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560B1 -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560B1
KR100387560B1 KR10-2000-0051737A KR20000051737A KR100387560B1 KR 100387560 B1 KR100387560 B1 KR 100387560B1 KR 20000051737 A KR20000051737 A KR 20000051737A KR 100387560 B1 KR100387560 B1 KR 10038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double laye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229A (ko
Inventor
나카자와유타카
사카타고지
미무라가즈야
야스다다카시
Original Assignee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0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68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의 드라이업 및 ESR가 저감된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세퍼레이터(1)과 세퍼레이터(1)를 개재시켜 대향배치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2a,2b)와 세퍼레이터(1)및 분극성전극(2a,2b)를 측면으로부터 유지하는 개스킷(3a,3b)와 분극성전극(2a,2b)의 외측표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집전체(4a,4b)를 구비하고 집전체 (4a,4b)가 동박(5a,5b)와 도전성수지액을 동박(5a,5b)의 표면에 도공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성도포막(6a,6b)를 가지는 적층체인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이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제조함에 있어서 도전성수지액을 동박(5a,5b)의 표면에 도공하여 동박(5a,5b) 표면에 도전성도포막(6a,6b)이 형성된 집전체 (4a,4b)를 제작하는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제조방법.

Description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Electric double layer condens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해액의 드라이업 및 ESR(Equivalent Series of Resistance, 등가직렬저항)이 저감된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이중층콘덴서는 소형으로서 대용량의 충전이 가능한 콘덴서로서, 지금까지 주로 메모리등의 백업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근년에는 자동차관계나 전자기기관계 등의 대전류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의 전개를 목표로 하여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성능, 특히 ESR의 저감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전기이중층콘덴서는 비전자전도성이고 또한 이온투과성을 가지는 다공성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11)와, 이 세퍼레이터(11)을 개재시켜 대향배치되어 분말활성탄이나 활성탄섬유 또는 이것들의 활성탄을 테플론이나 페놀계수지등의 바인더에 의해 고형화 한 것에 전해액을 내부에 스며들게 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분극성전극(12)과, 세퍼레이터(11)와 분극성전극(12)을 측면으로부터 유지하는 개스킷(13)과, 분극성전극(12)의 세퍼레이터(11)에 접하고 있지 않는 측의 표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카본분말 등에 의해 도전성이 부여된 도전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집전체(14)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근년 전자기기의 분야에서 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전기이중층콘덴서에도 박형의 것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형상을 얇게 하기 위해서 집전체(14)를 얇게 해버리면, 집전체(14)의 가스투과성이 커진다. 그 때문에 전해액의 드라이업에 의해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용량의 저하, ESR의 증대라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전기이중층콘덴서를 대전류가 필요로 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전기이중층콘덴서로부터 대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ESR를 될 수 있는 한 감소시켜, ESR에 의한 전압강하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이중층콘덴서는 집전체(14)와 분극성전극(12)과의 계면에서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고, 접촉저항이 크기 때문에 ESR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집전체(14)와 분극성전극(12)과의 계면에서의 밀착성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분극성전극(12)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도전성부틸고무를 집전체로 사용한 전기이중층콘덴서가 일본국 특개평7-33549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특개평7-335494호 공보에는 ESR를 더욱 저감시킬 목적으로, 알루미늄등의 금속시트상에 도전성 부틸고무를 래미네이트한 금속래미네이트시트를 집전체로 사용한 전기이중층콘덴서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전기이중층콘덴서에 사용되고 있는 금속래미네이트시트는 알루미늄시트와 도전성부틸고무와의 계면에서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접촉저항이 크고 특히 집전체와 개스킷을 압착할 때의 가열에 의해서 알루미늄시트와 도전성 부틸고무와의 계면에서 박리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접촉저항이 더욱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부틸고무(15)의 표면부근에 있는 카본입자등의 도전재(16)는 래미네이트 때와 같은 고온가열에 의해서 도전성부틸고무(15)내부로 이동하기 쉽고, 그 때문에 도전성부틸고무(15)의 도전성이 저하되고 ESR가 커질 염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시트와 도전성부틸고무로 이루어지는 금속래미네이트시트는, 알루미늄시트와 도전성부틸고무와의 계면에서의 접촉저항이 크고, 또한, 알루미늄시트상에 도전성부틸고무를 래미네이트하는 때의 고온가열에 의해서, 도전성부틸고무의 도전성이 저하되기 쉽다. 