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200B1 -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절연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5200B1 KR100385200B1 KR10-1999-0020814A KR19990020814A KR100385200B1 KR 100385200 B1 KR100385200 B1 KR 100385200B1 KR 19990020814 A KR19990020814 A KR 19990020814A KR 100385200 B1 KR100385200 B1 KR 100385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eaker
- breakers
- main
- phase
- main b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CB1∼CB3)의 각 상의 각각의 양 측에 단로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각 상 사이는 단로기 및 접속 모선(13,23)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3 차단기의 각 상의 일단은 주 모선(BUS1, BUS2)에 접속되고, 제 l 차단기와 제 2 차단기 간 및 제 2 차단기와 제 3 차단기 간으로부터 각 상마다 분기 모선(14,24)이 도출되고, 상기 분기 모선의 선단에 각 상마다의 부싱(Bg1, Bg2)이 접속되어 구성된 l조의 유니트가 복수조(I, II, ..) 설치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각 상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CB1∼CB3)는 그 주축을 잇는 축선이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 상이 되도록 배설되고, 상기 주 모선(BUS1, BUS2)의 축선 및 각 상의 상기 부싱(Bg1, Bg2)의 중심을 잇는 선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열의 양 외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연 가스를 충전한 용기 내에 고전압 충전부를 수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 모선에 3대의 차단기를 접속하여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는 SF6가스 등을 충전하여, 대지 전위로 한 금속 용기 내에 차단기, 단로기, 모선 등의 고전압 충전부를 수납하여 구성된다. 이 때문에 안전성, 신뢰성이 높고, 설치 면적이 대폭 축소되므로 근년에는 다양한 장소에서 가스 절연 개폐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계통에서는 도 1의 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1/2CB 방식의 개폐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이 개폐 장치의 1회선(회선I)의 구성은 주 모선(BUS1, BUS2) 간에 3대의 차단기(CB1, CB2, CB3)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각 차단기의 양 측에는 각각 단로기(DSll, DSl2), 단로기(DS21, DS22), 단로기(DS31, DS32)가 접속되어 있다. 단로기(DS12)와 단로기(DS21) 간 및 단로기(DS22)와 단로기(DS31) 간으로부터는 분기 모선(14,24)이 도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기 모선(14,24)의 선단에는 부싱(Bg)이 부설되어 있다. 또, 도 1의 회선II의 구성도 회선I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도에 근거하는 종래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일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도 3은 평면도이고, 전압 등급이 높은 급에서 많이 채용되고 있는 상분리형(相分離形)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모선(母線)(BUS1, BUS2)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주 모선의 축선 방향과 직각인 직선상으로 3대의 차단기(CB1, CB2, CB3)가 직렬 배치되어 있다. 이 도 3의 회선I의 단면도를 도 4에 나타낸다. 우선, 횡치형(橫置形) 차단기(CBl) 상에는 변류기(CT1, CT2)를 개재하여 단로기(DS11, DS12)가 부설되어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단로기(DS11, DS12)에는 통상, 접지 개폐기가 내장되어 있다. 차단기(CB2, CB3)도, 차단기(CBl)와 거의 마찬가지로 단로기(DS21, DS22), 단로기(DS31, DS32)가 부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단로기(DS11, DS32)는 각각 주 모선(BUS1, BUS2)에 접속되어 있다. 단로기(DS12, DS31)는 접속 모선(13,23)을 경유하여, 차단기(CB2)에 부설된 단로기(DS21, DS22)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모선(13,23) 간으로부터는 분기 모선(14,24)이 도출되고, 그 선단에는 부싱(Bg1, Bg2)이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배치 구성으로서는 회선수가 증가하면, 도 3에 나타낸 회선 방향의 치수 A가 증대한다. 또한, 적은 회선수일지라도, 정방 형상의 넓은 설치 면적을 필요로 한다. 특히, 건물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체육관과 같은 넓은 공간이 필요하여, 건물 비용, 토지의 유효 이용의 관점에서 과제로 되어 있었다.
