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877B1 - 디지탈신호전송장치,디지탈신호전송방법및디지탈신호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신호전송장치,디지탈신호전송방법및디지탈신호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877B1
KR100380877B1 KR1019950019427A KR19950019427A KR100380877B1 KR 100380877 B1 KR100380877 B1 KR 100380877B1 KR 1019950019427 A KR1019950019427 A KR 1019950019427A KR 19950019427 A KR19950019427 A KR 19950019427A KR 100380877 B1 KR100380877 B1 KR 100380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signal
roll
qpsk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204A (ko
Inventor
짜끼야스유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8Unequal error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목적) 디지탈 신호를 적외선 송신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규격화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송신한다.
(구성) 롤-오프 필터(132,133)를 가진 QPSK 변조회로(13)를 설치하고, 입력 디지탈 신호에 대해서 롤-오프 필터 처리 및 QPSK 변조처리를 행함으로써 대역이 축소된 디지탈 변조신호 S2 를 형성하며, 상기 디지탈 변조 음성신호 S2 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시킴으로써 규격화된 주파수 대역내에 수납된 적외선 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신호전송장치, 디지탈 신호전송방법 및 디지탈 신호 송수신 장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전송장치, 디지탈 신호전송방법 및 디지탈 신호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무선 전송 방식에 따른 디지탈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이러한 종류의 음성신호전송방법으로서 적외선 전송방법이 있다. 적외선 전송방법에 있어서는 송신측에서 음성신호를 주파수 변조하고, 이 주파수 변조신호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함으로써 전송음성신호를 생성한다. 수신측에서는 이 전송음성신호를 적외선 수광기로 수광한 후 복조한다.
이러한 종류의 음성신호전송방법에 있어서는 전송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다수의 오디오 기기에 일괄하여 소망의 음성 신호를 전송 가능하다. 예를들면 무선 헤드폰이나 스피커 장치 등에 이용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적외선 전송 방법에서는 음성신호를 아나로그 변조하여 전송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가 열화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디지탈 음성신호에 의한 적외선광 에미터를 구동함으로써 고음질의 디지탈 음성신호를 적외선 전송방법에 의해 전송하는 음성신호전송방법이 본원 출원인에 의해 미국 특허원 제 5,394,259 호에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음성신호전송방법에서는 본래 동축 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디지탈 음성신호 또는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변조한 디지탈 음성 신호를 그대로 이용하여 적외선광 에미터를 구동하고 있다.
이와같이 얻은 디지탈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의 CP-1205 에 규정된 적외선 전송에 관한 부반송파의 주파수 할당을 지키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CP-1205 에서는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주파수 할당(부반송파)이 규정되어 있고, 0.33∼0.4[MHz]의 대역에서 리모콘 신호를 0.4∼1[MHz]의 대역에서 회의 시스템용의 신호 및 아나로그 음성신호를 1∼2[MHz]의 대역에서 각종의 데이타를 2∼6[MHz]의 대역에서 고음질의 음성신호를 6∼30[MHz]의 대역에서 영상 신호를 각각 전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같은 디지탈 음성신호는 2∼6[MHz]의 주파수 대역내에 수납되도록 전송되어야 하지만 종래 디지탈 음성신호는 이 주파수 대역 이외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된 것으로 디지탈 음성 신호를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규격화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전송하여 얻어짐과 더불어 수신측에서 소망의 신호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디지탈 신호전송장치, 디지탈 신호전송방법 및 디지탈 신호 송수신 장치를 제안하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지탈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필터 처리하여 대역을 축소하는 소정의 롤-오프율(roll-off rate)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필터 처리후의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각각 2 상 위상 변조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QPSK 변조수단을 설치하고, QPSK 변조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탈 변조신호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적외선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디지탈 신호에 포함된 데이타의 미리 정해놓은 중요도에 따라 디지탈 신호를 복수의 데이타로 분할하는 데이타 분할수단과, 분할된 각 데이타의 1 개에 대해서 롤-오프 정형함과 더불어 QPSK 변조를 실시하는 QPSK 변조수단과, 분할된 각 데이타의 1 개에 대해서 롤-오프 정형함과 더불어 BPSK 변조를 실시하는 BPSK 변조수단과, 분할된 각 데이타의 1 개에 대해서 롤-오프 정형함과 더불어 16QAM 변조를 실시하는 16QAM 변조수단과, BPSK 변조 후의 데이타와 16QAM 변조후의 데이타와 QPSK 변조후의 데이타를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설치하고 가산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탈 변조신호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적외선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작 용
디지탈 신호는 롤-오프 필터를 가진 QPSK 변조수단에 의해 변조됨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대역으로 대역 제한된다.