그 때문에, 이 금속래미네이트시트를 집전체로 사용한 경우 ESR가 작은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안정되게 얻는 것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 전기이중층콘덴서는 알루미늄시트에 의한 전해액의 드라이업의 저감효과도 어느 정도 기대되지만 알루미늄시트와 도전성부틸고무와의 계면에서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알루미늄시트와 도전성부틸고무와의 계면에서 전해액이 드라이업 해버려 충분한 전해액의 드라이업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액의 드라이업 및 ESR가 저감된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금속박과 도전성수지와의 밀착성, 및 도전성수지의 금속박에의 적층방법에 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금속박으로서 동박을 사용함에 있어서 도전재를 포함하는 도전성수지와의 밀착성이 향상하는 것, 및 도전성수지를 동박 상에 도장공사를하여 도전성도포막을 형성되는 것에 의해, 도전성수지의 도전성이 저하되지 않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는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대향배치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과 세퍼레이터 및 분극성전극을 측면에서 보지하는 개스킷과, 분극성전극의 외측표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집전체를 구비하고, 이 집전체가, 동박과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동박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공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성도포막을 가지는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전체의 도전성도포막측 표면은 분극성전극에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수지액에 사용되는 수지는, 스티렌-에티렌·부틸렌-스티렌공중합체(SEBS) 또는 에틸렌-프로필렌-지엔모노머엘래스터머(EPD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재는 그래파이트 또는 카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제조방법은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대향배치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과, 세퍼레이터 및 분극성전극을 측면에서 보지하는 개스킷과, 분극성전극의 외측표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집전체를 구비하여 되는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제조함에 있어서,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적어도 동박의 한 쪽 표면에 도공하여 동박표면에 도전성도포막이 형성된 집전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도 3은 도전성 부틸고무시트에 있어서의 도전재의 가열에 의한 이동을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세퍼레이터 2a, 2b...분극성전극
3a, 3b...개스킷 4a, 4b...집전체
5a, 5b...동박 6a, 6b...도전성도포막
이하, 도면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이 전기이중층콘덴서는, 세퍼레이터(1)와 이 세퍼레이터(1)를 끼고 형성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2a,2b)과, 세퍼레이터(1)와 분극성전극(2a,2b)을 측면에서 보지하는 개스킷(3a,3b)과, 분극성전극(2a,2b)의 외측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집전체(4a,4b)로 개략구성 되어 있다.
이 전기장콘덴서에 있어서 집전체(4a,4b)는, 각각 동박(5a,5b)과,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동박(5a,5b)의 표면에 도공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성도포막(6a,6b)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전체(4a,4b)는, 그 도전성도포막(6a,6b)측의 표면이 각각 분극성전극(2a,2b)에 접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로는 비전자전도성이며 이온투과성을 가진 다공성필름이 사용되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다공성필름으로서는 예컨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유리섬유 등을 소재로 한 시트형인 것들을 들 수 있다.
분극성전극(2a,2b)으로는 도전성이 있으며, 전해액에 대하여 안정되고 또한 큰 표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분말상활성탄, 섬유상활성탄, 이것들의 활성탄을 테플론, 페놀계수지 등의 바인더에 의해 고형화된 고형상분극성전극에 전해액을 스며들게 한 것이 사용된다. 전해액으로는 황산이나 수산화칼륨등을 물에 용해시킨 수용액계전해액, 프로필렌카보네트등의 유기용매에 전해질로서 4급암노니아염을 용해시킨 유기계전해액이 사용된다.