이 원인은, 원래 1·1/2CB 방식은 차단기 3대가 직렬로 나란히 되어 모선 간 치수 B가 필연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부싱(Bgl∼Bg4)의 기중(氣中) 절연 거리 확보를 위해, 회선 방향의 치수 A도 길게 할 필요가 있는 것도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예컨대, 전압 등급 500kV 급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서는 B 치수가 일반적으로 20∼30m가 되고, 또한, 부싱 회선 피치인 C 치수도 일반적으로 25∼30m를 필요로 한다. C 치수는 A 치수가 큰 구성 팩터이으므로, 결국 2∼3회선에서, A 치수와 B 치수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정방형에 가까운 넓은 설치 면적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 면적에 제약이 있으면, 가늘고 긴 공간, 예컨대 댐의 둑 등에 대규모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가령 회선 방향의 치수 A를 더 축소하더라도, 분기 모선(34,44) 등이 차단기(CB1∼CB3) 상에 위치하게 되면, 점검시에 차단기(CB1∼CB3)의 매달아 올리는 등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리고 부싱의 회선 피치 C 치수는 상술바와 같이 기중 절연 거리로 결정되는 일정한 치수를 필요로 하으므로, A 치수의 축소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배치 구성이 고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국의 공개 특허 공보 : 특개소59-106808호, 특개소61-92106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 들 모두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축소화, 점검성에 중점을 둔 것이지만, 복수의 부싱을 갖는 경우에는 기중 절연 거리 확보를 위해, 분기 모선을 상당히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즉, 고절연 가스의 채용에 의해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대폭적인 축소화를 실현하였지만, 기중 부싱을 갖는 분기 모선이 상대적으로 보다 길어지는 문제가 남아 있다.
또한, 차단기 3대를 직렬로 접속한 모선 간 치수 B를 축소 하기 위해, 차단기 3대를 단순히 직선적으로 나란히 하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 배치로 하는 배치 구성도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의 특개소61-92106호에서 제안되어 있는 배치 구성은 제 1 상째의 차단기(CB1, CB2, CB3)를 각각 서로 인접시키고, 또한 모선과 직각 방향에 배치하고, 마찬가지로 제 2상째, 제 3상째를 순차로 모선 축방향으로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B 치수를 직선 배치에 비하여 축소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로기, 접지 개폐기에서는 1개의 조작 장치로 3상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개폐하는 것이 많아서, 상기의 배치 구성에서는 상간 거리가 크게 떨어지으므로, 기계적으로 연결하기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각 상마다 고가의 조작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경제성에 과제가 있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이외의 회로 구성의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낸 회로도의 개폐 장치가 있다. 이 것은 변전소의 조류 안정화를 위해 취재지는 수단으로서, 교호 분기 인출한 예이다. 이 회로도에 의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일례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그리고 도 5는 평면도, 도 6은 도 5 회선II를 나타낸 회선 단면도이다. 이러한 배치 구성에 의하면,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분기 모선(34,44)은 분기 모선(14,24)보다도 길어진다. 또한, 최대 회선폭 A1은 도 3의 A 치수보다도 길어져서 보다 넓은 설치 면적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 유니트를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설치 공간에 임시로 설치할 수 있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싱 등의 기중(氣中) 절연 거리를 유지한 채로, 모선 길이를 최단 거리로 구성할 수 있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수, 점검시의 조작성이 우수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1·1/2CB 방식의 개폐 장치를 정방향 분기 인출한 회선도.
도 2는 1·1/2CB 방식의 개폐 장치를 교호 분기 인출한 회선도.
