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765B1 -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765B1
KR100384765B1 KR10-2001-0005698A KR20010005698A KR100384765B1 KR 100384765 B1 KR100384765 B1 KR 100384765B1 KR 20010005698 A KR20010005698 A KR 20010005698A KR 100384765 B1 KR100384765 B1 KR 10038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ial number
terminal
production system
secre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267A (ko
Inventor
안병익
윤찬호
박찬민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1-000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7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5Off-line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20Technology dependant metering
    • H04M2215/2026Wireless network, e.g. GSM, PCS, TA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32Involving wire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특정 비밀키를 생성하여 과금 서버로 제공하며, 과금 서버가 비밀키에 대하여 일련 번호를 부여한 다음에 일련 번호를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비밀키를 이용하여 제공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과금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일련 번호와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제작하여 배포한다. 이후 단말기가 배포된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하여 포함되어 있는 일련 번호를 과금 서버로 전달하면, 상기 과금 서버는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부호화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로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지 않고 인쇄물 등을 이용하여 오프 라인상에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이동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만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이용료에 대한 과금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A BILLING SYSTEM FOR OFFLINE DATA TO MOBILE TERMINALS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과금을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한 단말기간의 통화 서비스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문자, 화상, 음성 데이터 등)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무선이나 유선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요청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요청한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수신 받아서 이용한다.
그러나,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무선 자원의 비용이 워낙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데이터 이용료, 통신비용 등 )이 높아지고, 또한, 데이터 전송량이나 데이터 전송 속도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신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방법이외에, 이동 통신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달하여 단말기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요청한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유선으로 제공받은 다음에, 단말기를 컴퓨터와 연결시켜 컴퓨터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가 단말기로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이나, 데이터를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 매체에 인쇄하여 오프 라인으로 배포하고 단말기내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입력받도록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중 오프 라인으로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과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시에 과금을 함께 할 수 있는 반면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단말기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읽어 들이도록 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로의 데이터 입력이 이루이기 때문에, 어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어떠한 사용자가 오프라인으로 전달된 데이터를 이용하였는지를 파악할 수가 없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프라인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상태에서만 오프라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하여, 오프라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매체 상에 기록되는 도트 코드의 물리 포맷 구성을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2의 데이터 제작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과금 시스템은,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의 과금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특정 비밀키를 생성하여 제공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상기 생성된 비밀키에대응되도록 특정된 일련 번호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제작하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비밀키에 대응되는 일련 번호를 특정하여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일련 번호에 대한 인증 처리를 하며, 인증시에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과금 서버는,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비밀키에 대한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시켜 비밀키를 상기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일련 번호 생성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련 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일련 번호와는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시에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인증된 단말기에 대하여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결제부; 및 상기 결제 처리된 과금 정보가 저장되는 결제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일련 번호를 상기 과금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단말기와 외부 인터페이스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코드 이미지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은 부호화 데이터를 코드 이미지로 제작하는 코드 이미지 제작 시스템이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가 코드 이미지 판독 가능 장치이다.
