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283B1 -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 Google Patents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283B1
KR100388283B1 KR10-2000-0078226A KR20000078226A KR100388283B1 KR 100388283 B1 KR100388283 B1 KR 100388283B1 KR 20000078226 A KR20000078226 A KR 20000078226A KR 100388283 B1 KR100388283 B1 KR 100388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lever
vehicle
choke
knob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132A (ko
Inventor
이상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2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4Gas-air mix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냉간 시동시 스로틀레버와 연동되도록 설치된 쵸크레버를 강제로 작동시켜 스로틀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LPG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로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랙을 가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랙과 쵸크레버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된 쵸크케이블과, 외주에 슬라이더의 랙과 이맞물림 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일부가 차내로 돌출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면에 복수의 걸림홈을 일정각도 간격으로 가지며 차내로 돌출된 부위에 레벨표시가 구비된 노브 및 노브의 어느 한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로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쵸크레버의 동작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고RPM으로 주행할 우려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쵸크레버의 조작도 매우 간편해지게 되므로 LPG차량의 안정성과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Choke lever handling device of LPG vehicle}
본 발명은 LPG차량의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 등의 냉간 시동시에 초기 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 쵸크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쵸크레버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실제적인 구동을 위해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엔진의 사용연료에 따라 가솔린 차량, 디젤차량 및 LPG 차량으로 대별된다. 이중 LPG차량은 봄베에서 토출된 액상의 LPG를 베이퍼라이저(vaporizer)에서 엔진냉각수에 의해 감압하여 기화시킨 뒤, 믹서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실린더내로 공급함으로써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LPG는 그 특성상 기화점이 높기 때문에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상태에서는 시동성이 크게 떨어지는 바, LPG차량에는 냉간 시동시 스로틀밸브의 개도를 강제로 조절하여 연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엔진의 아이들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쵸크레버가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쵸크레버는 스로틀레버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리턴스프링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으며, 차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된 쵸크버튼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가속페달의 조작없이 스로틀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1에는 이러한 쵸크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종래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P) 내부에 케이블홀더(3)가 장착되고, 이 케이블홀더(3)의 차내측에 푸시풀(push-pull) 노브(2)가 구비되며, 이 노브(2)가 케이블 홀더(3)를 관통하는 쵸크케이블(1)에 의해 쵸크레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홀더(3)내에 위치하는 쵸크케이블(1)의 외주에는 복수의 걸림홈(4)들이 적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고, 케이블홀더(3)의 내주에는 쵸크케이블(1)의 걸림홈(4)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로커(5)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간 시동시, 노브(2)를 당기면 쵸크케이블(1)이 당겨져 쵸크레버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그와 연동되는 스로틀레버의 회전각을 강제로 변화시켜 연료량을 증가시게 되는데, 이 때 스로틀레버의 회전각을 쵸크케이블(1)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4)과 케이블홀더(3)의 로커(5)에 의해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충분히 워밍업 되어 냉각수온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되면 노브(2)를 눌러 쵸크장치의 동작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는 노브(2)를 당기거나 밀어주는 구성이기 때문에 노브(2)의 위치가 작동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시동이 완료된 뒤에도 자칫 노브(2)의 당김을 해제하지 않고 그대로 운행할 우려가 매우 많았으며, 이 경우 차량이 상당한 고RPM으로 주행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과대한 연료소모가 야기됨은 물론 엔진에도 상당한 무리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쵸크레버의 동작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서 쵸크레버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LPG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를 따라 취한 발췌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슬라이더 12: (슬라이더의) 랙
13: 노브 14: (노브의) 기어
15: (노브의) 걸림홈 16: 쵸크케이블
18: 로커 21: (노브의) 표시레벨
P: 인스트루먼트 패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LPG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는, 냉간 시동시 스로틀레버와 연동되도록 설치된 쵸크레버를 강제로 작동시켜스로틀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LPG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로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랙을 가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랙과 쵸크레버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된 쵸크케이블과; 외주에 슬라이더의 랙과 이맞물림 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일부가 차내로 돌출되도록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면에 복수의 걸림홈을 일정각도 간격으로 가지며, 차내로 돌출된 부위에 레벨표시가 구비된 노브; 및 노브의 어느 한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로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쵸크레버의 동작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고RPM으로 주행할 우려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쵸크레버의 조작도 매우 간편해지게 되므로 LPG차량의 안정성과 편의성 향상등에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LPG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에 대한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에 의한 LPG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는, 쵸크레버(도시하지 않음)와 쵸크케이블(16)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11)와, 이 슬라이더(11)를 왕복 이동시키는 노브(13)로 구성된다.
슬라이더(11)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P) 내부에서 브래킷(17)에 지지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P)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또한 브래킷(17)에 의해 가이드된다. 슬라이더(11)는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랙(12)을 구비하며, 이 랙(12)에 쵸크케이블(16)의 일단이 고정된다.
노브(13)는 예를 들어 원반형으로 구성되고, 그 일부가 차내로 돌출되도록인스트루먼트 패널(P)을 관통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노브(13)의 외주에는 기어(14)가 형성되어 슬라이더(11)의 랙(12)과 이맞물림 된다. 그리고, 노브(13)의 차내로 돌출된 부위의 외주에는 쵸크레버의 작동여부와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레벨(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레벨(21)은 예를 들어 쵸크레버의 동작위치와 정지위치 및 단계별 동작위치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쵸크레버는 스로틀밸브의 닫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는 바, 조작의 편의를 위해서는 쵸크케이블(16)을 당긴 상태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어 노브(13)의 하면에는 복수의 걸림홈(15)들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는 노브(13)의 각 걸림홈(15)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로커(18)가 설치된다.
