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류의 재생장치에서의 종래의 픽업 보냄기구는 제24도 및 제25도에서와 같이 픽업 보냄 나사(a)에, 픽업 유닛(b)의 일부에 취부한 너트(c)를 나합시키고 픽업 보냄나사(a)를 모터(d)로서 회전 구동하므로서 픽업 유닛(b)를 직선상의 가이드간(e)에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너트(c)는 픽업 유닛(b)의 본체(f)에서 연출하는 연결부재(g)에 계합하고 있는데 가이드간(e)과 픽업 보냄나사(a)와의 평행 정도를 내는 것은 조립기술상 곤란하기 때문에 설령고도의 평행정도를 얻지 못하더라도 픽업 유닛(b)의 위치결정 정도에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연결부재(g)와 너트(c)와의 사이에는 픽업 보냄 나사(a)의 회전방향에 약간의 갭(h1)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 보냄나사(a)의 축선방향에도 약간의 갭(h2)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연결부재(g)와 너트(c)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갭(h1)(h2)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픽업 유닛(b)의 위치탐색을 위해 모터(d)가 심하게 또는 잘게 정역회전을 되풀이 하면 너트(c)도 회전방향으로 심하게 진동한다. 그리고 이 진동과 너트(c)와 연결부재(g)와의 충돌에 의해서 발생하는 충격이 픽업 유닛(b)의 본체(f)에 전달되게 한다.
그래서, 픽업 유닛내에 취부된 대물렌즈(i)가 민감하게 반응해서 심하게 진동하고 그 결과 기록면상의 정보를 읽어내는데 장시간을 요한다든가 읽어내기가 불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물렌즈의 진동을 방지하고 기록면위의 정보를 확실하고도 신속하게 읽어낼수가 있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는 직선상의 픽업 보냄나사에 나합한 너트에, 픽업 유닛의 본체에서 바깥쪽으로 연출하는 연결부재의 선단부를 계합시키고, 상기 픽업 보냄 나사를 회전시켜서 상기 픽업 유닛을 직선상의 가이드간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 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판스프링 또는 주체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하며,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너트와의 계합에 의해 상기 픽업 보냄 나사의 회전방향 및 축선방향에서의 이 연결부재 및 너트의 상대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너트의 외면에 제1압접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부에는, 이 제1압접부에 대하여 너트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압력을 주는 제2압접부를 설치해서 제1, 제2압접부중의 한쪽을 돌부, 다른쪽을 구멍부로 하고, 상기 양 양접부의 서로 접촉하는 부위의 전부 또는 일부에 경사면을 설치하고, 상기 위치규제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경사면과 이에 접촉하는 상대부재의 접촉부위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압압부중의 한쪽은 원추 돌부로서 되는 것으로 하고, 다른쪽은 원형구멍부로서 되는 것으로 하며, 이 원형 구멍부의 개구연과 이 원추돌부의 원추면을 압접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 상기 돌부는 일측부에 경사면, 타측부에 경사면 또는 비경사면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상기 구멍부는 이 일측부의 경사면을 양벽면으로서 끼워두는 V형구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이 타측부의 경사면 또는 비경사면에 압접하는 구멍내 받침부를 개구연부에 가지게 해도 좋다.
다시, 상기 돌부는 일측부에 경사면, 타측부에 비경사면을 가지게 하며 상기 구멍부는 이 비경사면측을 양벽면으로서 협지하는 V형구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이 경사면에 압접하는 구멍내 받침부를 개구연부에 가지게 해도 좋다.
더우기, 상기 돌부는 일측부 또는 타측부의 적어도 한쪽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서, 어느한쪽의 측부에는 상기 픽업 보냄나사의 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V형 안내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구멍부는 V형 안내구의 양벽면에 끼워지는 구멍내 돌출부 또는 받침부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다른쪽의 측부에 압접한 V형구를 개구연부에 가지게 해도 좋다.
