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371B1 - 천연대리석무늬를갖는건축재료용결정화유리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대리석무늬를갖는건축재료용결정화유리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371B1
KR100385371B1 KR1019970006524A KR19970006524A KR100385371B1 KR 100385371 B1 KR100385371 B1 KR 100385371B1 KR 1019970006524 A KR1019970006524 A KR 1019970006524A KR 19970006524 A KR19970006524 A KR 19970006524A KR 100385371 B1 KR100385371 B1 KR 10038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rystallized glass
crystallized
ceo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803A (ko
Inventor
요시오 하시베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0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C03C10/0036Devitrified glass ceramics, i.e. glass ceramics having a crystalline phase dispersed in a glassy phase and constituting at least 5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containing SiO2, Al2O3 and a divalent metal oxide as main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03C3/09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containing zinc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rare eart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는 청정제로서 황산나트륨을 사용하며, 중량백분률로 SiO245∼77%, A12O31∼25%, CaO 2∼25%, ZnO 0∼18%, BaO 0∼20%, Na2O 1∼15%, K2O 0∼7%, Li2O 0∼5%, B2O30∼1.5%, CeO20.01∼0.5%, SO30.01∼0.5%의 조성을 가지도록 조합한 유리원료를 용융 및 성형한 후, 결정화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는 As2O3및 Sb2O3를 함유하지 않지만, 용해성이 우수하여 생산효율이 좋을 뿐만아니라 종래의 제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백색도를 가진다.

Description

천연 대리석 무늬를 갖는 건축 재료용 결정화 유리 및 그 제조방법 {CRYSTALLIZED GLASS FOR BUILDING MATERIAL HAVING NATURAL MARBLY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로 사용되는 결정화 유리와 그 제조방법에 관련된다.
결정화 유리는 화학적 내구성,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면에서 우수하며, 또한 아름다운 외관을 나타내기 때문에, 천연석을 대신하여 건축물의 내장재나 외장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결정화 유리는 종래에 여러 가지가 제안된 바 있는데, 예를 들어, 일본국 1978년 특허출원공고 제39884호 공보 (특공소53-39884호 공보, JP-B-53-39884), 일본국 1991년 특허출원공개 제164446호 (특개평3-164446호 공보, JP-A-3-164446) 및 특허공개 1994-247744호 공보 (JP-A-6-247744)에는, β-규회석결정(wallastonite, CaO·SiO2)를 석출하여 이루어진 천연 대리석 무늬의 결정화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업적인 규모로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유리의 생산효율이 중요시된다. 생산효율은 유리 기포(seed)의 품질 등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이 유리의 용해성이다.
따라서,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원료속에 청정제(refining agent)로서 As2O3및 Sb2O3를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몰리브덴(Mo)전극을 설치한 용융로(溶融爐)에 의해 용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As2O3및 Sb2O3는 용해성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유리의 투과율을 상승시켜 결정화 유리의 백색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가지기 때문에, 청정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성분의 사용은 환경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여, 최근에는 사용량의 감소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몰리브덴 전극을 설치한 용융로중에서 용융하는 경우, 유리중에 As2O3및 Sb2O3가 존재하면, 전극이 현저히 침식되기 때문에, 전극을 빈번히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As2O3및 Sb2O3를 함유하지 않지만, 용해성이 우수하여 생산효율이 좋고, 더욱이 종래의 제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백색도를 가지는 결정화 유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상기의 장점을 구비한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중량백분률로 SiO245∼77%, Al2O31∼25%, CaO 2∼25%, ZnO 0∼18%, BaO 0∼20%, Na2O 1∼15%, K2O 0∼7%, Li2O 0∼5%, B2O30∼1.5%, CeO20.01∼0.5%, SO30.01∼0.5%의 조성을 가지며, 주결정으로서 β-규회석을 석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청정제로서 황산나트륨(Na2SO4)을 사용하고, 중량백분률로 SiO245∼77%, Al2O31∼25%, CaO 2∼25%, ZnO 0∼18%, BaO 0∼20%, Na2O 1∼15%, K2O 0∼7%, Li2O 0∼5%, B2O30∼1.5%, CeO20.01∼0.5%, SO30.01∼0.5%의 조성이 되도록 조합한 유리원료를 용융 및 성형한 후, 결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는, 중량백분률로, SiO245∼77%, A12O31∼25%, CaO 2∼25%, ZnO 0∼18%, BaO 0∼20%, Na2O 1∼15%, K2O 0∼7%, Li2O 0∼5%, B2O30∼1.5%, CeO20.01∼0.5%, SO30.01∼0.5%의 조성을 가지며, 주결정으로서 β-규회석을 석출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와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유량을 한정한 이유를 아래에 기술한다.