따라서, 이 대역 제한된 디지탈 변조신호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시킨다면 규격화된 주파수 대역내에 수납된 적외선 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디지탈 신호의 데이타의 중요도에 따라서, 상이한 변조처리(QPSK 변조. 16QAM 변조, BPSK 변조)를 행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데이타 범위, 전송 도달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수신측에서는 송신측과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음질이 열화하는 것과 같은 자연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측에서 소망의 신호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제 1 실시예
제 1 도에 있어서, 도면 부호 1 은 전체로서 디지탈 음성신호를 적외선 전송방식에 따라 전송하는 음성신호전송장치를 도시하며, 디지탈-오디오 기기(2)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음성신호 S1 을 동축 케이블 또는 광파이버 등을 거쳐서 송신기(3)에 입력한다.
송신기(3)에서는 IEC(국제전기표준회의)에 따른 IEC-958(DIO)에 근거한 디지탈 음성신호 S1 이 적외선 전송에 적합한 구조로 재 포맷된다. 이것은 DIO 에서는 예를들면 3.072[Mbps]x2(2 를 곱하는 것은 Biphase 변환때문)의 전송 레이트의 데이타가 존재하므로 대역이 3∼6[MHz]에 수납되지 않기 때문이다.
재포맷된 신호는 디지탈 변조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변조음성신호 S2 가 적외선광 에미터(4)에 송출된다. 적외선광 에미터(4)는 증폭회로, 발광 다이오드(또는 레이저 다이오드), 렌즈 및 광필터 등에 의해 구성되며 변조음성신호 S2 에의거하여 구동됨으로써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광전송신호 S3 을 발생한다.
광전송 신호 S3 은 광필터, 렌즈, 포토다이오드(또는 포토 트랜지스터) 및 증폭회로 등으로 이루어진 적외선 수광기(5)에 의해서 변조음성신호 S4 로 변환되고, 상기 변조음성신호 S4 가 수신기(6)에 입력된다. 수신기(6)는 송신기(3)로 행한 처리와 역처리를 행하고, 변조음성신호 S4 를 복조함으로써 디지탈 음성신호 S1과 동일한 데이타 구성으로 된 복조음성신호 S5 를 형성하며, 상기 복조음성 신호 S5 를 동축 케이블 또는 광파이버 등을 거쳐서 스피커 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아나로그 오디오 기기(7) 및 디지탈 오디오 기기(8)로 송출한다.
여기서 송신기(3)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송신기(3)는 입력된 디지탈 음성신호 S1 을 입력회로(10), 패리티 부가회로(11)를 거쳐서 재 포맷 회로(12)에 입력한다. 패리티 부가회로는 디지탈 음성신호 S7 에 대해서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하고, 그 결과 얻어진 디지탈 음성신호 S9 를 재포맷 회로(12)에 공급한다.
재포맷 회로(12)는 디지탈 음성신호 S9 로부터 불필요 데이타 또는 중복된 데이타, 예를들면 블럭 동기 신호 또는 서브 프레임 동기신호를 제거한 후, IEC-958(DIO)의 블럭 구조를 보존하고, 필요하다면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함으로써 소정의 비트 스트림을 형성한다. 이 결과 제 포맷 회로(12)는 불필요한 데이타를 제거함으로써 디지탈 음성신호 S9 의 대역을 좁게 할 수가 있으며, 디지탈 음성신호 S9 에 에러 정정용의 데이타를 부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3 도에 DIO 블럭 구조를 도시한다.
송신기(3)는 디지탈 음성신호 S1 을 입력회로(10)를 거쳐서 블럭변환회로(15)에 공급한다. 블럭변환회로(15)는 PLL 회로, 분주회로 및 체배(증배) 회로 등으로 구성되며, 디지탈 음성신호 S1 의 데이타 블럭(샘플링 주파수) S6 을 상술의 패리티 부가회로(11) 및 재포맷 회로(12)에서 어느쪽 위치의 데이타가 증가하는지의 정보(미리 설정되어 있는)에 의거하여 적합하게 변환함으로써 채널 클럭 S8 을 생성한다.