이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은 비밀키를 생성하는 비밀키 생성부; 상기 비밀키를 상기 과금 서버로 전송하고, 과금 서버로부터 일련 번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상기 비밀키를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상기 일련번호 및 암호화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 처리부; 상기 압축 처리부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부호 처리를 수행하는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 상기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브 처리를 수행하는 인터리브 처리부; 상기 인터리브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블록 어드레스, 어드레스용 에러 판별 판정 부호, 및 마커 등을 부가하는 데이터 부가부; 상기 부가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는 코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코드 이미지를 특정 인쇄 매체 상에 인쇄하여 코드 이미지 인쇄물을 제작하는 인쇄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코드 이미지 인쇄물 상에 인쇄된 코드 이미지를 촬상하여 대응되는 촬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촬상 데이터를 코드 이미지 화상으로 인식하여 노말라이즈를 행하여 이진 데이터로 출력하는 주사 변환부; 상기 주사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이진 데이터의 열을 조정하고, 복조 처리 및 디인터리브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열 조정부; 상기 데이터열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 상기 에러 정정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압축을 푸는 압축 해제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과금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된 데이터 중 일련 번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과금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비밀키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과금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비밀키를 사용하여 상기 재생된 데이터 중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자기상 코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자기상 코드 제작 시스템이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가 자기 헤드 및 그 주변 회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과금 방법은, 부호화 데이터를 제작하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과, 과금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 재생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과금 방법으로,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특정 비밀키를 생성하여 과금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과금 서버가 비밀키에 대하여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일련 번호를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비밀키를 이용하여 제공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과금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일련 번호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제작하여 배포하는 단계; 상기 과금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일련 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일련 번호가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게 전달한 일련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부호화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호화 데이터는 코드 이미지로서, 인쇄 매체에 인쇄되어 배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오프 라인상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명명함)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 자체를 특정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일련 번호를 부여한 다음에 사용자가 내용을 알 수 없도록 부호화하여 배포한다. 이후, 배포된 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기로부터 부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일련 번호가 전송되면,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가 부호화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표시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단말기로 비밀키를 제공하면서 해당 단말기에 대하여 데이터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망을 통하지 않고 오프 라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오프 라인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인쇄물, CD, 플로피 디스크 등 데이터 저장 및 인쇄가 가능한 모든 수단을 통하여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기내의 인터페이스 또는 단말기에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입력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부호화 데이터"라고 명명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 즉, 사용자 단말기는 이러한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결 가능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배포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용하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는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기초로 하여 기술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은,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 과금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은 비밀키를 선정하고 오프 라인으로 배포할 데이터를 선정된 비밀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며, 배포될 데이터와 관련되어 과금 서버(200)에 의해 부여되는 일련 번호와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배포한다.
과금 서버(200)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에서 제작되어 배포되는 데이터를 제공받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210), 결제 데이터 베이스(220),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30), 송수신부(230)를 통하여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은 비밀키에 대하여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일련 번호에 대응시켜 전송받은 비밀키를 인증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하는 일련 번호 생성부(240), 송수신부(2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일련 번호를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처리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해당 일련 번호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키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인증 처리부(250), 인증 처리된 사용자에 대하여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고, 해당 과금 정보를 결제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하는 결제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과 과금 서버(200)는 모두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과 과금 서버(200) 중 어느 하나만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모두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내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결제부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는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과금 서버(200)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내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과금 서버(200) 사이의 데이터 전달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에서 제작되어 배포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여 판독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에서 제작되어 배포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출력하며, 사용자 단말기(300)는 판독된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일련 번호를 과금 서버(200)로 전송하고, 과금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에 따라 판독된 부호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표시하거나 재생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30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에서 생성되는 부호화 데이터는 해당 데이터를 판독하는 외부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대응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부호화 데이터가 인쇄된 코드 이미지 형태이고, 외부 인터페이스가 이 인쇄된 코드 이미지 판독이 가능한 코드 이미지 재생기일 수 있거나, 또는 부호화 데이터가 자기상 코드 형태이고, 외부 인터페이스가 이 자기상 코드를 읽어서 재생 가능한 자기 헤드일 수 있다.
이외에도 근거리 저출력 전파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송수신기, 근거리에서 케이블을 통한 직접 연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SMS(Short Message System) 메시지, 근거리에서 광원과 감광 소자를 통해 통신하는 송수신기, 기타 데이터의내용을 인식할 수 없이 단말기(200)가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수단 등이 외부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의 형태도 결정되며, 따라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의 형태도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데이터가 코드 이미지이고, 외부 인터페이스가 이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는 장치인 경우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부호화 데이터 즉, 코드 이미지의 물리 포맷 구조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코드 이미지는 종이 등의 인쇄 매체 상에 음성이나 문자, 또는 화상 등을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형태로 인쇄 기록하는 2차원의 도트 코드(1)이다. 도트 코드(1)의 코드 이미지는 복수개의 블록(2)이 2차원적으로 인접 배열되어 구성된 것으로, 그 각 블록(2)은 데이터의 값을 「0」 또는 「1」에 대응된 백색 도트 또는 흑색 도트의 도트 이미지로서 소정의 배열 형태로 존재하는 데이터 영역(3), 그 데이터 영역(3)의 각 도트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점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각 블록(2)의 4곳 모퉁이에 배치된 일정의 검은 연속수를 가지는 마커(4), 및 상기 복수의 다른 블록(2)을 판독 시에 식별할 수 있도록 마커(4) 사이에 배치된 에러 검출 또는 에러 정정 부호를 포함하는 블록 어드레스 패턴(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리 포맷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트 코드는 판독 장치의 고체 촬상 소자의 촬상면의 크기가 도트 코드 전체의 크기보다 작아도, 즉 해당 도트 코드를 그 고체 촬상 소자에 의해 한번에 촬상할 수 없어도 상기 블록에 부여된 각 어드레스마저 판독하여 인식할 수 있으면 그 어드레스에 따라서 각 블록의 데이터로부터 본래의 데이터를 재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종래 잘 알려진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에서는 실현될 수 없는 다량의 문자, 화상 또는 음성 등의 데이터를 지면 등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이 등을 매체로 한 데이터의 전달이 간편해진다. 이러한 도트 코드, 그 도트 코드를 소정의 인쇄 매체 상에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인쇄 기록하는 기록 장치, 및 그 도트 코드를 수동으로 주사하여 광학적으로 판독한 후 원래의 음성 정보 등의 정보를 재생 출력하는 판독 장치가 일본 특개평 제6-23146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은 제공할 데이터와 과금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일련 번호를 위에 기술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코드 이미지로 생성하고, 이 코드 이미지를 인쇄 매체에 인쇄하여 배포한다.
