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054B1 -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054B1
KR100387054B1 KR10-2000-0059437A KR20000059437A KR100387054B1 KR 100387054 B1 KR100387054 B1 KR 100387054B1 KR 20000059437 A KR20000059437 A KR 20000059437A KR 100387054 B1 KR100387054 B1 KR 10038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sh
refrigerator
insertion hole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626A (ko
Inventor
이시카와요시치카
이시바시이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9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문의 배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식문(10)의 상측 문 힌지부(3)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1)로부터 문 내부로 배선하기 위한 구조로서, 냉장고 본체(1)에 설치된 통형상의 힌지핀(5)과 문캡(16)에 설치된 힌지핀(5)의 삽입구멍(22) 및 삽입구멍(22)에 끼워져 내측에 힌지핀(5)이 끼워지는 통형상의 부시(34)를 포함하고, 문 내부에 배치된 속선(28)이 삽입구멍(22)에 끼워진 부시(34)의 내측을 통과하고, 또 힌지핀(5)의 내측을 통과하여 냉장고 본체(1)측으로 인출되어 있고, 부시(34)의 내측에 단자(30)가 부착된 속선(28)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해 부시(34)를 축방향으로 뻗어나는 셀프힌지부(3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여 냉장고 본체로부터 문 힌지부를 통하여 문 내부로 배선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미리선단에 하우징을 설치한 속선을 부시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문의 배선구조{WIRING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DOOR}
본 발명은 냉장고문의 배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 본체로부터 문 힌지부를 통하여 문 내부로 배선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전면 개구부를 닫는 문으로는 상하의 문 힌지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회전식 문이 있다. 이와 같은 회전식 냉장고문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로부터 문 내부로 배선하기 위해서는 상하중 어느 한쪽의 문 힌지부를 통하여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0은 종래의 냉장고문(100)에서의 배선구조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문(100)은 냉장고의 상단에 설치된 냉장실(101)의 전면 개구부를 닫는 냉장실문이며, 문 정면재(102)와 문 배면재(103) 및 상하의 문캡(104, 105)으로 형성된 공간에 경질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단열층(106)을 발포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냉장실(101)의 개구부에 설치된 상하의 문 힌지부(107)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하측 문 캡(105)에는 냉장실 온도등의 냉장고 내부 상태를 표시하거나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 조작부(108)가 설치되어 있고, 냉장고 본체(110)로부터 이 표시 조작부(108)로 배선하기 위해 상측 문 힌지부(107)를 통과하여 문(100)내에 속선(束線)(111)이 인입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문 힌지부(107)에는 힌지핀(112)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힌지핀(112)이 끼워지는 삽입구멍(113)이 상측 문 캡(104)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조작부(108)로부터의 속선(111)은 단열층(106)내를 통과하여 삽입구멍(113)으로부터 문(100)외측으로 인출되고, 힌지핀(112)의 내측을 통과하여 냉장고 본체(110)측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문 캡(104)의 삽입구멍(113)에는 속선(111)을 보호하기 위한 부시(bush)(114)가 끼워져 있고, 이 부시(114)의 내측에 속선(111)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부시(114)의 선단에는 단열층(106)의 우레탄을 시일(seal)하기 위한 테이프(115)가 감겨져 있다. 문(100)으로부터 인출된 속선(111)의 선단에는 냉장고 본체측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 하우징(11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냉장고문(100)에 있어서 속선(111)을 설치할 때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캡(104)의 삽입구멍(113)에 냉장고문 내측으로부터 속선(111)을 넣어 통과시키고, 또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114)에 삽입 통과시키고 나서,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에 하우징(116)을 부착하고 있다. 이는 속선(111)의 선단에 하우징(116)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속선(111)을 부시(114)내에 삽입 통과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속선(111)을 부시(114)내로 통과시켜 하우징(116)을 부착하는 경우, 속선을 자동 조립시킬 수 없고, 제조성이 저하하여 비용이 높아진다. 