실제상 디지탈 음성신호 S1 은 디지탈 프로세서, 콤팩트 디스크 재생장치 및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 등의 디지탈 오디오 기기(2)(제 1 도)로부터 재생된 샘플링 주파수가 32[KHz], 44.056[KHz], 44.1[KHz] 또는 48[KHz], 양자화 비트가 20[bits]∼24[bits], 샘플링 주파수가 48[KHz]의 경우(즉,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제한하는 경우에 가장 엄한 조건)에서의 전송 레이트가 3.072[Mbps]의 신호이며, 즉 IEC(국제전기표준 회의)에 의한 IEC-958 에 근거한 디지탈 음성신호이다.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회로(13)에는 재포맷 회로(12)로부터 출력된 재포맷 신호 S10 및 샘플링 주파수 신호 S6 를 블럭 변환하여 얻은 채널 클럭 S8 이 입력된다. 그리고 QPSK 변조회로(13)는 채널 클럭 S8 를 참조하면서 재포맷 신호 S10 에 대해서 4 상의 위상변조를 행함으로써 재포맷 신호 S10 을 소정의 주파수 범위내에 수용한다.
이와같이 하여 QPSK 변조회로(13)는 디지탈 음성신호 S1 을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음질 음성전송대역으로서 할당되고 있는 2[MHz]∼6[MHz]의 대역중 아나로그 헤드폰 등에 할당되고 있는 2.3[MHz] 또는 2.8[MHz]를 피해서 주파수 대역이 3[MHz]∼6[MHz]내에 수납된 바와 같은 변조음성신호 S2 로 변조한다.
여기서 QPSK 변조회로(13)의 구체적 구성을 제 5 도에 도시한다. 재포맷 신호 S10 은 스위치 SW1 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스위치 SW1 에서는 채널 클럭 S8에 의거하여 단자 a 또는 b 의 어느것이 선택된다. 즉, 채널 클럭 S8 이 샘플링 주파수 44.056[KHz] 또는 44.1[KHz]에 상당하는 경우에는 단자 a 가 선택되고, 32[KHz] 또는 48[KHz]에 상당하는 경우에는 단자 b 가 선택된다.
여기서 채널 클럭 S8 에 의거하여 스위치 SW1 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하고 있지만 데이타 클럭 S6 을 사용하여 스위쳐 SW1 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채널 클럭 S8, 데이타 클럭 S6 의 어느쪽을 사용하여도 디지탈 음성 신호 S1 의 샘플링 주파수를 아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샘플링 주파수를 알 수 있다면 좋기 때문에 IEC-958(DIO)에 포함된 신호이며 샘플링 주파수를 판별할 수 있는 신호라면 어떠한 신호를 사용하여서 스위쳐 SW1 의 전환을 행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샘플링 주파수가 44.056 또는 44.1[KHz]인 경우, 재포맷 신호 S10 은 그대로 직/병렬 변환회로(131)에 입력된다. 이것에 대해서 샘플링 주파수가 32 또는 48[KHz]인 경우는 패칭회로(130)를 거쳐서 직/병렬 변환회로(131)에 입력된다. 패칭회로(130)는 32[KHz]의 데이타가 입력된 경우에서도 48[KHz]의 샘플링 주파수에 대응하는 채널 클럭으로 데이타를 판독, 데이타 클럭을 형성한다.
단, 32[KHz]의 데이타를 48[KHz]에 대응하는 채널 클럭으로 판독하기 위해 1 블럭에 데이타가 매설되지 않는다.
그리고 패칭회로(130)는 무효 데이타를 삽입한다. 소위 패칭 처리를 실시한다. 덧붙여서 이때 블럭의 1/3 이 무효 데이타가 된다. 이와같은 패칭처리를 실시함으로써 32[KHz]의 신호를 48[KHz]의 신호로서 다루는 것이 가능하며, 1 쌍의 롤-오프 필터에 의해 처리가 가능하다. 이결과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재포맷 신호 S10 은 직/병렬 변환회로(131)에서 I 데이타 S11 과 Q 데이타 S12 로 병렬 변환된다. I 데이타 S11 과 Q 데이타 S12 는 각각 롤-오프 필터(132,133)에 공급된다.
여기서 롤-오프 필터(132A) 및 (133A)는 샘플링 주파수 44.056 및 44.1[KHz]의 신호를 1 개의 샘플링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로 간주하여 필터 처리한다. 이것은 이것들 2 개의 신호 샘플링 주파수가 극히 근접하고 있기 때문이다.
롤-오프 필터(132B) 및 (133B)는 48[KHz]의 신호에 대응한 필터 처리를 행한다. 이들 2 종류의 필터의 전환은 스위쳐 SW2, SW3 에서, 스위쳐 SW1 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필터 처리된 후 I 데이타 S13, Q 데이타 S14 는 승산(곱셈) 회로(134,135)에 각각 공급된다.
