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437B1 - 직기에서의유성기어식가장자리장치의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직기에서의유성기어식가장자리장치의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7437B1 KR100387437B1 KR1019950018840A KR19950018840A KR100387437B1 KR 100387437 B1 KR100387437 B1 KR 100387437B1 KR 1019950018840 A KR1019950018840 A KR 1019950018840A KR 19950018840 A KR19950018840 A KR 19950018840A KR 100387437 B1 KR100387437 B1 KR 1003874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om
- edge device
- support bracket
- planetary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00—Selvedg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 D03C7/08—Devices for twisting warp threads repeatedly in the same dir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502—Pivotally supported
- Y10T74/19516—Sp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직기에서의 유성기어식 가장자리 장치의 지지축의 기단부가 작동 위치와 대기위치간에 회동가능한 구조로 가장자리 장치의 구동축에 설치된다. 체결부재는 지지 브래킷을 제직작업시에 작동위치로 선택적으로 있게하도록 지지 브래킷에 부착된다. 구동축을 중심으로 지지 브래킷의 간단한 회전운동에 의해, 직기의 빔 교환작업시에 가장 자리 장치의 위에 자유공간이 넓어지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직기의 빔 교환작업에 필요한 헬드 프레임의 운반이 자유로워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기에서의 유성기어식 가장자리 장치(이하,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 라고함)의 지지구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제직기에 있어서 제직물 품종을 바꾸기 위해,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이러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적합성을 개량한 것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측단부는 직기에 있어서 제직되는 직물의 바디통과폭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직기의 틀체에 고정되어 있다. 유성식 가장자리장치의 고정된 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직물을 제직하는데 사용되는 헬드 프레임(heald frame)의 폭보다도 작다. 여기서, "가장자리"라 함은 직포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경사 빔(beam)에서의 경사가 제직의 진행결과로서 완전히 소비되거나 제직물 품종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낡은 경사 빔에서 인출되는 경사를 통과하는 낡은 한벌의 부재와 결합된 낡은 경사 빔은 새로운 경사 빔에서 경사를 통과하는 새로운 한벌의 부재와 결합되는 새로운 경사 빔으로 교환되어야 한다. 이 교환은 통상 "직기의 빔교환작업(looming operation)" 이라 불리운다. 일반적으로, 한벌의 부재는 헬드 프레임, 드롭퍼 박스(dropper box) 및 바디를 포함한다. 이러한 직기의 빔 교환작업에 있어서는, 새로운 한벌의 부재를 직기의 경사송출측에서 직물 감김측으로 순차적으로 직기에 장착한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는 헬드프레임을 직기에 장착하는 위치보다 송출측에 더 근접한 위치에의 직기에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는 헬드 프레임의 장착전에 직기에 장착된다. 그래서, 헬드 프레임을 직기에 장착할 때에는, 헬프 프레임은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위를 지나서 앞쪽으로, 즉 감김측쪽으로 운반되어야 한다.
종래의 구조의 경우에는,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가 그 높이를 변화시키는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직기에 고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높이는 제직작업과 직기의 빔 교환 작업중에도 고정상태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직기의 빔 교환작업중에, 운반중에서의 헬드 프레임과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와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는, 헬드 프레임은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보다 높이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동 직기의 빔 교환작업에 사용되는 운반대의 설계시에는,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위로 상술한 운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헬드 프레임을 높은 위치로 보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운반대의 대형화로 바람직하지가 않다. 더우기, 이러한 불안정한 구조는 운박대의 작업안정성을 크게 해치게 되어 작업 안정성의 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불안정한 구조로 인해 제조비용의 증가와 조작성의 저하가 초래된다.
직기의 빔 교환작업을 인력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헬드 프레임을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위로 높이 들어올려야 하므로, 노력 및 작업의 안전성면에서 문제가 있다.