한편, 속선(111)의 선단에 하우징(116)을 부착한 상태로 부시(114)내에 삽입 통과시키고자 하면 부시(114)의 직경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부착 공간이 커져 우레탄의 충전성이 저하하고 성에 부착의 원인이 된다. 또, 부시(114)의 선단에 우레탄을 시일하기 위한 테이프(115)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작업 문제점에 의한 시일 불량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냉장고 본체로부터 문 힌지부를 통하여 문 내부에 배선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미리 선단에 단자를 부착한 속선을 부시에 간단히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속선의 제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의 냉장고문에 있어서 상측의 문 캡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
도 3a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제조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제조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제조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문 부착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실시형태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부시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
도 9는 실시형태의 냉장고문의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냉장고문의 사시도 및
도 11a∼도 11c는 종래의 냉장고문의 배선구조에 있어서 제조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3 : 문 힌지부
5 : 힌지핀 5a : 절개부
10 : 냉장실문 12 : 문 정면재
14 : 문 배면재 16 : 상측 문캡
18 : 하측 문캡 20 : 단열층
22 : 삽입구멍 28 : 속선
30 : 하우징 34 : 부시
36 : 셀프힌지부 38 : 통형상 몸통부
50 : 플랜지부 52 : 오목부
본 발명의 냉장고문의 배선구조는 냉장고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한 상하의 문 힌지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해당 개구부를 닫는 문에 있어서, 상하 중 어느 한쪽의 문 힌지부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부터 문 내부에 배선하기 위한 구조이고, 냉장고 본체에 설치한 통형상의 힌지핀과 해당 힌지핀이 삽입되는 문 상면 또는 하면의 삽입구멍과 해당 삽입구멍에 끼워져 내측에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는 통형상의 부시를 포함하고, 문 내부에 배치한 속선이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진 상기부시의 내측을 통과하고, 또 상기 힌지핀의 내측을 통과하여 냉장고 본체측으로 인출된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시를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셀프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고, 해당 부시를 개폐시켜 선단에 단자를 구비한 상기 속선을 해당 부시에 부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문의 배선구조는 또한, 문 정면재와 문 배면재 및 상하의 문캡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층을 발포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냉장고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한 상하 문 힌지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해당 개구부를 닫는 문에 있어서, 상하 중 어느 한쪽의 문 힌지부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로부터 문 내부로 배선하기 위한 구조이고,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통형상의 힌지핀과 문캡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삽입구멍 및 해당 삽입구멍에 끼워져 내측에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는 통형상의 부시를 포함하고, 문 내부에 배치된 속선이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진 상기 부시의 내측을 통과하고, 또 상기 힌지핀의 내측을 통과하여 냉장고 본체측으로 인출된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시를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셀프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고, 해당 부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선단에 단자를 구비한 상기 속선을 해당 부시에 부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문의 배선구조이면 부시에 셀프힌지부를 설치하여 개폐 가능하게 형성했기 때문에 부시의 내부 직경보다 큰 단자를 구비한 속선이라도 부시를 개방하여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선단에 미리 단자를 부착한 속선을 문 내측에서 삽입 구멍을 통하여 문 외측으로 인출하고, 인출한 속선을 개방 상태의 부시에 장착하고, 셀프힌지부를 이용하여 부시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해당 속선을 부시 내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부착할 수 있어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부시가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셀프힌지부를 통하여 연결된 제 1 몸통부와 제 2 몸통부로 이루어진 통형상 몸통부를 구비하고, 문 내부에 배치된 통형상 몸통부의 