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401B1 - 다중연사기 - Google Patents

다중연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401B1
KR100382401B1 KR10-1998-0037207A KR19980037207A KR100382401B1 KR 100382401 B1 KR100382401 B1 KR 100382401B1 KR 19980037207 A KR19980037207 A KR 19980037207A KR 100382401 B1 KR100382401 B1 KR 10038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rse
speed
drive system
drum
variabl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663A (ko
Inventor
케이지 쿠로다
유헤이 야마모토
타카오 토요시마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86Multiple-twist arrangements, e.g. two-for-one twisting devices ; Threading of yarn; Devices in hollow spindl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20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 D01H1/28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two or more machine elements possess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in operative associ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for imparting multiple twist, e.g. two-for-one twis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20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래버스장치와 드럼을 공통된 구동수단으로 구동시켜, 트래버스장치를 드럼의 구동에 동기시킴으로써, 정지시에 있어서의 꼬여진 실의 능직홈이나 봉감기를 방지하는 것이다.
권취 패키지(P)를 회전하는 드럼(9)의 드럼구동계(B)와, 권취 패키지(P)에 꼬여진 실을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11)를 무단변속기(14)를 개재하여 연결하며 공통된 구동용모우터(5)로 구동시키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다중연사기
본 발명은 권취 패키지(package)를 회전시키는 드럼과, 권취 패키지에서 감겨진 꼬여진 실을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를 공통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시키는 다중연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중연사기의 대표예인 2중연사기는 실공급패키지로부터 풀어진 실을 고속회전하는 스핀들에 넣어서 적당한 텐션(tension)장치에 의하여 장력을 부여하면서, 스핀들에 부착된 회전판에서 벌룬(balloon)시키면서 꼬임을 부여하고, 꼬여진 실을 피이드롤러(feed roller)에서 트래버스용의 트래버스장치로 송치하고, 회전하는 드럼에 쓰러져 접하는 보빈에 트래버스되는 실을 감아서 권취 패키지로 하는 것이다.
이 2중연사기의 구동계통으로서는, 도 5에 표시하듯이 콘트롤러(80)에서의 지령으로 구동되는 제1모우터(81)의 출력을 복수의 풀리(pully), 벨트, 감속기로 이루어진 구동계에 의하여 전달하여, 스핀들(82), 피이드롤러(83), 드럼(84)을 구동하기는 하였으나, 트래버스장치(85)는 별도의 콘트롤러(80)에서의 지령으로 구동되는 제2모우터(86)의 출력을 복수의 풀리, 벨트, 캠박스(cam box)로 이루어진 구동계에 의하여 전달하여 구동한다. 그래서, 제2모우터(86)에 인버터(87)에서의 출력주파수에 따라서 회전하는 유도모우터를 사용하면, 가속이나 감속이 자유롭게 될 수 있는 점에서 유도모우터의 회전수를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환하여서, 트래버스장치(85)를 주기적으로 변동시키는 트래버스속도로 구동하는 디스터브(disturb)기능에 의하여 리본브레이크(ribbon brake)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다중연사기에서는 드럼(84)을 구동시키는 제1모우터(81)와 트래버스장치(85)를 구동시키는 제2모우터(86)를 독립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다중연사기의 정지시에 각 모우터 (81, 86)에 의한 출력을 일제히 차단하면, 관성력이 작은 트래버스장치(85)가 관성력이 큰 드럼(84)보다도 먼저 정지하여 버린다. 이 결과, 정지된 트래버스장치(85)에 대하여 드럼(84)이 구동하기를 계속하면, 트래버스장치(85)로부터 꼬여진 실이 벗어나는 능직홈이나, 권취 패키지(P)에 꼬여진 실이 봉감기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래버스장치와 드럼을 공통된 구동수단으로 구동시켜, 트래버스장치를 드럼의 구동에 동기시킴으로써, 정지시에 있어서의 꼬여진 실의 능직홈이나 봉감기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중연사기는 청구항 1에서는 실을 가연하는 스핀들장치의 스핀들구동계와, 꼬여진 실을 감는 권취 패키지를 회전하는 드럼구동계와, 권취 패키지에 감겨지는 꼬여진 실을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구동계를 구비하고, 스핀들구동계와 드럼구동계 및 트래버스구동계는 공통된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고, 드럼구동계와 트래버스구동계는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가변으로 하여 디스터브를 실시하는 무단변속장치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각 계통의 정지시에 무단변속장치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드럼의 회전에 동기시키도록 가변할 수 있다. 또, 무단변속장치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고속과 저속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변함으로써, 꼬여진 실을 디스터브시키면서 권취 패키지에 감는다.