이러한 로커(18)는 노브(13)를 임의의 위치에 위치고정시킬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P)에 작동홈(H)을 형성하고, 이 작동홈(H)내에 볼(19)을 수용하여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프링(20)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LPG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는, 동절기 등의 냉간 시동시 노브(13)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돌리면 이의 기어(14)와 이맞물림 된 랙(12)에 의해 슬라이더(11)가 좌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쵸크케이블(16)이 당겨지게 됨으로써 강제로 스로틀레버의 회전각을 변화시켜 연료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 때, 로커(18)의 볼(19)은 노브(13)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스프링(20)을압축하면서 작동홈(H)내로 진입하여 노브(13)의 걸림홈(15)으로부터 빠져나왔다가 스프링(20)의 복원탄성에 의해 후속하는 임의 위치의 걸림홈(15)에 탄성적으로 끼워짐으로써 노브(13)를 회전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쵸크케이블(16)을 단계적으로 당겨 쵸크레버의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시동에 적절한 엔진의 아이들링 회전수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이 때의 쵸크레버 동작여부와 정도는 노브(13)의 외주에 형성된 표시레벌(21)에 의해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엔진이 충분히 워밍업 된 경우에는 노브(1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랙(12)에 의해 슬라이더(11)가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쵸크레버가 리턴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스로틀밸브의 개도를 정상운전상태로 회복시킨다. 이 때, 쵸크레버의 정지상태 역시 노브(13)에 표시된 표시레벨(21)을 통해 운전자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쵸크레버를 동작시킨 상태로 주행할 우려가 거의 없음은 물론 쵸크레버의 조작도 매우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쵸크레버의 동작여부를 운전자가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쵸크레버를 동작시킨 상태로 주행하는 불필요한 고RPM 주행 우려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브가 회전작동 방식이므로 쵸크레버의 조작도 매우 간편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LPG차량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간 시동시 스로틀레버와 연동되도록 설치된 쵸크레버를 강제로 작동시켜 스로틀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LPG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로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랙을 가지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랙과 쵸크레버에 양 단부가 각각 연결된 쵸크케이블과;
    외주에 상기 랙과 이맞물림 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일부가 차내로 돌출되도록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면에 복수의 걸림홈을 일정각도 간격으로 가지며, 상기 차내로 돌출된 부위에 레벨표시가 구비된 노브; 및
    상기 노브의 어느 한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로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KR10-2000-0078226A 2000-12-19 2000-12-19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KR100388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226A KR100388283B1 (ko) 2000-12-19 2000-12-19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226A KR100388283B1 (ko) 2000-12-19 2000-12-19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132A KR20020049132A (ko) 2002-06-26
KR100388283B1 true KR100388283B1 (ko) 2003-06-19

Family

ID=2768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226A KR100388283B1 (ko) 2000-12-19 2000-12-19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2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852A (ja) * 1983-10-21 1985-05-18 Shuki Kawahata 内燃機自動戻りチヨ−ク
KR980001528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자동차 주차 보조장치
KR19980044445A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쵸크노브 구조
KR19990038966A (ko) * 1997-11-07 1999-06-05 정몽규 Lp차량의 초오크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JP2000016366A (ja) * 1998-06-29 2000-01-18 Asahi Denso Co Ltd チョーク操作装置付ハンドル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852A (ja) * 1983-10-21 1985-05-18 Shuki Kawahata 内燃機自動戻りチヨ−ク
KR980001528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자동차 주차 보조장치
KR19980044445A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쵸크노브 구조
KR19990038966A (ko) * 1997-11-07 1999-06-05 정몽규 Lp차량의 초오크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JP2000016366A (ja) * 1998-06-29 2000-01-18 Asahi Denso Co Ltd チョーク操作装置付ハンドル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132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9255B1 (en) Engine and trans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accessory
US6454245B2 (en) Engine intake control mechanism
US6142455A (en) Rotary throttle valve type carburetor
JP2008128023A (ja) 自動二輪車用運転モード切り替え装置
JP2006336571A (ja) ロータリ絞り弁式気化器の始動装置
KR100388283B1 (ko) 엘피지 차량의 쵸크레버 핸들링장치
KR890001730B1 (ko) 차량용 엔진의 난기 시스템
US7288047B1 (en) Engine and transmiss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motorized vehicle
JP4394265B2 (ja) バイフューエルエンジンの供給燃料制御装置
JPS5843631Y2 (ja) エンジンの温間始動促進装置
JP3834366B2 (ja) ガスエンジンのガスミキサ
US2004919A (en) Gasoline vapor and air mixing device
KR200188961Y1 (ko) 차량의 쵸크레버 미세 조정장치
KR200154138Y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CA2504069C (en) Vehicle steering handle device
KR100271987B1 (ko) 자동차의 스로틀 스위치
KR100535382B1 (ko) 액화석유가스 차량의 공기 유입량 조정 장치
JPS6341547Y2 (ko)
JPH0420997Y2 (ko)
JPH0392575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200161574Y1 (ko) 체인지 레버 노브의 취부구조
JP2566565Y2 (ja) 気化器の高地補正装置
JPH0335868Y2 (ko)
JPS60228750A (ja) 気化器の急加速装置
JPH11117813A (ja) 回転絞り弁式気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