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965B1 -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965B1
KR100383965B1 KR10-2000-0077076A KR20000077076A KR100383965B1 KR 100383965 B1 KR100383965 B1 KR 100383965B1 KR 20000077076 A KR20000077076 A KR 20000077076A KR 100383965 B1 KR100383965 B1 KR 10038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tage
vehicle
shift
condu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749A (ko
Inventor
김강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7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9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7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ydraulic control units, e.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0Out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07Status of gear-change operation, e.g. clutch fully eng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주행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차량이 정차하면, 변속레버 절환 없이 전진 'D'레인지 위치에서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여 변속단을 중립으로 유지시킨 후, 운전자의 주행의지가 판단되면 중립상태의 변속단을 전진 1속으로 구성하여 전진 주행을 수행할 목적으로;
운전자석의 셀렉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연동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매뉴얼 밸브에 있어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는 오일 펌프로부터 생성되는 유압이 흐르는 제1 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매뉴얼 밸브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2 관로와; 상기 매뉴얼 밸브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페일 세이프 밸브-A와 연결되어 있는 제3 관로와; 상기 매뉴얼 밸브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언더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제4 관로와, 상기 제 3관로와 제4 관로 사이 임의의 위치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5관로와; 상기 제5 관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듀티 제어되는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어 있어서, 변속충격 없이 변속을 수행할 수 있고, 향상된 승차감과 운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PRESSURE CONTROLLING DEVISE AND THE METHOD FOR AUTO TRANSMISS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차중인 차량에서 운전자가 소정의 시간동안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을 때, 변속레버 조작없이 변속단을 중립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부하에 따라 변속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변속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변속 제어 장치는 기어 트레인에 설치된 다수개의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작동 또는 비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유성기어장치의 출력단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첨부한 도1은 자동 변속기에 유압회로의 예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T/C는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 : 이하 T/C라 칭함)이고, C1은 2ND 브레이크(2ND Brake : 이하 2ND-B라 칭함)이고, C2는 언더 드라이브 클러치(Under Drive Clutch : 이하 U/D-C라 칭함)이고, C3은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Over Drive Clutch : 이하 O/D-C라 칭함 )이고, C4은 리버스 클러치(Reverse Clutch : 이하 REV-C라 칭함)이고, C5은 로우리버스 브레이크(Low-reverse Brake : 이하 L/R-B라 칭함)이다.
100은 매뉴얼 밸브(Manual Valve :이하 M/V라 칭함)이고, 21은 로우리버스솔레노이드 밸브(Lowreverse Solenoid Valve: 이하 L/R-S/V라 칭함)이고, 31은 2ND 솔레노이드 밸브(2ND Solenoid Valve :이하 2ND-S/V라 칭함)이고, 41은 언더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Under Drive Clutch Solenoid Valve:이하 U/D-S/V라 칭함)이고, 51은 오버 드라이브 솔레노이드 밸브(Over Drive Solenoid Valve:이하 O/D-S/V라 칭함)이고, 61은 리덕션 솔레노이드 밸브(Reduction Solenoid Valve:이하 RED-S/V라 칭함)이다.
22는 로우리버스 유압 조절 밸브(Lowreverse Pressure Control Valve:이하 L/R-PCV라 칭함)이고, 32는 2ND 유압 조절 밸브(2ND Pressure Control Valve:이하 2ND-PCV라 칭함)이고, 42는 언더 클러치 유압 조절 밸브(Under Clutch Pressure Control Valve:이하 U/D-PCV라 칭함)이고, 52는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 유압 조절 밸브(Over Drive Pressure Control Valve:이하 O/D-PCV라 칭함)이고, 71는 페일 세이프 밸브-A(Fail Safe Valve-A:이하 FSV-A라 칭함)이고, 72은 페일 세이프 밸브-B(Fail Safe Valve-B:이하 FSV-B라 칭함)이고, 81은 배기 체크 밸브(Exhaust Check Valve:이하 EX-V라 칭함)이다.