또, 스핀들구동계와 드럼구동계 및 트래버스구동계를 공통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하였으므로, 보통의 가속 또는 감속시나 정전시에 있어서의 감속시에 각 구동계의 동기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패키지의 품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과도한 꼬임에 의한 실끊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의 것에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권취 패키지의 권취량에 따라서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단계적으로 가속하여, 가속후에 일정한 속도로 되는 시간대에서만 트래버스속도를 고속과 저속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변하여 디스터브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단계적으로 가속하면 권취 패키지의 권취량에 따라서 변화하는 트래버스각을 보정할 수 있고, 또 일정한 속도의 시간대에서 트래버스속도를 고속과 저속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변하면 꼬여진 실을 디스터브시키면서 권취 패키지에 감는다.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것에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구동수단측 및 트래버스구동계의 각각에 연결된 한쌍의 풀리와 각 풀리에 감겨지는 무단벨트를 구비하고, 각 풀리는 무단벨트의 양측에 형성된 테이퍼면에 따르는 테이퍼면을 보유하고 서로 접하거나 분리되는 것이 자유로운 2개의 테이퍼체로 되고, 한쪽의 풀리에는 각 테이퍼체를 강제적으로 접하게 하거나 분리하게 하는 접촉분리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접촉분리장치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한쪽 풀리의 각 테이퍼체 간격을 조정하면 그 간격에 따른 지름으로 무단벨트가 변동되고, 그것에 따라서 다른쪽 풀리의 각 테이퍼체 간격이 변화하여 무단벨트의 지름이 변동되는 점에서, 이 무단벨트의 지름의 변동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적당히 가변할 수 있다.
청구항 4 및 5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것에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리버시블(reversible) 모우터와, 트래버스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검출된 트래버스속도에 따라서 리버시블 모우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전환함으로써 디스터브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실제의 트래버스 속도를 검출하여 디스터브의 가변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리버시블 모우터의 정회전과 역회전만으로 간단하고 정확한 디스터브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다중연사기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다중연사기에 사용되는 무단변속기의 구성을 표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다중연사기의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작동을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다중연사기의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각과 시간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종래의 다중연사기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중연사기 2 : 스핀들(spindle)장치
3 : 권취장치 5 : 구동용모우터(구동수단)
9 : 드럼(drum) 11 : 트래버스(traverse)장치
14 : 무단변속기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중연사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다중연사기(1)는 스핀들장치(2)와, 스핀들장치(2)위에 위치하는 권취 장치(3)로 하나의 방추를 형성하고, 서로 등을 맞대는 좌우열에 배치되어서 전체로서 80∼304방추로 되어 있다. 이 다중연사기(1)는 각 장치(2, 3)외에 구동용모우터(5)(구동수단)와, 구동용모우터(5)로 구동되는 스핀들구동계(A)와, 똑같이 구동용모우터(5)로 구동되는 드럼구동계(B) 및 트래버스구동계(C)와, 콘트롤러(6)를 구비하고 있다. 스핀들장치(2)는 실공급패키지가 얹어 놓여지는 커버(7)와 스핀들구동계(A)에 연결되는 스핀들(8)로 구성되어 있다. 권취 장치(3)는권취 패키지(P)가 눌려져 접하고 있는 드럼구동계(B)에서 구동되는 드럼(9) 및 피이드롤러(10)와, 트래버스구동계(C)에서 트래버스되는 트래버스장치(11)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용모우터(5)는 유도전동기로서 콘트롤러(6)에 접속된 인버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출력주파수로 결정되는 회전수로 구동되고, 스핀들구동계(A)를 구동함과 아울러 변속벨트장치(12), 감속기(13)나 무단변속기(14)를 개재하여 드럼구동계(B)와 트래버스구동계(C)를 구동한다.
