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567B1 -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567B1
KR100387567B1 KR10-2000-0073906A KR20000073906A KR100387567B1 KR 100387567 B1 KR100387567 B1 KR 100387567B1 KR 20000073906 A KR20000073906 A KR 20000073906A KR 100387567 B1 KR100387567 B1 KR 10038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support
pallet structure
plate
autom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490A (ko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5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23Q3/152Rot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회전하는 작업판의 일정 원주상에 적층되는 부품이 순차적으로 소모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만큼 부품들이 위로 승강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 장치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부품을 집을 수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항상 부품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되어 자동화 장치가 부품을 제대로 잡지 못해 발생되는 작업 에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지지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판을 포함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원주 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등간격으로 부품 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에는 부품 지지구에 적층된 부품의 수평을 유지시켜 주는 수평 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Pallet structure for atuomatic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층으로 적층된 부품이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사용되더라도 항상 동일선상에 자동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자동화 장치의 작업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산업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산업에서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자동화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 장치의 예로서 용접용 로봇이나 부품을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송시켜 주는 이송 로봇 등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이러한 자동화 산업에서 크기가 작은 부품을 여러장 겹쳐 자동화 로롯이 부품을 낱개로 집어 작업 위치로 이송시켜 주거나 이송과 함께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파렛트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파렛트 구조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지지판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작업판(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업판(11)의 상부에 크기가 작은 부품(100)을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품(100)은 작업판(11)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회전 반경 상에 등간격으로 설정된 위치에 놓게 되며, 특히 이 설정 위치에는 상기부품(100)을 여러개씩 적층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층된 부품들(100)은 상기 설정 위치 중에서 어느 한곳으로만 움직이도록 하는 작업용 자동화 장치(예를 들어, 용접 로봇, 이송용 로봇 등)(200)에 의해 하나씩 부품을 필요로 하는 작업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자동화 장치(200)가 한 곳의 부품(100)을 전부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는 작업판(11)을 회전시켜 다른 설정 위치에 있는 부품(100)이 자동화 장치(200)가 집을 수 있는 위치로 이송시켜 주고 부품(100)이 없는 설정 위치에 다시 새로운 부품(100)을 적층시켜 놓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파렛트 구조는 부품이 적재된 작업판이 회전 작용만 하기 대문에, 그 위에 적층된 부품들을 자동화 장치가 하나씩 소모함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자동화 장치의 작동 범위가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지속적으로 변하게 되어 부품의 정확한 위치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상기 부품이 평편한 면을 갖는 경우 문제가 거의 없으나 부품의 일측이 구배지거나 체결구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부품을 여러개로 적층하더라도 모든 부품이 정확하게 포개짖 않기 때문에 위치 변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자동화 장치가 정확하게 부품을 집을 수 없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회전하는 작업판의 일정 원주상에 적층되는 부품이 순차적으로 소모되더라도 이에 대응하는 만큼 부품들이 위로 승강되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 장치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부품을 집을 수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항상 부품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되어 자동화 장치가 부품을 제대로 잡지 못해 발생되는 작업 에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지지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판을 포함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원주 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등간격으로 부품 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에는 부품 지지구에 적층된 부품의 수평을 유지시켜 주는 수평 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부품 지지구를 승하강시켜 주는 수단은 이 부품 지지구의 수직 바에 형성된 랙과, 작업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이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유지 수단은 베이스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단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은 균형추가 장착되고 타측은 부품 지지구를 향하도록 설치된 가로바와, 상기 작업판에 설치되어 적층된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렛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파렛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판 11 : 작업판
12 : 베이스 20 : 부품 지지구
21 : 랙 22 : 피니언
23 : 구동모터 30 : 수평 유지 수단
31 : 지지대 32 : 가로바
33 : 감지부 34 : 균형추
