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959B1 -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959B1
KR100383959B1 KR10-2000-0076047A KR20000076047A KR100383959B1 KR 100383959 B1 KR100383959 B1 KR 100383959B1 KR 20000076047 A KR20000076047 A KR 20000076047A KR 100383959 B1 KR100383959 B1 KR 100383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unit
airbag
side collision
sid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564A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9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959B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와, 차량의 측면 충돌상황을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와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의 감지결과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측면 충돌 센서부,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의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 작동기를 동작시켜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상황을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범위에서 정확하게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측면 에어백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Side airbag driving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 측면의 충돌상황을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라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켜서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의 충돌시에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전개시켜 운전자 및 승객의 부상을 최소화하는 에어백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는, 측면 충돌 센서부(10)와, 에어백 제어기(20) 및, 측면 에어백 작동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10)는 센터 필러(Center Pillar; B-Pillar; 측면 유리창의 지지대)에 장착되어, 차량 측면(센터 필러)의 충돌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SISH신호; 측면충돌센서하이신호)를 에어백제어기(20)에 입력하고,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SISL신호; 측면충돌센서로우신호)를 에어백제어기(20)에 입력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40)의 가속도셀(11)은 차량 측면의 충돌에 따른 가속도변화율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컴퓨터(13)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3)는 상기 가속도변화율을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를 에어백제어기(20)에 입력하고,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를 에어백 제어기(20)에 입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백 제어기(20)는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10)에서 입력된 신호와 세이핑(safing)센서의 신호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측면 에어백 작동기(30)를 동작시켜서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는, 센터 필러에 장착되는 측면 충돌 센서만으로 충돌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측면 충돌 센서의 장착 위치에서 벗어난 부위의 충돌상황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감지하기가 어려워 측면 에어백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장착되는 측면 충돌 보조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상황을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범위에서 정확하게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측면 에어백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는, 차량의 측면 충돌상황을 감지하는 측면 충돌 센서부와,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 작동기를 동작시켜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에 입력하는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는, 자체의 감지결과와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의 감지결과를 논리합하여 상기 에어백제어기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는,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장착되어 측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피에조저항과, 상기 피에조저항의 저항값 변화율을 바탕으로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는, 상기 피에조저항에 일정 주기마다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원과, 상기 정전류가 공급되는 피에조저항의 저항값 변화율을 검출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및, 상기 저항값 변화율이 기준변화율을 초과하는 피에조저항의 수가 기준수를 초과하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를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에 입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에조저항은, 차량 내부와 외부와의 시야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에조저항과 인터페이스회로를 연결하는 전송선은, 차량 내부와 외부 사이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록 가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 충돌 센서부(10)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측면 충돌 센서부(50)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40)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피에조저항(43) 및 인터페이스회로(49)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 43 : 피에조저항
49 : 인터페이스회로 50 : 측면 충돌 센서부
60 : 에어백 제어기 70 : 측면 에어백 작동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는,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40)와, 측면 충돌 센서부(50), 에어백 제어기(60) 및, 측면 에어백 작동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40)는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SISH신호; 측면충돌센서하이신호)를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에 입력하고,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SISL신호; 측면충돌센서로우신호)를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에 입력한다.
또한,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는 센터 필러(Center Pillar; B-Pillar; 측면 유리창의 지지대)에 장착되어, 차량 측면(센터 필러)의 충돌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SISH신호; 측면충돌센서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SISL신호; 측면충돌센서로우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이와 같이 출력된 신호와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40)에서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OR)하여 에어백제어기(60)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제어기(60)는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에서 논리합되어 입력된 신호와 세이핑(safing)센서의 신호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측면 에어백 작동기(70)를 동작시켜서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셀(51)이 차량 측면의 충돌에 따른 가속도변화율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컴퓨터(53)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53)는 상기 가속도변화율을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를 출력하고,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이와 같이 출력된 신호와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40)에서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OR)하여 에어백제어기(60)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유리창(41)에 장착된 다수의 피에조저항(43)과, 센터 필러(47)에 장착되어 상기 피에조저항(43)에 전송선(45)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회로(4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에조저항(43)은 차량의 측면 유리창(41)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됨과 더불어 차량 내부와 외부와의 시야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송선(45)도 차량 내부와 외부 사이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록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인터페이스회로(49)는 상기 각 피에조저항(43)의 저항값 변화율을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정전류원(49-1)과, 증폭기(49-3), 마이크로컴퓨터(49-5), 통신회로(49-7) 및, 전원공급부(49-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전류원(49-1)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9-5)의 제어에 따라 일정주기 마다 상기 피에조저항(43)에 정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증폭기(49-3)은 상기 피에조저항(43)에 정전류가 공급될때 피에조저항(43)의 저항값 변화율을 검출 및 증폭하여 마이크로컴퓨터(49-5)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9-5)는 상기 증폭기(49-3)에서 입력된 피에조저항(43)의 저항값 변화율과 기준변화율을 비교하여 저항값 변화율이 기준변화율을 초과하는 피에조저항(43)의 수가 기준수를 초과하면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를 통신회로(49-7)을 통해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저항값 변화율이 기준변화율을 초과하는 피에조저항(43)의 수가 기준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를 통신회로(49-7)을 통해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49-9)는 인터페이스회로(49)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측면 유리창(41)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유리창(41)에 장착된 피에조저항(43)의 저항값이 변화되며, 이와 같은 피에조저항(43)의 저항값 변화율은 인터페이스회로(49)의 증폭기(49-3)에서 검출 및 증폭되어 마이크로컴퓨터(49)에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9)는 상기 증폭기(49-3)에서 입력된 피에조저항(43)의 저항값 변화율과 기준변화율을 비교하여 저항값 변화율이 기준변화율을 초과하는 피에조저항(43)의 수가 기준수를 초과하면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를 통신회로(49-7)을 통해 측면 충돌 센서부(50)에 입력하고, 상기 저항값 변화율이 기준변화율을 초과하는 피에조저항(43)의 수가 기준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를 통신회로(49-7)을 통해 측면 충돌 센서부(50)로 입력한다.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는 차량 측면(센터 필러)의 충돌상황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를 출력하고,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때는 측면 에어백 전개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이와 같이 출력된 신호와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40)에서 입력된 신호를 논리합(OR)하여 에어백제어기(60)에 입력한다.