다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너트 또는 이 연결부재의 너트 계합단부의 상기 픽업 보냄나사의 축선방향 양측위치에 근접하는 1쌍의 이동제한부를 설치하고, 이 너트의 이 축선방향 이동량을 제한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제1, 제2압접부중의 한쪽을 원추 또는 각추돌부, 다른쪽을 이 돌부의 정각보다 큰 정각을 가지는 원추 또는 각추구멍부로 하고 이 돌부의 정점과 이 구멍부의 최심부를 압접하도록 해도좋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너트의 축선 방향 및 이 회전방향에서의 이동량을 제한하기 때문에 너트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너트 계합단부의 상기 픽업 보냄나사의 축선방향 양측과 너트의 회전방향 양측 위치에 근접하는 2쌍의 이동제한부를 설치하면 좋다.
위치 규제 기구를 설치함으로서 너트와 연결부재와의 사이에서의 픽업 보냄나사의 축선방향 및 너트의 회전방향의 상대 이동이 금지되는 동시에 너트와 보냄나사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갭이 실질적으로 0이 되고, 너트의 축선방향 및 회전방향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 연결부재에 이동제한부를 설치하므로서 판스프링의 휘임에 의한 픽업 본체의 너트에 대한 추수성의 저하를 방지할수가 있다.
[실시예]
먼저, 제1도 내지 제4도에서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1)은 기반(2)에 취부된 턴테이블 구동모터이고, (3)은 픽업 유닛이다.
픽업 유닛(3)는, 상부에 대물렌즈(4)를 설치한 본체(5)를 가지며 이 본체(5)에는 연결부재로서의 판스프링(6)이 나사(7)로서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6)의 선단부는 바깥쪽으로 연출되어서 그 선단부를 후술하는 너트(8)에 계합되도록 하고 있다.
기반(2)의 하면에는 1쌍의 합성수지제의 픽업 지지대(9a,9b)가 각각 나사로서 고정되며, 양 지지대(9a,9b) 사이에 1쌍의 가이드간(10a,10b)가 서로 평행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가이드간(10a,10b)에 픽업 유닛(3)의 본체(5)의 감삽공 (11a,11b)가 습동 자재하게 감삽되고 이로서 픽업 유닛(3)가 기반(2)의 하면과 평행하게 이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가이드간(10a)의 감삽공(11a)은 진원이며 보조측인 다른쪽의 가이드간(10b)의 감삽공(11b)와 평행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이 보냄나사(12)가 상기 가이드간(10a,10b)와 평행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이 보냄나사 (12)에 상기 너트(8)이 나합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너트(8)의 외면에는 제1압접부로서의 원추돌기 (13)가 설치되어 상기 판 스프링(6)의 선단부에는 제2압접부로서의 원형구멍부(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 구멍부(14)의 전주를 원추돌부(13)의 원추면에 너트(8)의 반경방향에서 압접시켜 원추면과 여기에 접하는 원형구멍부(14)의 개구연 전주에서 위치규제기구(15)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위치규제기구 (15)는 원추돌부(13)와 원형구멍부(14)의 축선 방향 및 회전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여 너트(8)와 판스프링 (6)을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원추돌기(13)의 선단에는 소원주부 (16)가 연결되어서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예컨데, 너트(8)가 급속하게 이동했을때에도 판스프링(6)의 원형구멍부(14)가 너트(8)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픽업 유닛(3)의 본체(5)의 상부는, 기반(2)에 설치된 개구(17)를 통해서 그 상면측에 연출하고 있으며 픽업 보냄나사(12)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픽업 유닛(3)가 제2도에서 화살표 A↔B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픽업 보냄나사(12)는 그 양단부가 각 픽업 지지대(9a,9b)에 일체 형성된 축수(18,19)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픽업 보냄나사(12) 타단측에는 풀리 (20)가 고정되며 이 풀리(20)는 픽업 보냄모터(21)로서 무단벨트(22)를 거쳐서 회동 구동되며 픽업 보냄나사(12)가 일정량씩 회전해서 픽업유닛(3)의 피치 보냄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형 기록매체(23)는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음)위에 셋트되고 턴테이블 구동모터(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와 동시에 픽업 보냄모터(21)에 의해 픽업 유닛(3)이 가이드간(10a,10b)에 따라서 일정량씩 피치 보냄된다.
