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935B1 -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935B1
KR100383935B1 KR10-2000-0069965A KR20000069965A KR100383935B1 KR 100383935 B1 KR100383935 B1 KR 100383935B1 KR 20000069965 A KR20000069965 A KR 20000069965A KR 100383935 B1 KR100383935 B1 KR 10038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handle
glass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054A (ko
Inventor
강범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9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복수개의 고정부재(31)를 매개로 설치되는 핸들보강브라켓트(30)와,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와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타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핸들(40)과,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40)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40)을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된 리턴스프링(50)과, 일단이 테일게이트(1)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핸들(40)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에 구속된 테일게이트래칫(15)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40)의 회동시 테일게이트래칫(15)을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로드(60)와,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와 더불어 테일게이트(1)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핸들(40)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에 구속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40)의 회동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을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부품수가 절감되면서 작업수가 감소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제조원가가 절감되어 전체적인 판매비용이 절감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COMBINATION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TAIL GATE AND TAIL GATE GLAS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게이트패널에 설치된 한 개의 핸들을 사용하여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를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프형 차량이나 RV(Recreational Vehicle)차량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후방쪽으로 개폐되는 테일게이트(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테이게이트(1)에는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테일게이트글래스(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테이게이트(1)와 테일게이트글래스(2)는 각각의 개폐장치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테이게이트(1)의 개폐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일게이트핸들(11)과, 이 테일게이트핸들(11)의 회전작동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제1로드(12)와, 이 제1로드(12)의 직선운동에 의해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고정되는 힌지축(13a)을 매개로 회전운동하는 회동암(13)과, 이 회동암(1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제2로드(14)와, 이 제2로드(14)의 선단에 결합되면서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고정되는 힌지축(15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래칫(15)과, 바디패널(3)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테일게이트(1)를 밀폐시 테일게이트래칫(15)의 선단을 구속하도록 된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테일게이트핸들(11)을 잡고 일측방향으로 회동시켜주게 되면, 상기 제1로드(12)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오른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제1로드(12)가 당겨지게 되면 상기 회동암(13)이 힌지축(13a)을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며, 상기 회동암(13)이 회전되면 상기 제2로드(15)가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왼쪽으로 밀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드(15)가 왼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테일게이트래칫(15)은 힌지축(15a)을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테일게이트래칫(15)의 선단이 상기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테일게이트(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2)의 개폐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설치되어 제1리턴스프링(21a)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작동되는 누름버튼(21)과, 이 누름버튼(21)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고정되는 힌지축(22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링크(22)와, 이 제1회전링크(22)와 동일한 힌지축(22a)상에 설치되면서 제1회전링크(22)와 서로 반대되는 회전방향을 갖도록 작동되는 제2회전링크(23)와, 상기 제2회전링크(23)에 일단이 고정되고 테일게이트내측패널(1b)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트(4)상에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링크(23)를 탄력적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제2리턴스프링(24)과, 상기 제2링크부재(23)에 일단이 결합된 제3로드(25)와, 이 제3로드(25)의 종단에 결합되면서 테일게이트내측패널(1b)에 고정되는 힌지축(26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과,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2)의 밀폐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의 선단을 구속하도록 된 테일게이트글래스트라이커(27)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누름버튼(21)을 눌러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21)의 제1회전링크(22)의 일단을 밀어서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1회전링크(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회전링크(23)는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3로드(25)를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올려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로드(25)가 제2회전링크(23)의 회동에 의해 위로 밀려올라가게 되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은 힌지축(26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의 선단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2)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일게이트(1)에는, 상기 테일게이트(1)와 테일게이트글래스(2)를 개폐시키는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업수가 늘어나 생산성이 감소되면서 제작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전체적인 판매비용이 상승되어 상품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 개의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겸용개폐장치를 테일게이트에 설치하여, 부품수를 절감하여 작업수를 감소시킴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작원가를 절감시켜 전체적인 판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외측패널에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는 핸들보강브라켓트와,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와 테일게이트외측패널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타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핸들과,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을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된 리턴스프링과, 일단이 테일게이트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핸들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에 구속된 테일게이트래칫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동시 테일게이트래칫을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로드와,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로드와 더불어 테일게이트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핸들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에 구속된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회동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을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겸용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일게이트 1a - 테일게이트외측패널
2 - 테일게이트글래스 15 - 테일게이트래칫
16 -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 26 -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
27 -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 30 - 핸들보강브라켓트
40 - 핸들 41 - 몸체부
42 - 회동부 43 - 핸들로드부
43a - 결합돌기 50 - 리턴스프링
60 - 테일게이트로드 61,71 - 결합홈