도 4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작 시스템의 구조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은 비밀키 생성부(110), 송수신부(120), 암호화부(130), 압축 처리부(140),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150), 인터리브 처리부(160), 데이터 부가부(170), 변조부(180), 및 인쇄 출력부(190)를 포함한다.
비밀키 생성부(110)는 코드 이미지로 기록될 다양한 데이터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암호화시 사용되는 비밀키를 생성한다.
암호화부(130)는 비밀키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비밀키를 사용하여 단말기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 열을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암호화되는 데이터 열의 포맷은 제공될 데이터의 종류 예를 들어, 제공할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지, 화상 데이터인지, 문자 데이터 등인지를 나타내는 종류 코드, 제공될 데이터가 어떤 내용에 해당하는 지를 나타내는 구별 코드, 암호화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해당 데이터를 제작하여 제공한 데이터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부(120)는 비밀키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비밀키와, 사용자 지정부(115)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주소를 과금 서버(200)로 송신하고, 이후에 과금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일련 번호를 압축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압축 처리부(140)는 송수신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일련 번호와 암호화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암호화 데이터를 받아서 압축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압축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압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150)는 압축 처리부(140)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수행되는 에러 정정 부호 처리는 리드 솔로몬 부호 등의 일반적인 에러 정정 부호 처리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인터리브 처리부(160)는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150)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브 처리를 수행한다. 인터리브 처리는 인쇄 기록 및코드 이미지 판독 처리에서의 버스트 오류 대책을 위해 수행되는 처리이며, 인접하는 데이터를 분산시켜 데이터의 병렬 순서를 변환하는 것이다.
데이터 부가부(170)는 인터리브 처리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블록 어드레스, 어드레스용 에러 판별 판정 부호, 및 마커를 부가한다.
변조부(180)는 데이터 부가부(17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시킨다.
인쇄 출력부(190)는 변조부(180)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 즉 코드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인쇄 매체 상에 인쇄하여 제공할 특정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 인쇄물을 최종 제작하고, 이 코드 이미지 인쇄물은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전달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 내에는 이들 각부(110 ∼ 155) 및 전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 의하여 제작된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물을 판독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조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사용자 단말기(300)는 단말기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는 부분과, 코드 이미지 인쇄물을 판독하여 재생하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양쪽 부분의 동작은 제어부(355)에 의해 제어된다.
먼저, 단말기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부분에는 안테나(310), 듀플렉서(320), 무선 수신부(330), 무선 송신부(340), MSM(Mobile Station Modem, 350), D/A 변환기(360), 스피커(370), A/D 변환기(380), 마이크(390), 액정표시부(400), 키 입력부(410), 메모리부(420)가 포함된다.
안테나(3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듀플렉서(320)로 전달하고, 듀플렉서(320)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한 후 무선 수신부(330)로 전달한다.
무선 수신부(330)는 듀플렉서(32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한 후 수신 대역으로 억압하며, 억압된 신호를 특정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에 따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 후 재차 설정된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억압하고, 상기 억압된 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이득 조정한 후 다운 컨버팅하여 MSM(350)으로 출력한다.
