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232B1 - 권취용코어를위한고정단부 - Google Patents

권취용코어를위한고정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232B1
KR100389232B1 KR1019950016243A KR19950016243A KR100389232B1 KR 100389232 B1 KR100389232 B1 KR 100389232B1 KR 1019950016243 A KR1019950016243 A KR 1019950016243A KR 19950016243 A KR19950016243 A KR 19950016243A KR 100389232 B1 KR100389232 B1 KR 10038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nd
wedge piece
wedge
core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744A (ko
Inventor
펙카에로넨
Original Assignee
발멧페이퍼머쉬너리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멧페이퍼머쉬너리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발멧페이퍼머쉬너리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00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4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movable actuator including wedge-like or lob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쐐기편들(15) 및 고정단부의 외주상에 비스듬히 천공된 구멍들(24)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을 통하여 고정단부(20)의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이 측방향으로 움직여서 고정단부(20)를 코어 내면에 체결(locking)하기까지 상승하도록되는 권취용 코어를 위한 고정단부에 있어서,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이 고정단부(20) 외부표면에 관하여 안쪽 및 바깥쪽으로 방사상 운동하는것이 강제 제어되는것과 상기 강제제어가 쐐기편(15)의 축상운동을 매개로하여 일어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코어를 위한 고정단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권취용 코어를 위한 고정단부
본 발명은 권취에 사용되는 코어의 고정단부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고정단부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쐐기편들 및 고정단부의 외주(7)상에 비스듬히 천공된 구멍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 밖으로 고정단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쐐기편의 지지표면이 지지단부를 코어의 내면에 단단히 결착하기 위하여 상승하도록 배치된다.
종이웨브 및 기타의 웨브와 유사한 재료를 권취하는데 코어가 사용되고,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같이 고정단부들의 매개에 의하여 코어가 권취수단과 연결된다.
권취속도가 상당히 증대되었기때문에, 코어의 고정수단 또는 그의 등가물은 더욱 고도한 동작 요건들을 만족해야만 한다. 고정단부의 부품들사이에 섬유먼지가 끼는하는 것이 특히 문제가 되어왔는데, 이는 고정단부가 맞물려서 해제하기에 어렵고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때문이다.
기술적 상태와 관련하여, 핀랜드 특허출원 제 62510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권취에 사용되는 코어를 위한 고정 단부가 기술되어 있다.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상기 디자인에서는 내부 및 외부 쐐기편들이 활용되어서 축방향으로 상호이동가능한데 이로써 코어가 제자리에 위치될 수 있도록하고, 또한 압축요소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의 내부쐐기편들의 축방향이동이 접합부재에 의하여 제한되었다.
기술적상태와 관련하여, 핀랜드 특허출원 제861528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종이웨브 또는 등가의 재료웨브를 지지하는 권취코어인 관형 권취코어를 단단히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기재되어있으며, 이때 상기 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토크에 의해 발생된 확장을 이용하여서 상기 수단을 고정시키고, 귀환시 즉 해제될 때는 스프링작용이 일어나며, 따라서 상기 수단이 고정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고 유지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기술적 상태와 관련하여, 권취용코어를 위한 고정단부에 관하여 기술한 유럽특허 제 0 531 285호를 또한 참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고정편의 경사진 표면을 매개로하여, 고정단부가 스톱퍼를 때릴때 토크에 의하여 제공되는 고정단부의 경사면들의 확장을 이용하여 고정편이 단단히 결합된다. 고정단부의 귀환부재로서 스프링귀환이 사용된다.
기술적 상대와 관련하여, 독일 특허 공보 제 3 641 255호 및 3 601 912호를 참조할 수 있는데, 이 출원에 기술된 고정 배치에 있어서는 해제위치내로의 고정단부의 귀환이 문제가 된다.