이와같은 픽업 유닛(3)의 보냄동작시에서는 항상 판스프링(6)의 탄성에 의해 너트(8)에 픽업 보냄나사(12)의 반경방향을 향해서 압압력이 주어져 있으므로 위치규제기구(15)가 너트(8)과 판스프링(6)을 일체로 이동시키도록 기능을 한다. 따라서, 픽업 유닛(3)의 위치탐색을 위해 픽업 보냄모터(21)가 심하게 또한 잘게 정역회전을 되풀이하더라도 너트(8)의 축방향 및 회전방향에서의 진동은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는 판 스프링(6)에 의해 너트(8)에는 판스프링(6)에서 픽업 보냄나사(12)의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탄성 압압력이 주어져 있으므로 원추돌부(13)와 원형구멍(14)과의 사이의 틈이 실질적으로 0이 되어 너트(8)를 픽업 보냄나사(12)의 회전에 확실하게 추수 시킬수가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5)에 대한 취부부의 폭 치수(픽 업 보냄나사(12)의 축선 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넓은 판 스프링(24)을 사용해서 이로서 판스프링(24)의 축선방향의 삐뚤음량을 규제한 보기이다. 이와같이 판스프링(24)의 삐뚤음량을 규제하므로서 본체(5)의 너트(8)으로의 추수성이 향상하고 픽업 유닛(3)을 한층 더 확실하게 픽업 보냄나사(12)의 회전에 추수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24)의 중앙부에는 판의 두께 방향의 휘임이 손상되지 않도록 이동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구멍(25)이 뚫어져 있다.
제5도에서의 제3실시예도 제2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겨눈것으로서 판 스프링 (26)은 제2실시예의 판 스프링(24)의 일측부를 결제한 형상을 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판스프링(26)의 판 두께 방향의 휘임은 한층 더 충분히 얻어지며 또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폭치수를 넓게 잡고 있으므로 축방향의 삐뚤음량을 규제할수가 있다.
다시 제6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판스프링(27)에는 너트(8)와 계합하는 선단부에서의 픽업 보냄나사(12)의 축선방향 양측위치에 근접하는 1쌍의 이동제한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8)와 계합하고 있는 너트 계합선단부가 판스프링(27)자체의 탄성에 의해서 픽업 보냄나사(12)의 축선방향의 삐뚤음이 생기려해도 글 선단부가 곧 어느쪽의 이동제한부(29)에 당접하므로 너트계합선단부의 삐뚤음량이 규제되어 그 결과 픽업 유닛(3)의 너트(8)으로의 추수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양 이동제한부(29)를 너트(8)의 양측에 근접배치해도 좋다. 이때는 너트(8)가 이동제한부 (29)에 당접하므로서 판스프링(27)의 너트 계합선단부의 삐뚤음량이 규제되게 된다.
제7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너트(8)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압접부를 원형구멍부(30)로 하고 판스프링(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제2압접부를 원추돌부(31)로 하고 원추돌부(31)의 원추면을 원형구멍부(30)의 개구연 전주에 압접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원추돌부(31)의 원추면과 원형구멍부(30)의 개구연 전주가 서로 압접하고 위치규제기구(32)를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원추돌부(31)의 선단부분을 없애고서 소위 절두원추형사으로 해도 좋다. 또, 원형구멍부(30)의 개구주연부에 테이퍼나 동그라미를 붙이도록 해도 좋다.
제8도는 제6실시예를 가르키는 것으로서, 너트(8)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압접부를 원추구멍부(33)로 하고 판스프링(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제2압접부를 원주돌부(34)로 한다. 따라서, 원주돌부(34)의 선단 전 주연을 원추구멍부(33)의 원추면에 압접시켜서 위치 규제기구(35)를 구성할수가 있으므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원추구멍부(33)의 최심부를 없애게 하고 소위 절두원추형상의 구멍부로 해도 좋다. 또 원주돌부(34)의 선단주연부에 테이퍼나 동그라미를 붙이도록 해도 좋다.