선단부를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통형상 몸통부의 타단부에 상기 삽입구멍을 닫기 위한 플랜지부를 둘레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선구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힌지핀의 둘레방향의 일부에 상기 속선을 장입(裝入)하기 위한 절개부를 설치하고, 상기 부시의 상기 셀프힌지부가 문의 개폐에 의해 회전할 때 내측에 배치된 상기 힌지핀의 절개부와 겹치지 않도록 해당 절개부를 상기 셀프힌지부의 회전 범위외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부시의 내측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인출된 속선을 절개부로부터 힌지핀 내에 장입할 수 있기 때문에 힌지핀을 부시 내에 끼워 문을 냉장고 본체에 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문의 개폐시에 부시의 셀프 힌지부와 힌지핀의 절개부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힌지핀의 절개 테두리에 의한 셀프힌지부의 마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 구조에 있어서는, 문 내부에 배치된 상기 부시의 선단부의 내부직경을 상기 속선의 총 외부직경과 대략 동일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문의 발포 성형시에 부시 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발포 원료가 침입하여 속선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부시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통부와 상기 제 2 몸통부를 연결하는 상기 셀프힌지부의 폭이 상기 통형상 몸통부의 두께의 4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셀프힌지부에 있어서도 플랜지를 확보하여 문캡의 삽입구멍과 부시의 틈을 전체 둘레에 걸쳐 시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구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삽입구멍에 상기 셀프힌지부와 끼워 맞춰 그 위치 결정을 하는 오목부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부시를 문캡의 삽입구멍에 끼울 때 부시의 둘레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배선구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부시를 투명하게 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부시 근방의 발포 원료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쉽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 문의 배선구조에 대해서 도 1∼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문(10)은 냉장고(1)의 상단에 설치된 냉장실(2)의 전면 개구부를 닫는 냉장실문이며, 냉장실(2)의 폭방향 한쪽측의 단부에 설치된 상하의 문 힌지부(3, 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회전식 문이다.
냉장실문(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 금속제의 문 정면재(12)와 박판 수지제의 문 배면재(14) 및 상하 수지제의 문캡(16, 18)으로 형성된 공간에 경질 우레탄의 발포 원료를 주입하여 단열층(20)을 발포 성형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단열문이다.
상측 문 힌지부(3)에는 힌지핀(5)이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문 힌지부(4)에는 힌지핀(도시하지 않음)이 윗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하 의 문캡(16, 18)에는 각 힌지핀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2, 24)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삽입구멍(22, 24)에 각각 대응하는 힌지핀(5)을 끼우는 것에 의해 문(10)은 냉장고 본체(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냉장실문(10)의 하단 중앙부에는 냉장실 온도등의 냉장고 내부 상태를 표시하고, 또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 조작부(26)가 하측 문캡(1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 조작부(26)에 배선하기 위한 속선(28)은 상측 문 힌지부(3)를 통과하여 상측 문캡(16)의 삽입구멍(22)으로부터 문(10)내부로 인입되고, 단열층(20) 사이를 통과하여 하측 문캡(18)의 표시 조작부(26)까지 접속되어 있다. 이 속선(28)의 양 단부에는 단자인 하우징(30, 32)이 자동 조립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한쪽 하우징(32)은 표시 조작부(26)에 접속되고, 다른쪽 하우징(30)은 문캡(16)의 삽입구멍(22)으로부터 문(1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이하, 이 속선(28)의 배선 구조, 특히 상측 문 힌지부(3) 근방의 배선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문캡(16)의 삽입 구멍(22)에는 속선(28)을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합성수지제의 통형상 부시(34)가 끼워져 있다. 부시(34)의 내측에는 속선(28)이 삽입 통과되어 있고, 또 윗쪽부터 힌지핀(5)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34)는 그 둘레방향의 일부에서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셀프힌지부(3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부시(34)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통형상 몸통부(38)로 이루어지고, 이 통형상 몸통부(38)가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굴곡이 자유로운 얇은 두께부인 셀프힌지부(36)를 통하여 연결된 단면이 반원형인 2개의 몸통부(40, 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시(3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몸통부(38)가 개방된 상태로 성형되고, 셀프힌지부(36)를 작용시켜 2개의 몸통부(40, 42)를 합치는 것에 의해 통형상 몸통부(38)가 닫혀 원통형상이 된다. 