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653B1 -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653B1
KR100387653B1 KR10-2000-0076586A KR20000076586A KR100387653B1 KR 100387653 B1 KR100387653 B1 KR 100387653B1 KR 20000076586 A KR20000076586 A KR 20000076586A KR 100387653 B1 KR100387653 B1 KR 10038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polyol
pe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937A (ko
Inventor
윤형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6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廢)폴리우레탄 폼 조각을 폴리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표면처리한 다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레귤러 섬유 층들 사이에 일정량 분포시키고 압축 성형함으로써, 종래 PET저융점섬유와 PET레귤러 섬유를 혼합방사하여 제조한 흡음재에 비하여 방음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고가의 저융점섬유 대신 폐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원가가 대폭 절감되며, 기존의 차음재과 함께 대시 패널(dash panel)에 적용하면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차량 실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Acoustic materi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廢)폴리우레탄 폼 조각을 폴리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표면처리한 다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레귤러 섬유 층들 사이에 일정량 분포시키고 압축 성형함으로써, 종래 PET저융점섬유와 PET레귤러 섬유를 혼합방사하여 제조한 흡음재에 비하여 방음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고가의 저융점섬유 대신 폐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원가가 대폭 절감되며, 기존의 차음재과 함께 대시 패널(dash panel)에 적용하면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차량 실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대시 패널에 적용되는 방음재(인슐레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 패널(10)에 부착된 제진 재료(20) 위에 부착되어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차량 실내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대시 패널용 방음재는 흡음재(30)와 차음재(40)로 구성되어 있는데, 흡음재(30)와 차음재(40)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방음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차음재(40)는 헤비 레이어(heavy layer)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olide, PVC), 고무(rubber)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에 CaCO3및 BaSO4와 같은 무기질을 첨가한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또한, 흡음재(30)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발포체 또는 섬유질 펠트(felt)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흡음성능 및 단열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atalate, 이하 PET라 함) 섬유가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최근, 흡음재 원료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재질로서 상기 PET 섬유의 재료 구성을 보면, 레귤러 섬유(regular fiber) 65 ∼ 75 중량% 및 저융점섬유(low melting fiber, LMF) 25 ∼ 35 중량%에 기타 첨가제를 넣어 만든 조성이 일반적이며, 레귤러 섬유와 저융점섬유가 혼합방사되어 사용되고 있다. 만일, 레귤러 섬유 단독으로 사용하면, 제품 제작 공정에서 압축한 후 PET 섬유가 복원되어 방음재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저융점섬유를 레귤러 섬유와 혼합방사함으로써 제품의 복원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저융점섬유는 가격면에서 레귤러 섬유에 비하여 상당히 고가이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방음 특성을 갖는 경제적인 원료를 선택 사용하되, 그 방음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성형 후에도 형태를 최대한 유지시키고 차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시키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공질의 폐폴리우레탄 폼 조각(이하, 칩 폼)을 사용하되, 칩 폼의 표면을 폴리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처리한 다음 PET 레귤러 섬유와 혼합하여 제조하면, 압축성형 후에 복원되지 않아 형태 안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방음효과가 전영역에 걸쳐 종래에 비하여 향상되고, PET 저융점섬유보다 가격이 저렴한 폐자원의 칩 폼을 사용함으로써비용이 월등히 감소하며, 폐자원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 동시에 경제적임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는 PET 레귤러 섬유에 칩 폼이 적절히 분포된 상태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방음성능이 향상되어 자동차용 방음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흡음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몸체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음재의 미세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흡음재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흡음재의 방음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시 패널 20 : 제진 재료
30 : 흡음재
31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귤러 섬유(PET 레귤러 섬유)
32 : 폐폴리우레탄 폼 조각(칩 폼)