기술적 상태와 관련하여, 또한 독일 특허출원 제 3 533 735호를 참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다른 매개편 및 기타의 공간이 문제가 될 수 있어서 상기 특성들은 안정된 고정 및 해제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을 통하여 명확하여진 바와같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디자인들에 따른 구체적인 문제점은 섬유먼지가 고정단부부분들 사이에 밀려들어가기때문에 고정단부를 해제위치로 복귀시키기가 열악한 점이며, 이로써 고정부재들이 확장위치로부터 처음 위치로의 후진이동을 하지 못하게된다.
선행기술에서 초래되는 문제점들은 복잡한 구조물들의 상이한 부분들 사이의 편들의 잠재적인 간격(cleacance)및 토크를 매개로 발생하며, 이는 심지어 권취도중에 코어의 흔들림을 일으킬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다루어진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한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섬유먼지로 인해서 고정위치 내로 고정단부가 꽉물리지 않는 디자인을 고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하 힘들이 기본구조물의 원하는 위치에 가하여질 수 있는 디자인을 고안하는것이며, 이로써 고정 단부가 부하힘들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중요한 목적은 제위치로 안정되게 들어가고 나올 수 있는 고정단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고정단부의 제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 및 하기에 기술될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단부는 고정단부의 외부표면과 관련하여 안쪽 및 바깥쪽으로 쐐기편의 지지표면의 방사상 이동이 강제 제어되는점과 상기 강제제어가 쐐기편의 축상 이동을 매개로 제공되도록한 점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고정단부는 강제 제어되며 상기 강제 제어는 쐐기편의 축상이동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배치에 있어서, 고정단부의 외주에 비스듬히 천공된 구멍들 밖으로 축상 회전 쐐기편들의 지지표면이 상승하고, 상기 표면은 대좌(seat)를 권취코어의 내부표면에 안정되게 체결한다. 또한 고정단부의 확장하는 부분이 발동수단 상에 고정되어서 발동수단이 움직일때 상기 대좌의 모든 이동부분들이 움직이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대좌가 지지위치에 꽉끼어 버리는것을 완전하게 방지했다.
권취에 사용되는 코어를 위한 고정단부는 고정단부의 외주상에 비스듬히 천공된 구멍들을 포함하고 그를 통하여 축 방향으로 운동하는 쐐기편들의 경사진 지지표면이 상승하며 상기 고정단부를 코어의 내부표면에 단단히 체결시키게 된다. 쐐기편의 지지표면이 고정단부의 외부표면에 관하여 안쪽 및 바깥쪽으로 방사상 운동하는것은 강제 제어되고, 상기 강제 제어는 쐐기편의 축상이동에 기초한다. 고정단부내의 쐐기편부분은그 단면이 원형인것이 바람직하다. 기하학적 형태로는, 쐐기편의 지지표면이 평평하거나 고정단부의 반지름 치수에 따라 만곡되거나 그 사이로 만곡된다. 쐐기편의 지지표면은 손잡이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울퉁불퉁하거나 그루브지게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단부는 그 내부의 쐐기편의 축상운동이 방사상운동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크기때문에 동작상 매우 안정되고, 이로써 생길수 있는 섬유 먼지가 쐐기편들 사이로부터 그들이 움직이는 동안에 방출된다.
