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440B1 - 비만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440B1
KR100933440B1 KR1020070097761A KR20070097761A KR100933440B1 KR 100933440 B1 KR100933440 B1 KR 100933440B1 KR 1020070097761 A KR1020070097761 A KR 1020070097761A KR 20070097761 A KR20070097761 A KR 20070097761A KR 100933440 B1 KR100933440 B1 KR 10093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queous solution
ethanol
water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472A (ko
Inventor
김세재
강성일
진영준
고희철
최수연
박지권
정완석
황준호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9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4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7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e.g. cellulases, lact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역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비만, 미역쇠

Description

비만 개선제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Obesity}
본 발명은 비만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역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음식 문화가 고열량 위주의 식단으로 서구화되면서 비만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다. 서구에서는 과체중을 포함하여 비만 인구가 70%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으며(Colditz 등 199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우리나라에서도 성인 인구의 25%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라는 보고가 있다(보건산업진흥원 2001).
비만이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이며 과잉된 열량으로 인해 지방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Kopelman 및 Stock, 1998).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보며,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5.0 내지 30.0를 과체중으로 정의하고 30.0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이 발생하여 그 상태가 지속되면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그러한 질환으로서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당뇨병,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 무호흡증, 당뇨병 등을 들 수 있다(이홍규, 1992).
비만의 원인으로는 고지방·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Frankel 및 Scho가, 1996),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 치료제는 일반적으로 3가지의 범주 즉 식욕 억제제, 체내 에너지 대사 촉진제 및 소화 흡수 억제제로 구분된다. 식욕을 억제하는 약리 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리덕틸(Reductil™, 애보트사, 미국)을 들 수 있고, 체내 에너지를 촉진하는 약리 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엑소리제(Exorise™,아코파마사, 프랑스)를 들 수 있으며, 지방의 소화 흡수를 억제하는 약리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을 들 수 있다.
한편 갈조식물 고리매과의 바닷말인 미역쇠(Endarachne binghamiae)는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포함하여 중부 이남의 해안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까지 미역쇠의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미역쇠를 비만 개선제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역쇠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미역쇠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와 혼합되어 실험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고지방식이만이 투여된 대조군에 비해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을 감소시키고 복부지방의 증가 정도를 감소시키며 혈장 중의 글루타민산피루브산트랜스아미나아제(이하 "GPT") 및 글루타민산옥살로아세트산트랜스아미나아제(이하 "GOT")의 함량은 낮추는 한편, 혈장 중의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이하 "HDL 콜레스테롤") 함량을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적출된 실험동물의 간 조직의 사진을 통해서도 미역쇠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와 함께 투여된 경우에는 실험동물의 간 조직 색깔이 정상식이군과 유사한 반면 고지방식이만이 투여된 대조군에 비해서는 현저한 색깔 상의 차이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GPT 및 GOT는 간이 비만, 알콜 등이 원인이 되어 손상을 입을 경우 간으로부터 혈액 중으로 분비되기 때문에, 이들 효소의 활성은 간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효소의 활성이 낮다는 것은 간 손상 정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는 LDL(저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과는 달리 혈관 벽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어 HDL 콜레스테롤이 높다는 것은 건강이 좋은 상태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미역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역쇠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고리매과에 속하는 미역쇠(Endarachne binghamiae)를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인 미역쇠를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가온하여 추출하였지만 환류시키 추출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유용성분의 활성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방사시켜 추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환류시켜 추출하거나 또는 초음파를 방사시켜 추출한 경우에도 비만 개선 효과(이는 하기 실험예의 각 항목으로 평가한 것임)에 있어서 하기 실시예의 추출물과 특별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음을 확인한 바 있다.
추출용매로서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에탄올의 함량이 낮을수록 바람직한데, 50% 이하의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의 에탄올 수용액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가 확인한 바에 따를 때 추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한 경우가 4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보다 비만 개선 효과가 높고(이는 하기 실험예의 각 항목으로 평가한 것임), 또 3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가 4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추출 시에 다당류 분해효소를 사용한 경우에, 그 결과 얻어진 추출물이 단순히 추출 용매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보다 비만 개선 효과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된 다당류 분해효소는 시판되는 복합 효소로서 덴마크의 Novo Nordisk사에서 구입한 Viscozyme 및 Celluclast인데, Viscozyme은 아라비나제(arabinase), 셀룰나제(cellulase), 키실라나제(xylanase), 헤미셀룰나제(hemicellulase) 및 베타-클루카나제(β-glucanase)의 복합 효소이고, Celluclast는 셀로비하이드롤나제(cellobihtydrolase), 1,4-베타-디-클루코시다제(1,4-β-D-glucosidase) 및 1,4-베타-디-글루카나제(1,4-β-D-glucanase)의 복합 효소이다.