승산회로(134)는 반송파 발생회로(136)에서 생성된 반송파 fc 와 I 데이타 S13 을 승산하고, 그결과 얻은 변조신호 S15 를 가산회로(138)에 송출한다. 한편, 승산회로(125)는 위상 천이기(phase shifter)(139)에서 π/2 만큼 위상을 이동한 반송파 fc 와 Q 데이타 S14 를 승산하고 그 결과 얻은 변조신호 S16 을 가산회로(138)에 송출한다. 가산회로(138)에 의해 변조신호 S15, S16 에 가산되어 디지탈 음성신호(재포맷 신호) S10 으로 반송파 fc 를 QPSK 변조한 변조음성신호S2 가 얻어진다.
이 실시예의 경우, 2 쌍의 롤-오프 필터(132, 133)의 롤-오프율은 20∼30[%]로 선정되어 있고, 그 결과 QPSK 변조회로 (13)에서는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할 수 있는 만큼의 전송량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QPSK 변조회로(13)로부터 출력된 변조음성신호 S2 는 증폭회로(14)를 거쳐 계속해서 적외선광 에미터(4)(제 1 도)에 송출된다. 적외선광 에미터(4)로부터 규격화된 주파수 대역내에 수용된 광전송 신호 S3 을 출력 가능하다.
이와같이 송신기(3)에서는 20∼30[%]의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132,133)에 의한 필터 처리와, QPSK 변조 처리를 조합시킴으로써 규격화된 주파수내에 디지탈 음성신호를 유효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것을 제 6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6A 도는 샘플링 주파수 48[KHz]의 신호를 단지 QPSK 에 의해 변조한 경우의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이경우, 캐리어 주파수 fc(예를들면 4.5[KHz])를 중심으로 해서 대역이 3.072[MHz]로 된다. 따라서 단지 QPSK 변조한 만큼은 디지탈 음성신호를 3∼6[MHz]내에 수용할 수 없다.
여기서 송신기(3)에서는 롤-오프 필터 처리와 QPSK 변조 처리를 조합시켜 더 욱 대역을 좁게 한다. 제 6B 도에 롤-오프 필터의 특성을 도시한다. 디지탈 음성 신호를 3[MHz]∼6[MHz]내에 수용하기 위해 소정량의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하기 위해서는 롤-오프율을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그다지 급준한 것은 실제상 실현이 곤란하므로 20∼30[%]가 적당하다. 이때문에 실제예에서는 롤-오프율을 이 값으로 선정하고 있다. 제 6B 도에서의 fch는 전송로상에서의 채널 클럭 주파수를 표시하고 Tch는 심볼의 시간 간격을 표시한다.
제 6C 도는 이 실시예와 같은 롤-오프 필터 처리와 QPSK 변조 처리를 조합시켜 3[MHz]∼6[MHz]내에 수용한 디지탈 음성 신호를 도시한다. 신호의 양단에 다소의 여유(가드 밴드)를 갖고 있는 것은 수신측에서 밴드 패스 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처리를 행할 경우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수신기(6)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수신기(6)는 적외선 수광기(5)로부터 출력된 변조음성신호 S4 를 증폭회로(20)를 거쳐서 QPSK 복조회로(21) 및 반송파 검출회로(22)에 입력한다. QPSK 복조회로(21)는 반송파 검출회로(22)에 의해서 검출된 반송파 신호 S22 를 참조하면서 변조음성신호 S20 을 복조함으로써 재포맷 신호 S10(제 2 도)와 동일한 비트 스트림으로 된 복조음성신호 S21 을 형성하고 상기 복조음성신호 S21 을 포맷 복원회로 (23)에 송출한다.
포맷복원회로(23)는 재포맷회로(12)와 역 처리를 행하여 복조음성신호 S21로부터 IEC-958 에 근거한 디지탈 음성신호 S23 을 형성하고 상기 디지탈 음성 신호 S23 을 에러정정회로 (24)에 송출한다. 에러 정정 회로(24)는 디지탈 음성신호 S23 에 수용된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사용해서 전송시에 발생한 에러를 정정하고 그결과 얻은 디지탈 음성신호 S24 를 출력회로(25)에 송출한다.
이때 에러정정회로(24)는 에러가 정정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하고 에러정정불능의 경우에는 출력회로(25)에 출력제어신호 S25 를 송출하여 출력회로(25)의 출력 동작을 정지시킨다.