개스킷(3a,3b)은 전기이중층콘덴서의 형상을 유지하며 전해액의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하의 집전체(4a,4b)끼리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개스킷(3a,3b)의 재질로는 예컨대, ABS, 푸틸고무, 폴리올레핀계수지등의 수지재료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집전체(4a,4b)의 금속박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등의 다른 금속에 비교하여 카본입자등의 도전재가 포함된 도전성수지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동이 사용된다. 또한, 동은 임피던스의 점에서도 알루미늄등의 다른 금속보다 유리하다.
도전성수지액에 사용되는 수지로는 용제에 용해되며 또한 도포막형성능이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니루, 폴리염화비닐덴, 폴리우레탄,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공중합체(SEBS), 에틸렌-프로필렌-지엔모노머엘래스터머(EPDM)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동박(5)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SEBS 및 EPDM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도전재료는 전기이중층콘덴서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저저항화, 조막성, 화학적 안정성의 점에서, 그래파이트 또는 카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도전재는 도전성도포막{(6a) 및 (6b)} 중에 40∼80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수지액에 사용되는 용제는 수지를 용해하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예컨대, 수지로서 SEBS를 사용하는 경우, 용제로는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동박(5a)의 표면에 도포, 건조하여, 동박(5a)표면에 도전성도포막(6a)이 형성된 집전체(4a)를 제작한다.
이어서, 이 집전체(4a)의 도전성도포막(6a)측의 표면과 개스킷(3a)의 한쪽의 개구단면과 접착하고, 개스킷(3a)내부에 전해액을 포함하는 분극성전극(2a)을 충전하여, 제1의 전극충전시트를 얻는다. 또한, 이와 같은 식으로 해서 제2의 전극충전시트를 얻는다.
제1의 전극충전시트의 분극성전극(2a)의 노출면을 세퍼레이터(1)로 덮도록하여 봉지하고, 제1의 전극충전시트와 제2의 전극충전시트를 분극성전극(2a,2b)과 세퍼레이터(1)를 개재시켜 대향하도록 합체시켜 합체시트를 얻는다.
이어서, 합체시트에 압력을 가하면서 가열하고 제1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a)과 집전체(4a), 제2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b)과 집전체(4b), 제1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a)과 제2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b)을 압착시킴으로써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얻는다.
도전성수지액을 동박(5a,5b) 상에 도공할 시의 도공방법으로는, 스프레이방식, 닥터블레이드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제조방법은 도전성수지액을 동박의 표면에 도공하여 집전체를 제작하는 공정이 포함되고 있으면 좋고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기이중층콘덴서에 있어서는 금속박으로 동박(5a,5b)를 사용하기 때문에 도전재를 포함하는 도전성도포막(6a, 6b)과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동박(5a,5b)과 도전성도포막(6a, 6b)과의 계면에서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 전기이중층콘덴서의 ESR를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집전체(4a,4b)에 비 가스투과성의 동박(5a, 5b)이 설치되고 또한, 동박(5a, 5b)과 도전성도포막(6a, 6b)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집전체(4a, 4b)의 표면으로부터의 전해액의 드라이업 및 동박(5a, 5b)과 집전체도포막(6a, 6b)과의 계면에서 전해액의 드라이업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전해액의 드라이업에의한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용량의 저하 및 ESR의 증대가 거의 없고 또한, 전기이중층콘덴서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집전체(4a, 4b)는 그 도전성도포막(6a, 6b)측의 표면이 분극성전극(2a, 2b)에 접하도록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집전체(4a, 4b)와 분극성전극(2a, 2b)과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집전체(4a, 4b)와 분극성전극(2a, 2b)과의 계면에서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 전기이중층콘덴서의 ESR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동박(5a, 5b)상에 도공에 의해서 도전성도포막(6a, 6b)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전성도포막(6a, 6b)이 래미네이트의 경우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일이 없고 도전성도포막(6a, 6b)의 표면부근에 있는 도전재가 도전성도포막내부로 이동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도전성도포막(6a, 6b)의 도전성이 저하되지 않고 전기이중층콘덴서의 ESR의 증대가 일어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개시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밀착성의 평가)
금속박 상에 도전성수지액을 닥터블레이드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120℃에서 5분간 건조시켜 두께 20㎛의 도전성도포막이 형성된 샘플을 얻었다. 이 샘플에 관해서 JIS H 8504-1998 (인장박리 시험방법)에 근거하여 밀착성의 평가를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금속박표면의 한 변 25mm의 영역 중에 한 변 4.6 mm의 정방형의 도전성도포막을 0.5mm간격으로 종횡 5열씩 합계 25개 형성하고, 이 도전성도포막 상에 점착테이프(JIS Z 1522)를 붙이고 뒤이어 점착테이프를 벗겨 금속박으로부터 박리한 도전성도포막의 수를 측정하였다.