상측배치식의 도비 개구기구(overlay-type Dobby shedding machine)등의 추가적인 부속품을 직기위쪽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직기 위쪽의 나머지 공간이 매우 작아서 헬드 프레임을 수직상태로 운반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성식 가장자리장치 위에 전방으로 운반하는 중에 헬드 프레임은 악간 경사진 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보지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헬드 프레임이 통상 수직상태로 운반대에 의해 운반된다. 따라서, 운반대에서 내릴 때, 헬드 프레임을 일단 인력에 의해 수평상태로변화시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위로 지나서 운반하고서, 운반이 완료된후에 수직상태로 복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복잡한 인력에 의한 작업은 작업자에게 큰 부담감을 주며 작업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상술한 점으로부터, 종래의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가 직기의 빔 교환작업에 대해 매우 부적합하고, 그 결과로 제직물 품종의 변경에 대한 적합성이 매우 불충분하다는 것을 충분히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직물 품종의 변경에 필요한 직기의 빔 교환 작업에 대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적합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지지 브래킷(bracket)의 기단부를 작동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 회전가능한 배열로 구동축에 설치한다. 지지 브래킷에는 제직작업중에 작동위치에 지지 브래킷을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제 1도 및 제 3도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지지구조의 일례이다. 도면중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우측에는 경사송출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좌측에는 직물감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구조의 좌측에 헬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대(slide base)(5)는 직기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직기의 후방상측지주(back top stay)(1)의 상부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3)에 결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기대(5)는 체결볼트(7)에 의해 제직물의 품종의 바디통과폭에 상응하는 어떠한 선택위치에도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제 2도참조)
슬라이드 기대(5)에는 제 2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축(9)에 설치된 구동기어(6)과 맞물린 상태로 배치된 회전기어(31)을 포함하는 유성식 가장자리장치의 구동축(9)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9)의 슬라이드 기대(5)에서의 돌출부분에는 왼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브래킷(13)의 기간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이 지지 브래킷(13)은 제직시에 적합한 회전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기대(5)의 하부에는 직기의 빔 교환작업시에서의 지지 브래킷(13)의 대기위치에 지지 브래킷(13)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15)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13)의 선단부는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태양기어(도시하지 않음)와 회전기어(31)의 유성지축에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기어(31), 태양기어, 태양기어와 맞물려 회전기어(31)에 지지된 유성기어, 및 회전기어와 유성기어커버등의 유성식 가장자리장치의 모든 부재는 지지 브래킷(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직기의 빔 교환작업중에 지지 브래킷(13)의 위치는 스토퍼(15)에 의해 고정되는 반면, 제직작업중에 그 위치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제 4도 및 제 5도에 도시된 것은 이러한 체결부재의 일례이다.
체결부재(2)는 슬라이드 기대(5)의 상부에 고정상태로 설치된 핀(pin)지지부재(21)를 포함하고, 이 핀 지지부재(21)에는 수평의 핀(23)이 지지되어 있다. 아암(26)은 지지 브래킷(13)의 측면에서 돌출하여 있고, 그 수직면에는 나합에 의한 고정용볼트(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용볼트(29)는 핀 지지부재(21)쪽으로 수평으로 연장 되어 있어, 지지 브래킷(13)이 제 1도에 도시한 작동위치에 있게 되면, 아암(26)이 핀 지지부재(21)에 접합하게 된다. 제 5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용볼트(29)는 아암(26)과 나합하기 위한 나사 산부(29a)를 갖고 그 선단에서 두갈래로 갈라져 있다. 두갈래로 갈라진 구조의 2개의 분지부재(29b)에는 핀 지지부재(21)에 의해 지지되는 핀(pin)(23)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의 선회축(2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선회축(25)에는 고리부(27)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13)이 작동위치에 있게되면, 고리부(27)은 슬라이드 기대(5)에 핀(23)과 결합한 상태로 있게되어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가 수직상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는 고정용 볼트(29)의 체결에 의해 유지된다.
상술한 구조의 지지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전체의 장치는 직기에서의 제직작업중에 제 1도에 도시한 작동위치로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 지지 브래킷(13)은 체결부재(2)에 의해 작동위치로 있게되고,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는 수직상태로 유지되며, 체결부재(2)의 고리부(27)은 슬라이드 기대(5)에 핀(23)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 3도에 도시된 것은 직기의 빔 교환작업중에 전체장치의 위치상태이다. 작동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시에, 먼저 체결부재(2)에 의한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나서, 지지 브래킷(13)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용볼트(29)를 먼저 풀어 고리부(27)을 회동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에, 고리부(27)을 윗쪽으로 회동시켜 슬라이드 기대(5)의 핀(23)과의 결합에서 이탈시킨다. 이 상태에서, 지지 브래킷(13)을 경사 송출축으로 회동시켜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를 제 3도에 도시한 전복상태로 한다. 이와같이 하여, 전체장치는 헬드 프레임의 운반과정에 있게된다. 그 결과,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위에 충분히 큰 공간이 보유되어 직기의 빔 교환작업을 자유롭고 쉽게 할 수가 있다.