SiO2의 함유량은 45∼77%이며, 바람직하게는 52∼70%이다. SiO2가 77%를 초과하면, 유리의 용융 온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점도가 증대하여 열처리시의 유동성이 불량하게 된다. 한편, SiO2가 45% 미만이면, 성형시의 실투성(失透性)이 강해진다.
또한, Al2O3의 함유량은 1∼25%이며, 바람직하게는 3∼15%이다. A12O3가 25%를 초과하면, 유리의 용해성이 불량해 지고 동시에 색조안정성도 불량해진다. 한편, Al2O3가 1% 미만이면, 실투성이 강해짐과 동시에, 화학적 내구성이 저하된다.
CaO의 함유량은 2∼25%이며, 바람직하게는 8∼18%이다. CaO가 25%를 초과하면, 실투성이 강해 성형이 곤란해지고, 또 β-규회석의 석출량이 너무 많아져 원하는 표면평활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한편, 2% 미만이면 β-규회석의 석출량이 너무 적어져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므로, 건축 재료로서 실용적이지 못하게 된다.
ZnO는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시의 유리의 유동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이다. ZnO의 함유량은 0∼18%이며, 바람직하게는 2∼15%이다. ZnO가 18%를 초과하면, β-규회석이 석출되기 어렵게 된다.
BaO의 함유량은 0∼20%이며, 바람직하게는 0∼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BaO가 20%를 초과하면 β-규회석의 석출량이 적어진다.
Na2O의 함유량은 1∼15%이며, 바람직하게는 3∼10%이다. Na2O가 15%를 초과하면 화학적 내구성이 나빠진다. 한편, 1% 미만이면 점성이 증대하여 용해성이나 유동성이 나빠진다.
K2O의 함유량은 0∼7%이며, 바람직하게는 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이다. K2O가 7%를 초과하면, 화학적 내구성이 저하된다.
Li2O는 결정화 속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 함유량은 0∼5%이며, 바람직하게는 0.1∼3%이다. Li2O가 5%를 초과하면, 화학적 내구성이 저하된다.
B2O3의 함유량은 0∼1.5%이며, 바람직하게는 0∼1%이다. B2O3가 1.5%를 초과하면, 이종결정이 석출되어,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CeO2는 유리의 용해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리의 투과율을 상승시키는 성분이다. CeO2의 함유량은 0.01∼0.5%이며, 바람직하게는 0.05∼0.3%이다. CeO2는 원자가 변화에 의해,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Fe2O3의 착색을 억제시키며, 특히, SO3과 공존시킴으로써 그 효과가 현저해진다. 여기서, CeO2가 0.5%를 초과하면, Ce4+에 의한 착색이 너무 강해져 유리의 투과율이 저하되고, 0.01%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SO3의 함유량은 0.01∼0.5%이며, 바람직하게는 0.02∼0.4%이다. 그 이유는 SO3가 0.5%를 초과하면 이종결정이 석출되고, 0.01% 미만이면 용해성이 저하되어, 유리의 품질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CaO, Li2O 및 B2O3의 합계량을 10∼17.5%의 범위로 조정하면, 결정화 유리의 색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성분, 예를 들면, 착색산화물 등을 함유시켜도 무방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청정제로서 황산나트륨을 사용하고, 중량백분률로, SiO2가 45∼77%, Al2O3가 1∼25%, CaO가 2∼25%, ZnO가 0∼18%, BaO가 0∼20%, Na2O가 1∼15%, K2O가 0∼7%, Li2O가 0∼5%, B2O3가 0∼1.5%, CeO2가 0.01∼0.5%, SO3이0.01∼0.5%의 조성을 가지도록 유리원료를 조합한다. 황산나트륨을 사용하므로써, 몰리브덴 전극을 거의 침식시키지 않고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후, 조합한 유리원료를 용융시켜, 유리화시킨다. 용융에는, 몰리브덴 전극이 설치된 용융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융온도 및 용융시간은 1450∼1550℃ 및 8∼16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용융유리를 성형한 후, 결정화시킨다. 