도 3은 종래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회선I를 나타낸 회선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 회선II를 나타낸 회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 8의 Y 방향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 7의 X 부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일관점에 의하면, 제 l,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각 상(相)의 각각의 양 측에 단로기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각 상 사이는 단로기 및 접속 모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3 차단기의 각 상의 일단은 주 모선에 접속되고, 제 1 차단기와 제 2 차단기 사이 및 제 2 차단기와 제 3 차단기 사이로부터 각 상마다 분기 모선이 도출되고, 상기 분기 모선의 선단에 각 상마다 부싱이 접속됨으로써, l조의 유니트가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가 복수조 설치되고, 각 상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는 그 주축을 잇는 축선이 대략 동일 직선 상이 되도록 배설되고, 또한 각 상의 축선이 병행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기 모선은 상기 제 1 차단기와 상기 제 2 차단기 사이 및 상기 제 2 차단기와 상기 제 3 차단기 사이를 잇는 접속 모선으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축과 직각으로 도출되고, 상기 주 모선의 축선 및 각 상의 상기 부싱의 중심을 잇는 선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열의 양 외측 위치에 각 상의 상기 부싱이 상기 주 모선보다 외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 모선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차단기 1대분의 폭으로 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 3대분을 요하는 종래 기술의 약 l/3 정도로 축소화 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각 유니트에서의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유니트 사이에서의 대응하는 부싱의 기중(氣中) 절연 거리가 상기 각 차단기의 간격의 3배와 같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단기 3대마다 분기 모선을 차단기 축으로부터 도출하면, 짧은 분기 모선으로 부싱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모선은 상기 제 1 차단기와 제 2 차단기 사이, 상기 제 2 차단기와 제 3 차단기 사이를 잇는 접속 모선으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축과 직각으로 도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분기 모선이 동일 형상이 되어, 모선의 공통화, 기초 공사의 공통화가 이루어져서 합리적인 배치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모선은 서로 평행한 제 1 주 모선과 제 2 주 모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주 모선과 상기 제 2 주 모선 사이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열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중간 상(相)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주 모선 및 상기 제 2 주 모선까지의 거리의 어느 것 인가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넓은 것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주 모선 및 제 2 주 모선과 차단기와의 거리의 어느 한쪽이 넓으므로 차단기, 단로기의 보수, 점검시에 주 모선이 방해되지 않는다.
상기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넓은 거리로 한 주 모선 측에 차단기와 단로기 중 적어도 한쪽의 조작 수단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넓은 공간에 조작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차단기, 단로기의 보수, 점검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상기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모선은 서로 평행한 제 1 주 모선과 제 2 주 모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주 모선과 상기 제 2 주 모선 사이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열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홀수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1 차단기의 일단은 제 l 주 모선에 접속되고,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제 2 주 모선에 접속되고, 짝수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1 차단기의 일단은 제 2 주 모선에 접속되고,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제 l 주 모선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교호 분기 인출 회로의 경우이어도, 주 모선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축소화 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는 2조이고, 1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1 차단기의 일단은 주 모선에 접속되고, 1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2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l 차단기의 일단에 접속되고, 2번째의 유니트에 서의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주 모선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주 모선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경제 적임과 동시에 설치 공간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조의 유니트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 모선의 축방향의 설치 공간에 한계가 있고, 주 모선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유니트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설치 공간에 따라 적절한 배치 구성이 가능하게 되므로 공간의 유효 이용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제 1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회선 단면도이고, 도 1과 공통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I는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된 3대의 차단기(CB1, CB2, CB3)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차단기(CBl, CB2, CB3)의 양 측에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류기(CT1, CT2)를 개재하여 각각 단로기(DSll, DS12), 단로기(DS21,DS22), 단로기(DS31, DS32)가 부설되어 있다. 단로기(DS11)는 접속 모선(12)을 개재하여 주 모선(BUS1)에 접속되고, 단로기(DS12)는 접속 모선(13)을 개재하여 단로기(DS21)에 접속되어 있다. 단로기(DS32)는 접속 모선(25)을 개재하여 주 모선(BUS2)에 접속되고, 단로기(DS22)는 접속 모선(23)을 개재하여 단로기(DS31)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모선(13)의 거의 중앙으로부터는 분기 모선(14)이 차단기(CB1, CB2, CB3)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 모선(BUS1) 상부를 교차하여 부싱(Bgl)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모선(23)의 거의 중앙으로부터는 분기 모선(24)이 차단기(CBl, CB2, CB3)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 모선(BUS2) 측에 도출되어 부싱(Bg2)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모선(14,24)은 차단기(CB1∼CB3)의 열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을 이루고있다.
주 모선(BUS1, BUS2)은 차단기(CB1∼CB3)를 끼우는 식으로, 그리고 이 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 모선(BUSl, BUS2)의 외측에는 부싱(Bg1, Bg2)의 열이 차단기(CB1∼CB3)의 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선폭 B1은 1대의 차단기의 폭에 주 모선의 폭을 가한 치수가 되고, 회선 길이 D가 2회선의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종래 예의 B 치수의 약 2배로 되어 있다.
