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086B1 -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086B1
KR100386086B1 KR10-2000-0063563A KR20000063563A KR100386086B1 KR 100386086 B1 KR100386086 B1 KR 100386086B1 KR 20000063563 A KR20000063563 A KR 20000063563A KR 100386086 B1 KR100386086 B1 KR 100386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extract
water
health food
ke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851A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10-2000-006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0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Edible Seaweed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다시마, 미역, 불등이, 모자반, 톳, 우무가사리와 진포로 구성된 해조류의 추출물을 분말, 과립 또는 엑기스 형태로 제조한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시마, 미역, 불등이, 모자반, 톳, 우무가사리와 진포로 구성된 해조류의 추출물을 분말, 과립 또는 형태로 제조한 새로운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은 해조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섭취로 인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증, 비만, 당뇨, 골다공증 및 신장질환, 간장질환, 혈전증, 변비, 숙변, 숙취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A Healthful Food Using the Extract of Seaweeds and a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다시마, 미역, 불등이(일명 가사리), 모자반, 톳, 우무가사리(일명 천초)와 진포(일명 체모)로 구성된 해조류의 추출물을 분말, 과립 또는 엑기스 형태로 제조한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는 영양분의 보고로써 특히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염류 등의 함량이 높아 이들의 식품으로서의 가치는 높이 평가되고 있다. 다시마, 미역, 톳, 불등이, 모자반 등의 해조류는 생리활성작용이 뛰어난 아르기닌산, 라니닌, 엽록소, 마니톨, 칼슘, 요오드, 비타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증, 비만, 당뇨, 골다공증 및 신장질환, 간장질환, 혈전증, 변비, 숙변, 숙취 등의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조류를 이용한 건강식품에 대해서는 해조류를 원료로 하여 이들의 추출물에 첨가제를 혼합하는 해조류를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 93-495호, 제 93-17513호), 곡류와 해조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85-1028호) 등 다수의 기술이 알려져 있고, 각 식품분야별로 응용범위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해조류는 독특한 향미와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미역, 김, 다시마 등은 가공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는 대표적인 해조식품이지만, 파래, 톳, 불등이, 모자반 등은 건조상태로 미가공 상태로 유통되고 있어 우수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상품가치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김, 미역, 다시마의 경우에도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의한 시장원리의 지배를 받아 풍작이 되면 소비에 한계가 있어서, 가공된 상태로 수년간 보관됨으로써 색깔, 맛 및 영양분이 소실되어 상품가치가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해조류를 원조로 하여 이들의 추출물을 분말, 과립 또는 엑기스의 형태로 제조하여 건강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시마, 미역, 우무가사리, 모자반, 톳, 불등이와 진포로 구성된 해조류의 추출물을 분말, 과립 또는 형태로 제조한 새로운 건강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시마, 미역, 우무가사리, 모자반, 톳, 불등이와 진포로 구성된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강식품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다시마 51.35-52.63 중량%, 미역 21.05-21.62 중량%, 불등이 8.42-9.19 중량%, 모자반 8.42-9.19 중량%, 톳 5.26-5.41 중량%, 우무가사리 2.11 중량% 이내 및 진포 2.11 중량% 이내를 포함하는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분말, 과립 또는 엑기스 형태로 제조된 건강식품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제조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공정 (세척)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다시마 51.35-52.63 중량%, 미역 21.05-21.62 중량%, 불등이 8.42-9.19 중량%, 모자반 8.42-9.19 중량%, 톳 5.26-5.41 중량%, 우무가사리 2.11 중량% 이내 및 진포 2.11 중량% 이내를 포함하는 해조류를 회전원통망에 넣어서 교반시키면서 세척하여 이에 부착된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한다.
이때 해조류의 염도는 0.05-0.5중량% 이내로 제거시켜야 하는데, 0.5중량% 이상에서는 분해가 어려우며 보관시 흡습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 2공정 (제비)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한 해조류에 남아 있는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60℃ 전후의 온수에서 2-5분 정도 손으로 부드럽게 비벼주고 이때 품온은 고온이 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흐르는 물에서 방냉시킨 다음 수세한 후 탈수시킨다.
제 3공정 (세절)
비린내를 제거한 해조류를 추출하기 좋게 5-10㎝ 길이로 세절한다.
제 4공정 (추출)
세절된 해조원료를 물로 채워진 열처리기구에 넣어 100-120℃의 온도에서 1-3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제조한다.
제 5공정 (여과ㆍ농축)
추출된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여과시킨 후 감압농축기(vacuum evaporator)를 사용하여 50-70℃의 온도에서 수분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증발ㆍ건고시킨다.