따라서 미역쇠 추출물의 비만 개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추출 시에 다당류 분해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다당류 분해 효소는 단당류가 3 분자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분자 이상 결합하여 이루어진 당류를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이면 어떠한 효소라도 무방하다. 그러한 효소로서는 예컨대, 상기 열거된 효소 이외에, 아밀로클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알파-아밀라제 (α-amylase), 펙틴나제(pectinase), 펙토산나제(pentosanase), 만나제(mannase), 펙틴트란스리미나제(pectintranseliminase), 폴리칼락토나제(polygalactonase), 펙틴에스터라제(pectinesterase) 및/또는 이들 효소를 함유한 동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Pectinex™(Novo Nordisk, Denmark), Ultraflo L™(Novo Nordisk, Denmark), Viscozyme L™(Novo Nordisk, Denmark), Ceremix™(Novo Nordisk, Denmark), Celluclast™(Novo Nordisk, Denmark), Filterase BR™(Gist-Brocades, Netherlands), Termamyl™(Novozymes, Denmark) 등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효소가 사용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이란, 그것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의 구분에 따른 비만(BMI이 30.0 이상인 경우)과 과체중(BMI이 25~30인 경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 개선"이란 비만의 예방, 비만의 치료를 포함하여, 체지방의 감소 및/또는 체중의 감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미역쇠 추출물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미역쇠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외에, 비만 개선 효과를 상승·보강할 수 있도록 비만 개선 효과가 알려진 공지 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는 상기의 리덕틸, 엑소리제 및 제니칼 이외에, 진세노사이드 또는 그것의 대사산물인 화합물 K(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42755호), 제니스테인과 L-카르니틴(대한민국 특허 제0520408호),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9341호), 치환 3-페닐-5 -알콕시-3H-(1,3,4)-옥사디아졸-2-온(Substituted 3-phenyl-5-alkoxy-3H-(1,3,4)-oxadiazol-2-ones)(미국 특허 제6,900,233호), 1-3,4-트란스-2,2-다이메티-3-페닐-4-[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7-메톡시크로만(1-3,4-trans-2,2-dimethy-3-phenyl-4-[4-(2-(pyrrolidin-1-yl)ethoxy)phenyl]-7-methoxychroman)(미국 특허 제6,008,242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미역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이어트"란 체중 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은 아니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의 감소가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상태로서 정의된다. 통상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은 정상인의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그것의 유효성분인 미역쇠 추출물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첨가되는 화합물 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미역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이지만, 비만이 지속되면 비만이 원인이 되어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무호흡증, 당뇨병 등이 발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란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무호흡증 및 당뇨병 중 하나로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에 있어서도, 그것의 유효성분인 미역쇠 추출물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첨가되는 화합물 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미역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지방식이만이 급여된 경우에 실험동물의 간 조직의 색깔이 정상식이가 급여된 실험동물의 간 조직 색깔과는 현저히 다르지만, 미역쇠 추출물이 혼합된 고지방식이가 급여된 경우에 실험동물의 간 조직 색깔이 정상식이군의 실험동물의 간 조직 색깔과 거의 같다는 점과, 미역쇠 추출물이 투여된 경우에 실험동물의 혈중 GPT 및 GOT의 농도가 낮아진다는 점에서, 미역쇠 추출물은 지방간 개선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지방간은 알콜, 비만, 당뇨, 약물의 남용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지만 그 원인을 불문하고 지방간은 간 내에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상태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지방간 이외에도 다른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방간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에 있어서도, 그것의 유효성분인 미역쇠 추출물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첨가되는 화합물 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한편, 지방간은 방치될 경우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지방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간염, 간경병증 또는 간암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 다이어트용 조성물, 비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또는 지방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예방용 조성물(이하 통칭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미역쇠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이란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 습윤제 등 각 용도에 적합한 성분들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성분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85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데, 예컨대 경구 또는 직장에의 직접 투여되거나,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등에의 주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특히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의 경우)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미역쇠 추출물이 포함되는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고,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만 개선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어트용 조성물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도 추가로 제공된다.
< 실시예 > 미역쇠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미역쇠 추출물의 제조예 1
미역쇠 6 kg을 수돗물로 수세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 후 분쇄하였다. 분쇄한 미역쇠를 물에 침지시켜 1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감압농축 후 추출용매를 제거하여 분말 형태의 미역쇠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미역쇠 추출물의 제조예 2
미역쇠 6 kg을 수돗물로 수세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 후 분쇄하였다. 분쇄한 미역쇠를 그 중량의 5% 만큼의 viscozyme L™(Novo Nordisk, Denmark), 5% celluclast™(Novo Nordisk, Denmark)와 구연산(pH 4.5) (확인 바랍니다)이 포함된 물에 첨가한 다음 6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고, 100℃에서 1시간 동안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그리고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시켜 추출용매를 제거하고 분말 형태의 미역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미역쇠 추출물의 항비만 실험
오리엔트(주)에서 구입한 4주령 Spraque-Dawley계 수컷 흰쥐를 고형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1주간 적응시킨 후, 체중이 비슷한 흰쥐를 무작위로 10 마리씩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정상군은 정상식이, 비만대조군은 고지방식이, 실험군은 고지방식이와 상기 각 미역쇠 추출물 0.05%(고지방식이과 미역쇠 추출물을 혼합한 총량 기준)의 혼합물을 공급하면서 한 마리씩 분리·사육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2℃, 습도 50±5%, 밤과 낮을 12시간 주기로 유지시켰다.