100 : 부품 200 : 자동화 장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파렛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도면부호 10은 지지판을, 11은 작업판을, 100은 부품을, 200은 자동화 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판(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판(11)에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부품 지지구(20)를 장착하여 자동화 장치(200)가 부품을 집어 사용하더라도 항상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지지판(10)을 지지하는 베이스(12)에는 수평 유지 수단(30)을 장착하여 상기 부품 지지구(20) 상에 놓인 부품(100)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자동화 장치(200)가 용이하게 부품(100)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품 지지구(20)는 자동화 장치(200)로 이송시켜 주는 부품(100)의 크기보다 조금 큰 일종의 작업판으로, 그 하면은 상기 작업판(11)에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부품 지지구(20)는 승하강 수단에 의해 작업판(11)에 대해 수직선상으로 상하강 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승하강 작동은 자동화 장치(200)에 의해 부품(100)이 하나씩 빠져 나가더라도 항상 적층된 부품들(100)의 높이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부품 지지구(20)는 이 부품 지지구(20)의 수직 바에 형성된 랙(21)과, 작업판(11)의 하부에 장착되어 이 랙(21)에 치합되는 피니언(22)을 포함하는 구동모터(23)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 유지 수단(30)은 베이스(12)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31)와, 이 지지대(31)의 상단에 힌지 고정된 가로바(32)와, 상기 부품(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1)는 베이스(12)로부터 작업판(11)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일종의 바(bar)로, 그 단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로바(32)가 길이 중간 부분이 힌지로 고정되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가로바(32)는 일단이 항상 부품 지지구(20)의 상면을 향하도록 지지대(31)에 힌지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단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균형추(34)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로바(32)는 항상 부품 지지구(20)의 상면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고 있게 되며, 상기 균형추(34)의 무게에 따라 이 상면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바(32)는 균형추(34)의 중량에 따라 부품 지지구(20)의 상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후술하는 감지부(34)에 의해 상하 최대 이송 높이가 제한되는 부품(100)과의 간섭을 이용해서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로바(32)는 그 단부가 항상 부품(100)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서 부품(100)이 부품 지지구(20)에 의해 위로 올라 오는 경우, 이를 가볍게 눌러 양면에 비대칭으로 굽거나 돌출부위가 있는 부품(100)이더라도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시켜 자동화 장치(200)가 용이하게 제자리를 찾아 부품(100)을 이송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감지부(33)는 포토 센서와 같은 일종의 센서로 상술한 작업판(11) 상에 장착하여 부품(100)의 전체 높이를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부품(100)은 부품 지지구(20)의 상면에 일정한 갯수(예를 들어, 약 30매 정도) 만큼 올려 놓고 사용하는 경우 이때의 전체 높이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이보다 높게 부품(100)을 놓게 되면 이를 경고하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부품 지지구(20)가 자동화 장치(200)에 의해 부품(100)을 소모함에 따라 위로 상승하는 높이를 제한해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판(11)은 베이스(12)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면에 실제 부품(100)을 지지하는 부품 지지구(20)가 설치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게다가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된 수평 유지 수단(30)에 의해 전체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지지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판을 포함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원주 상에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등간격으로 부품 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에는 부품 지지구에 적층된 부품의 수평을 유지시켜 주는 수평 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실제 각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 지지구가 자동화 장치에 의해 이송된 부품의 높이만큼 나머지 부품을 위로 상승시켜 주고, 여기에 각 부품의 수평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자동화 장치가 항상 같은 위치에 있는 부품을 집을 수 있게 되어 작업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 지지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업판을 포함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원주 상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부품 지지구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베이스에는 부품 지지구에 적층된 부품의 수평을 유지시켜 주는 수평 유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지지구는 이 부품 지지구의 수직 바에 형성된 랙과, 작업판의 하부에 장착되어 이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 수단은 베이스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단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은 균형추가 장착되고 타측은 부품 지지구를 향하도록 설치된 가로바와, 상기 작업판에 설치되어 적층된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KR10-2000-0073906A 2000-12-06 2000-12-06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KR10038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06A KR100387567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06A KR100387567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90A KR20020044490A (ko) 2002-06-15
KR100387567B1 true KR100387567B1 (ko) 2003-06-18

Family

ID=2768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906A KR100387567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07B1 (ko) * 2014-12-26 2017-02-0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회전익 항공기의 로터-허브 조립 자동화 장치
CN105538201A (zh) * 2016-03-14 2016-05-04 镇江市丹徒区精华轴承厂 一种滚轮体支撑台
CN109229659A (zh) * 2018-10-24 2019-01-18 嘉兴市华昱广告有限公司 一种弹簧床垫包装用便于移动的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90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0633B2 (ja) ガラス板のパレットへの積載方法および装置
WO2005002804A1 (ja) 搬送装置、薄板状物の搬送方法、及び薄板状物製造システム
KR20060047409A (ko) 기판 이송 장치
CN112623774A (zh) 一种电视背板自动码垛设备
US70047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disk-shaped substrates
KR100485439B1 (ko) 현수 반송설비와 그 학습장치
US6837490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KR100387567B1 (ko) 자동화 장치용 파렛트 구조
JP2000007147A (ja) 板状体の吊下移載具
CN108715350A (zh) 一种气动式水稻育秧盘叠盘装置
KR102059567B1 (ko) 기판 반송 장치
JPH07257516A (ja) 空袋供給機の空袋供給装置
JP2003237943A (ja) 段ボールケース束のデパレタイジング装置
JP4135305B2 (ja) シヤシダイナモメータの検量装置とその方法
KR101892114B1 (ko) 패널 반송 장치
CN111070242A (zh) 一种墙板检测机构及墙板安装机器人
CN212922255U (zh) 一种圆形纸板端盖升降台
CN218618613U (zh) 输送装置及自动化生产系统
CN220663976U (zh) 物流线托盘放反纠正机构
JP4164909B2 (ja) 重量式充填装置
JP2841855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
CN219357012U (zh) 自动上料分拣的外形尺寸检测设备
KR0124806Y1 (ko) 전자부품조립장치
CN213568449U (zh) 玻璃抓取堆放装置
KR20190056506A (ko) 견고한 랩핑이 가능한 랩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