(ESR 측정)
측정주파수: lkHz, 전압: 10mVrms의 교류를 전기이중층콘덴서에 인가하여, 임피던스의 실부를 산출하여 구하였다.
(용량측정)
전기이중층콘덴서에 0.8V의 전압을 30분간 인가하여 충전한 후, 10mA의 정전류방전을 시행하여, 방전과정에서의 단위시간(t)당의 콘덴서단자간의 전압변화(△V/△t)로부터 하기 식(1)에 의해 산출하였다.
C= i ×(△t/△V) [i= 10mA] ‥·(1)
실시예 1
(밀착성평가용샘플의 제작)
SEBS 100중량부를 톨루엔 300중량부에 용해시켜 이 용액에 카본입자 50중량부를 첨가하여 도전성수지액을 얻었다.
두께 50㎛ 동박의 표면에 도전성수지액을 닥터블레이드 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120℃로 5분간 건조시켜 밀착성평가용의 샘플을 얻었다. 이 샘플을 5개 준비하여, 각각에 대한 밀착성의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제조)
두께 50㎛ 동박(5a)의 표면전체에 도전성수지액을 닥터블레이드방식에 의해 도포하고 120℃로 5분간 건조시켜 동박(5a)표면에 두께 20㎛의 도전성도포막(6a)이 형성된 집전체(4a)를 얻었다. 또한, 분말상활성탄 60중량%와 황산수용액 40중량%를 혼합하여, 활성탄페이스트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집전체(4a)의 도전성도포막(6a)측의 표면과 개스킷(3a)의 한쪽의 개구단면을 붙여 합쳤다. 이 개스킷(3a)내부에 활성탄페이스트를 충전하여 분극성전극(2a)로 하여 제1의 전극충전시트를 얻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2의 전극충전시트를 얻었다.
제1의 전극충전시트의 분극성전극(2a)의 노출면을 다공성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1)로 덮도록하여 봉지하고 제1의 전극충전시트와 제2의 전극충전시트를, 분극성전극(2a,2b)이 세퍼레이터(1)를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합체시켜, 합체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합체시트에 7kg/cm2의 압력을 가하면서 125℃로 가열하고, 제1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a)과 집전체(4a), 제2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b)과 집전체(4b), 제1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a)과 제2의 전극충전시트의 개스킷(3b)을 압착시킴으로써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얻었다.