스핀들구동계(A)는 구동용모우터(5)의 출력축에 설치된 제1풀리(15)와 구동용모우터(5)에 병렬로 설치된 축(21)의 제2풀리(16)에 감겨진 벨트(19)를 보유하고, 그 축(21)의 제3풀리(17)와 제4풀리(18)사이로 접선벨트(tangential belt)(20)가 감겨져 있다. 접선벨트(20)는 각 스핀들장치(2)의 스핀들(8)에 쓰러져 접하여 있고, 구동용모우터(5)의 구동을 각 풀리(15∼18), 벨트(19) 등에 의하여 각 스핀들(8)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드럼구동계(B)는 구동용모우터(5)와 제1풀리(15)사이의 출력축에 설치된 제5 풀리(22)와 축(21)에 병렬로 설치된 축(27)의 제6풀리(23)에 감겨진 벨트(28)를 보유하고, 그 축(21)은 변속벨트장치(12)(무단변속기)의 제7 및 제8풀리(24, 25)에 감겨진 벨트(29)를 개재하여 감속기(13)에 연결되어 있다. 감속기(13)는 내부에 복수의 기어가 배치되어 있고, 변속벨트장치(12)의 제8풀리(25)가 설치된 입력축(30)에서 회전력을 입력받아 일정한 비율로 감속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을 변환한다. 또, 감속기(13)는 3개의 출력축(31a∼31c)을 보유하고 1축입력에서 3축출력으로 되어있고, 병렬로 설치되는 2개의 출력축(31a, 31b)의 각각에는 제9풀리(26)가 끼워 붙여지며, 나머지의 출력축(31c)에는 트래버스구동계(C)가 연결되어 있다. 제9풀리(26)와 지지축(32)에 끼워 붙여진 제10풀리(33) 및 지지축(34)에 끼워 붙여진 제11 풀리(35)에는 벨트(36)가 감겨져 있다. 지지축(32)에는 드럼(9)이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끼워 붙여져 있고, 지지축(34)에는 피이드롤러(10)가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끼워 붙여져 있다. 그리고, 구동용모우터(5)의 출력은 벨트(28), 변속벨트장치(12), 감속기(13) 및 벨트(36)를 거쳐서 드럼(9)과 피이드롤러(10)의 지지축(32, 34)에 각각 전달되고, 드럼(9)과 피이드롤러(10)를 회전시킨다.
트래버스구동계(C)는 감속기(13)에 연결된 무단변속기(14)를 보유하고 있고, 무단변속기(14)는 캠박스(40)에 연이어 접속되어 있다. 캠박스(40)는 무단변속기(14)에 연결되는 전달축(41)에 기어(42)를 보유하고, 그 기어(42)와 맞물리는 기어(43)에 의하여 연결되는 홈이 있는 드럼(44)을 구비하고 있다. 홈이 있는 드럼(44)에는 나선형상인 캠홈(4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캠홈(45)에 캠슈(cam shoe)(46)가 끼워 맞춰져 있다. 캠슈(46)에는 왕복이동로드(47)가 고착되어 있고, 왕복이동로드(47)에는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트래버스장치(11)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용모우터(5)의 출력은 벨트(28), 변속벨트장치(12), 감속기(13)를 거쳐서 무단변속기(14)로부터 캠박스(40)의 홈이 있는 드럼(44)에 전달되고, 홈이 있는 드럼(44)의 회전에 의하여 캠슈(46)가 캠홈(45)에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트래버스장치(11)가 왕복이동되어서 트래버스한다.