상기 에어백제어기(60)는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50)에서 논리합되어 입력된 신호와 세이핑(safing)센서의 신호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측면 에어백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측면 에어백 작동기(70)를 동작시켜서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장착되는 측면 충돌 보조센서를 사용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상황을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범위에서 정확하게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측면 에어백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의 측면 충돌상황을 감지하는 측면 충돌 센서부와,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측면 에어백 작동기를 동작시켜 측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에어백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에 입력하는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는, 자체의 감지결과와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의 감지결과를 논리합하여 상기 에어백제어기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충돌 보조센서부는,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장착되고, 충격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피에조저항과, 상기 피에조저항의 저항값 변화율을 바탕으로 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에 입력하는 인터페이스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회로는, 상기 피에조저항에 일정 주기마다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원과, 상기 정전류 공급시 피에조저항의 저항값 변화율을 검출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 및, 상기 저항값 변화율이 기준변화율을 초과하는 피에조저항의 수가 기준수를 초과하면 에어백 전개 '온'신호를 상기 측면 충돌 센서부에 입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저항은, 차량 내부와 외부와의 시야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저항과 인터페이스회로를 연결하는 전송선은, 차량 내부와 외부 사이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록 가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KR10-2000-0076047A 2000-12-13 2000-12-13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KR10038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047A KR100383959B1 (ko) 2000-12-13 2000-12-13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047A KR100383959B1 (ko) 2000-12-13 2000-12-13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564A KR20020047564A (ko) 2002-06-22
KR100383959B1 true KR100383959B1 (ko) 2003-05-14

Family

ID=2768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047A KR100383959B1 (ko) 2000-12-13 2000-12-13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9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70A (ja) * 1993-07-20 1995-02-03 Fujitsu Ten Ltd 車両用安全装置
KR960004115A (ko) * 1994-07-21 1996-02-23 한스-울리히 슈타이거, 한스-위르겐 마우테 자동차용 승객안전장치의 측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방법
KR970039705A (ko) * 1995-12-30 1997-07-24 전성원 전기저항식 측면충돌 에어백 장치 및 구동방법
KR19980040137A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에어백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70A (ja) * 1993-07-20 1995-02-03 Fujitsu Ten Ltd 車両用安全装置
KR960004115A (ko) * 1994-07-21 1996-02-23 한스-울리히 슈타이거, 한스-위르겐 마우테 자동차용 승객안전장치의 측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방법
KR970039705A (ko) * 1995-12-30 1997-07-24 전성원 전기저항식 측면충돌 에어백 장치 및 구동방법
KR19980040137A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에어백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564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41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ployment signal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during a side impact crash
JP3392180B2 (ja) 車両用安全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H0436116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US20080046148A1 (en) Control Apparatus for Occupant Restraint Device
EP1026052B1 (en) Activating control of a vehicle passenger restraint system
US72786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ing an ultrasonic sensor
US20080172158A1 (en) Air-bag deployment system
JP2006525913A (ja) 車両乗員のためのセーフティシステム
US7568543B2 (en) Device for controlling restraining means in a vehicle
JP3348697B2 (ja) 車両用側突エアバッグ装置の起動制御システム
US71504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of a passenger-side airbag
KR100383959B1 (ko)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US89962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afing function in a restraining system
JP3316904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GB2369708A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safety device
KR100199738B1 (ko) 에어백의 제어장치
KR100476569B1 (ko) 전방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1278209A (ja) エアバッグ展開制御装置
KR100381251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100326706B1 (ko) 측면 에어백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0180156B1 (ko)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
KR0128075Y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437245B1 (ko) 자동차 정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27309B1 (ko) 측면 에어백 전개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