이 전기이중층콘덴서의 ESR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고온부하시험(85℃의 조건하에서 500시간, 0.8V의 부하를 가함)을 하여, 시험후의 ESR 및 용량을 측정하여 ESR 및 용량의 변화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SEBS 대신에 EPDM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밀착성의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SEBS 대신에 EPDM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제조하여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동박 대신에 두께 5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밀착성의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한, 동박대신에 두께 50㎛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제조하여,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집전체로 카본입자가 50중량% 함유된 두께 100㎛의 도전성부틸고무시트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제조하여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샘플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박리수/25 박리수/25 박리수/25
1 4 5 7
2 2 3 6
3 5 1 7
4 4 2 8
5 3 6 5
평균 3.6 3.4 6.6
고온부하전 초기ESR(mΩ) 고온부하후ESR 변화율(배) 고온부하후용량변화율(%)
실시예 1 48 1.1 - 1
실시예 2 46 1.1 - 2
비교예 1 86 1.6 - 6
비교예 2 50 3.0 - 15
표 1의 결과로부터 동박과 알루미늄박에서는 동박쪽이 도전성도포막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의 결과로부터 알루미늄박과 도전성도포막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를 사용한 전기이중층콘덴서는, 동박과 도전성도포막으로 이루어지는 집전체를 사용한 것 보다도 초기의 ESR가 훨씬 크고 고온부하후의 ESR 및 용량의 변화율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알루미늄박과 도전성도포막과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들의 계면에서의 접촉저항이 커지고 또한, 이들의 계면으로부터 드라이업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과 같이,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는,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대향배치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과, 세퍼레이터 및 분극성전극을 측면으로부터 유지하는 개스킷과, 분극성전극의 외측표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집전체를 구비하고, 집전체가 동박과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동박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공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성도포막을 가지는 적층체이기 때문에 전해액의 드라이업 및 ESR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전기집전체의 도전성도포막의 면이 분극성전극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집전체와 분극성전극과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집전체와 분극성전극과의 계면에서의 접촉저항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 전기이중층콘덴서의 ESR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전성수지액에 사용되는 수지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공중합체(SEBS) 또는 에틸렌-프로필렌-지엔모노머엘래스티머(EPDM)이면, 더욱 ESR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전재가 그래파이트 또는 카본이면 화학적인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도전성도포막의 저항을 증대시키는 일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대향배치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과, 세퍼레이터 및 분극성전극을 측면으로부터 보지하는 개스킷과, 분극성전극의 외측표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집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제조함에 있어서,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적어도 동박의 한쪽 표면에 도공하여 동박표면에 도전성도포막이 형성된 집전체를 제작하기 때문에 전해액의 드라이업 및 ESR가 저감된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대향배치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과,
    세퍼레이터 및 분극성전극을 측면으로부터 보지하는 개스킷과,
    분극성전극의 외측표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집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집전체가 동박과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상기 동박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도공함으로써 형성된 도전체도포막을 가지는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집전체의 도전성도포막측의 표면이 상기 분극성전극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콘덴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수지액에 사용되는 수지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SEBS) 또는 에틸렌-프로필렌-지엔모노머엘래스티머(EPD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콘덴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가 그래파이트 또는 카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콘덴서.
  5. 세퍼레이터와,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대향배치된 한 쌍의 분극성전극과,
    세퍼레이터 및 분극성전극을 측면으로부터 보지하는 개스킷과,
    분극성전극의 외측표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집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이중층콘덴서를 제조함에 있어서,
    도전재가 함유된 도전성수지액을 적어도 동박의 한쪽 표면에 도공하여 동박표면에 도전성도포막이 형성된 집전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이중층콘덴서의 제조방법.
KR10-2000-0051737A 1999-09-03 2000-09-01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387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50918 1999-09-03
JP25091899A JP2001076971A (ja) 1999-09-03 1999-09-03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229A KR20010030229A (ko) 2001-04-16
KR100387560B1 true KR100387560B1 (ko) 2003-06-18

Family

ID=34509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737A KR100387560B1 (ko) 1999-09-03 2000-09-01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71165B1 (ko)
JP (1) JP2001076971A (ko)
KR (1) KR100387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06B1 (ko) * 2009-09-30 2011-10-05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고압 및 고전력 슈퍼 커패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9356A4 (en) * 1999-09-13 2005-11-30 Asahi Glass Co Ltd ELECTRIC DOUBLE-LAYER CONDENSER
AUPR194400A0 (en) * 2000-12-06 2001-01-04 Energy Storage Systems Pty Ltd An energy storage device
US7002234B2 (en) * 2001-02-15 2006-02-21 Integral Technologies, Inc. Low cost capacitors manufactured from conductive loaded resin-based materials