제9도 및 제10도는 제7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너트(8)의 외면에 돌부 (36), 판스프링(6)의 선단부에는 구멍부(37)를 설치하고 있다. 돌부(36)는 일측부를 경사면(38), 타측부를 비경사면(이연장면이 픽업 보냄나사(12)의 축선에 근접하고 있다)(39)로 하고 있는 것이며 구멍부(37)는 경사면(38)측을 양벽면으로서 협지하는 V형구(40)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비경사면(39)에 압접하는 구멍내 받침부 (41)를 개구연부에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면(38)의 양연에 V형구(40)의 양벽면을 압접시키고 또한 비경사면(39)에 구멍내 받침부(41)를 압접시켜서 위치규제기구 (42)를 구성할수가 있어서 이로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그리고, 돌부(36)와 구멍부(37)의 관계를 역으로 해도 좋다. 즉, 판스프링(6)의 선단부에 제7실시예의 돌부(36)와 같은 것을 설치하고 너트(8)의 외면에는 횡단면형상이 제7실시예의 구멍부(37)와 같은 형상을 한 구멍부를 가지는 보스를 설치하는 것이다.
제11도는 및 제12도는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너트(8)에는 제7실시예와 같은 돌부(36)를 설치하고 있는데 판스프링(6)에는 제7실시예의 구멍부(37)와는 V형구(40)와 구멍내 받침부(41)와의 위치 관계를 역으로한 구멍부(37')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면(38)에는 구멍내 받침부(41)가 압접하고 비경사면(39)의 양연에는 V형구(40)의 양벽면이 압접해서 위치규제기구(43)를 구성하게 되어 이로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3도 및 제14도는 제9실시예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제8실시예에서의 돌부(36)의 형상만을 다르게한 것이다. 즉, 돌부(44)는 양측부를 경사면(45,46)로 하고 구멍부(37)에 설치된 V형구(40)의 양측면에서 한쪽의 경사면(45)측을 끼워두고 구멍내 받침부(41)를 다른쪽의 경사면(46)에 압접시킨 구성이다. 따라서 V형구(40)의 양벽면과 한쪽의 경사면(45)의 양연을 압접시키는 동시에 구멍내 받침부(41)와 다른쪽의 경사면(46)를 압접시키므로서 위치규제기구(47)가 구성되어 이로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돌부(36)와 구멍부(37)의 관계를 역으로 해서 판스프링(6)측에 돌부, 너트(8)측에 구멍부를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0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너트(8)의 외면에 설치된 돌부(48)는 일측부를 경사면(49)으로 하고 타측부를 비경사면(50)으로 해서 이 비경사면(50)에 픽업 보냄나사(12)의 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V형 안내구(51)를 설치하고 있다. 또, 판스프링(6)에 설치된 구멍부(52)에는, V형 안내구(51)의 양벽면에 협지되는 구멍내 돌출부(53)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경사면(49)측을 양벽면으로서 끼워두는 V형구(54)를 개구연부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V형 안내구(51)의 양벽면과 구멍내 돌출부(53)와의 압접부 및 경사면(49)의 양면과 V형구(54)의 양벽면과의 압접부에 의해 위치규제기구(55)를 구성하고 이로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그리고, 경사면(49)측에 V형 안내구(51)를 설치해서 이 안내구(51)의 양측면으로서 판스프링(6)의 안내돌출부(53)를 협지하게 하는 동시에 판스프링(6)의 V형구(54)의 양벽면에서 비경사면(50)측을 끼워두도록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판스프링(6)측에 돌부(48), 너트(8)측에 구멍부(52)를 설치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7도 및 제18도는 제1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0실시예에서의 돌부(48)의 비경사면(50)을 경사면(56)으로 변하게 한것이다. 즉, 돌부(57)는 양측부를 경사면(58,56)으로 하고 경사면(56)에는 V형 안내구(59)를 설치해서 이 안내구 (59)의 양벽면에서 안내돌출부(53)를 협지하고 경사면(58)측을 V형구(54)의 양측면으로서 끼워두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제11실시예에서의 돌부(57)를 판스프링(6)측에 설치하고 구멍부 (52)에 상당하는 것을 너트(8)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제12실시예를 가르키는것으로서, 판스프링(6)의 선단부를 거의 직각으로 절곡시켜 그 절곡단부를 돌부(60)로 하고 너트(8)에 설치된 구멍부(61)는 그 대향하는 양내측면을 안으로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시키는 동시에 이들 양경사면에 V형구(6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돌부(60) 단면의 4개의 각부를 양 V형구(62)의 합계 4개의 벽면에 압접시켜서 위치규제기구(63)를 구성할수가 있어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수가 있다. 그리고, V형구(62)를 U형구로 바꾸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돌부(60)의 단면의 4개의 각부를 둥글게 해도 좋다.