40 : 차음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원료로 하는 흡음재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귤러 섬유의 층과 층 사이에 폴리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표면처리된 폐폴리우레탄 조각이 균질 분포된 상태로 압축성형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흡음재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폴리우레탄 폼 조각을 폴리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의 혼합물로 표면처리한 다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귤러 섬유의 층과 층 사이에 분포시키고 압축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흡음재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차음재를 부착하여 자동차용 방음재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를 그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폴리우레탄 폼 조각(32)을 폴리올(polyol) 및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이하 MC라 함)의 혼합물로 표면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폴리올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폐폴리우레탄 폼 조각(32; 이하, 칩 폼이라 함)을 표면처리하는 이유는, 다음 공정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레귤러 섬유(31)와 칩 폼(32)을 강력히 결속시키기 위함이다. 즉, 폴리올과 MC로 표면처리함으로써, 칩 폼(32)의 표면에 접착능을 부여하여 다음 단계에서 흡음재(30)가 견고하게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표면처리는 침지법을 이용하고, 표면처리용 폴리올과 MC는 3:7 ∼ 4:6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폴리올은 분자량 400 ∼ 1,000 사이의 저분자 폴리올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칩 폼(32)은 직경이 5 ∼ 1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표면처리된 칩 폼(32)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ET 레귤러 섬유(31)의 층과 층 사이에 분포시키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 ∼ 150 ℃에서 30 ∼ 120초 동안 예열한 다음 압축성형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즉, PET 레귤러 섬유(31)의 카딩(carding)시 섬유층과 섬유층이 만나는 중간층에 접착제 역할을 하는 칩 폼(32)을 일정량 분포시키므로써, PET의 레귤러 섬유(31)에 다공성의 칩 폼(32)이 혼합된 웹(web)을 만든 다음, 금형에 의한 압축공정을 통해 PET의 레귤러 섬유(31)와 칩 폼(32)을 결합시켜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압축하여 제조된 흡음재(30)의 중량은 700 ∼ 100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칩 폼(32)은 전체 흡음재(30)에 대하여 5 ∼ 30 중량%를 사용하며, PET 레귤러 섬유(31)는 전체 흡음재(30)에 대하여 70 ∼ 95 중량%를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흡음재에 기존의 차음재를 부착하여 자동차용 방음재를 제조한 결과, 그 방음효과가 전영역에서 기존 대비 2 ∼ 10 dB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뿐 아니라, 본 발명은 공정면ㆍ경제면ㆍ환경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어 자동차 대시 패널 등 자동차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칩 폼은 자동차의 시트(seat)등에서 사용된 것으로 1조각의 직경이 5 ∼ 10 ㎜ 정도 되도록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폴리올과 MC를 3:7의 배합비율로 혼합하고, 이 혼합용액으로 칩 폼을 침지하여 표면처리하였다. 이렇게 표면처리된 칩 폼을 PET 레귤러 섬유의 층과 층 사이에 분포시켜 두께 400㎜인 웹을 만든 다음, 예열실을 통과시켜 200 ℃에서 30초 동안 예열하고, 방음부품용 금형에서 20 ㎜의 두께로 압축성형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흡음재의 중량은 850 g/㎡이었다.
비교예
공지된 방법으로 PET 레귤러 섬유와 PET저융점섬유를 혼합방사하여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방음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흡음재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EVA 재질의 차음재를 부착한 다음 투과손실 평가 방법으로 방음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기존품인 비교예에 비하여 전영역에서 투과 손실률이 2 ∼ 10 dB 향상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흡음재는 다공질의 폐폴리우레탄 폼 조각의 표면을 폴리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접착능을 부여한 다음 PET 레귤러 섬유 층 사이에 적절히 분포시키고 금형에서 성형함으로써, 압축 후에도 복원되지 않으며, 방음효과가 종래에 비하여 향상되고, 가격이 저렴한 폐자원을 활용하여 환경면ㆍ경제면에서 우수할 뿐 아니라, 공정이 간단하여 경량화된 방음재를 필요로 하는 자동차 등의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원료로 하는 흡음재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귤러 섬유의 층과 층 사이에 폴리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로 표면처리된 폐폴리우레탄 조각이 균질 분포된 상태로 압축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중량이 700 ∼ 1000 g/㎡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폼은 전체 흡음재에 대하여 5 ∼ 30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귤러 섬유는 70 ∼ 95 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
  4. 폐폴리우레탄 폼 조각을 폴리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의 혼합물로 침지법에 의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다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레귤러 섬유의 층과 층 사이에 분포시키고 압축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용 폴리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는 3:7 ∼ 4:6의 배합비율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용 폴리올은 분자량 400 ∼ 1,000 사이의 저분자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폼 1조각의 직경은 5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8. 상기 청구항 1의 흡음재에 통상의 차음재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부착한 자동차용 방음재.