또한, 회선I의 차단기 열, 주 모선 축, 부싱 열의 각각의 연장선 방향에는 회선I과 마찬가지로, 회선II의 1·1/2CB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8에서는 2회선분을 나타내고 있지만, 3회선 이상의 경우에도 각각의 연장선 방향으로 증설해가는 것이다. 또한 회선I의 부싱(Bg1)과 회선II의 부싱(Bg3), 회선I의 부싱(Bg2)과 회선II의 부싱(Bg4)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기중 절연 거리로 결정되는 일정한 회선 피치 C 치수로 배치되어 있다. 차단기(CB1∼CB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같은 피치 P 치수로 배치되어 있다. 이 P 치수는 부싱 회선 피치 C의 약 1/3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주 모선 간의 거리 B1를 도 3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B 치수에 비해 약 l/3로 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을 축소 할 수 있고, 특히 가늘고 긴 공간, 예컨대 댐의 둑 등에 대규모의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설치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부싱(Bg1, Bg2, Bg3, Bg4)에 접속하기 위한 분기 모선(14,24,34,44)의 위치가 3대의 차단기마다 도출되어 있으므로, 부싱의 각 회선 피치 C가 일치한다. 이 때문에 분기 모선(14,24,34,44)의 길이를 최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분기 모선(14,24,34,44)의 형상을 통일할 수 있으므로 모선의 공통화, 모선을 지지하는 기초 공사의 공통화가 가능하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제 2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기본구성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같고, 도 9는 도 8의 Y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모선(BUS1, BUS2)은 서로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3각 배치되어 있다. 주 모선(BUS1, BUS2)의 높이는 각 상의 차단기(CBla∼CBlc)의 정상부의 높이(H)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또한, 차단기(CBla∼CBlc)의 중심에서 주 모선(BUS1)까지의 거리 Ll에 비하여, 주 모선(BUS2)까지의 거리(L2)는 사람이 걸을 수 있는 폭만큼 넓은 치수로 되어 있다. 이 주 모선(BUS2) 측에는 차단기 조작 기구(도시하지 않음)의 정면, 단로기의 조작 상자(110) 측이 통일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사람이 걸을 수 있는 폭만큼 넓은 치수로 한 주 모선 BUS2 측에 차단기 조작 기구, 단로기의 조작 상자(110) 측이 통일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차단기, 단로기의 보수, 점검시의 조작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주 모선(BUS1, BUS2)이 상하 방향으로 3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나타낸 접속 모선(12,25)과 주 모선(BUSl, BUS2)과의 접합이 용이하여 진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제 3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같고, 도 10은 도 7의 X 부를 확대한 단로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로기의 제 l 상(DS31a), 제 2 상(DS31b), 제 3 상(DS31c)은 각각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1개의 조작 장치로 개폐가능 하도록 3상분을 기계적으로 링크 기구(311)에 의해서 연락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단로기의 제 1 상(DS32a), 제 2 상(DS32b), 제 3 상(DS32c)은 1개의 조작 장치로 개폐가능 하도록 3상분을 기계적으로 링크 기구(321)에 의해서 연락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l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단로기의 3상분을 1개의 조작 장치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 경제성이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제 4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는 그 기본적인 구성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같지만, 도 2에 나타낸 교호 분기 인출 회로에 대응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도 11은 평면도이고, 도 2와 공통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II의 차단기(CB1)에 부설된 단로기(DS11)가 접속 모선(25)을 개재하여 주 모선(BUS2)에 접속되고, 회선II 차단기(CB3)에 부설된 단로기(DS32)(도2 참조)가 접속 모선(35)을 개재하여 주 모선(BUS1)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호 분기 인출 방식이면서, 정방향 분기 인출 방식과 배치 구성을 거의 같게 할 수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회선 치수 A1이 증대하지 않으므로 분기 모선을 짧게 억제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다음에 제 5 실시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회선수가 2회선뿐이고, 회선I의 차단기(CB3)에 부설된 단로기(DS32)와, 회선II의 차단기 (CB1)에 부설된 단로기(DS11)가 모선(26)에 의해서 직접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주 모선(BUS2)은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은 도 11에 나타낸 제 4 실시예와 같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 모선(BUS2)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경제적임과 동시에 설치 공간을 더욱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실시예]