또, 콘트롤러(6)는 구동용모우터(5)외에 입력보드(60), 무단변속기(14)의 리버시블 모우터(53)(접촉분리장치), 변속벨트장치(12)의 콘트롤모우터(61), 드럼용의 근접센서(62) 및 트래버스용의 근접센서(63)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보드(60)는 트래버스장치(11)의 모든 조건(트래버스각(θ), 트래버스속도(v), 디스터브의 진폭(h)), 꼬임수(N), 스핀들회전수나 드럼회전수 등의 데이터를 콘트롤러(6)에 입력한다. 근접센서(62)는 드럼(9)의 실제회전수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축(32)의 피검출체(64)의 회전을 검출하여 콘트롤러(6)에 출력한다. 또, 근접센서(63)는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각(θ)과 트래버스속도(v)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홈이 있는 드럼(44)의 피검출체(65)의 회전을 검출하여 콘트롤러(6)에 출력한다. 그리고, 콘트롤러(6)는 입력보드(6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각 근접센서(62, 63)로부터 피이드백되는 검출에 의하여, 구동용모우터(5), 리버시블 모우터(53) 및 콘트롤모우터(61)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에, 도 2에 있어서 무단변속기(14)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무단변속기(14)는 감속기(13)의 출력축(31c)에 설치된 입력측풀리(50)와, 캠박스(40)의 전달축(41)에 설치된 출력측풀리(51)와, 각 풀리(50, 51)사이에 감겨진 무단벨트(52)와, 리버시블 모우터(정회전과 역회전 모우터)(53)로 구성되어 있다. 각 풀리(50, 51)는 바깥쪽과 안쪽 와셔(washer)(테이퍼체)(54, 55)로 이루어지고, 각 와셔(54, 55)의 내측은 각각 테이퍼면에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풀리(50)의 안쪽와셔(55)에는 홀더(holder)가 고착되어 있다.
리버시블 모우터(53)의 출력축(56)은 클러치(57)를 개재하여 홀더에 연결되며, 모우터(53)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입력측풀리(50)의 안쪽와셔(55)가 출력축(31c)에 고정된 바깥쪽와셔(5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출력측풀리(51)의 바깥쪽와셔(54)에는 스프링박스(5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스프링박스(58)내에는 바깥쪽와셔(54)를 전달축(41)에 고정된 안쪽와셔(55)로 향해서 힘을 가하는 힘가함스프링(59)이 배치되어 있다. 각 풀리(50, 51)에는 각 와셔(54, 55)의 테이퍼면에 따르는 테이퍼면을 양측으로 보유하는 무단벨트(52)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리버시블 모우터(53)를 정회전시키면, 입력측풀리(50)의 안쪽와셔(55)가 바깥쪽와셔(54)로 향하여 간격거리를 좁혀지도록 이동되는 점에서, 입력측풀리(50)의 무단벨트(52)의 감겨지는 지름이 커지고, 이것에 따라서 출력측풀리(51)의 바깥쪽와셔(54)가 힘가함스프링(59)의 탄성력에 항거하여 안쪽와셔(55)와의 간격거리를 넓히도록 이동되는 점에서, 출력측풀리(51)의 무단벨트(52)의 감기는 지름이 작아진다. 또, 리버시블 모우터(53)를 역회전시키면, 입력측풀리(50)의 안쪽와셔(55)가 바깥쪽와셔(54)로부터 간격거리를 넓히도록 이동시키는 점에서, 입력측풀리(50)의 무단벨트(52)의 감기는 지름이 작아지고, 이것에 따라서 출력측풀리(51)의 바깥쪽와셔(54)가 힘가함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하여 안쪽와셔(55)와의 간격거리를 좁히도록 이동되는 점에서, 출력측풀리(51)의 무단벨트(52)의 감기는 지름이 커진다.