KR10-2000-0076586A 2000-12-14 2000-12-14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KR10038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86A KR100387653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86A KR100387653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937A KR20020047937A (ko) 2002-06-22
KR100387653B1 true KR100387653B1 (ko) 2003-06-18

Family

ID=2768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586A KR100387653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6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90B1 (ko) * 2008-07-03 2009-04-17 엔피에프(주)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재생사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
KR101082129B1 (ko) * 2010-02-01 2011-11-09 (주)대한솔루션 폐 폴리우레탄 폼을 재활용한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24536B1 (ko) * 2011-02-21 2013-01-2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재활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05794B1 (ko) * 2012-04-24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융복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4213B1 (ko) 2018-01-04 2019-05-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1085191B4 (de) * 2011-07-06 2020-10-29 Hyundai Motor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allisolierenden Materials unter Verwenden eines Polyurethanschaums aus einem Schaum für Autositze und Zusammensetzung mit demselben, welche mittels des Verfahrens erzeugt wi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590A (ko) * 2001-07-09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음성이 향상된 방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6903B1 (ko) * 2004-09-15 2006-10-19 (주)석광테크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71811B1 (ko) * 2012-06-25 2014-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308B1 (ko) 2013-05-06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208B1 (ko) * 2018-09-12 2020-05-15 (주)신일하이테크 흡차음성이 우수한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90B1 (ko) * 2008-07-03 2009-04-17 엔피에프(주)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재생사용한 흡/차음용 자동차 내장재
KR101082129B1 (ko) * 2010-02-01 2011-11-09 (주)대한솔루션 폐 폴리우레탄 폼을 재활용한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24536B1 (ko) * 2011-02-21 2013-01-2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재활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DE102011085191B4 (de) * 2011-07-06 2020-10-29 Hyundai Motor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allisolierenden Materials unter Verwenden eines Polyurethanschaums aus einem Schaum für Autositze und Zusammensetzung mit demselben, welche mittels des Verfahrens erzeugt wird
KR101405794B1 (ko) * 2012-04-24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융복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4213B1 (ko) 2018-01-04 2019-05-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937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4264B2 (ja) 自動車用車体パネルインシュレータ
KR100387653B1 (ko)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JPH0797754A (ja) 吸音材
CN108215443B (zh) 一种用于汽车内外饰件的超轻高强gmt复合板材的制备方法
JPH11152670A (ja) カーペッ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5872B1 (ko) 자동차용 방음재와 그 제조방법
CN1726133A (zh) 制备弹性汽车内层材料和结构板的方法及此方法制备的产品
KR102249763B1 (ko) 흡음 및 차음 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US11396159B2 (en) Lofty fibrous trim part
KR20210025379A (ko) 자동차 펜더라이너용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펜더라이너의 제조방법
JP3284729B2 (ja) 自動車用遮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73648A (ja) 遮音制振材
KR20030093415A (ko) 강도가 우수한 흡차음재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및 그제조방법
JPH11202873A (ja) 遮音材
JP2934480B2 (ja) 制振防音材
JP3170998B2 (ja) 自動車用遮音材料
KR102254107B1 (ko) Lwtpe 차음소재를 이용한 흡차음 일체형 내장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0353077B1 (ko) 자동차대쉬보드용절연패드
JP3259256B2 (ja) 高性能遮音材
JPH09123326A (ja) 制振・遮音シート
KR100255608B1 (ko) 자동차용 진동·소음 방지패드
JPS63265606A (ja) 自動車用防音材の形成方法
KR970008482B1 (ko) 자동차용 차음판 제조방법
KR101151359B1 (ko) 분진 발생이 억제된 흡차음재
KR100187111B1 (ko) 자동차용 복합 제진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