다음에 제 6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회선I, 회선II는 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회선III는 회선I와 평행하게, 또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회선I의 차단기 (CB1)에 부설된 단로기(DS11)와 주 모선(BUS1)을 접속하고 있는 접속 모선(12)이 회선III 측으로 연장되어 회선III의 차단기(CB1)에 부설된 단로기(DSl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선I의 차단기(CB3)에 부설된 단로기(DS32)와 주 모선(BUS2)을 접속하고 있는 접속 모선(25)이 회선III 측으로 연장되어 회선III의 차단기(CB3)에 부설된 단로기(DS32)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3은 3회선분을 나타내고 있지만, 4회선의 경우는 회선III의 연장선 상에서 그리고 회선II의 이웃에 설치하면 좋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회선의 직렬, 병렬을 적당히 짝지움으로써, 다양한 설치 공간에 대응하여, 배치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서 D치수, B3 치수이면, 4회선까지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주 모선(BUS1, BUS2)의 총연장 길이도 도 7의 구성보다 약 D 치수분만큼 단축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와 같은 실시예도 구성 가능하다. 즉 제 3 실시예에서, 도 10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단로기에는 통상 설치 개폐기를 내장하고 있으며, 단로기와 같이 기계적으로 링크 연결하여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4 실시예에서 도 11은 2회선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3회선째, 4회선째가 있는 경우에는 3회선째는 회선I와 같이, 4회선째는 회선II와 같이 주 모선(BUSl, BUS2)에 접속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6 실시예에서는 분기 모선의 선단에 케이블 헤드(CH)를 설치하여 전력 케이블과 접속하고 있지만, 도 7과 같이 부싱 접속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 유니트를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설치 공간에 임시로 대응 가능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CB1∼CB3)에서의 각 상(相)의 각각의 양 측에 단로기(DSll, DS12∼DS31, DS32)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각 상 사이는 단로기 및 접속 모선(13, 23)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3 차단기의 각 상의 일단(一端)은 주 모선(BUS1, BUS2)에 접속되고, 상기 제 l 차단기와 제 2 차단기 사이 및 상기 제 2 차단기와 제 3 차단기 사이로부터 각 상마다 분기 모선(14, 24)이 도출되고, 상기 분기 모선의 선단에 각 상마다의 부싱(bushing)(Bg1, Bg2)이 접속됨으로써 l조의 유니트가 구성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상기 유니트가 복수조(I, II, ..) 설치되고,각 상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CBl∼CB3)는 그 주축을 잇는 축선이 대략 동일 직선 상이 되도록 배설되고, 또한 각 상의 축선이 병행(竝行)하여 배치되고,상기 분기 모선(12, 24)은 상기 제 1 차단기와 상기 제 2 차단기 사이 및 상기 제 2 차단기와 상기 제 3 차단기 사이를 잇는 접속 모선으로부터 상기 차단기의 축과 직각으로 도출(導出)되고,상기 주 모선(主母線)(BUS1, BUS2)의 축선 및 각 상의 상기 부싱(Bg1, Bg2)의 중심을 잇는 선은 상기 제 l,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열의 양 외측 위치에 각 상의 상기 부싱이 상기 주 모선보다 외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각 유니트에서의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CB1∼CB3)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인접하는 유니트 사이에서의 대응하는 부싱(Bg1, Bg2)의 기중(氣中) 절연 거리가 상기 각 차단기의 간격의 3배와 같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주 모선(BUS1, BUS2)은 서로 평행한 제 l 주 모선(BUS1)과 제 2 주 모선(BUS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주 모선과 상기 제 2 주 모선 사이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열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차단기에서의 중간 상(相)의 중심에서 상기 제 1 주 모선 및 상기 제 2 주 모선까지의 거리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넓은 거리로 한 주 모선(BUS2) 측에 차단기와 단로기 중 적어도 한쪽의 조작 수단(11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제 1항, 제 2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 모선(BUS1, BUS2)은 서로 평행한 제 1 주 모선(BUS1)과 제 2 주 모선(BUS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주 모선과 상기 제 2 주 모선 사이에 상기 제 l, 제 2 및 제 3 차단기의 열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홀수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1 차단기의 일단은 제 1 주 모선에 접속되고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제 2 주 모선에 접속되고, 짝수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1 차단기의 일단은 제 2 주 모선에 접속되고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제 1 주 모선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제 1항, 제 2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유니트는 2조(I, II)이고, 1번째의 유니트(I)에서의 제 1 차단기의 일단은 주 모선에 접속되고, 1번째의 유니트에서의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2번째의 유니트(II)에서의 제 1 차단기의 일단에 접속되고, 2번째의 유니트에서 제 3 차단기의 일단은 주 모선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제 1항, 제 2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적어도 2조의 유니트(I, II)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8-159571 | 1998-06-08 | ||