셀프힌지부(36)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통형상 몸통부(38)의 균열, 바꿔말하면 2개의 몸통부(40, 42)의 접합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합부(44)에는 서로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46)와 오목부(48)가 설치되고 양자의 걸어맞춤에 의해 부시(34)를 닫은 상태로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시(34)에 있어서, 단열층(20)중에 매설(埋設)되는 통형상 몸통부(38)의 선단부(38a)는 우레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선단부(38a)의 내부직경(D1)이 속선(28)의 총 외부직경(D2)과 대략 동일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통형상 몸통부(38)의 상단부에는 문캡(16)의 삽입구멍(22)을 빈틈없이 막기 위해 플랜지부(50)가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 몸통부(38)의 길이는 통형상 몸통부(38)의 하단(38a)에서 고정된 속선(28)이 문(10) 회전시의 비틀림에 의해 단선되지 않을 정도의 소정 길이(예를 들면 70mm)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통형상 몸통부(38)의 2개의 몸통부(40, 42)를 연결하는 셀프힌지부(36)의 폭(W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몸통부(38)의 두께(T1)의 4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셀프힌지부(36)에서도 통형상 몸통부(38)의 상단부에 플랜지 형상을 확보하여 문캡(16)의 삽입구멍(22)과 부시(34)의 틈을 전체 둘레에 걸쳐 막도록 되어 있다. 또, 셀프힌지부(36)에 있어서의 굴곡되는 얇은 두께부의 두께(T2)는 통형상 몸통부(38)의 두께(T1)의 1/3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부시(34)가 끼워지는 문캡(16)의 삽입구멍(2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선(28)의 하우징(30)이 통과 가능한 대략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삽입구멍(22)에는 부시(34)의 셀프힌지부(36) 및 접합부(44)에 각각 끼워 맞춰 그 위치 결정을 하는 오목부(52, 54)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문 힌지부(3)의 힌지핀(5)은 내측에 속선(28)이 삽입 통과되도록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둘레방향의 일부가 축방향을 따라서 전체 둘레에 걸쳐 절개되고, 이 절개부(5a)로부터 속선(28)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절개부(5a)는 문(10)의 개폐에 따라서 회전하는 부시(34)의 셀프힌지부(36)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힌지부(36)의 회전 범위θ(=0∼135°)외로 힌지핀(5)의 절개부(5a)를 설치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냉장실문(10)을 제조할 때에는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하우징(30)이 부착된 속선(28)을 상측 문캡(16)의 삽입구멍(22)을 통하여 위쪽으로 인출한다. 계속해서, 도 1,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부시(34)의 한쪽의 몸통부(40)내에 속선(28)을 장착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프힌지부(36)를 작용시켜 부시(34)를 닫는 것에 의해 부시(34)의 통형상 몸통부(38)내에 속선(28)을 관통시킨다. 이때, 부시(34)가 속선(28)의 길이방향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도록 위치를 결정하여 부시(34)를 닫는다. 그 후, 부시(34)를 문캡(16)의 삽입구멍(22)에 끼워 넣는다. 이때, 삽입구멍(22)에 설치된 상대되는 2개의 오목부(52, 54)에 부시(34)의 각각 대응하는 셀프힌지부(36) 및 접합부(44)를 끼워 맞추고, 이에 의해 부시(34)는 정확하게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문캡(16)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시(34)를 문캡(16)에 조립한 상태로 문 정면재(12)와 문 배면재(14) 및 상하 문캡(16, 18)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경질 우레탄의 발포 원료를 주입하여 문(10)을 형성한다.
그 후, 문(10)을 냉장고 본체(1)에 부착할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힌지부(3)의 힌지핀(5)내에 절개부(5a)로부터 속선(28)을 장입하고, 또 문(10)을 위쪽으로 들어 올려 힌지핀(5)을 부시(34)내에 끼워 넣는다. 그 후, 속선(28)의 선단의 하우징(30)을 냉장고 본체(1)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문(10)의 배선 구조이면, 부시(34)를 셀프힌지부(36)를 통하여 2개로 나눌 수 있도록 형성했기 때문에 속선(28)을 하우징(30)을 부착한 상태에서도 간단히 부시(34)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성이 향상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부시(34)의 크기를 속선(28)의 총 외부직경과 거의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부시의 외부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우레탄의 충전성이 향상하여 성에 부착을 방지할수 있다.