MSM(350)은 무선 수신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를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 후 음성 신호 처리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출력하며, A/D 변환기(38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신호 처리하고, 해당 신호를 인터리빙 및 엔코딩한 후 변조하여 무선 송신부(34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MSM(350)은 변복조부(351), 디인터리버 및 디코더(352), 음성 처리용 DSP(Digital Signal Processor, 353), 인터리버 및 엔코더(354), 및 제어부(355)로 이루어진다.
변복조부(351)는 무선 수신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CDMA 프로토콜에 의해 복조하여 디인터리버 및 디코더(352)로 출력하고, 반대로 인터리버 및 엔코더(35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CDMA 프로토콜에 의해 변조하여 무선 송신부(340)로 출력한다.
디인터리버 및 디코더(352)는 변복조부(35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음성 처리용 DSP(353)로 출력하고, 인터리버 및 엔코더(354)는 음성 처리용 DSP(35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인터리빙 및 엔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변복조부(351)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용 DSP(353)는 디인터리버 및 디코더(35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음성 처리하여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서 D/A 변환기(360)로 출력하고, A/D 변환기(38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하여 인터리버 및 엔코더(354)로 출력한다.
제어부(355)는 MSM(350)의 내부 구성요소인 변복조부(351), 디인터리버 및 디코더(352), 음성 처리용 DSP(353), 및 인터리버 및 엔코더(354)를 제어하는 동시에, 외부 구성 요소인 액정 표시부(400), 키 입력부(410), 및 메모리부(42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MSM(35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는 D/A 변환기(360)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370)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390)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A/D 변환기(380)를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MSM(350)으로 입력되며,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처리되어 무선 송신부(340)로 출력된다.
무선 송신부(340)는 MSM(3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업 컨버팅한 후 이득 조정하고, 이득 조정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전력 증폭시켜 듀플렉서(320)로 출력한다.
듀플렉서(320)는 무선 송신부(3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송신 신호로 분리한 후 안테나(310)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한편, 액정 표시부(400)는 MSM(350) 내의 제어부(355)의 제어 하에 단말기 용자에게 보여 줄 각종의 화면, 특히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서 제작된 화상, 문자 등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키 입력부(410)는 숫자 및 문자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키 및 여러 기능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제어부(355)로 전달해 준다. 여기서, 마이크(390), 키 입력부(410), 액정 표시부(4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거나 동작 상태나 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또한, 메모리부(42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롬,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며, 제어부(355)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요청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코드 이미지 인쇄물을 판독하여 재생하는 외부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검출부(430), 주사 변환부(440), 데이터열 조정부(450), 에러 정정부(460), 압축 해제부(470), 암호 해독부(480)가 포함된다.
검출부(430)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으로부터 전달된 코드 이미지 인쇄물 상의 코드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CCD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
주사 변환부(440)는 검출부(430)로부터 공급되는 촬상 데이터를 코드 이미지 화상으로서 인식하여 노말라이즈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43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 후,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각 블록마다의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마커를 사용하여 회전 또는 경사, 데이터의 배열 방향 등을 검출하며,검출된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보간 처리하여, 백색 도트 또는 흑색 도트의 도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0」 또는 「1」의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데이터열 조정부(450)는 주사 변환부(4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열을 조정하고 복조처리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사 변환부(4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로부터 2차원 블록의 블록 어드레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블록 어드레스의 오류 정정을 수행한 후, 그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디인터리브 처리를 수행하여 정식의 데이터열로 변환한 후, 해당 데이터열에 대한 복조 처리를 수행한다.
에러 정정부(460)는 데이터열 조정부(45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재생 시의 판독 에러나 데이터 에러를 정정한다.