이러한 계통의 유리에 있어서, 유리를 작은 구형상이나, 후레이크형상 등의 유리소체로 성형한 후, 주형틀내에 집적시키고, 이것을 열처리하여 결정화시키면, 기계적 강도가 높고 아름다운 천연대리석 무늬를 나타내는 결정화 유리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열처리는 1∼6℃/분의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키고, 1020∼1100℃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스케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얻어진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는, 유리용융시에 청정 기체로서, SO2기체가 발생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유리중의 SO3성분이 감소하여, 유리원료와는 조성면에서 약간 변화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표 1은, CeO2및 SO3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시료 a는 종래의 결정화 유리, 시료 b는 시료 a에서 Sb2O3를 제거한 결정화 유리, 시료 c는 Sb2O3대신에 황산나트륨을 청정제로서 사용한 결정화 유리, 시료 d는 Sb2O3대신에 CeO2를 첨가한 결정화 유리, 시료 e는 Sb2O3대신에 황산나트륨을 청정제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CeO2를 첨가한 본 발명의 결정화 유리를 나타내고 있다.
각 시료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한다.
하기의 표 1과 같이 조성되도록, 규사, 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히드로징크사이트(hydrozincite), 탄산바륨, 소다회, 장석, 리티아 휘석(spodumene), 초산소다, 산화안티몬, 산화세륨 및 황산나트륨을 조합하여, 1500℃의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용융한다. 이어서, 용융유리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및 가공한 후, 기포수 및 평균투과율을 측정한다. 또, 용융유리를 입자로 만들어, 건조, 분류시켜 입자지름이 1∼5 mm인 유리소체를 얻는다. 이어서, 상기 유리소체를 내벽에 알루미나분말이 도포된 내화성 주형틀내에 집적시킨 후 전기로에 넣고, 2℃/분의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켜, 1050∼1100℃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키므로써, 각 유리소체를 융착에 의해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결정화시킨 후, 외관, 백색도(L치) 및 주결정을 평가한다. 그 결과가 하기의 표 1에 나타난다.
하기의 표 1로부터 알 수 있드시, 각 시료는 모두 표면평활성이 높고, 천연대리석 무늬를 나타내는 백색계의 결정화 유리다. 또한, 주결정은 모두, β-규회석이다. 그러나, 시료 a의 종래의 제품으로부터 Sb2O3가 제거된 시료 b의 결정화 유리는, 기포수가 100개이고, 시료 a의 약 10배의 기포이 존재하여, 용해성이 악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투과율이 시료 a에 비해 11% 저하되었는데, 이 때문에 백색도도「3」만큼 저하되었다.
한편, Sb2O3대신에 황산나트륨을 청정제로서 사용한 시료 c는, 기포수가 2개로 용해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었지만, 투과율은 낮다.
시료 a b c d e
유 리 의조 성 (중량 %) SiO2Al2O3CaOZnOBaONa2OK2OLi2OSb2O3CeO2SO3 61.06.015.56.05.03.52.00.50.5-- 61.06.015.56.05.03.52.00.5--- 61.06.015.56.05.03.52.00.5--0.3 61.06.015.56.05.03.52.00.5-0.2- 61.06.015.56.05.03.52.00.5-0.20.3
기포수(개/100g) 10 100 2 100 2
평균 투과율(%) 86 75 78 80 89
외관 표면 평활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색조 백색계 백색계 백색계 백색계 백색계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백색도(L 치) 93 90 91 92 94
주결정 β-규회석 β-규회석 β-규회석 β-규회석 β-규회석
또, 상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CeO2만을 첨가한 시료 d는, 투과율이 80%로 높고, 백색도도 시료 c보다 높은 「92」지만, 기포수가 100개로 용해성이 불량하다.
