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002B1 -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002B1
KR100382002B1 KR1019950066696A KR19950066696A KR100382002B1 KR 100382002 B1 KR100382002 B1 KR 100382002B1 KR 1019950066696 A KR1019950066696 A KR 1019950066696A KR 19950066696 A KR19950066696 A KR 19950066696A KR 100382002 B1 KR100382002 B1 KR 10038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subject
window
apertur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893A (ko
Inventor
윤용규
김홍주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6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002B1/ko
Publication of KR97004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창밖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촬영 모드 선택 수단과,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 수단과; 피사체 휘도량을 측정하는 측광 수단과;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와 휘도량에 따라 산출된 조리개량을 일정값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한 다음, 렌즈를 무한대에 해당하는 AF 스텝으로 이등시켜 보정된 조리개량에 따라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촬영 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렌즈를 해당 AF 스텝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수단과;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조리개를 개방시키고 셔터를 작동시켜 피사체 상을 필름에 노광시키는 촬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창밖 촬영장치는, 버스나 기차를 타고 가면서 창밖에 있는 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측정되는 피사체 저리에 따른 조리개량을 일정값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함으로서, 피사체 심도가 깊어져서 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 촬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이 발명은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카메라에 있어서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측정 되는 피사체 거리에 따른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여 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팩트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조절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자동 초점 조절 장치는 주로 삼각 측거의 원리를 이용한 액티브 초점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액티브 초점 방식을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는, 카메라의 전면부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가 피사체로 측거용 광을 발사하고 피사체에 반사된 광이 수광 렌즈를 통하여 수광부로 입사된다.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의 광축은 촬영 렌즈의 광축과 평행함으로,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은 피사체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광부의 광축에 대한 입사 각도가 작아지고, 피사체 거리가 가까울수록 입사각도가 커지게 된다.
상기 수광 렌즈의 후면에는 미세한 수광 소자가 기선장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수광 센서가 장착되어 있고, 피사체에 반사되어 입사된 광은 수광 센서중에서 입사 위치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로 입사되고, 상기 수광 센서의 어느 수광 소자로 입사되었는 가에 따라 입사 각도를 산출하여 그에 따라 피사체 거리를 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초점 조절 장치에 있어서, 무한원은 허용 가능한 거리 범위라고는 할 수 있지만 최적합 거리는 12 M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한 필름을 확대시키면 얼룩 무늬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버스나 기차를 타고 가면서 투명한 창을 통하여 멀리있는 풍경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발사된 광이 창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됨으로써, 창에 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져 무한대에 위치한 풍경 촬영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한 액티브 방식이외에 패시브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피사체 거리가 멀어질수록 피사체 심도가 깊어지기 때문에 무한원에 해당하는 풍경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티브 초점 조절 방식을 사용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버스나 기차를 타고 가면서 창밖에 있는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에 따른 조리개량을 일정값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함으로써, 피사계 심도가 깊어져서 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창밖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촬영 모드 선택 수단과;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 수단과;
피사체 휘도량을 측정하는 측광 수단과;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와 휘도량에 따라 산출된 조리개량을 일정값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한 다음, 렌즈를 무한대에 해당하는 AF 스텝으로 이동시켜 보정된 조리개량에 따라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촬영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렌즈를 해당 AF 스텝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수단과;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조리개를 개방시키고 셔터를 작동시켜 피사체 상을 필름에 노광시키는 촬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 거리와 피사체 휘도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촬영 제어 수단이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와 휘도량에 따라 조리개량 및 셔터구동 속도에 해당하는 노출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에서 산출된 조리개량에서 일정값을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하는 단계와;
한번 동작이 선택되면 렌즈를 무한대에 해당하는 AF 스텝으로 이동시키고, 촬영 수단이 상기에서 보정된 조리개량에 따라 조리개를 개방시켜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l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창밖 촬영 방법의 동작순서도이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의 구성은, 릴리즈 스위치(Sl)와, 촬영 모드 스위치(S2)와, 피사체 휘도량을 측정하는 휘도 측광부(10)와,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는 자동 측거부(20)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창밖 촬영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측정된 피사체 거리에 해당하는 조리개량을 일정값 감소시켜 설정하며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30)와, 상기 촬영 제어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렌즈를 해당 AF 스텝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부(40)와, 상기 촬영 제어부(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설정된 조리개량에 의하여 조리개를 작동시켜 피사체 상을 필름에 노광시키는 촬영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카레라에 전원이 인가되어 촬영 가능한 대기 상태가 되면, 촬영제어부(30)는 촬영 모드 스위치(S2) 작동에 따라 촬영 모드를 설정하고 릴리즈 스위치(Sl) 작동에 따라 설정된 촬영 모드에 해당하는 촬영동작을 수행한다.(S110∼S120).