압축 해제부(470)는 에러 정정부(4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압축을 푸는 처리를 수행한다. 압축 해제부(470)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에는 일련 번호와 암호화 데이터가 포함되며, 암호화 데이터에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제공할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지, 화상 데이터인지, 문자 데이터 등인지를 나타내는 종류 코드, 제공될 데이터가 어떤 내용에 해당하는 지를 나타내는 구별 코드, 암호화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암호 해독부(480)는 제어부(355)에 의해 과금 서버(200)로부터 공급받은 비밀키를 사용하여 압축 해제부(470)에 의해 재생된 암호화 데이터의 암호를 풀어서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재생하여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제어부(355)는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부(400)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에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 과금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에 도시되어 있듯이,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의 비밀키 생성부(110)는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데이터의 암호화에 필요한 특정 비밀키를 생성하여 암호화부(130)로 전달하고(S100), 암호화부(130)는 전달된 비밀키를 사용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암호화를 수행하여 대응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압축 처리부(140)로 전달한다(S110). 이 때, 암호화부(130)에 의해서 암호화되는 데이터 열에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 외에도 여러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비밀키 생성부(110)가 생성된 비밀키를 송수신부(120)로 제공하여 과금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며(S120), 과금 서버(200)의 일련 번호 생성부(240)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의 송수신부(120)를 통해 전송되는 비밀키를 전달받아서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를 생성한 후(S130), 생성된 일련 번호에 대응하여 전달된 비밀키를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한다(S140).
이와 같이, 과금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일련 번호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의 송수신부(120)를 통해 압축 처리부(140)로 전달되고(S150), 압축 처리부(140)는 과금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일련 번호와 암호화부(130)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를 압축하며,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150)가 압축된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정정 부호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에, 인터리브 처리부(160)가 압축된 데이터에 대하여 인터리브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터 부가부(170)는 인터리브 처리된 압축 데이터에 블록 어드레스, 어드레스용 에러 판별 판정 부호, 및 마커를 부가하며, 변조부(180)가 이 데이터를 변조하여 코드 이미지 데이터로 출력된다(S160). 인쇄 출력부(190)는 변조부(18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코드 이미지 인쇄물을 제작한다(S170).
이와 같이 제작된 코드 이미지 인쇄물은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전달된다(S180).
한편, 단말기(300) 사용자들은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물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기 위해, 먼저 키 입력부(410)를 사용하여 코드 이미지를 사용한 데이터 판독 표시 기능을 선택한다.
이 때,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300)의 내부 구성요소, 즉 안테나(310), 듀플렉서(320), 무선 송신부 및 수신부(330, 340), MCM(350), D/A 변환기(360), A/D 변환기(380), 스피커(370), 마이크(390), 액정 표시부(400), 키 입력부(410), 및 메모리부(420)를 사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는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코드 이미지를 판독 재생하여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재생 및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판독 표시 기능을 선택한 다음에, 단말기(300)의 검출부(430)를 해당 코드 이미지, 즉 도트 코드(1)의 화상을 향해서 접촉시켜 수동 주사시키면 그 도트 코드(1)의 화상이 순차적으로 촬상된다(S200). 이 때, 촬상 범위가 도트 코드(1)의 일부 밖에 커버되지 않아도, 단말기(300)의 이동에 의해 도트 코드(1)의 전체가 결과로서 촬상될 수 있다. 수동 주사에 의해 복수 프레임에 걸쳐 촬상된 각 화상으로부터 도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 주사 변환부(4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기준 위치가 되는 마커(4)를 검출한 후, 블록(2) 내의 매칭 도트 패턴(7)을 판독한다. 마커(4)의 검출은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도트 사이즈가 큰 특징을 이용하여 행한다. 그 후, 마커(4) 사이에 배치된 매칭 도트 패턴(7)을 검색하고, 그 매칭 도트 패턴(7)에 대한 각 도트의 중심 좌표를 구한다. 다음, 이들의 중심 좌표로부터, 예를 들면, 최소 2승법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 영역(3) 내의 각 도트(6)의 판독 기준점을 구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도트(6)의 판독점(좌표 위치)을 구한다. 이와 같이 구해진 판독점에서의 백색 도트 또는 흑색 도트의 도트 이미지로부터 대응되는 「0」 또는 「1」의 데이터열을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열은 데이터열 조정부(450)에 의해 복조 처리되고 디인터리브 처리된 후, 에러 정정부(460)에 의해 에러가 정정되고, 그 후 압축 해제부(470)에의해 압축이 풀어져서 코드 이미지 제작 시스템(100)의 압축 처리부(140)에 의해 압축 처리되기 전의 데이터 열로 재생된다(S200).
이와 같이 재생된 데이터는 일련 번호와 암호화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단말기(300)의 제어부(355)는 재생된 일련 번호를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하여 과금 서버(200)로 전송한다(S210).