한편, Sb2O3대신에 황산나트륨을 청정제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CeO2를 첨가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시료 e는, 기포수가 2개로 용해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CeO2와 SO3의 상승효과에 의해, 투과율 89%, 백색도「94」로 시료 d에 비해 더욱 개선된다. 이는 종래의 제품과 비교하더라도,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값이다.
또, 기포수는 다음과 같이 하여 계수한다. 우선 용융유리를 카본 받침대상에 평평하게 조용히 흘려내어 판형상체를 성형하고, 650∼700℃에서 서서히 식힌다. 이어서, 판형상체로부터 5cm 각(角)의 크기로 시료를 잘라내어, 실체 현미경으로 기포수를 계수한 후, 100g 당의 개수로 환산한다.
또한, 평균 투과율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우선 용융유리를 성형하여 두께가 10∼12mm인 유리판을 얻어, 650∼700℃에서 서서히 식힌다. 이후, 유리판이 10mm±0.1mm의 두께를 가지도록 경면연마(鏡面硏磨)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계측한다.
또한, 백색도는 색측정계(測色計)로 측정한다. 또, 주결정은 X선 회절장치로 구한다.
(실시예 2)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시료번호 1∼5를 나타낸다.
각 시료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한다.
표 2의 조성을 가지는 유리가 되도록, 규사, 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히드로징크사이크, 탄산바륨, 소다회, 장석, 리티아휘석, 붕사(borax), 산화세륨 및 황산나트륨(salt cake)을 조합하여, 1500℃의 온도로 10시간에 걸쳐 용융시킨다. 이어서, 용융유리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및 가공한 후, 예 1과 같이 하여, 기포수 및 평균투과율을 측정한다.
또한, 용융유리를 입자로 만들어, 건조, 분류시켜 입자지름이 1∼5mm인 유리소체를 얻어,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화시킨 후, 표면상태, 주결정 및 백색도를 평가한다. 그 결과가 하기의 표 2에 나타난다.
시료 번호 a b c d e
유 리 의조 성 (중량 %) SiO2Al2O3CaOZnOBaONa2OK2OLi2OB2O3CeO2SO3 59.06.517.06.04.04.02.00.60.70.10.1 62.06.515.06.03.54.02.00.20.50.10.2 64.06.013.07.03.05.01.50.4-0.30.1 64.05.514.07.03.03.02.00.21.00.10.2 62.05.516.05.05.02.53.00.20.30.20.3
기포수(개/100g) 2 2 1 2 3
평균 투과율(%) 89 89 87 88 88
외관 표면 평활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색조 백색계 백색계 백색계 백색계 백색계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천연 대리석 무늬
백색도(L 치) 94 94 93 93 93
주결정 β-규회석 β-규회석 β-규회석 β-규회석 β-규회석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드시, 각 시료 모두 표면평활성이 높고, 천연 대리석 무늬를 나타내고 있으며, β-규회석을 주결정으로서 석출하는 백색계의 결정화유리다. 또한 기포수가 3개 이하로 용해성이 양호하고, 평균투과율이 87%이상이며, 백색도가 93이상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유리는 As2O3및 Sb2O3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결정화 유리는 기계적 강도나 화학적 내구성이 높고, 더욱이 종래의 제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백색도를 가지기 때문에, 내장재 및 외장재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결정화 유리의 제조방법에 따라, 청정제로서 황산나트륨을 사용하기 때문에 용해성이 양호하고, 또 CeO2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리의 투과율이 높다. 따라서, 종래의 제품과 동등한 백색도를 가지는 결정화 유리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몰리브덴 전극을 설치한 용융로에 의해 용융하는 경우, 전극을 빈번히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중량백분률로 SiO245∼77%, A12O31∼25%, CaO 2∼25%, ZnO 0∼18%, BaO 0∼20%, Na2O 1∼15%, K2O 0∼7%, Li2O 0∼5%, B2O30∼1.5%, CeO20.01∼0.5%, SO30.01∼0.5%의 조성을 가지며, 주결정으로서 β-규회석을 석출하여 이루어진 결정화 유리.