상기에서 정상식이는 Harlan(Harlan teklad, USA)사료를 사용하였고, 고지방식이는는 Harlan 사료를 기본사료로 하여 40 중량 %(기본사료 대비)의 라드(lard)(중앙실험동물, 한국)를 첨가한 사료를 사용하였다.
체중에 미역쇠 추출물의 효과는 5일마다 같은 시간대에 동물체중계를 사용하여 30일간 측정하여 실험 결과를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음료 섭취량은 1일마 다, 식이 섭취량은 5일마다 같은 시간대에 30일간 측정하여 그 총량의 합을 각 각 도 2 및 도 3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30일 동안의 체중 증가 총량(30일 후 최종 체중에서 처음 체중을 제함으로써 측정)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4는 미역쇠 추출물이 투여된 실험군의 경우 비만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도 2 및 3에서는 실험군이 비만대조군과 비교하여 음료 섭취량과 식이 섭취량이 적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복부지방(백색지방) 무게에 대한 미역쇠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일 간의 실험이 끝난 다음 에테르로 마취한 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그 실험 결과를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는데, 실험군이 비만 대조군에 비해 백색지방이 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HDL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미역쇠 추출물의 효과는 30일 간의 실험이 끝난 다음 혈장을 분리하여 분석용 키트(아산제약,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실험 결과를 도 6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는데, 실험군에서가 비만대조군에 비해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간조직 손상에 대한 미역쇠 추출물의 효과는 30일 간의 실험이 끝난 다음 에테르로 마취한 후 절제하여 확인하였고, 실험 결과를 도 7에 군당 개체 2마리씩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7은 실험군의 경우 정상군과 유사함을 보여주고 있고 비만대조군의 경우는 실험군이나 정상군에 비해 현저한 색깔상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어 외관상으로 지방간 병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 손상 정도의 지표 효소로 이용되고 있는 GPT 및 GOT의 수치는 30일 간의 실험이 끝난 다음 혈장을 분리하여 분석용 키트(아산제약,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험 결과를 각각 도 8 및 도 9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실험군이 비만 대조군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험동물에 정상식이를 급여한 경우(Normal),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경우(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을 급여한 경우(미역쇠 1 & 미역쇠 2) 실험동물의 체중을 5일마다 30일간 측정한 결과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도 2는 실험동물에 정상식이를 급여한 경우(Normal),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경우(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을 급여한 경우(미역쇠 1 & 미역쇠 2) 실험동물의 음료 섭취량을 1일마다 같은 시간대에 30일간 측정하여 그 총량의 합을 나타낸 결과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도 3은 실험동물에 정상식이를 급여한 경우(Normal),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경우(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을 급여한 경우(미역쇠 1 & 미역쇠 2)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을 5일마다 같은 시간대에 30일간 측정하여 그 총량의 합을 나타낸 결과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도 4는 실험동물에 정상식이를 급여한 경우(Normal),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경우(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을 급여한 경우(미역쇠 1 & 미역쇠 2) 30일 동안의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 총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도 5는 실험동물에 정상식이(Normal), 고지방식이(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미역쇠 1 & 미역쇠 2)을 각각 30일간 급여한 후 실험동물의 복부 지방의 무게를 정량한 결과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도 6은 실험동물에 정상식이(Normal), 고지방식이(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미역쇠 1 & 미역쇠 2)을 각각 30일간 급여한 후 실험동물 혈장의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도 7은 실험동물에 정상식이(Normal), 고지방식이(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미역쇠 1 & 미역쇠 2)을 각각 30일간 급여한 후 적출한 실험동물 간 조직의 사진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도 8 및 9는 실험동물에 정상식이(Normal), 고지방식이(Control) 및 고지방식이와 미역쇠 추출물의 혼합물(미역쇠 1 & 미역쇠 2)을 각각 30일간 급여한 후 실험동물 혈장의 GPT 및 GOT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미역쇠 1 및 2 는 각각 실시예 1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 및 실시예 2의 미역쇠 추출물의 투여군이다.