다음에 첨부한 도 6b에 도시되어 있듯이, 단말기(300)로부터 재생된 일련번호를 전송받은 과금 서버(200)의 인증 처리부(250)는 해당 일련 번호가 인증 번호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며(S230), 전송된 일련 번호가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일련 번호에 대응하여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키를 검색한 다음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240).
다음에, 과금 서버(200)의 결제부(260)는 비밀키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한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하여 일련 번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해당 단말기의 고유 정보(이동 통신 전화 번호 등)가 함께 전송되며, 결제부(260)는 이러한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한다. 그리고, 과금 처리된 정보를 결제 정보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과금 정보에는 비밀키를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데이터 이용 횟수, 데이터 이용료, 해당 데이터의 종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250∼S260).
만약 전송된 일련 번호가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 등을 전송하여(S270) 일련 번호의 재전송을 요구하거나, 데이터 표시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에 따라 과금 서버(200)로부터 비밀키가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의 제어부(355)는 전달된 비밀키를 암호 해독부(480)로 전달하고, 암호 해독부(480)는 전달된 비밀키를 사용하여 재생 처리부(470)에 의해 재생된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여 데이터 제작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실제의 데이터의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다(S280).
다음, 제어부(355)는 해독된 데이터를 액정 표시부(400)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S290),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표시되는 즉, 암호 해독부(480)에 의해 해독된 데이터를 메모리부(420)에 저장한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데이터가 코드 이미지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부호화 데이터가 자기상 코드이고, 외부 인터페이스가 이 자기상 코드를 판독하는 장치, 즉 자기 헤드 및 주변 회로인 경우에도 상기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유사하게 동작된다.
예를 들어, 위의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코드 이미지 인쇄물로 제작하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사용되었지만, 부호화 데이터가 자기상 코드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자기상 코드로 제작하는 시스템이 사용되며, 또한 이 경우에 위의 실시예에서 코드 이미지 인쇄물 상에 인쇄된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코드 이미지 판독 가능 기능을 가지는 외부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자기상 코드 판독 기능을 가지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단말기도 일체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코드 이미지, 자기상 코드 이외에도 근거리 저출력 전파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송수신기, 근거리에서 케이블을 통한 직접 연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SMS(Short Message System) 메시지, 근거리에서 광원과 감광 소자를 통해 통신하는 송수신기, 기타 사용자가 그 내용을 인식할 수 없이 단말기가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수단 등이 도 2의 외부 인터페이스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외부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의 형태도 결정되며, 따라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의 형태도 결정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와 단말기가 일체화될 수 있으며, 물론, 외부 인터페이스로 형성되는 형태에 따라서 유선 또는 무선 등의 종류가 결정되지만 위의 실시예 의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이 음성, 문자, 화상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단말기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로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지 않고 인쇄물 등을 이용하여 오프 라인상에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이동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만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가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이용료에 대한 과금 처리가 용이하게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의 과금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비밀키를 생성하여 제공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며, 상기 생성된 비밀키에 대응되도록 특정된 일련 번호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제작하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 및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비밀키에 대응되는 일련 번호를 특정하여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서 제작된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과금 서버는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비밀키에 대한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시켜 비밀키를 상기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일련 번호 생성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일련 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인증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일련 번호와는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시에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인증된 단말기에 대하여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결제부; 및
    상기 결제 처리된 과금 정보가 저장되는 결제 정보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는 과금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일련 번호를 상기 과금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외부 인터페이스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코드 이미지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은 부호화 데이터를 코드 이미지로 제작하는 코드 이미지 제작 시스템이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가 코드 이미지 판독 가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은
    비밀키를 생성하는 비밀키 생성부;
    상기 비밀키를 상기 과금 서버로 전송하고, 과금 서버로부터 일련 번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상기 비밀키를 이용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상기 일련번호 및 암호화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 처리부;
    상기 압축 처리부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 부호 처리를 수행하는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
    상기 에러 정정 부호 처리부에 의해 에러 정정 부호 처리된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브 처리를 수행하는 인터리브 처리부;
    상기 인터리브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블록 어드레스, 어드레스용 에러 판별 판정 부호, 및 마커 등을 부가하는 데이터 부가부;
    상기 부가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는 코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부에 의해 생성된 코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코드 이미지를 특정 인쇄 매체 상에 인쇄하여 코드 이미지 인쇄물을 제작하는 인쇄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코드 이미지 인쇄물 상에 인쇄된 코드 이미지를 촬상하여 대응되는 촬상 데이터로 출력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출력되는 촬상 데이터를 코드 이미지 화상으로 인식하여 노말라이즈를 행하여 이진 데이터로 출력하는 주사 변환부;
    상기 주사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이진 데이터의 열을 조정하고, 복조 처리 및 디인터리브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열 조정부;
    상기 데이터열 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
    상기 에러 정정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압축을 푸는 압축 해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과금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된 데이터 중 일련 번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과금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되는 비밀키가 상기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과금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비밀키를 사용하여 상기 재생된 데이터 중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과금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자기상 코드인 경우,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자기상 코드 제작 시스템이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가 자기 헤드 및 그 주변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시스템.