제22도는 제1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2 실시예에서와 같이 판스프링 (6)의 선단부를 절곡 형성해서 되는 돌부(60)의 선단부에 V형 절결부(64)를 설치하고 너트(65)측에도 이 절결부(64)에 유사하는 V형 절결부(66)를 정단에 가지는 보스 (67)를 설치하고 양 V형 절결부(64,66) 서로를 직교시킨 상태에서 대향시킨 구성이다. 따라서, V형 절결부(64,66)의 벽면연부 서로가 4개소에서 서로 압접해서 위치규제기구(68)가 구성되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더우기, 너트(65)은 합성수지성형이 쉽게 행해질수 있도록 판스프링(6)의 압압력을 받는 측에만 나사 부(69)를 설치하고 이것과 반대측에는 개구부(70)를 설치하고, 개구부(70)의 축선방향 양측에는 발지 받침부(71)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제23도는 제1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2 실시예에서와 같이 판 스프링 (6)의 선단부를 거의 직각으로 절곡해서 되는 돌부(60)의 선단(72)를 원추 또는 각추상으로 뾰족하게 하는 동시에 너트(8)에는 정단에 원추 또는 각추구멍부(73)를 설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구멍부(73)의 정각θ2을 돌부선단(72)의 정각 θ1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선단(72)을 구멍부(73)중심의 최심부에 압접시키므로서 위치규제기구(74)를 구성시킬수가 있어서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것같이, 청구항 1-8항 기재의 고안에 의하면, 판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연결부재 또는 판스프링이 주체가 되는 연결부재를 사용해서 그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너트에 픽업보냄 나사의 반경방향으로 행하는 탄성압력을 주고 있으므로, 픽업 유닛의 위치탐색을 위해 보냄용 모터가 심하게 또한 잘게 정역회전을 되풀이 하더라고 너트가 회전방향에 진동하는 것을 억제 할수가 있고, 연결부재와 너트와의 잦게 일어나는 충돌을 방지할수 있다. 따라서, 픽업 보냄나사와 너트와의 사이에 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너트 주변부에서의 진동이나 충격의 발생을 억제할수가 있고, 대물렌저의 진동을 방지하여 기록면에서의 정보를 확실하고도 또한 신속하게 읽어 낼수가 있다. 더우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너트와 픽업 보냄나사와의 압접부 사이의 갭이 실질적으로 0이 되고 이로서 너트 및 픽업 유닛을 픽업 보냄 나사의 회전에 확실하게 추수 시킬수가 있고, 보냄용 모터의 회전동작에 대한 픽업 유닛의 동작 지연을 없애므로 정보의 읽어내는 정도를 한층 더 높일수가 있다.