본 발명은 디자인면에서도 단순하므로 제조기법상 비용이 많이들지 않으며 동작상으로도 안정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단부를 가지고 시트의 베어링이 고정단부내로 운반되어서 부하힘에 놓일수 있으며 쐐기가 프레임에 지지될때에 기본구조물로 직접 힘을 전달할 수 있고, 이로써 방사상 힘은 고정단부의 프레임으로 바로 중개된다.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제 1내지 4도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경사진 표면(12)상에 위치된 쐐기편들(15)을 포함한다. 스톱퍼 편(13)은 축방향으로 코어(10)의 위치를 제한한다. 쐐기편(15)은 방사상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지지표면들(15')을 매개로하여 코어(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쐐기편(15)의 축상 운동을 매개로 방사상운동이 강제 제어가 가능하게 일어난다. 쐐기편(15)의 축상이동은 대략 5내지 15mm로 비교적크다. 이런식으로, 0.5내지 2.0mm의 방사상운동이 일어난다. 제 2도에 제시된 T그루브 고정(19)은 방사상운동을 가능하게하고 쐐기편(15)을제자리에 축상으로 속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에 있어서, 토크가 기본구조물로 바로 중개되는데, 이는 쐐기편들이 고정단부(20)의 프레임에 지지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방사상 힘들이 프레임으로 직접유도된다. 따라서 쐐기편(15)은 예를들면 플레이트 스프링(23)등과 같은 발동수단에 결착되어서 상기 발동수단(23)이 운동을 일으킬때 고정단부의 이동부분들 전체가 움직이게된다. 따라서 고정단부가 지지위치에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수단(20)의 외주상에 비스듬히 천공된 구멍들(24)로부터 쐐기편의 지지표면(15') 축방향 이동이 발생하며, 따라서 고정단부를 코어(10)에 단단히 체결한다.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이 고정단부(20)의 외부표면에 대하여 안쪽 및 바깥쪽으로 방사상 이동하는 것이 강제 제어되고, 상기 강제 제어는 쐐기편(15)의 축상이동에 기초한다. 고정단부(20)내의 쐐기편(15)부분은 단면이 원형이다.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은 기하학적형태가 평평하거나 만족되어있으며 고정단부의 반지름크기이거나 그사이 반지름으로 만곡된다.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은 쐐기편의 축선에 관하여 경사가 지게된다. 경사각(α1)은 반드시 고정단부에 천공된 구멍들내의 천공각(α)과 동일하다.
제 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 스프링, 손잡이등과 같이 고정단부의 발동수단(23)은 S1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축방향으로 고정단부의 프레임부들(31,32,33)에 연길된 쐐기편(15)에 축방향으로 경사표면(12)을 따라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방사상방향으로는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이고정단부(20)의 외주표면상에 만들어진 천공(24)밖으로 방사상으로 상승한다. 코어(10)를 해제하기 위하여, 고정단부의 프레임부들(31,32,33)은 발동수단의 작용방향(S1)과 반대방향(S2)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쐐기편들은 작용방향(S2)으로 축상이동하며, 지지표면들(15')은 내측으로 이동하여 코어(10)가 그 위치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편(15)은 예를들어 T-그루브 등으로 프레임편(31)에 연결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에게 있어 공지된 더브테일(dovetail)이음부등과 같은 기타의 고정장치들도 본 목적을 달성한다. 고정배치(19)는 쐐기편(15)을 축방향운동으로 구속하는 동시에 방사상 운동도 가능하게 된다.
제 3도는 코어(10)의 중심에서 바라본 고정단부(2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도면은 지지표면들(15')을 가진 방사상으로 외향운동하는 쐐기편들(15)을 도시한 것이다.
제 4도는 고정단부(20)의 외부표면을 도시 한것으로서, 여기서 비스듬히 경사진 천공들(24)을 볼 수 있으며 이들은 쐐기편들(15)을 위하여 만들어 진 것으로 이 천공들로부터 쐐기편들(15)의 지지표면들(15')이 바깥쪽으로 방사상 운동을 한다.
제 5도 및 6도에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쐐기편들(15)은 개별적인 발동수단을 가지고 이동되지 않으며, 그대신 쐐기편들(15)의 확장 즉 방사상이동에코어(10)의 고정단부(20)에 관한 축상 이동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는 코어(10)의 단면이 전체 권취기간중에 고정단부(20)에 관하여 동일한 지점에 위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단부(20)의 쐐기편들(15)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동시에 지지표면들(15')의 방사상운동을 발생시킨다. 쐐기편들(15)은 환형부재(38)에 고정된 단부(37)를 포함하고, 이는 코어(10)의 단면에 대하여 지지되며 이로써 코어(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할때 쐐기편(15)도 동일하게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지지표면들(15')을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프링부재들(39)의 보조에 의하여, 쐐기편(15)이 처음위치로 복귀된다. 나머지 부품들에 관하여, 제 5내지 7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1내지 4도에 제안된 것들과 동일하고, 상응하는 부속들은 해당하는 참고번호로 지시된다.
