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896B1 - 기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896B1
KR100383896B1 KR10-2000-0015751A KR20000015751A KR100383896B1 KR 100383896 B1 KR100383896 B1 KR 100383896B1 KR 20000015751 A KR20000015751 A KR 20000015751A KR 100383896 B1 KR100383896 B1 KR 10038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icrocontroller
data
programmable microcontroller
main program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977A (ko
Inventor
신대섭
Original Assignee
신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섭 filed Critical 신대섭
Priority to KR10-2000-001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8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26Microinstruction function, e.g. input/output microinstruction; diagnostic microinstruction; microinstruction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명령 입력 시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시스템의 무리 없이 제어를 행할 대상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기기 제어 의도 시 자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분석한 다음 그 분석 결과를 어드레스 데이터와 함께 버스 상으로 출력하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자신을 지시하는 경우 그에 따르는 분석 결과를 버스를 통해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버스; 상기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어 대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기기 제어 시스템{Machinery and Tools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의 입력 시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시스템의 무리없이 제어를 행할 대상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기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기기 제어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보인 도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 입출력 장치(100);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여타의 값들을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여 해당 요소에 이를 제공하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로부터 출력되는 분석 결과를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이를 분석하여 그 결과에 의해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기기를 제어하고자 외부 입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 데이터는 각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따른 명령 언어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명령 언어를 정확히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명령 언어가 가지는 제어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여야 만이 이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입출력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이 사용된다.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데이터를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컴퓨터(110)가 유선 또는 무선 등에 의하여 인가 받아 각 제어 대상으로의 제어 명령을 출력하게 되는데, 이의 동작 관계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센서부(140)는 제어를 행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의 상태 또는 주위 분위기 등을 센싱하게 되고, 그 센싱된 결과는 A/D 변환부(150)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에 제공된다.
또한, 스위칭부(190)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별도의스위칭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의 스위칭 결과를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200)로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200)는 이의 스위칭 상태를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분석하여 그 분석된 결과를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 A/D 변환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결과,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20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결과 등을 입력받아 내부 메인 프로그램에 의하여 그 값들의 의미를 최종 분석한 다음 제어 명령의 의도에 따라 각 제어 대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즉,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의 경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의 출력을 자체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처리한 다음 그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다시 말하면, 자체 내장된 프로그램은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로부터 출력되는 내용(제어 데이터, 센싱 결과, 스위칭 결과 등)을 분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당한 신호로 가공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60)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로부터 출력되는 내용을 분석하여 그 분석된 결과를 구동부(170)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제어 대상(180)은 구동부(170)의 출력에 따라 구동 제어되는데, 결국 이는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콘트롤러(160)의 제어 의도에 따른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동작 상태를 가지는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에 다수개 연결되어 각 요소의 제어 대상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로부터 출력되는 내용이 직접 D/A 변환부(210)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 대상(220)에 곧바로 인가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의 제어 대상(180,220)은 일 예를 들어 로봇 등의 메카니즘을 갖는 경우라면, 서보 모터, 스텝 모터 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기기 제어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제어 대상에 인가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명령 언어들을 모두 알고 있는 상태에서 각 제어 대상이 요구하는 제어 데이터를 적절히 인가하여야 하고, 제어 의도 시 마다 매번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제어 데이터 등을 직접 받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명령 언어는 복잡한 언어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는 곧 제어 대상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사용하기에는 숙련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자칫 오동작의 경우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하여 매번 직접 명령 데이터를 인가하여하는 번거로움과,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각 입출력 단자에 다수의 장치가 곧바로 연결됨으로써 그 입출력 포트의 한계에 의하여 제어 대상의 확장이 힘들게 되고,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시스템 부하가 가중되므로 오동작의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이로 인해, 산업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어 대상의 제어에 필요한 각 코드값 및 변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미리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놓고,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이를 읽어들여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되어 그 처리된 결과를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제공함으로써 제어 대상의 제어를 손쉽게 하고, 또한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의 확장을 행하는데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예를 들어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 기기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 구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상세 블록도.
도 4 는 프로그램 메모리의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0 : 프로그램 메모리 240 : 버스
270,280,310,330,350 :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
300: 제어 대상 360 : 구동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기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외부 입출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기기 제어 의도 시 자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분석한 다음 그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분석 결과를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이를 처리하여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어 대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분석 결과에는 특정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동작에 관해서는 굳이 설명을 하지 않는다.