US20030107852A1 (en) * 2001-12-11 2003-06-12 Zheng Chen Electrochemical capacitor having low internal resistance
WO2004001772A1 (ja) * 2002-06-24 2003-12-31 Mitsubishi Plastics, Inc. 導電性樹脂フィルム、集電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3873844B2 (ja) * 2002-08-06 2007-01-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用電解液の評価方法
JP2004349306A (ja) * 2003-05-20 2004-12-09 Nec Tokin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積層体
KR20070026426A (ko) * 2004-03-24 2007-03-08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적층필름
JP4597727B2 (ja) * 2005-03-18 2010-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7692411B2 (en) 2006-01-05 2010-04-06 Tpl, Inc. System for energy harvesting and/or generation, storage, and delivery
US20100060231A1 (en) * 2006-01-05 2010-03-11 Tp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Harvesting and/or Generation, Storage, and Delivery
US7864507B2 (en) * 2006-09-06 2011-01-04 Tpl, Inc. Capacitors with low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US9076601B2 (en) * 2009-09-30 2015-07-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sulation failure inspecting apparatus, insulation failure inspecting method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cell
KR101141447B1 (ko) * 2009-12-01 2012-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칩형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41352B1 (ko) * 2010-01-12 2012-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FR2977364B1 (fr) * 2011-07-01 2015-02-06 Hutchinson Collecteur de cour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FR3028088B1 (fr) * 2014-11-03 2016-12-23 Hutchinson Electrodes conductrices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WO2017201183A1 (en) 2016-05-20 2017-11-23 Avx Corporation Ultracapacitor for use at high temperatures
US11830672B2 (en) 2016-11-23 2023-11-28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Ultracapacitor for use in a solder reflow process
FR3076062B1 (fr) * 2017-12-21 2020-07-17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Realisation d'un collecteur de dispositif microelectron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343A (ko) * 1989-08-30 1991-03-30 도비야마 가즈오 전기 이중층 콘덴서
KR910016021A (ko) * 1990-02-09 1991-09-30 원본미기재 전기 2증층 콘덴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6027A (en) 1970-12-28 1972-04-11 Standard Oil Co Ohio Electrical capacitor having electrically-conductive, impervious connector
US5381303A (en) * 1992-05-20 1995-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H07335494A (ja) 1994-06-07 1995-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H08138978A (ja) * 1994-11-02 1996-05-31 Japan Gore Tex Inc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とその電極の製造方法
US5953204A (en) * 1994-12-27 1999-09-14 Asahi Glass Company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WO1997025728A1 (fr) 1996-01-12 1997-07-17 Nippon Zeon Co., Ltd. Collecteur pour condensateur electrique double couche
JP3117644B2 (ja) 1996-06-14 2000-12-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集電用導電性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JP2947215B2 (ja) * 1997-03-28 1999-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62787A (ja) 1997-11-28 1999-06-18 Asahi Glass Co Ltd 電気化学的蓄電素子用電極体製造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343A (ko) * 1989-08-30 1991-03-30 도비야마 가즈오 전기 이중층 콘덴서
KR910016021A (ko) * 1990-02-09 1991-09-30 원본미기재 전기 2증층 콘덴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06B1 (ko) * 2009-09-30 2011-10-05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고압 및 고전력 슈퍼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71165B1 (en) 2003-12-30
JP2001076971A (ja) 2001-03-23
KR20010030229A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560B1 (ko)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US11842850B2 (en) High-voltage devices
US6212062B1 (en) Sealed ultracapacitor
US5581438A (en) Supercapacitor having electrodes with non-activated carbon fibers
US7623339B2 (en) Electrochemical device
US6426865B2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WO1997041611A1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multi-layered polymer electrolyte
KR100524103B1 (ko) 전기 이중층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US6343003B1 (en) Capacitor element and battery cell
US20040233613A1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stacked body
US6339529B1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64998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uper capacitor
JPS62200715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3466117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基本セル並びに基本セルの製造方法
JP2004342643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11340093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2007227425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100872926B1 (ko)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극 집전체 및 전기 이중층캐패시터
JP2768318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2005277346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9303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박막형 슈퍼커패시터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09293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2007317812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2004335703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0366111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