한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관련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으나, 세부적인 사항에 있어서 본 발명은 좁은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의 개략적인 상을 R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 3도는 제 1도의 개략적인 상을 T방향으로 도시한것이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고정단부를 외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고정단부의 제 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 6도는 제 5도에 따른 고정단부를 T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 7도는 제 5도의 고정단부를 외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Claims (7)

  1.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쐐기편들(15), 및
    고정단부(20)의 외주상에 비스듬하게 보이는(foreseen bevelledly) 틈(aperture)
    을 포함하며, 상기 틈새를 통해서 고정단부(20)의 쐐기편들(15)의 지지표면(15')이 축 방향으로 움직여서 고정단부(20)를 코어(10) 내면에 체결(locking)하기까지 상승하도록 되며,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이 고정단부(20) 외부표면에 대하여 안쪽 및 바깥쪽으로 방사상운동하는 것이 강제 제어되며 그리고 상기 강제제어가 쐐기편(15)의 축상운동을 매개로하여 일어나도록 된 권취용 코어(10)를 위한 고정단부에 있어서,
    상기 쐐기편(15)의 고정단부(20)내의 일부가 단면에서 원형인 것과 상기 비스듬하게 보이는 틈이 비스듬히 천공된 구멍(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용 코어(10)를 위한 고정단부.
  2. 제 1항에 있어서, 쐐기편(15)의 종축 및 지지표면(15') 사이의 각도가 고정단부(20)의 종축 및 쐐기편(15)을 위해 제작된 구멍(24)의 축 사이의 각도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단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의 기하학적 형태가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단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쐐기편(15)의 지지표면(15')의 기하학적 형태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단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쐐기편(15)의 축상이동이 발동수단(23)의 매개에 의해 제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단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쐐기편(15)의 축상운동이 고정단부(20)에 관한 코어의 축상 이동에 의하여 제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단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부가, 상기 쐐기편(15)이 고정단부(20)의 발동수단의 작용에 의하여 프레임부(31)에 관하여 축상이동하는 것을 막고 방사상 이동은 가능하게 하는 배치(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단부.
KR1019950016243A 1994-06-23 1995-06-19 권취용코어를위한고정단부 KR100389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43039 1994-06-23
FI943039A FI100002B (fi) 1994-06-23 1994-06-23 Kiinnityspää rullauksessa käytettäviä hylsyjä var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744A KR960000744A (ko) 1996-01-25
KR100389232B1 true KR100389232B1 (ko) 2003-11-14

Family

ID=854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243A KR100389232B1 (ko) 1994-06-23 1995-06-19 권취용코어를위한고정단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79108A (ko)
EP (1) EP0688732B1 (ko)
JP (1) JP3578836B2 (ko)
KR (1) KR100389232B1 (ko)
AT (1) ATE170496T1 (ko)
CA (1) CA2152202C (ko)
DE (1) DE69504427T2 (ko)
FI (1) FI100002B (ko)
TW (1) TW2946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4477B2 (ja) * 2002-02-27 2007-03-22 Az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JP3648234B2 (ja) * 2003-04-09 2005-05-18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巻取紙支持装置
US20060175459A1 (en) * 2005-02-01 2006-08-10 Wei-Hsiu Hua Spindle for rolled wrap
FI128053B (en) 2017-12-14 2019-08-30 Valmet Technologies Oy Hylsyistukkajärjestelm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907A (en) * 1915-07-01 1916-02-22 Mortimer R Rust Roll-head.