이와 같이, 무단변속기(14)는 리버시블 모우터(53)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각 풀리(50, 51)에 대한 무단벨트(52)의 감기는 지름을 변화시킴으로써, 출력측풀리(51)로부터 캠박스(40)로 출력되는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캠박스(40)를 개재하여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속도를 가변한다.
본 발명의 다중연사기(1)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지만, 다음에 다중연사기(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트롤러(6)는 입력보드(60)로부터 스핀들회전수, 드럼회전수나 트래버스장치(11)에 대한 트래버스각(θ), 트래버스속도(v), 꼬여진 실의 디스터브(disturb)폭(h) 등의 데이터를 받아서, 이들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구동용모우터(5)를 구동시킨다. 구동용모우터(5)가 구동되면, 그 출력이 스핀들구동계(A)를 개재하여 스핀들장치(11)에 전달되고, 실공급패키지로부터 풀려지는 실은 텐션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들어가서 소정장력이 부여되고, 고속회전하는 스핀들(8)의 회전판에서 벌룬(balloon)되면서 벌룬가이드(balloon guide)에 이른다. 그리고, 텐션장치로부터 회전판에 도달할때까지 1회의 꼬임이 들어가며, 회전판에서 벌룬가이드에 도달할때까지 또 1회의 꼬임이 들어가며, 피이드롤러(10)에 도달한다.
또, 구동용모우터(5)의 출력은 드럼구동계(B) 및 트래버스구동계(C)를 개재하여 전달되고, 피이드롤러(10)와 드럼(9)을 회전시켜 트래버스장치(11)를 트래버스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스핀들장치(2)로부터 피이드롤러(10)에 도달한 꼬여진 실은 트래버스장치(11)에 의하여 트래버스되면서 드럼(9)에 눌려져 접하여 있는 권취 패키지(P)에 감겨진다.
꼬여진 실의 권취에 대하여 트래버스장치(11)는 도 3에 표시하는 트래버스속도(v)와 디스터브 폭(h), 도 4에 표시하는 트래버스각(θ)에 의하여 실을 패키지(P)에 감는다. 즉,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조건은 콘트롤러(6)에 연속하여 피이드백되는 근접센서(63)에 의한 트래버스각(θ), 트래버스속도(v)의 정보에 의하여, 무단변속기(14)를 제어함으로써 실시된다. 또, 도 4에 있어서의 트래버스각의 1주기는 도 3에 있어서의 디스터브의 1주기에 대응하여, 트래버스각이 7%의 폭으로 진동되도록 디스터브한다.
이 상태에서 무단변속기(14)의 리버시블 모우터(53)의 각 풀리(50, 51)를 고정하여, 도 3에 표시하듯이 구동용모우터(5)의 구동초기로부터 시간(t1)까지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속도(v)를 드럼(9)과 일정한 속도관계를 유지하면서 가속한다. 그리고, 일정한 속도인 시간(t2)에 무단변속기(14)의 리버시블 모우터(53)를 정회전과 역회전시켜, 각 풀리(50, 51)의 무단벨트(52)에 대한 지름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속도(v)를 어느 범위의 고속과 저속에서 연속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도 3에 표시하듯이 꼬여진 실(Y)을 폭(h)으로 디스터브시키면서 권취 패키지(P)에 감는다. 이와 같이,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속도(v)를 단계적으로 가속시켜, 가속후에 일정한 속도로 되는 시간대(t2, t3, t4…)에만 실을 디스터브하는 것이다. 또, 가속도이외의 일정한 속도의 시간대(t2, t3, t4…)만에서 디스터브를 실시하는 것은, 무단변속(14)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트래버스속도(v)를 가속하면서 디스터브를 위하여 고속과 저속사이에서 가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하여, 권취 패키지(P)에 감겨지는 꼬여진 실의 권취량에 따라서 변동하는 트래버스각(θ)을 설정치로 보정할 수 있고, 또 디스터브에 의하여 권취 패키지(P)에 리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다중연사기(1)를 정지하는 경우에는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속도(v)를 드럼(9)의 회전과 동기시킨다. 