초기에 사용자가 외부 입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제어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이를 인가받아 프로그램 메모리(230)에 저장하여 놓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30)에 저장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는 순차 실행 코드, 특정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변수, 각종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외부 입출력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어 의도를 행한다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프로그램 메모리(230)로부터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읽어들이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프로그램 메모리(230)로부터 순차 실행 코드에 따르는 어드레스 데이터와, 제어 변수, 이외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읽어들이게 되는데, 상기 순차 실행 코드는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들의 실행 순서를 지시하고, 이에 따르는 어드레스 데이터는 각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정하는 번지이며, 또한 제어 변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르는 목적값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값들 이외에 더 부가적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는 프로그램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형태는 일 예로 패킷 데이터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미리 자체 구성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그램 메모리(230)로부터 순차 실행 코드에 따라 읽어들인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어 목적에 부합되도록 변수를 가공한다거나, 디스플레이될 데이터를 가공 등이 분석과정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이후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30)로부터 읽어들인 어드레스 데이터와 일치하는 어드레스를 갖는 특정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이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드레스가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를 지정한다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그 분석된 결과(변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를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입력되는 분석 결과를 인가 받아 자체 내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이를 최종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어 명령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제어 명령은 제어 대상인 디스플레이부(130)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의도하는 변수를 갖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또한, 어드레스가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60)를 지정한다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그 분석된 결과를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6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입력되는 분석 결과를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이를 최종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어 명령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제어 명령은 구동부(170)로 제공되어 최종적인 제어 대상(180)으로 인가되는데, 만일 제어 대상(180)이 로봇인 경우 서보계와 스텝 모터 등이 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미리 단순화된 데이터(순차 실행 코드, 어드레스 데이터, 변수, 이외의 데이터 등)를 미리 프로그램 메모리(230)에 설정하여 놓으면, 이를 순차적으로 자체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하게 되어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한 다음 그 결과를외부 입출력 장치(100)로 다시 되돌려 출력함으로써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100)가 컴퓨터와 연결된 경우 컴퓨터에서 미처 처리하지 못한 데이터는 외부 입출력 장치(100)를 통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에 인가되어 자체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가 행해진다.
이후, 그 결과는 다시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 제공되어 컴퓨터는 그 처리된 결과를 인가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센서부(140) 또는/및 스위칭부(190)의 출력을 제공받아 이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외부 입출력 장치(100)를 통해 컴퓨터로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 기기 제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는,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기기 제어 의도 시 자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분석한 다음 그 분석 결과를 어드레스 데이터와 함께 버스 상으로 출력하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자신을 지시하는 경우 그에 따르는 분석 결과를 버스를 통해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버스; 상기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어 대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갖는다.
이를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에 사용자가 외부 입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제어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인 순차 실행 코드, 특정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변수,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게 되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이를 인가받아 프로그램 메모리(230)에 저장하여 놓게 된다.
이후, 외부 입출력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어 의도를 행한다면,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프로그램 메모리(230)로부터 순차 실행 코드에 따르는 어드레스 데이터와, 제어 변수, 이외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읽어들이게 되는데, 상기 순차 실행 코드는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들의 실행 순서를 지시하고, 이에 따르는 어드레스 데이터는 각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정하는 번지이며, 또한 제어 변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르는 목적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미리 자체 구성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그램 메모리(230)로부터 순차 실행 코드에 따라 읽어들인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분석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그 분석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어드레스 데이터와 함께 버스(240)로 이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버스(240)에 연결된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270,280,310,330,350)는먼저 어드레스 데이터를 인가 받아 자신을 지정하는 어드레스라고 판단되면 버스(240)로부터 분석한 결과를 인가 받게 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240)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비교부(400)에서 인가받아 어드레스 저장부(410)에 저장된 자신의 어드레스와 비교하게 된다.
그 비교결과 어드레스 일치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서(420)는 더 이상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일치한다면 버스(240)상의 분석 결과를 인가 받아 프로그램 저장부(430)에 저장된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어 대상을 목적에 맞게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브 마이크로 콘트롤러(280)는 그에 따라 자체 제어 명령을 발생하여 D/A 변환부(290)를 통해 제어 대상(300)을 제어하고,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330)는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하며, 서브 마이크로 콘트롤러(350)는 구동부(360)를 통해 제어 대상(370)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280)는 제어 대상의 제어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버스(240)로 올림으로써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가 이를 버스(240)를 통해 인가 받아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270)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의 분석 결과를 버스(240)를 통해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센서부(250)로부터 센싱되어 A/D 변환부(260)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결과를 인가 받아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를 지시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버스(240)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즉,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로부터 발생된 분석 결과는 센서부(250)의 결과를 독취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310)도 또한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의 분석 결과를 버스(240)를 통해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스위칭부(320)로부터 스위칭된 결과를 인가 받아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를 지시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여 버스(240)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로써,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상기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270,310)의 출력을 버스(240)로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하게 된다.