또, 문(10)의 개폐시에 부시(34)의 셀프힌지부(36)와 힌지핀(5)의 절개부(5a)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힌지핀(5)의 절개 테두리에 의한 셀프힌지부(36)의 마모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시(34)의 선단부(38a)의 내부직경(D1)을 속선(28)의 총 외부직경(D2)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설정했기 때문에 부시(34)내에 우레탄이 침입하여 속선(28)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셀프힌지부(36)의 폭(W1)이 통형상 몸통부(38)의 두께(T1)의 4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문 캡(16)의 삽입구멍(22)과 부시(34)의 틈을 전체 둘레에 걸쳐 시일할 수 있다.
또, 부시(34)가 투명하기 때문에 시인성(視認性)이 좋고 우레탄의 충전 상태가 확인 가능해 제품 생산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문의 배선구조이면, 부시에 셀프힌지부를 설치하여 개폐가능하게 형성했기 때문에 부시의 내부 직경 보다 큰 단자를 구비하는 속선이라도 부시를 개방하여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속선에 미리 단자를 부착해둘 수 있기 때문에 제조성이 향상되고 비용의 절감이 도모된다. 또한, 부시로의 속선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고, 또 속선을 부시의 한 단(端)으로부터 삽입하는 종래의 배선 구조에 비해 부시의 굵기를 가늘게 할 수 있어 문 내부의 발포 원료의 충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냉장고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한 상하의 문 힌지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해당 개구부를 닫는 문에 있어서, 상하 중 어느 한쪽의 문 힌지부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로부터 문 내부로 배선하기 위한 구조이고,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통형상의 힌지핀;
    해당 힌지핀이 삽입되는 문 상면 또는 하면의 삽입 구멍; 및
    해당 삽입구멍에 끼워지고 내측에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는 통형상의 부시를 포함하며,
    문 내부에 배치된 속선이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진 상기 부시의 내측을 통과하고, 또 상기 힌지핀의 내측을 통과하여 냉장고 본체측으로 인출되는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시를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셀프힌지부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하고, 해당 부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선단에 단자를 구비한 상기 속선을 해당 부시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2. 문 정면재와 문 배면재 및 상하 문캡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층을 발포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냉장고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한 상하 문 힌지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해당 개구부를 닫는 문에 있어서, 상하 중 어느 한쪽의 문 힌지부를 통하여 냉장고 본체로부터 문 내부로 배선하기 위한 구조이고,
    냉장고 본체에 설치된 통형상의 힌지핀;
    문캡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삽입구멍; 및
    해당 삽입구멍에 끼워져 내측에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는 통형상의 부시를 포함하며,
    문 내부에 배치된 속선이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진 상기 부시의 내측을 통과하고, 또 상기 힌지핀의 내측을 통과하여 냉장고 본체측으로 인출된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시를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셀프힌지부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하고, 해당 부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선단에 단자를 구비한 상기 속선을 해당 부시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가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셀프힌지부를 통하여 연결된 제 1 몸통부와 제 2 몸통부로 이루어진 통형상 몸통부를 구비하고,
    문 내부에 배치된 통형상 몸통부의 선단부를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며,
    통형상 몸통부의 타단부에 상기 삽입구멍을 막기 위한 플랜지부를 둘레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의 둘레방향에서의 일부에 상기 속선을 장입하기 위한 절개부를 문의 개폐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셀프힌지부의 회전범위 밖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문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시의 선단부를 다른 부위에 비해 내부 직경을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내부 직경과 상기 속선의 총 외부직경을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에 상기 셀프힌지부와 끼워 맞춰 그 위치 결정을 하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KR10-2000-0059437A 2000-03-28 2000-10-10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KR100387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9367A JP2001272162A (ja) 2000-03-28 2000-03-28 冷蔵庫扉の配線構造