상기에서 릴리즈 스위치(Sl) 1단이 작동되면 촬영 제어부(30)는 휘도측광부(10)와 자동 측거부(20)를 구동시켜 피사체 거리와 휘도량을 측정한다(S130).
상기에서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 및 피사체 휘도량에 따라 촬영제어부(30)는 셔터 구동 속도 및 조리개량에 해당하는 노출량을 산출한 다음, 현재 설정된 촬영 모드가 창밖 촬영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40∼Sl50).
사용자가 기차나 버스를 타고 가면서 창밖의 풍경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창밖 촬영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촬영 제어부(30)는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에 따라 산출된 조리개량에서 다음과 같이 일정값을 감소시켜 조리개경을 작게 설정한다(Sl60).
Ev = Ev - 0.5
다시 말하자면, 창밖 촬영 모드를 설정하여 창밖의 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거부(20)에서 발사된 측거 신호가 버스나 기차의창에 반사되어 그에 따른 피사체 거리 측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창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신호에 의하여 측정된 피사체 거리에 따라 설정된 조리개량에서 일정값을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함으로써, 피사계 심도가 깊어져서 초점이 맞춰지는 범위를 확대시켜 창밖에 위치한 피사체 촬영이 이루어지록 한다.
일반적으로 조리개경을 작게 하면 피사체 심도가 깊어지고, 조리개경을 크게 하면 피사계 심도가 얕아진다.
상기에서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측정된 피사체 거리에 따라 산출된 조리개경이 일정량 작아지도록 보정한 다음, 플래시 모드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플래시가 발광되지 않도록 한다.(Sl70).
즉, 피사체 거리가 무한대이므로 플래시의 연동 범위에 플래시 발광 영역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플래시 모드를 오프시켜 발광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진 다음 릴리즈 스위치(S1) 2단이 작동되면, 촬영제어부(30)는 렌즈 구동부(40)를 작동시켜 촬영 렌즈를 피사체 거리가 무한내에 해당하는 AF 스템으로 조출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기에서 보정된 노출량에 따라 촬영부(50)를 구동시켜 피사체 상을 필름에 노광시킨다.
상기 촬영부(50)는 촬영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셔터를 설정된 구동 속도에 따라 작동시키고 조리개를 보정된 조리개량에 따라 개방시켜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Sl90∼S200).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액티브 초점 방식을 사용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버스나 기차를 타고 가면서 창밖에 있는 무한내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측정되는 피사체거리에 따른 조리개량을 일정값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함으로서, 피사계 심도가 깊어져서 무한대에 위치한 피사체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제l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의 구성블록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창밖 촬영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Claims (4)

  1. 창밖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촬영 모드 선택 수단과;
    피사체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 수단과;
    피사체 휘도량을 측정하는 측광 수단과;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와 휘도량에 따라 산출된 조리개량을 일정값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한 다음 렌즈를 무한대에 해당하는 AF 스텝으로 이동시켜 보정된 조리개량에 따라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촬영 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렌즈를 해당 AF 스텝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수단과;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조리개를 개방시키고 셔터를 직동시켜 피사체 상을 필름에 노광시키는 촬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작 제어 수단은,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조리개량을 보정한 다음, 촬영시에 플래시가 발광되지 않도록 플래시 모드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3.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 거리와 피사체 휘도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촬영 제어 수단이 측정되는 피사체 거리와 휘도량에 따라 조리개량 및 셔터 구동 속도에 해당하는 노출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에서 산출된 조리개량에서 일정값을 감소시켜 조리개경이 작아지도록 보정하는 단계와 ;
    촬영 동작이 선택되면 렌즈를 무한대에 해당하는 Af 스텝으로 이동 시키고, 촬영 수단이 상기에서 보정된 조리개량에 따라 조리개를 개방시켜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창밖 촬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창밖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조리개경을 보정한 다음, 촬영시에 플래시가 발광되지 않도록 플래시 모드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창밖 촬영 방법.