  2. 청정제로서 황산나트륨을 사용하고, 중량백분률로 SiO245∼77%, Al2O31∼25%, CaO 2∼25%, ZnO 0∼18%, BaO 0∼20%, Na2O 1∼15%, K2O 0∼7%, Li2O 0∼5%, B2O30∼1.5%, CeO20.01∼0.5%, SO30.01∼0.5%의 조성이 되도록 조합한 유리원료를 용융 및 성형한 후, 결정화시켜,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70006524A 1996-02-28 1997-02-28 천연대리석무늬를갖는건축재료용결정화유리및그제조방법 KR100385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69493 1996-02-28
JP96-69493 1996-02-28
JP6949396 1996-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803A KR970061803A (ko) 1997-09-12
KR100385371B1 true KR100385371B1 (ko) 2003-07-16

Family

ID=1340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524A KR100385371B1 (ko) 1996-02-28 1997-02-28 천연대리석무늬를갖는건축재료용결정화유리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85371B1 (ko)
CN (1) CN1172778A (ko)
TW (1) TW3499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56B1 (ko) * 2000-12-05 2008-07-1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납을 함유하지 않는 호박색으로 착색된 전등
CN101198558B (zh) * 2005-06-16 2013-05-08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天然大理石式结晶玻璃及其制造方法
JP4451860B2 (ja) * 2005-08-30 2010-04-14 建權玻璃開発股▲はん▼有限公司 模様付き結晶化ガラス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363283C (zh) * 2006-01-25 2008-01-23 中国地质大学(武汉) 流纹微晶玻璃复合板的制备方法
CN106630637A (zh) * 2016-11-08 2017-05-10 南通瑞森光学元件科技有限公司 一种超强硬度微晶玻璃
CN106854041A (zh) * 2016-12-21 2017-06-16 江苏省冶金设计院有限公司 一种碳纤维‑硅灰石微晶玻璃复相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854040A (zh) * 2016-12-21 2017-06-16 江苏省冶金设计院有限公司 碳化硅纤维增韧硅灰石微晶玻璃复相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587637A (zh) * 2016-12-27 2017-04-26 钦州市中玻玻璃有限责任公司 一种微晶玻璃的制备方法
CN113003939A (zh) * 2019-12-19 2021-06-22 湖州大享玻璃制品有限公司 SiO2-CaO系结晶化玻璃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803A (ko) 1997-09-12
TW349933B (en) 1999-01-11
CN1172778A (zh) 199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8681B (zh) 熔合形成及離子交換的玻璃陶瓷
KR970004968B1 (ko) 천연 대리석 모양의 결정화 유리
KR100990875B1 (ko) 무알카리 알루미나 붕규산염계 디스플레이 파유리를 원료로 하는 태양전지용 저철분 판유리 뱃지조성물
CN110577365A (zh) 一种纳米晶玻璃陶瓷及其制备方法
CN115286251A (zh) 强化玻璃、微晶玻璃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S63162545A (ja) 透光性結晶質ガラス
CN110577364A (zh) 一种锂铝硅酸盐纳米晶玻璃陶瓷及其制备方法
KR100385371B1 (ko) 천연대리석무늬를갖는건축재료용결정화유리및그제조방법
US20070207912A1 (en) Method of making glass including use of boron oxide for reducing glass refining time
JPS6049145B2 (ja) 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JP3269416B2 (ja) 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135049A1 (ja) 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041324B2 (ja) 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29869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 유리기판의 파유리를 원료로한 소다석회붕규산염계 단섬유 유리 뱃지조성물
JP3094375B2 (ja) 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及び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製造用ガラス小体
CN1098706A (zh) 仿石材微晶玻璃及其生产方法
CN1172778U (zh) 具有天然大理石花纹的建材用微晶玻璃及其制造方法
JPH03199136A (ja) 輝石系結晶化ガラスの製造法
JPH09263424A (ja) 結晶化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81777A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 유리기판의 파유리를 원료로 하는 소다석회규산염계 판유리, 병 및 식기유리 뱃지조성물
JPH0247420B2 (ko)
JP3127256B2 (ja) 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JPS5817133B2 (ja) 半透明ガラス
JPH0624768A (ja) 天然大理石様結晶化ガラス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92257B2 (ja) 輝石系結晶化ガラス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