상기에서 전진 1속 작동요소는 U/D-C(C2)와 L/R-B(C5)가 결합하여 구성되면, 전진 2속 작동요소는 2ND-B(C1)와 U/D-C(C2)가 결합하여 구성되며, 전진 3속 작동요소는 U/D-C(C2)와 O/D-C(C3)가 결합하여 구성되며, 전진 4속 작동요소는 2ND-B(C1)와 O/D-C(C3)가 결합하여 구성되며, 후진 작동요소는 REV-B(C4)와 L/R-B(C5)가 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중립 및 주차 시에는 L/R-B(C5)가 결합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동 변속기에서 전진 주행 중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하여 차량을 정차시키면, 종래에는 변속레버의 전진'D'레인지 위치에서 중립 'N'레인지 혹은 주차'P'레인지 위치로 절환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변속단이 전진 1속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이 토크 컨버터(T/C)를 거쳐 변속기에 전달됨에 따라, 전진 1속 상태에서는 상기 토크 컨버터(T/C)의 계속적인 슬립이 발생하여 차체가 떨리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진 주행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의한 차량이 정차할 경우, 변속레버 절환 없이 전진 'D'레인지 위치에서 변속단을 중립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석의 셀렉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연동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매뉴얼 밸브에 있어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는 오일 펌프로부터 생성되는 유압이 흐르는 제1 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매뉴얼 밸브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2 관로와; 상기 매뉴얼 밸브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페일 세이프 밸브-A와 연결되어 있는 제3 관로와; 상기 매뉴얼 밸브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언더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제4 관로와, 상기 제 3관로와 제4 관로 사이 임의의 위치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5관로와; 상기 제5 관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듀티 제어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 출력되는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고자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 되어 출력되는 차량의 변속 모드 상태, 스로틀 밸브 개도,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 상태 등을 입력받아 전진 주행중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따라 차량이 정차하면,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이 만족되면, 변속단을 중립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변속단 중립 제어 듀티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자의 주행의지가 판단되면, 변속단 중립 제어를 해제 듀티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 수단과;
상기 변속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변속단 중립 제어 및 해제신호에 의해 듀티 제어되어 오일 펌프로부터 생성되어 공급되는 유압을 해당 마찰요소로 공급 및 리턴 시켜 변속단 중립 및 전진 변속단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따른 운전자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차량이 정차하면,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한 후,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을 만족함이 판단되면, 변속단 중립 제어를 위한 소정의 듀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단 중립 제어를 위한 소정의 듀티 신호 출력 후, 변속단 중립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단 중립 해제 조건이 만족하면 변속단 중립 해제 듀티 신호를 출력하고 전진 주행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회로.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1의 A를 확대한 부분 유압회로.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방법 동작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 1관로 102 : 메뉴얼 밸브 104 : 제 3관로
106 : 제 4관로 108 : 제 5관로 110 :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
200 : 차량 주행상태 검출부 210 : 스로틀 밸브 개도 검출부
220 : 출력축 회전수 검출부 230 : 엔진 회전수 검출부
240 : 브레이크 페달 동작 검출부 250 : 변속레버 위치 검출부
260 : 가속페달 작동 검출부 300 : 변속 제어 수단
400 : 구동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확대된 유압회로의 부분도로서, 운전자석의 셀렉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연동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매뉴얼 밸브(100)와;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는 오일 펌프(1)로부터 생성되는 유압이 흐르는 제1 관로(4)에서 분기되어 상기 매뉴얼 밸브(100)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2 관로(102)와; 상기 매뉴얼 밸브(10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페일 세이프 밸브-A(71)와 연결되어 있는 제3 관로(104)와; 상기 매뉴얼 밸브(10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언더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41)와 연결되어 있는 제4 관로(108)에 있어서, 상기 제 3관로(104)와 제4 관로(106) 사이 임의의 위치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5관로(108)와; 상기 제5 관로(108)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듀티 제어되어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 장치의 차량 주행상태 검출 장치(200)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 출력되는 차량 주행 상태를 검출하고, 변속 제어 장치(300)는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20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고자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20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 되어 출력되는 차량의 변속 모드 상태, 스로틀 밸브 개도,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 상태 등을 입력받아 전진 주행중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따라 차량이 정차하면,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이 만족되면, 변속단을 중립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변속단 중립 제어 듀티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자의 주행의지가 판단되면, 변속단 중립 제어를 해제 듀티신호를 출력하며, 구동장치(400)는 상기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변속단 중립 제어 및 해제신호에 의해 듀티 제어되어 오일 펌프로부터 생성되어 공급되는 유압을 해당 마찰요소로 공급 및 리턴 시켜 변속단 중립 및 전진 변속단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차량 주행상태 검출장치(20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검출하여 변속단 결정시 적용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검출부(210)와; 주행중인 차량의 차속에 상응하는 신호로서, 자동 변속기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변속단 결정시 적용되는 출력축 회전수 검출부(220)와; 주행중인 차량의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변속단 결정시 적용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230)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작동 검출부(240)와;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 된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레버 위치 검출부(250)와;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가속페달 작동 검출부(260)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방법을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200)는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 상태 등을 검출한다.