70 -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작동방향에 따라 테이게이트(1)와 테일게이트글래스(2)를 각각 개폐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는,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복수개의 고정부재(31)를 매개로 설치되는 핸들보강브라켓트(30)와,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와(30)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타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핸들(40)과,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40)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40)을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된 리턴스프링(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는,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1)의 내부에 위치된 핸들(40)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에 구속된 테일게이트래칫(15)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40)의 회동시 테일게이트래칫(15)을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로드(60)와,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와 더불어 테일게이트(1)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핸들(40)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에 구속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40)의 회동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을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상에 설치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리턴스프링(50)의 일단이 고정되는 회동부(42)와, 상기 몸체부(4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선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와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 및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와 결합되도록 된 핸들로드부(4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로드부(43)의 종단 양측면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3a,43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의 일단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43a,43b)중 어느 한 개의 결합돌기(43a)에 결합되는 장홈형상의 결합홈(61)이 형성되면서,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의 일단에도 나머지 한 개의 결합돌기(43b)에 결합되는 장홈형상의 결합홈(7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홈(61,71)은,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와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에 형성된 결합홈(61)으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로드부(43)의 결합돌기(43a)는 상기 결합홈(61)의 아래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에 형성된 결합홈(71)으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로드부(43)의 결합돌기(43a)는 상기 결합홈(71)의 윗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테일게이트(1)를 개방시키기 위해 핸들(40)의 회동부(42)를 잡고 상기 핸들(40)을 도 6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회동시켜 주게 되면, 상기 리턴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상기 핸들로드부(43)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로드부(4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핸들로드부(43)의 결합돌기(43a)에 결합된 테일게이트로드(60)는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아랫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가 아랫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테일게이트래칫(1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5a)을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테일게이트래칫(15)의 선단이 상기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테일게이트(1)를 개방시킬 수 있게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핸들(40)의 회동부(42)를 놓아주게 되면, 상기 핸들(40)은 리턴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핸들로드부(43) 및 테일게이트로드(60)도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어 다음번의 작동상태를 준비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2)를 개방시키기 위해 핸들(40)의 회동부(42)를 잡고 상기 핸들(40)을 도 7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눌러주면서 회동시켜 주게 되면, 상기 리턴스프링(50)이 인장되면서 상기 핸들로드부(43)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로드부(4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핸들로드부(43)의 결합돌기(43b)에 결합된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는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윗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가 읫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6a)을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의 선단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2)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핸들(40)의 회동부(42)를 놓아주게 되면, 상기 핸들(40)은 리턴스프링(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핸들로드부(43) 및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도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어 다음번의 작동상태를 준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일게이트외측패널에 설치된 한 개의 핸들을 이용해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전체적인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개폐장치의 부품수가 절감되면서 작업수가 감소됨은 물론 이로인해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제조원가가 절감되어 전체적인 판매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에 복수개의 고정부재(31)를 매개로 설치되는 핸들보강브라켓트(30)와,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와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타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핸들(40)과, 일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40)에 고정되어 상기 핸들(40)을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된 리턴스프링(50)과, 일단이 테일게이트(1)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핸들(40)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에 구속된 테일게이트래칫(15)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40)의 회동시 테일게이트래칫(15)을 테일게이트스트라이커(16)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로드(60)와, 일단이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와 더불어 테일게이트(1)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핸들(40)과 결합되면서 타단이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에 구속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과 결합되어 상기 핸들(40)의 회동시 테일게이트글래스래칫(26)을 테일게이트글래스스트라이커(27)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0)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상에 설치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리턴스프링(50)의일단이 고정되는 회동부(42)와, 상기 몸체부(4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선단이 상기 핸들보강브라켓트(30)와 테일게이트외측패널(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 및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와 결합되도록 된 핸들로드부(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로드부(43)의 종단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3a,43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의 일단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43a,43b)중 어느 한 개의 결합돌기(43a)에 결합되는 장홈형상의 결합홈(61)이 형성되면서,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의 일단에도 나머지 한 개의 결합돌기(43b)에 결합되는 장홈형상의 결합홈(7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로드(60)에 형성된 결합홈(61)으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로드부(43)의 결합돌기(43a)는 상기 결합홈(61)의 아래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테일게이트글래스로드(70)에 형성된 결합홈(71)으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로드부(43)의 결합돌기(43b)는 상기 결합홈(71)의 윗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KR10-2000-0069965A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KR10038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965A KR100383935B1 (ko)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965A KR100383935B1 (ko)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054A KR20020040054A (ko) 2002-05-30
KR100383935B1 true KR100383935B1 (ko) 2003-05-14

Family

ID=1970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965A KR100383935B1 (ko) 2000-11-23 2000-11-23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971A (ko) * 2001-07-21 200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립 업 타입 테일 게이트 시스템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054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3338A (en) Sliding door release and actuating control device
KR100535763B1 (ko)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US5876074A (en) Latch device for a vehicle back
JPH049912B2 (ko)
KR910018655A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20000057235A (ko) 어린이 보호용 도어 래치
JPS58106074A (ja) 自動車用のドア錠
JP3165570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10038393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와 테일게이트글래스 겸용개폐장치
US7014228B2 (en) Door closer for vehicle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CN114829721B (zh) 用于系统窗户的把手组件和包括该把手组件的系统窗户
KR10034809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KR100826577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JP2700444B2 (ja) 電気機器設置用箱体の扉用ロック装置
KR102544039B1 (ko) 창호용 핸들
KR200385465Y1 (ko) 차량용 손잡이 어셈블리
JPH10238185A (ja) パネルロック機構
KR200220999Y1 (ko) 자동차의 히터 컨트롤 구조
JPH04187981A (ja) 冷蔵庫の扉装置
KR20080013617A (ko) 도어의 래치 구조
KR0113632Y1 (ko) 암 로드의 조립구조
JPH10102868A (ja) ドアロック装置
JPS6229592B2 (ko)
CN111785591A (zh) 一种分合闸手柄机构和插入式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