JP10159571A JPH11355923A (ja) | 1998-06-08 | 1998-06-08 | ガス絶縁開閉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5956A KR20000005956A (ko) | 2000-01-25 |
KR100385200B1 true KR100385200B1 (ko) | 2003-05-27 |
Family
ID=1569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0814A KR100385200B1 (ko) | 1998-06-08 | 1999-06-05 |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H11355923A (ko) |
KR (1) | KR100385200B1 (ko) |
CN (1) | CN1204669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14827B2 (en) | 2005-12-27 | 2008-08-19 | Japan Ae Power Systems Corporation | Gas-insulated switchgear device |
JP4836770B2 (ja) * | 2005-12-27 | 2011-12-14 | 株式会社日本Aeパワーシステムズ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4686392B2 (ja) * | 2006-03-27 | 2011-05-25 | 株式会社東芝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4928953B2 (ja) * | 2007-01-12 | 2012-05-09 | 株式会社東芝 | ガス絶縁開閉装置 |
GB2464410B (en) * | 2007-07-17 | 2012-12-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Gas-insulated switchgear |
JP4966163B2 (ja) * | 2007-11-02 | 2012-07-04 | 株式会社日本Aeパワーシステムズ | ガス絶縁開閉装置 |
WO2011042947A1 (ja) * | 2009-10-05 | 2011-04-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2013005549A (ja) * | 2011-06-15 | 2013-01-07 | Hitachi Ltd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2014079116A (ja) * | 2012-10-11 | 2014-05-01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6239207B1 (ja) * | 2017-05-19 | 2017-11-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開閉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92106A (ja) * | 1984-10-09 | 1986-05-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開閉装置 |
-
1998
- 1998-06-08 JP JP10159571A patent/JPH11355923A/ja active Pending
-
1999
- 1999-06-05 KR KR10-1999-0020814A patent/KR1003852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6-08 CN CNB991080262A patent/CN1204669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92106A (ja) * | 1984-10-09 | 1986-05-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開閉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04669C (zh) | 2005-06-01 |
CN1238586A (zh) | 1999-12-15 |
KR20000005956A (ko) | 2000-01-25 |
JPH11355923A (ja) | 1999-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45968A (en) | Gas insulated switchgear with bus-section-unit circuit breaker and disconnect switches connected to external lead-out means connectable to other gas insulated switchgear | |
US4503481A (en) |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 |
KR100385200B1 (ko) |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
JP2006271021A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KR100869006B1 (ko) |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
CN101432938A (zh) | 气体绝缘开关装置 | |
JP4837782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JP4990363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JPS63310305A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KR100342369B1 (ko) | 가스절연개폐장치 | |
CN110994369B (zh) | 一种hgis母线侧“共享套管”的联合设备配置结构 | |
CN108390262B (zh) | 220kV母线加长型单列布置GIS设备 | |
US6631075B2 (en) | Switchgear | |
US5200881A (en) | Gas insulated switchgear | |
JP4928953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JP2002186124A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JP4790524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KR19980070618A (ko) | 복합형 가스절연 개폐장치 | |
JPH0611163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KR100277392B1 (ko) | 가스절연 개폐장치 | |
JPS59106808A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JPH07193925A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KR19990072484A (ko) | 가스절연변전설비 | |
KR19990066920A (ko) | 가스 절연 개폐 장치 | |
JPH0793774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