이에 변속 제어 장치(300)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200)로 출력하고,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장치(200)는 상기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된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 되어 검출된 스로틀 밸브 개도,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상태 등을 출력한다.
주행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따라,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여 차량을 정차시키면, 변속 제어 장치(300)는 상기 차량 주행상태 검출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상태 등을 입력받아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비교 판단한다(S100,S110).
상기에서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은 차속이 0Kph, 변속레버 전진 'D'레인지 위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온 상태로 소정의 설정시간(3sec)이상 유지인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이 때, 유압회로는 도 1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일 펌프(2)로부터 생성된 유압이 매뉴얼 밸브(100)에 형성된 다수의 관로중 제3 관로(104)로 흘러 페일 세이프-A(71)를 통하여 L/R-B(C5)에 라인압으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펌프(2)로부터 생성된 유압이 상기 매뉴얼 밸브(100)에 형성된 다수의 관로중 제4관로(106)로 흘러 U/D-S/V(41)에 의해 U/D-PCV(42)를 통과하여 U/D(C2)에 라인압으로 공급되어 변속단을 전진 1속 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다.
상기에서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이 만족함이 판단되면, 변속 제어 장치(300)는 변속단 전진 1속을 유지하고 있는 유압회로를 중립상태로 제어어하기 위하여 소정의 변속단 중립 제어 듀티 신호를 구동수단(400)으로 출력한다(S120).
구동수단(400)는 상기 변속 제어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변속단 중립 제어 듀티 신호에 듀티 제어된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관로(104)와 제 4관로(106) 사이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 5관로(108)에 구비된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클로즈(Close) 상태에서 상기 변속 제어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변속단 중립 제어 듀티 신호에 듀티 제어되어 오픈(Open) 전환된다.
상기에서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110)가 오픈 됨에 따라, 전진 1속 변속단을 구성하도록 U/D-S/V(41)와 연결 형성된 제4 관로(106)에 흐르는 라인압은 제 5관로(108)와 제3관로(106)를 통과하여 L/R-B(C5)에 위치한 배기밸브(EX)로 배출된다.
따라서, 전진 1속 변속단을 구성하는 U/D-C(C2)에는 최소한의 유압이 공급되어, 계합 해제상태가 된다.
이로서, 유압회로의 L/R-B(C5)만이 계합되어 변속단은 중립을 형성하게 된다.
이 후, 변속 제어 장치(300)는 상기 차량 주행상태 검출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주행상태 검출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상태 등의 신호가 상기에서 형성된 변속단 중립 제어를 해제하는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비교 판단한다(S130).
상기에서 변속단 중립제어 해제 조건은,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가속페달 동작 온인 조건이다.
상기에서 운전자의 가속페달 동작 상태에 따른 변속단 중립 제어 해제 조건이 만족함이 판단되면, 변속 제어 장치(300)는 소정의 변속단 중립 제어 해제 듀티 신호를 구동수단(400)으로 출력하고 메인루틴으로 리턴한다(S140).
구동수단(400)은 상기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변속단 중립제어 해제 듀티 제어신호에 듀티 제어된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제 5관로(108)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변속 제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변속단 중립 해제 제어신호에 듀티 제어되어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Close)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오일펌프(2)에서 생성된 유압은 매뉴얼 밸브(100)에 의해 제4관로(106)통과하여 U/D-C(C2)를 계합 시켜 변속단 전진 1속을 형성하는 라인압으로 U/D-S/V(41)에 공급된다.