제 6공정 (제형)
증발ㆍ건고된 해조류 추출물을 필요에 따라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하거나, 조립기를 사용하여 과립형태로 성형하거나, 물을 첨가하여 엑기스 형태로 성형한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건조된 다시마 5㎏, 미역 2㎏, 불등이 0.8㎏, 모자반 0.8㎏, 톳 0.5㎏, 우무가사리 0.2㎏과 진포 0.2㎏으로 구성된 해조류를 회전원통망에 넣어서 교반시키면서 세척하여 이에 부착된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하고,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한 해조류를 60℃ 전후의 온수에서 3분간 손으로 부드럽게 비벼주면서 신속하게 흐르는 물에서 방냉시킨 다음 수세한 후 탈수시켰다.
비린내를 제거한 해조류를 추출하기 좋게 5-10㎝ 길이로 세절한 다음, 세절된 해조류를 물로 채워진 열처리기구에 넣어 11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얻었다.
추출된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여과시킨 후 감압농축기(vaccum evaporator)를 사용하여 60℃의 온도에서 수분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증발ㆍ건고시켜 해조류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해조류의 추출물을 분쇄기에 넣어 500-1000 rpm으로 회전수를 조절하여 150-200 메쉬체를 통과하는 미세분말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건조된 다시마 4.5㎏, 미역 2.2㎏, 불등이 0.75㎏, 모자반 0.75㎏, 톳 0.55㎏, 우무가사리 0.2㎏과 진포 0.15㎏으로 구성된 해조류를 회전원통망에 넣어서 교반시키면서 세척하여 이에 부착된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하고,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한 해조류를 60℃ 전후의 온수에서 3분간 손으로 부드럽게 비벼주면서 신속하게 흐르는 물에서 방냉시킨 다음 수세한 후 탈수시켰다.
비린내를 제거한 해조류를 추출하기 좋게 5-10㎝ 길이로 세절한 다음, 세절된 해조류를 물로 채워진 열처리기구에 넣어 10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얻었다.
추출된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여과시킨 후 감압농축기(vaccum evaporator)를 사용하여 70℃의 온도에서 수분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증발ㆍ건고시켜 해조류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얻어진 해조류의 추출물을 과립기에 넣어 과립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건조된 다시마 4.75㎏, 미역 2㎏, 불등이 0.85㎏, 모자반 0.85㎏, 톳 0.5㎏, 우무가사리 0.15㎏과 진포 0.15㎏으로 구성된 해조류를 회전원통망에 넣어서 교반시키면서 세척하여 이에 부착된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하고,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한 해조류를 60℃ 전후의 온수에서 3분간 손으로 부드럽게 비벼주면서 신속하게 흐르는 물에서 방냉시킨 다음 수세한 후 탈수시켰다.
비린내를 제거한 해조류를 추출하기 좋게 5-10㎝ 길이로 세절한 다음, 세절된 해조류를 물로 채워진 열처리기구에 넣어 12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얻었다.
추출된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여과시킨 후 감압농축기(vaccum evaporator)를 사용하여 65℃의 온도에서 수분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증발ㆍ건고시켜 해조류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얻어진 해조류의 추출물에 뜨거운 물을 첨가하여 엑기스 형태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엑기스 형태의 제품을 고혈압, 혈전증, 간장질환, 위궤양 증세가 있는 패널요원에게 매일 3회씩 6개월 동안 음용시켜 그 효과를 시험한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본 발명에 의한 건강식품의 음용효과(단위 : 명)
구 분 고혈압군 혈전증군 간장질환군 위궤양군
1 개월 - - - -
2 개월 - - - -
3 개월 2 - - 1
4 개월 3 - 3 2
5 개월 6 3 7 5
6 개월 8 17 8 11
표 1에서 숫자는 각 증세가 약화되거나 호전된 패널요원의 인원수를 나타낸 것이며, 각 패널요원은 고혈압, 혈전증, 간장질환 및 위궤양이 심한 환자 20명씩을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혈압, 간장질환 등의 환자가 음용후 6개월 이내에 90% 이상의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은 해조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섭취로 인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증, 비만, 당뇨, 골다공증 및 신장질환, 간장질환, 혈전증, 변비, 숙변, 숙취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다시마 51.35-52.63 중량%, 미역 21.05-21.62 중량%, 불등이 8.42-9.19 중량%, 모자반 8.42-9.19 중량%, 톳 5.26-5.41 중량%, 우무가사리 2.11 중량% 이내 및 진포 2.11 중량% 이내를 포함하는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해조류 추출물은 분말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3.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다시마 51.35-52.63 중량%, 미역 21.05-21.62 중량%, 불등이 8.42-9.19 중량%, 모자반 8.42-9.19 중량%, 톳 5.26-5.41 중량%, 우무가사리 2.11 중량% 이내 및 진포 2.11 중량% 이내 의 해조류를 회전원통망에 넣어서 교반시키면서 세척하는 세척공정,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한 해조류를 60℃ 전후의 온수에서 2-5분 정도 손으로 부드럽게 비벼주면서 신속하게 흐르는 물에서 방냉시킨 다음 수세한 후 탈수시키는 제비공정,
    비린내를 제거한 해조류를 추출하기 좋게 5-10㎝ 길이로 세절하는 세절공정,
    세절된 해조류를 물로 채워진 열처리기구에 넣어 100-120℃의 온도에서 1-3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제조하는 추출공정 및
    추출된 해조류 추출엑기스를 여과시킨 후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50-70℃의 온도에서 수분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증발ㆍ건고시키는 여과ㆍ농축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증발ㆍ건고된 해조류의 추출물은 분말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0-0063563A 2000-10-27 2000-10-27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KR100386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563A KR100386086B1 (ko) 2000-10-27 2000-10-27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563A KR100386086B1 (ko) 2000-10-27 2000-10-27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851A KR20020032851A (ko) 2002-05-04