  10. 부호화 데이터를 제작하는 데이터 제작 시스템과, 과금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 재생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과금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특정 비밀키를 생성하여 과금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과금 서버가 비밀키에 대하여 일련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일련 번호를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비밀키를 이용하여 제공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이 상기 과금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일련 번호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제작하여 배포하는 단계;
    상기 과금 서버가 단말기로부터 일련 번호가 전달되면, 상기 일련 번호가 상기 데이터 제작 시스템에게 전달한 일련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일련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키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제작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부호화 데이터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금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부호화 데이터는 코드 이미지로서, 인쇄 매체에 인쇄되어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방법.
KR10-2001-0005698A 2001-02-06 2001-02-06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98A KR100384765B1 (ko) 2001-02-06 2001-02-06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98A KR100384765B1 (ko) 2001-02-06 2001-02-06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67A KR20020065267A (ko) 2002-08-13
KR100384765B1 true KR100384765B1 (ko) 2003-05-23

Family

ID=2769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698A KR100384765B1 (ko) 2001-02-06 2001-02-06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7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5533A (en) * 1994-04-29 1996-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key archive
EP0843449A2 (en) * 1996-11-08 1998-05-20 Sunhawk Corporation, Inc. Encryption system with transaction coded decryption key
KR20000022006A (ko) * 1998-09-24 2000-04-25 윤종용 디지털 컨텐트의 암호화/해독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6129A (ko) * 2000-07-11 2002-01-19 이구민 전자책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5533A (en) * 1994-04-29 1996-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key archive
EP0843449A2 (en) * 1996-11-08 1998-05-20 Sunhawk Corporation, Inc. Encryption system with transaction coded decryption key
KR20000022006A (ko) * 1998-09-24 2000-04-25 윤종용 디지털 컨텐트의 암호화/해독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6129A (ko) * 2000-07-11 2002-01-19 이구민 전자책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67A (ko)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20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ecure facsimile transmissions and certified facsimile transmissions
CN1717882B (zh) 一种配置数字广播接收机的方法
WO2006003698A1 (ja) 二次元バーコード画像生成のための装置、方法、プログラム、情報伝送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二次元バーコード復号のための装置、方法、プログラム
US5574789A (en) Encryp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encryption communication
KR100392187B1 (ko) 지정된 사용자에게 배포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38476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오프라인 데이터에 대한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19580B1 (ko) 인쇄된 코드 이미지를 사용하여 단말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 및 업그레이드시 인증 방법
AU661228B2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6014444A (en) Apparatus for encrypted communication
CN101971607B (zh) 用于安全的传真传输的方法和装置
JP4820143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CN1128456A (zh) 图像通讯设备
KR100365302B1 (ko) 단말기의 통화 연결을 제한하는 시스템
JP3986442B2 (ja) 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並びに無線通信方法
JPH0869250A (ja) 暗号化鍵または復号鍵の入力装置および通信装置
JP3300375B2 (ja) 暗号機能を有する送信装置
CN1147741A (zh) 加密图像通信装置
JP3701052B2 (ja) 文書伝送方法及び文書伝送装置
JPH0637749A (ja) 暗号装置
JPH07250249A (ja) 通信機器
JP367986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GB2305813A (en) Data encoding in facsimile systems
JPS58104572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8293856A (ja) 音声暗号化通信装置
JP2002158821A (ja) ファクシミリ送信機、ファクシミリ受信機、音声リーダ装置、ファクシミリ送受信機及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