즉, 콘트롤러(6)는 근접센서(62)로부터 피이드백되는 드럼(9)의 실제 회전수에 의하여, 도 3에서 표시된 것과 마찬가지 순서로 무단변속기(14)를 제어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이고, 무단변속기(14)의 리버시블모우터(53)를 정회전과 역회전시켜셔 무단벨트(52)의 각 풀리(50, 51)에 대한 지름을 크게 하거나 작게함으로써, 트래버스장치(11)의 트래버스속도를 드럼(9)의 회전과 일정한 속도관계를 유지하면서 감속하여 동기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11)와 드럼(9)을 동시에 정지할 수 있고, 정지시의 능직의 홈이나 봉감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연사기에 의하면, 권취 패키지를 회전하는 드럼의 드럼구동계와, 권취 패키지에 감겨지는 연사를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구동계를 무단변속기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공통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각 계통의 정지시에 무단변속장치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드럼의 회전에 동기시키도록 가변할 수 있는 점에서, 트래버스장치와 드럼을 동시에 정지할 수 있고, 정지시의 능직의 홈이나 봉감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무단변속장치에 의하여 권취 패키지의 권취량에 따라서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단계적으로 가속시켜, 가속후에 일정한 속도로 되는 시간대에서만 트래버스속도를 고속과 저속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변하면, 권취 패키지에 의한 연사의 권취량에 의하여 변동하는 트래버스각을 보정할 수 있고, 또 꼬여진 실을 디스터브시키면서 감겨지는 점에서, 꼬여진 실이 감겨지는 권취 패키지의 리본의 발생을 방지하여, 품질이 양호한 권취 패키지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무단변속장치를, 무단벨트와 서로 접촉분리가 자유로운 2개의 테이퍼체로 된 한쌍의 풀리와 한쪽 풀리의 각 테이퍼체를 강제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접촉분리장치로 구성하면, 접촉분리장치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한쪽 풀리의 각 테이퍼체 간격을 조정하면, 그 간격에 따른 지름으로 무단벨트가 변동되고, 그것에 따라서 다른쪽 풀리의 각 테이퍼체 간격이 변화하여 무단벨트의 지름이 변동되는 점에서, 이 무단벨트의 지름의 변동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적당히 가변할 수 있다. 또 무단벨트의 양측의 테이퍼면에서 풀리의 테이퍼면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무단벨트의 장력이 약화하여도 미끄럼이 적고, 무단벨트의 수명이 길어짐과 아울러 동력전달정밀도가 높아진다.

Claims (5)

  1. 실을 가연(加撚)하는 스핀들장치의 스핀들구동계와, 꼬여진 실을 감는 권취패키지를 회전하는 드럼구동계와, 권취 패키지에 감겨지는 꼬여진 실을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구동계를 구비하고, 스핀들구동계와 드럼구동계 및 트래버스구동계는 공통된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고, 드럼구동계와 트래버스구동계는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가변으로 하여 디스터브(disturb)를 실시하는 무단변속장치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연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권취 패키지의 권취량에 따라서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속도를 단계적으로 가속시켜, 가속후에 일정한 속도로 되는 시간대에서만 트래버스속도를 고속과 저속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변하여 디스터브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연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구동수단측 및 트래버스구동계의 각각에 연결된 한쌍의 풀리와 각 풀리에 감겨지는 무단벨트를 구비하고, 각 풀리는 무단벨트의 양측에 형성된 테이퍼면에 따르는 테이퍼면을 보유하고 서로 접촉분리가 자유로운 2개의 테이퍼체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풀리에는 각 테이퍼체를 강제적으로 접촉분리시키는 접촉분리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연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리버시블 모우터와, 트래버스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검출된 트래버스속도에 따라서 리버시블 모우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터브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연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리버시블 모우터와, 트래버스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검출된 트래버스속도에 따라서 리버시블 모우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터브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연사기.