AU470559B2 (en) * 1972-06-20 1976-03-18 Australian Paper Manufacturers Limited Shaftless chuck assembly
DE2344706A1 (de) * 1973-09-05 1975-03-20 Verpa Anstalt Halterung fuer gewickelte materialbahnen
DE2815310C2 (de) 1978-04-08 1982-06-16 Jagenberg-Werke AG, 4000 Düsseldorf Spannkopf für Wickelhülsen
US4800644A (en) * 1983-02-18 1989-01-31 Ralph Muellenberg Method for fastening or loosening a clamp unit
EP0208832B1 (de) * 1985-06-15 1988-08-10 JAGENBERG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Aufspannen von rohrförmigen Wickelhülsen, insbesondere von Papierbahnen oder ähnliche Werkstoffbahnen tragenden Wickelhülsen
DE3533735A1 (de) * 1985-09-21 1987-04-16 Hanssmann Erich Aufspreizbare welle zur loesbaren halterung von rohrfoermigen wickelhuelsen und austauschbaren walzenkoerpern
FI73658C (fi) * 1985-09-30 1987-11-09 Kyro Oy Aendkupa foer keramisk vals och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ess faestning.
DE3601912C1 (de) 1986-01-23 1987-03-05 Kampf Gmbh & Co Maschf Wickelwelle
JPH0527698Y2 (ko) * 1986-03-10 1993-07-15
DE3641255C1 (de) 1986-12-03 1992-10-08 Voith Gmbh J M Spannkopf fuer Wickelhuelsen
EP0531285B1 (de) * 1990-05-26 1994-02-16 Beloit Technologies, Inc. Spannkopf für wickelhül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94645B (ko) 1997-01-01
CA2152202C (en) 2007-08-21
ATE170496T1 (de) 1998-09-15
EP0688732A3 (en) 1996-12-04
JP3578836B2 (ja) 2004-10-20
EP0688732A2 (en) 1995-12-27
CA2152202A1 (en) 1995-12-24
FI943039A0 (fi) 1994-06-23
FI100002B (fi) 1997-07-15
JPH0840647A (ja) 1996-02-13
DE69504427D1 (de) 1998-10-08
EP0688732B1 (en) 1998-09-02
DE69504427T2 (de) 1999-02-25
KR960000744A (ko) 1996-01-25
FI943039A (fi) 1995-12-24
US5679108A (en) 1997-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6639A (ko) 드럼 브레이크 조립체 및 브레이크 부재의 제조방법
CN102224357B (zh) 盘式制动器及其制动衬片组件
CA1050311A (en) Expansion anchor assembly including a yielding member
KR100389232B1 (ko) 권취용코어를위한고정단부
JPH02199307A (ja) 拡開アンカー
KR0148498B1 (ko) 신축성 금속 고정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0200203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US4501520A (en) Expansion dowel assembly
KR940004234A (ko) 편심형 벨트 긴장기
KR950003157A (ko) 수동식 체인블럭
JPS62270831A (ja) 自在継手
JP3236822B2 (ja) ヨーヨー
FI86165B (fi) Spaennhuvud foer varphylsor.
JPH07314203A (ja) 主軸装置
JPS6172551A (ja) 枚葉紙輪転印刷機の紙渡し胴
JP2898407B2 (ja) 交換可能なロールリングと分離したロール本体を備えたロール支台用ロール
FI100353B (fi) Laite telan kiinnittämiseksi runkorakenteeseen
KR200346704Y1 (ko) 앵커볼트유닛
KR101751558B1 (ko) 가구부속품용 고정장치
CA2914228A1 (en) Screening device
KR0134307Y1 (ko) 낚시용릴의 원심브레이크 설치 결합구조
SU1535677A1 (ru) Кулачкова оправка
JP4875061B2 (ja) ドラムブレーキ
SU721610A1 (ru)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903212B1 (ja) 巻芯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