대기상태에서 작동상태로의 변환시에, 먼저 지지 브래킷(13)은 직물 감김측쪽으로 회동되어 체결부재(2)에 의한 체결이 복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브래킷(13)이 직물감김측 쪽으로 회동되어, 슬라이드 기대(5)의 핀(23)과 결합되고, 이 결합은 고정용볼트(29)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같이 작동상태와 대기상태간의 변환시에, 회전기어(31)의 지축(11)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3)은 구동기어(6)의 구동축(9)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러므로, 회전기어(31)의 중심과 구동기어(6)의 중심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태 변환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상태변환이 2개의 기어(6)과 (31)의 해제를 필요로 함이 없이 실시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고정용볼트(29) 대신에, 원터치식 스토퍼(one-touch type stopper)를 사용하여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하고 작업 시간도 더 단축시킬 수가 있다.
핀(pin)과 고리부의 결합을 합체하는 상기 체결부재(2)는 고리부(27)과핀(23) 사이에 피할수 없는 동작에 기인하여 진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로는 제 6도와 제 7도에 도시한 다른 구성을 사용한다.
이 실시형태의 체결부재(4)는 슬라이드 기대 (5)의 상부에 설치된 핀 지지부재(41), 지지 브래킷(13)에 옆쪽으로 부착된 아암(43), 고정용볼트(45)와 이 고정용볼트(45)와 나합하기 위한 너트(47)로 구성 되어 있다.
핀 지지부재(41)에는 핀 지지부재(41)의 본체를 통하여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홈(41a)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43)에는 각이 진 관통관(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43)은 지지 브래킷(13)이 작동상태에 있는 경우에, 핀 지지부재(41)에 홈(41a)와 축중심으로 정렬하도록 한 구조로 지지브래킷(13)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용볼트(45)는 아암(43)에 대하여 적합하기 위한 플랜지(flange)부 (45a), 아암(43)의 각이진 관통공(43a)와 밀착결합하기 위한 각이진 부분(45b), 및 너트(47)과 나합하기 위한 나사산부(45c)를 포함한다. 아암(43)의 각이진 관통공(43a)의 상부벽은 핀 지지부재(41)쪽으로 분기하여 있어 고정용볼트(45)가 윗쪽으로 회동하게 할 수 있다.
지지브래킷(13)이 제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상태로 있는 경우, 너트(47)를 돌려 고정용볼트(45)를 체결하고 고정용볼트(45)의 플랜지부(45a)를 아암(43)과 압접상태로 유지하여 장치 전체를 체결한다. 이 체결을 해제하기 위하여는, 너트(47)을 돌려 고정용볼트(45)를 푼다. 다음에, 고정용볼트(45)가 홈(41a)의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핀 지지부재(41)과의 결합에서 해제된다.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하면, 이전 실시형태의 핀과 고리부의 결합보다 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9)를 중심으로 지지 브래킷(13)의 간단한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기의 빔교환작업중에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의 위에 자유공간을 넓게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이 직기의 작업 시에 헬드 프레임의 들어올리는 높이를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직기의 작업에 필요한 인력을 경감시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자동직기의 빔 교환작업에 대한 운반대의 구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가 있다. 구동축(9)를 중심으로 지축(11)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3)의 회동에 의해 회전기어와 구동기어 중심사이의 거리가 변화하지 않고, 이것에 의하여, 기계설계의 변화를 최소로 할 수가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지지구조의 실시형태를 작동위치에서 도시한 측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을 결합시킨 유성기어식 가장자리장치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일부 생략한 상태의 사시도.
제 3도는 대기위치에서의 지지부재의 측면도.
제 4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지지구조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확대측면도.
제 5도는 제 4도에 도시한 체결부재의 부분 사시도.
제 6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지지구조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의 다른 예의 부분확대 측면도.
제 7도는 제 6도에 도시한 체결부재의 분해상태 사시도.