KR100386086B1 true KR100386086B1 (ko) 2003-06-02

Family

ID=1969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563A KR100386086B1 (ko) 2000-10-27 2000-10-27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742B1 (ko) * 2002-03-16 2005-07-25 최진호 매생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숙취음료의 제법
KR100899556B1 (ko) 2007-11-02 2009-05-26 경포대영어조합법인 모자반 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81B1 (ko) * 2001-10-23 2004-06-04 김철호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62892A (ko) * 2002-06-27 2002-07-31 김동식 해조류의 건강식품
KR20040005545A (ko) * 2002-07-09 2004-01-16 김선재 숙취해소음료의 제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3440B1 (ko) * 2007-09-28 2009-12-2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개선제 조성물
KR101065486B1 (ko) * 2008-04-29 2011-09-19 (주) 오엔씨 숙취해소용 음료
KR101125185B1 (ko) * 2009-10-09 2012-03-19 한국식품연구원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KR101330766B1 (ko) * 2011-03-16 2013-11-26 (주)아이에스푸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추출방법 및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물질
KR101386323B1 (ko) * 2011-03-22 2014-04-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후 골다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666A (ja) * 1982-02-26 1983-09-06 Nagoya Seiraku Kk 海藻を含有する飲料
KR890002011A (ko) * 1987-07-11 1989-04-07 요아힘 그렘.루디 마이어 5-할로 게노-6-아미노-니코틴산 할라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910016282A (ko) * 1990-03-08 1991-11-05 이보근 해조류 사라다의 제조방법
KR100195503B1 (ko) * 1996-09-11 1999-06-15 박진우 해조류 고형분과 엑기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해조환
KR100221963B1 (ko) * 1997-05-07 1999-09-15 김준, 김미란 해초성형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666A (ja) * 1982-02-26 1983-09-06 Nagoya Seiraku Kk 海藻を含有する飲料
KR890002011A (ko) * 1987-07-11 1989-04-07 요아힘 그렘.루디 마이어 5-할로 게노-6-아미노-니코틴산 할라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910016282A (ko) * 1990-03-08 1991-11-05 이보근 해조류 사라다의 제조방법
KR100195503B1 (ko) * 1996-09-11 1999-06-15 박진우 해조류 고형분과 엑기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해조환
KR100221963B1 (ko) * 1997-05-07 1999-09-15 김준, 김미란 해초성형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742B1 (ko) * 2002-03-16 2005-07-25 최진호 매생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숙취음료의 제법
KR100899556B1 (ko) 2007-11-02 2009-05-26 경포대영어조합법인 모자반 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851A (ko) 200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086B1 (ko)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CN1011382B (zh) 保健瓜子的生产方法
CN106434028A (zh) 一种去除农药残留的果蔬洗涤盐及其制备方法
KR101294654B1 (ko) 삼채를 포함하는 김치제조용 양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
JP2007145753A (ja) リパーゼ阻害剤
KR20190140879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음용수
CN107197940A (zh) 一种生物保鲜剂及其制备方法与在枇杷保鲜中的应用
KR101299205B1 (ko) 천일염의 간수 제거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칼라 소금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칼라 함수의 제조방법
KR101478784B1 (ko) 편백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0953368B1 (ko) 두부의 제조방법
KR20010044108A (ko) 퉁퉁마디음료 제조방법
CN105614835A (zh) 一种荸荠韭花酱及其制备方法
KR20060036435A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0541286B1 (ko) 기능성 그린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2850A (ko) 해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대용 모발세정제 및 그의제조방법
KR101123578B1 (ko) 절임 생선의 제조방법
CN102669372B (zh) 益智肾茶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2234150B1 (ko) 해삼 유래 소금, 이를 이용한 비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8186B1 (ko) 마늘 진액 발효소금의 제조방법
KR101240664B1 (ko) 깻잎 향신료와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055248A (ja)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
KR101724901B1 (ko) 모링가 잎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
KR20010003980A (ko) 쑥 소금의 제조방법
JP3110697B2 (ja) コーヒー抽出粕の再生粉末並びにその加工食品用副食材及び活性炭原料として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