KR1019950066696A 1995-12-29 1995-12-29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8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696A KR100382002B1 (ko) 1995-12-29 1995-12-29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696A KR100382002B1 (ko) 1995-12-29 1995-12-29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893A KR970048893A (ko) 1997-07-29
KR100382002B1 true KR100382002B1 (ko) 2003-08-14

Family

ID=3741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696A KR100382002B1 (ko) 1995-12-29 1995-12-29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0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024A (ja) * 1988-11-28 1990-06-0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H03132611A (ja) * 1989-10-18 1991-06-06 Chinon Ind Inc カメラズームレンズ自動変倍装置
JPH0415629A (ja) * 1990-05-09 1992-01-21 Fuji Photo Optical Co Ltd 星座撮影モードを有するカメラ
JPH0520036U (ja) * 1991-08-27 1993-03-12 株式会社リコー 多重露出撮影可能なカメラ
JPH05142617A (ja) * 1991-11-21 1993-06-11 Nikon Corp 撮影補助機能を有するカメラ
JPH05249364A (ja) * 1992-03-06 1993-09-28 Canon Inc カメラ及びズ−ムレン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024A (ja) * 1988-11-28 1990-06-0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H03132611A (ja) * 1989-10-18 1991-06-06 Chinon Ind Inc カメラズームレンズ自動変倍装置
JPH0415629A (ja) * 1990-05-09 1992-01-21 Fuji Photo Optical Co Ltd 星座撮影モードを有するカメラ
JPH0520036U (ja) * 1991-08-27 1993-03-12 株式会社リコー 多重露出撮影可能なカメラ
JPH05142617A (ja) * 1991-11-21 1993-06-11 Nikon Corp 撮影補助機能を有するカメラ
JPH05249364A (ja) * 1992-03-06 1993-09-28 Canon Inc カメラ及びズ−ム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893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01669A (ja) 撮像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0382002B1 (ko) 카메라의 창밖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4831404A (en) Automatic focusing camera
JPH08211283A (ja) 自動焦点カメラ
JPH04104235A (ja) ズームレンズ付カメラ
JP2016151714A (ja) 光学機器の制御方法、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影システム
JPH095843A (ja) カメラ
JP2015001671A (ja) 撮像装置、照明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4635427B2 (ja) マスタ閃光装置
KR200170178Y1 (ko) 보조광을 이용한 카메라의 패시브 방식의 자동 측거 장치
JP2019028281A (ja) 撮像システム
CN108712617B (zh) 进行反射闪光拍摄的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5182323B2 (ja) マスタ閃光装置
JP2849610B2 (ja) マルチフォーカスカメラ
JPH04254813A (ja) Afカメラの被写界深度確認モード機構
JP2000089290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KR100244951B1 (ko) 측거 영역이 가변되는 패시브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3145508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533176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2021152575A (ja) 発光制御装置及び発光制御方法
JP2562197B2 (ja) カメラの制御装置
JPH0593849A (ja) カメラのリモコン対応装置
JP2006091108A (ja) カメラ
JP2006119556A (ja) デジタルカメラ用外付けストロボの発光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9144478A (ja) 照明装置、撮像システム、照明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