JP2000-089367 2000-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26A KR20010093626A (ko) 2001-10-29
KR100387054B1 true KR100387054B1 (ko) 2003-06-12

Family

ID=1860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437A KR100387054B1 (ko) 2000-03-28 2000-10-10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272162A (ko)
KR (1) KR100387054B1 (ko)
CN (1) CN1163714C (ko)
TW (1) TW4366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30B1 (ko) * 2002-09-19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단자고정구의 발포액누설방지구조
KR20040025466A (ko) * 2002-09-19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단자 하우징 실링 장치
KR100842384B1 (ko) * 2002-10-02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단자하우징의 가고정구조
US7322209B2 (en) 2004-03-30 2008-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E202004007067U1 (de) 2004-05-04 2004-06-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ohlachsiges Scharnier
KR101316023B1 (ko) * 2007-08-20 2013-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선 통합 모듈 및 그 모듈을 이용한 배선 구조를 갖는냉장고
JP4637188B2 (ja) 2008-01-30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1592003A (zh) * 2008-05-30 2009-12-02 海尔集团公司 一种冷柜的自动关门装置
JP5128424B2 (ja) * 2008-09-10 2013-01-23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冷凍装置
ES2368628B1 (es) * 2009-03-24 2012-10-25 Fagor S. Coop. Aparato frigorífico con tirador horizontal.
CN102191905A (zh) * 2010-03-16 2011-09-21 海信(北京)电器有限公司 门端盖隐形的门及设置这种门的冰箱及这种门的加工方法
CN102221280B (zh) * 2011-06-16 2014-02-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02305513A (zh) * 2011-09-23 2012-01-04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铰链轴套
DE102013211098A1 (de) * 2013-06-14 2014-12-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Kameramodul
ITTO20130710A1 (it) * 2013-09-02 2015-03-03 Indesit Co Spa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con passaggio per elemento tubolare flessibile tra armadio e porta
KR102388879B1 (ko) 2017-03-02 2022-04-28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101134A (ko)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90030882A (ko)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367327B1 (ko) 2017-11-09 2022-02-24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TWI793153B (zh) * 2018-01-31 2023-02-21 日商夏普股份有限公司 冰箱
KR20210156172A (ko) * 2020-06-17 2021-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72162A (ja) 2001-10-05
KR20010093626A (ko) 2001-10-29
CN1315644A (zh) 2001-10-03
TW436601B (en) 2001-05-28
CN1163714C (zh)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054B1 (ko) 냉장고문의 배선구조
US7520758B2 (en) Refrigerator
US7100966B2 (en) Ventilation structure of automobile door
US20080018081A1 (en) Air bag module for vehicles
JPH09109679A (ja)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US7781678B2 (en) Grommet configured for supporting seal strip
JPH03153435A (ja) 車両用ウエザー・シール
EP1029795A2 (en) Container closure
KR100475792B1 (ko) 버스의 사이드플랩도어 조립구조
KR20050095078A (ko) 냉장고 도어의 리드와이어 보호구조
JP2000161841A (ja) 冷蔵庫
WO2009061069A1 (en) Refrigerator and opening/closing door thereof
KR102185719B1 (ko) 냉장고
KR101006567B1 (ko) 차량용 도어인사이드핸들 커버 캡
CN218884438U (zh) 一种箱体组件及冰箱
JP4017855B2 (ja) サッシュレス型車のシール構造
KR200276982Y1 (ko) 컨테이너 도어의 웨더스트립
KR200253626Y1 (ko) 냉장고의도어스위치장착구조
JPS6039753Y2 (ja) 冷蔵庫
KR100291090B1 (ko) 자동차의쿼터고정글래스장착구조
KR200145184Y1 (ko) 자동차의 퓨얼필러 어셈블리
KR200148153Y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부구조
JPH06247222A (ja) 自動車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構造
CN116481223A (zh) 一种制冷器具
JPH09240278A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型成形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