Claims (8)

  1. 직선상의 픽업 보냄나사(12)에 나합한 너트(8)에, 픽업 유닛(3)의 본체(5)에서 바깥쪽으로 연출하는 연결부재(6, 24, 26, 27)의 선단부를 계합시키고, 상기 픽업 보냄 나사(12)를 회전시켜서 상기 픽업 유닛을 직선상의 가이드간(100, 106)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 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판스프링 또는 주체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재(6, 24, 26, 27)와 상기 너트와의 계합에 의해 상기 픽업 보냄 나사(12)의 회전방향 및 축선방향에서의 이 연결부재 및 너트의 상대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기구(15, 32, 42, 43, 47, 63)를 구성하고, 상기 너트의 외면에 제1압접부(30)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6)의 선단부에는, 이 제1압접부에 대해서 너트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압력을 주는 제2압접부(31)를 설치해서 제1, 제2 압접부(30,31)중의 한쪽을 돌부(13, 31, 34, 36, 44, 53, 57, 60), 다른쪽을 구멍부(14, 30, 33, 37, 52, 61)로 하고, 상기 양 압접부의 서로 접촉하는 부위의 전부 또는 일부에 경사면(38, 45, 46, 49, 56)을 설치하고, 상기 위치규제기구(32)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경사면과 이에 접촉하는 상대부재의 접촉부위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압접부중의 한쪽은 원추돌부(13), 다른쪽은 원형 구멍부(14)로 구성되며, 이 원형 구멍부의 개구연과 원추돌부의 원추면을 압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는 일측부에 경사면, 타측부에 경사면 또는 비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구멍부는 이 일측부의 경사면측을 양 벽면으로서 끼워두는 V형구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이 타측부의 경사면 또는 비경사면에 압접하는 구멍내 받침부를 개구연부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는 일측부에 경사면, 타측부에 비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구멍부는 이 비경사면측을 양측면으로서 협지하는 V형구(40, 54, 51, 62)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이 경사면에 압접하는 구멍내 받침부를 개구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는 일측부 또는 타측부의 적어도 한쪽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서, 어느 한쪽의 측부에는 상기 픽업 보냄나사(12)의 축선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V형 안내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구멍부는 V형 안내구의 양벽면에 끼워지는 구멍내 돌출부 또는 받침부와 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다른쪽의 측부에 압접한 V형구를 개구연부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너트 계합단부의 상기 픽업 보냄나사(12)의 축선방향 양측위치에 근접 배치되어, 이 너트이 이 축선방향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한쌍의 이동 제한부(29)를,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판스프링 또는 주체가 판스프링으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너트와의 계합에 의해 상기 픽업 보냄 나사의 회전방향 및 축선방향에서의 이 연결부재 및 너트의 상대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너트의 외면에 제1압접부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판스프링의 선단부에는 이 제1압접부에 대해서 너트의 반경방향에 탄성압력을 주는 제2압접부를 설치하며, 제1, 제2압접부중의 한쪽을 원추 또는 각추돌부, 다른쪽을 이 돌부의 정각보다 큰 정각을 가지는 원추 또는 각추 구멍부로 하고, 이 돌부의 정점과 이 구멍부의 최심부와의 압접에 의해서 상기 위치규제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너트 계합단부의 상기 픽업 보냄나사(12)의 축선방향 양측과 너트의 회전방향 양측의 위치에 근접 배치되어서, 이 너트의 이 축선방향 및 이 회전방향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제1쌍의 이동제한부를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KR2019890004698U 1989-04-17 1989-04-17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KR920001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698U KR920001375Y1 (ko) 1989-04-17 1989-04-17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698U KR920001375Y1 (ko) 1989-04-17 1989-04-17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76U KR900019276U (ko) 1990-11-08
KR920001375Y1 true KR920001375Y1 (ko) 1992-02-22

Family

ID=1928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698U KR920001375Y1 (ko) 1989-04-17 1989-04-17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3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276U (ko) 199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191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EP0814477B1 (en) Disc drive
US7124419B2 (en) Feed screw driver and information recorder/reproducer
US6880164B2 (en) Support mechanism and feeding unit including same
US7055161B2 (en) Optical pickup unit feed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drive using the same
US20060161938A1 (en) Optical disk player
US7213251B2 (en) Guide shaft tilt adjusting apparatus for optical disc player
JPH0731417Y2 (ja) ディスク型記録媒体再生装置のピックアップ送り機構
US5191575A (en) Plate spring and nut interconnecting for use in an optical pick-up moving apparatus
KR920001375Y1 (ko)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US7216354B2 (en) Guidance of an optical scanning device
JP3252440B2 (ja) ピックアップ装置送り機構
US20040057373A1 (en) Pickup feed mechanism and disk drive comprising the same
JPH0734541Y2 (ja) デイスク型記録媒体再生装置のピックアップ送り機構
US7647601B2 (en) Pickup drive mechanism and recording medium drive having the same
JP2501848Y2 (ja) 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EP0439957B1 (en) A disc driving apparatus
KR0181824B1 (ko) 균일한 가압구조를 갖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
US7065775B2 (en) Optical disc apparatus
JPH10106186A (ja) 情報記憶装置
KR100389315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JPH0413771Y2 (ko)
JP3858438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493052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이송장치
JP4459511B2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