이러서, 변속레버 절환없이 변속단 중립상태로 정차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주행의지에 따른 가속페달 조작이 이루어지면,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가 클로즈 듀티 제어됨에 따라 U/D-S/V에 정상적인 라인압 공급에 의한 변속단 중립이 해제하고, 전진 1속을 구성하여 변속충격 없이 안정된 전진 주행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차량이 정차하면, 변속레버 절환 없이 전진 'D'레인지 위치에서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여 변속단을 중립으로 유지시킨 후, 운전자의 주행의지가 판단되면 중립상태의 변속단을 전진 1속으로 구성하여 전진 주행을 수행함으로서, 변속충격 없이 변속을 수행할 수 있고, 향상된 승차감과 운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운전자석의 셀렉터 레버의 위치에 따라 연동하면서 유로를 절환하는 매뉴얼 밸브에 있어서,
    변속기의 유압 회로는 오일 펌프(2)로부터 생성되는 유압이 흐르는 제1 관로(4)에서 분기되어 상기 매뉴얼 밸브(100)와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2 관로(102)와; 상기 매뉴얼 밸브(10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페일 세이프 밸브-A(71)와 연결되어 있는 제3 관로(104)와; 상기 매뉴얼 밸브(10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관로 중 언더 클러치 솔레노이드 밸브(41)와 연결되어 있는 제4 관로(106)와; 상기 제 3관로(104)와 제4 관로(106) 사이 임의의 위치에 연결 형성되어 있는 제5관로(108)와; 상기 제5 관로(108)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여 듀티 제어되는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2.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연동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검출하여 변속단 결정시 적용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검출부와; 주행중인 차량의 차속에 상응하는 신호로서, 자동 변속기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변속단 결정시 적용되는 출력축 회전수 검출부와; 주행중인 차량의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변속단 결정시 적용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와;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페달 작동 검출부와;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상태에 따라 가변 된 위치를 검출하는 변속레버 위치 검출부와;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가속페달 작동 검출부로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고자 소정의 제어신호를 상기 차량 주행 상태 검출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동기 되어 출력되는 차량의 변속 모드 상태, 스로틀 밸브 개도, 출력축 회전수,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페달 작동 상태, 변속레버 위치 및 가속페달 작동 상태 등을 입력받아 전진 주행중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따라 차량이 정차하면,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이 만족되면, 변속단을 중립 제어하기 위해 메뉴얼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제3 및 제4 관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5 관로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변속단을 중립 제어하기 위한 듀티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자의 주행의지가 판단되면, 상기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변속단 중립 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듀티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 수단과;
    상기 변속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변속단 중립 제어 및 해제신호에 의해 듀티 제어되어 오일 펌프로부터 생성되어 공급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여 변속단 중립 제어시 주행단 결합요소로 공급되는 유압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공급된 유압을 오일 팬으로 리턴시키고, 변속단 중립 해제시 유압을 주행단 결합요소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3. 삭제
  4. 주행중인 차량에서 운전자의 정차의지에 따른 운전자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차량이 정차하면,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차량이 정차한 후,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을 만족함이 판단되면, 메뉴얼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제3 및 제4 관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5 관로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변속단을 중립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변속단 중립 듀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단 중립 제어 듀티 신호 출력 후, 변속단 중립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가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변속단 중립 해제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리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변속단을 주행 변속단으로 전환시키는 변속단 중립 해제 듀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변속단 중립 제어 조건은, 차속이 0Kph 변속레버 전진 주행위치 브레이크 페달 동작 온 상태가 3sec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면, 변속단을 중립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변속단 중립 해제 조건은, 가속페달 작동 온 신호가 검출되면 변속단 중립을 해제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방법.
KR10-2000-0077076A 2000-12-15 2000-12-15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076A KR100383965B1 (ko) 2000-12-15 2000-12-15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076A KR100383965B1 (ko) 2000-12-15 2000-12-15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749A KR20020046749A (ko) 2002-06-21
KR100383965B1 true KR100383965B1 (ko) 2003-05-14

Family

ID=2768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076A KR100383965B1 (ko) 2000-12-15 2000-12-15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05B1 (ko) * 2012-12-18 2014-10-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정차 중 운전자 이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505B1 (ko) * 2012-12-18 2014-10-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정차 중 운전자 이탈에 따른 자동변속기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749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3391B1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6919985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2002039366A (ja) 車両用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38396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46037A1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lockup clutch
JP2004347066A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343415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3573903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565832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H09229179A (ja) 油圧作動式変速機の制御装置
JP4926670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3892511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0282908B1 (ko) 자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급발진 방지 시스템
KR10037244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3893842B2 (ja) 車両のオートクラッチ制御装置
JP7114978B2 (ja) 車両用油圧制御装置
JP2004060824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異常判定装置
KR10037244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JP7155572B2 (ja) 車両用油圧制御装置
KR10045219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중립 제어 방법
JP3005338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28544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단 레인지 자동 선택방법
JP2023184375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19990038471U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안전장치
JP2676239B2 (ja) 車両用油圧作動式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