상기 버스(240)는 저속 통신인 경우 IIC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고속 통신인 경우 SPI 통신 방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한 다음 그 결과를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 다시 되돌려 출력함으로써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버스를 통하여 N개수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그 각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된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한 N*M의 숫자까지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각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반드시 가져야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메모리(230)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에 버스(241)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확장됨으로써 사용자 메모리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외부 입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자신의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임의의 프로그램 메모리를 지정하는 어드레스와 사용자 데이터를 인가 받아 버스(241)로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프로그램 메모리는 버스(241)로 제공되는 어드레스가 자신을 지정하는 것이라면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인가 받아 저장하게 되며, 이후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의 의도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버스(241)로 출력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는 외부 입출력 장치(100)로 읽어들인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기본 코드값의 입력에 의하여 사용자가 명령어 체계를 굳이 알고있지 못하더라도 모든 제어 대상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단순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를 통해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명령을 지시함으로써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다수의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제어하게 되어 제어 대상의 확장이 용이하고, 또한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자체의 시스템 부하가 과도하게 걸리지 않게 안정적인 운용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 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오동작에 따른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보조 처리 수단으로의 활용과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 메모리 수단의 확장까지도 이룰 수 있다.

Claims (10)

  1.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기기 제어 의도 시 자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분석한 다음 그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분석 결과를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이를 처리하여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어 대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는 순차 실행 코드, 특정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시 외부 입출력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4.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에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기기 제어 의도 시 자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분석한 다음 그 분석 결과를 어드레스 데이터와 함께 버스 상으로 출력하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데이터가 자신을 지시하는 경우 그에 따르는 분석 결과를 버스를 통해 인가 받아 자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어 명령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버스;
    상기 서브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어 대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는 순차 실행 코드, 특정 서브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 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자신의 어드레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버스는 IIC 또는 SPI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에는 다수의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버스를 통하여 임의의 개수를 갖도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메인 프로그램어블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시 외부 입출력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00-0015751A 2000-03-28 2000-03-28 기기 제어 시스템 KR100383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751A KR100383896B1 (ko) 2000-03-28 2000-03-28 기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751A KR100383896B1 (ko) 2000-03-28 2000-03-28 기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977A KR20010092977A (ko) 2001-10-27
KR100383896B1 true KR100383896B1 (ko) 2003-05-14

Family

ID=1965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751A KR100383896B1 (ko) 2000-03-28 2000-03-28 기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204B1 (ko) 2004-07-28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인 제어부와 부 제어부로 구성된 제어 시스템 및 버스연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1404A (ja) * 1985-08-01 1987-02-10 Fanuc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H0496801A (ja) * 1990-08-14 1992-03-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758801A (ja) * 1993-08-10 1995-03-03 Toshiba Corp データ通信装置
JPH10133719A (ja) * 1996-10-29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1404A (ja) * 1985-08-01 1987-02-10 Fanuc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H0496801A (ja) * 1990-08-14 1992-03-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758801A (ja) * 1993-08-10 1995-03-03 Toshiba Corp データ通信装置
JPH10133719A (ja) * 1996-10-29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204B1 (ko) 2004-07-28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인 제어부와 부 제어부로 구성된 제어 시스템 및 버스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977A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569A (en) Programmable controller having directly executable CPU instructions
US5392207A (en) Programmable motion controller with graphical programming aid
US10139805B2 (en) Ladder diagram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additionally displaying operation situation of CNC in comment
KR100383896B1 (ko) 기기 제어 시스템
JPH09230915A (ja) プログラミング装置
US8533376B1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robot
US6272578B1 (en) Programmable controller
EP0867794B1 (en) Numerical controller, screen display of numerical controller and data input/output method
US20040204774A1 (en) Controller for machines
JPS59135597A (ja) テストシステム
KR100423742B1 (ko) 순차기능챠트에 의한 전용 제어 시스템
JP2638435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H082727Y2 (ja) プログラマブルシ−ケンサ
JP2921228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10222209A (ja) Fa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作成方法とその装置
JP2000010616A (ja)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KR100224865B1 (ko) 로봇 제어방법
JP2700013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ためのユーザプログラム用コンパイラ
JPH05173832A (ja) トレース制御機構
JPH07120172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3098437B2 (ja) Iplプログラムの実行情報の収集方式
JP2002171781A (ja) モータの制御方法、それに用いる中継演算処理装置およびモータ
JPH10133719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S62154102A (ja) プログラム書込み装置
JPS62194514A (ja) 数値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