Claims (2)
- 지지 브래킷(13)의 기단부가 유성기어식 가장자리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직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9)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지지 브래킷이 그 선단부에서 유성식 가장자리 장치를 지지하며, 지지 브래킷이 직기에서 제직작업시의 작동위치와 직기의 빔 교환작업시의 대기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체결부재(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의 유성기어식 가장자리 장치의 지지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지지 브래킷(13)이 선단에 유성기어식 가장자리 장치의 회전기어(31)의 지축(11)를 지지하고, 회전기어가 구동축(9)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기어(6)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서의 유성기어식 가장자리 장치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5744394A JP3302196B2 (ja) | 1994-09-27 | 1994-09-27 | 織機における遊星歯車式耳組装置の取付構造 |
JP94-257443 | 1994-09-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0930A KR960010930A (ko) | 1996-04-20 |
KR100387437B1 true KR100387437B1 (ko) | 2003-09-13 |
Family
ID=1730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8840A KR100387437B1 (ko) | 1994-09-27 | 1995-06-30 | 직기에서의유성기어식가장자리장치의지지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5586582A (ko) |
EP (1) | EP0704564A1 (ko) |
JP (1) | JP3302196B2 (ko) |
KR (1) | KR100387437B1 (ko) |
TW (1) | TW27410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654962A1 (de) * | 1996-12-12 | 1998-06-18 | Dornier Gmbh Lindauer | Halte- und Positioniereinrichtung für eine Dreherkantenvorrichtung in Webmaschinen |
JP4802805B2 (ja) * | 2006-03-28 | 2011-10-26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織機における耳糸開口装置 |
JP5184241B2 (ja) * | 2008-07-25 | 2013-04-17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織機における遊星歯車式耳組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76725A (en) * | 1962-11-05 | 1965-04-06 | Draper Corp | Selvage mechanism |
CS160168B1 (ko) * | 1973-05-14 | 1975-03-28 | ||
US4353396A (en) * | 1978-12-11 | 1982-10-12 |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 Device for forming a selvedge in a loom |
BE1006861A6 (nl) * | 1992-04-15 | 1995-01-10 | Picanol Nv | Weefmachine voorzien van een zelfkantinrichting. |
US5392819A (en) * | 1993-12-10 | 1995-02-28 | Hunshin Enterprise Co., Ltd. | Planetary gear type selvage forming and cord catching device for loom |
-
1994
- 1994-09-27 JP JP25744394A patent/JP330219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06-06 EP EP95108588A patent/EP0704564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5-06-06 US US08/469,661 patent/US558658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6-07 TW TW084105761A patent/TW274102B/zh active
- 1995-06-30 KR KR1019950018840A patent/KR1003874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302196B2 (ja) | 2002-07-15 |
EP0704564A1 (en) | 1996-04-03 |
KR960010930A (ko) | 1996-04-20 |
JPH08100350A (ja) | 1996-04-16 |
TW274102B (ko) | 1996-04-11 |
US5586582A (en) | 1996-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78443B2 (ja) | 織機における綜絖の支持装置 | |
KR100387437B1 (ko) | 직기에서의유성기어식가장자리장치의지지구조 | |
EP2141269B1 (en) | Warp beam support unit for a loom, warp yarns feeding assembly and loom comprising such a unit | |
US3884274A (en) | Loom warp beam device | |
US4353396A (en) | Device for forming a selvedge in a loom | |
JPH06313243A (ja) | 織布を交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GB2274470A (en) | Driving weft-inserter in narrow loom | |
JPS62133150A (ja) | 織機 | |
EP1302580B1 (en) | Device for supporting the temple and associated cover in a terry cloth loom with movable bench | |
US11814756B2 (en) | Selvage yarn shedding apparatus of loom | |
US1090536A (en) | Actuating means for the heddle-frames of weaving-looms. | |
JPS6331574B2 (ko) | ||
CN213232654U (zh) | 一种织轴卷装车 | |
EP0090249B1 (en) | Warp beam with inner torsion bar for weaving looms | |
US2095840A (en) | Loom | |
KR830002718Y1 (ko) | 직기에 있어서의 변직(邊織)장치 | |
JPH06207340A (ja) | 綜絖枠着脱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織機 | |
US6041830A (en) | Displaceable warp beam support bearing for warp beam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
EP0137379B1 (en) | Heald-guide device for weaving looms | |
JP4082990B2 (ja) | 手織機 | |
JPS6328948A (ja) | 織機における機仕掛け装置 | |
JP3204825B2 (ja) | 織機における開口機構からの綜絖枠の離脱装置 | |
JPH047193Y2 (ko) | ||
JP2603591Y2 (ja) | 耳崩れ検出装置 | |
JPH0643192Y2 (ja) | 無杼織機における捨耳用経糸案内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