Claims (22)

  1. 미역쇠를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이 0% 초과 50% 이하인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이 0% 초과 10% 이하인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은 다당류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은 다당류 분해 효소로서 아라비나제(arabinase), 셀룰나제(cellulase), 키실라나제(xylanase), 헤미셀룰나제(hemicellulase), β-클루카나제, 셀로비하이드롤나제(cellobihtydrolase), 1,4-베타-디-클루코시다제(1,4-β-D-glucosidase), 1,4-베타-디-글루카나제(1,4-β-D-glucanase), 아밀로클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알파-아밀라제(α-amylase), 펙틴나제(pectinase), 펙토산나제(pentosanase), 만나제(mannase), 펙틴트란스리미나제(pectintranseliminase), 폴리칼락토나제(polygalactonase), 펙틴에스터라제(pectinesterase) 및 이들 효소를 함유한 동식물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6. 미역쇠를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이 0% 초과 50% 이하인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이 0% 초과 10% 이하인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은 다당류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은 다당류 분해 효소로서 아라비나제(arabinase), 셀룰나제(cellulase), 키실라나제(xylanase), 헤미셀룰나제(hemicellulase), β-클루카나제, 셀로비하이드롤나제(cellobihtydrolase), 1,4-베타-디-클루코시다제(1,4-β-D-glucosidase), 1,4-베타-디-글루카나제(1,4-β-D-glucanase), 아밀로클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알파-아밀라제(α-amylase), 펙틴나제(pectinase), 펙토산나제(pentosanase), 만나제(mannase), 펙틴트란스리미나제(pectintranseliminase), 폴리칼락토나제(polygalactonase), 펙틴에스터라 제(pectinesterase) 및 이들 효소를 함유한 동식물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미역쇠를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이 0% 초과 50% 이하인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에탄올 함량이 0% 초과 10% 이하인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은 다당류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 증류수 또는 에탄올 수용액은 다당류 분해 효소로서 아라비나제(arabinase), 셀룰나제(cellulase), 키실라나제(xylanase), 헤미셀룰나제(hemicellulase), β-클루카나제, 셀로비하이드롤나제(cellobihtydrolase), 1,4-베타-디-클루코시다제(1,4-β-D-glucosidase), 1,4-베타-디-글루카나제(1,4-β-D-glucanase), 아밀로클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알파-아밀라제(α-amylase), 펙틴나제(pectinase), 펙토산나제(pentosanase), 만나제(mannase), 펙틴트란스리미나제(pectintranseliminase), 폴리칼락토나제(polygalactonase), 펙틴에스터라제(pectinesterase) 및 이들 효소를 함유한 동식물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기능성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097761A 2007-09-28 2007-09-28 비만 개선제 조성물 KR10093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761A KR100933440B1 (ko) 2007-09-28 2007-09-28 비만 개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761A KR100933440B1 (ko) 2007-09-28 2007-09-28 비만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472A KR20090032472A (ko) 2009-04-01
KR100933440B1 true KR100933440B1 (ko) 2009-12-23

Family

ID=4075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761A KR100933440B1 (ko) 2007-09-28 2007-09-28 비만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4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43A (ko) * 2002-03-05 2002-04-03 김수경 지방간 치유 생식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2851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51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KR20020025143A (ko) * 2002-03-05 2002-04-03 김수경 지방간 치유 생식식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472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172B1 (ko)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2356536B1 (es) Una composición de uso como prebiótico que contiene un extracto de granada y un alimento que incluye dicha composición.
CN102366093A (zh) 一种复合减肥保健食品
US20030004215A1 (en) Dietetic prepara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intestinal carbohydrate absorption
EP1762234A1 (en) Ampk activator
US8168237B2 (en) Medicinal herbal extract having anti-obesity effect
Basharat et al.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file of carob bean (Ceratonia siliqua): A comprehensive review
KR101213825B1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U201535484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 pentose and polyphenolic compound
Koguchi et al. Beneficial effect of dietary fiber on hyperuricemia in rats and humans: a review
JP2011148748A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組成物
US20160074338A1 (en)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be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animal medicine for treating obesity, containing gingernone a
US20110098245A1 (en) Ag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KR100933440B1 (ko) 비만 개선제 조성물
Rebollo‐Hernanz et al. Cocoa shell: source of novel bioactive ingredient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metabolic diseases
KR101358197B1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Cha et al. Antihyperglycemic effect of stem bark powder from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 in type 2 diabetic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KR20180050272A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JP2008074735A (ja) リパーゼ阻害作用を有する組成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吸収抑制剤
KR20150044014A (ko) 소화흡수를 억제하는 항비만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71065A (zh) 特咖宁促进脂肪燃烧的新用途
CN109620858A (zh) 防治糖尿病的药食同源制剂
JP5864003B1 (ja) 脂質蓄積抑制効果を有する新規羅漢果抽出物組成物
WO2021112263A1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US2024012301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meliorating liver disease and liver dysfunction comprising zizania latifolia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