KR10-1998-0037207A 1997-09-09 1998-09-09 다중연사기 KR100382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3628A JPH1181054A (ja) 1997-09-09 1997-09-09 多重撚糸機
JP97-243628 1997-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63A KR19990029663A (ko) 1999-04-26
KR100382401B1 true KR100382401B1 (ko) 2003-07-18

Family

ID=1710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207A KR100382401B1 (ko) 1997-09-09 1998-09-09 다중연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02107B1 (ko)
JP (1) JPH1181054A (ko)
KR (1) KR100382401B1 (ko)
CN (1) CN1215208C (ko)
DE (1) DE698131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039B1 (ko) * 2002-06-07 2005-05-03 이화공업주식회사 투포원 연사기의 전자구동 시스템 및 그 구동제어방법
JP4731994B2 (ja) * 2005-05-18 2011-07-27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トラバース装置の駆動構造
CN101209787B (zh) * 2007-12-25 2012-05-23 天津工业大学 一种密封毛条卷绕装置
CN101404204B (zh) * 2008-07-09 2010-09-29 方安林 自动捻线头机
CN103103639B (zh) * 2013-02-25 2015-09-09 无锡市华文机电有限公司 两用化纤倍捻机
CN104451974A (zh) * 2013-09-18 2015-03-25 苏州英迈杰机械有限公司 倍捻机传动机构
CN104726972B (zh) * 2015-01-28 2017-02-22 上海兰宝传感科技股份有限公司 玻纤捻线机的电机驱动系统
CN106149112B (zh) * 2015-03-27 2018-05-04 常州市同和纺织机械制造有限公司 环锭纺纱机牵伸传动装置
CN107034559B (zh) * 2017-05-27 2022-08-05 杭州长翼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复合捻线机
CN109972431B (zh) * 2019-03-20 2024-01-30 江苏兴达钢帘线股份有限公司 一种捻股机机床刹车制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582B2 (ja) * 1980-03-03 1984-11-07 村田機械株式会社 捲取機に於けるリボン捲防止装置
US5174102A (en) * 1987-05-09 1992-12-29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Twist number setting device for a two-for-one twi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2107B1 (en) 2003-04-09
JPH1181054A (ja) 1999-03-26
DE69813122D1 (de) 2003-05-15
CN1210909A (zh) 1999-03-17
CN1215208C (zh) 2005-08-17
KR19990029663A (ko) 1999-04-26
DE69813122T2 (de) 2004-03-11
EP0902107A2 (en) 1999-03-17
EP0902107A3 (en) 200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401B1 (ko) 다중연사기
US5454151A (en) Arrangement for setting the tension of a thread
US6109066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yarn
EP0078979A1 (en) A yarn winding apparatus
JPH10251927A (ja) 仮撚り装置
US3805344A (en) Variable feed means for jet texturing apparatus
DE3176821D1 (en) Yarn winding apparatus
US3973739A (en) Winding apparatus
US5085045A (en) Double twist spindle apparatus
ES442724A1 (es) Perfeccionamientos en las bobinadoras de puas independien- tes.
US4316357A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yarn onto bobbins in the form of cones in spinning frames
EP1314803B1 (en) Device for detecting looseness in drafting rollers of spinning machine
KR870001477B1 (ko) 축선장치
RU307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наматывания нитей на партионной сновальной машине
JPH01267270A (ja) ターレット型自動切替え糸条巻取機
KR100737866B1 (ko) 섬유기계에 있어서의 모터의 제어장치
KR200350803Y1 (ko) 연사기의 서보모터와 타이밍 벨트의 조합에 의한 트래버스 전자구동장치
EP0902108A2 (en) Yarn winding machine
JP2643391B2 (ja) 精紡機のスピンドル駆動装置
US2216725A (en) Winding machine
JP2009126647A (ja) 巻取り装置及び巻取り方法
JP2004244773A (ja) 撚糸機の制御装置
JPH04341463A (ja) パーンワインダーの駆動方法
JPH0313329B2 (ko)
US2353101A (en) Strand twis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