덧붙여 이 실시예의 경우, 에러정정용 패리티는 리드 솔로몬 부호가 이용되며 에러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정정 코드의 거리 d 에 대해서 정정가능 범위 r 을 다음식
d > 2r .... (1)
에 도시한 바와같이 설정하고 이 범위내에서 에러를 정정한다.
출력회로(25)는 디지탈 음성신호 S24 의 데이타 레이트를 후단의 오디오 기기에 적합한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복조음성신호 S5 를 형성하여 이것을 출력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실시예의 송신기(3)는 아래와 같이 하여, 예를들면 3.072[Mbps]의 신호를 주파수 대역 3[MHz]∼6[MHz]내에 수용한다. 송신기(3)는 입력 디지탈 음성 신호로부터 불필요한 데이타를 제거한다. 송신기(3)는 데이타에 에러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한다. 이때 원래 신호와 비교하여 패리티로부터 불필요한 데이타를 뺀 만큼 데이타가 증가한다.
다음에 송신기(3)는 이와같은 데이타에 대해서 QPSK 변조처리를 실시한다. 이 QPSK 변조처리를 실시할 때에 디지탈 음성신호에 대해서 20∼30[%]의 롤-오프율로 롤-오프 디지탈 처리를 실시한다. 이결과 예를들면 롤-오프율을 30[%]로 설정하면 캐리어 주파수 fc(=4.5[MHz])를 중심으로 해서 약 2.0[MHz]∼2.6[MHz]의 대역폭을 가진 변조음성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대역폭은 패리티의 양에 의해 약간 변화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IEC-958 에 근거한 디지탈 음성신호 S1 에 대해서 롤-오프 필터 처리 및 QPSK 변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적외선 전송 규격에 근거한 주파수 대역내에 수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외선 전송장치(1)에서는 이결과 얻어진 변조음성신호 S2 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4)를 구동함으로써 적외선 전송 규격에 근거한 광전송 신호 S3 를 얻을 수 있다.
4 종류의 샘플링 주파수로 이루어진 디지탈 음성신호 S1 을 2 개의 롤-오프 필터에 의해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간결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롤-오프 필터의 롤-오프율을 20[%]부터 30[%]로 설정함으로써 소정의 전송량내에 에러정정 코드를 부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도와 대응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도시한 제 8 도에 있어서 100 은 전체로서 제 2 실시예의 송신기를 도시하며 제 1 도의 송신기(3)에 대응한다. 송신기(100)는 입력된 디지탈 음성신호 S1 을 입력회로(10)를 거쳐서 패리티 부가회로(30)의 데이타 분류회로(31)에 송출한다. 데이타 분류회로(31)는 데이타 음성신호 S1 에 포함된 데이타의 중요도 (DIO 포맷에 의해 정해진)에 의거하여 가장 중요한 데이타를 에러 코드 부가 회로(32B)에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데이타를 에러 코드 부가회로(32C)에 각각 송출한다.
에러 코드 부가회로(32A)는 입력된 데이타에 대해서 다수의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하여 에러 코드 부가회로 (32C)는 입력된 데이타에 대해서 적지 않은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하고 에러 코드 부가회로(32B)는 에러 코드부가회로(32A) 보다도 적고 에러 부가회로(32C) 보다도 많은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부가한다.
에러 코드 부가회로(32A∼32C)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는 멀티플렉서(33)를 거쳐서 재포맷 회로(12)에 입력된다. 재포맷 회로(12)에 의해 상술한 바와같이 재포맷된 데이타는 QPSK 변조회로(13)에 출력되고, 상기 QPSK 변조회로(13)에 의해 변조됨으로써 적외선 전송 규격에 근거한 주파수 대역내에 수용되며, 변조음성신호 S15 로서 출력된다.
실제상 IEC-958 에 근거한 디지탈 음성신호 S1 에 포함된 데이타중 유져 비트, 패리티 비트 및 상태 비트등의 데이타는 대단히 중요하므로 데이타 분류회로(31)는 이들의 데이타를 에러코드 부가회로(32A)에 송출한다. 샘플링 데이타중에는 MSB(Most Significant bit)로부터 LSB(Least Significant bit)로라면 중요도가 낮으므로 이 순서로 에러 코드 부가회로(32A)로부터 에러 코드 부가회로(32C)로 데이타를 배분한다.
이 결과 에러 정정용 패리티의 다수 부가된 데이타는 전송시에 동일한 비트 에러 레이트가 발생한 경우, 다른 데이타 보다도 정정 능력이 높으므로 수신측에서 복원되기 쉽다.
이것에 대해서 에러 정정용 패리티의 적지 않은 데이타는 복원 능력이 낮으므로 복원되기 어렵다. 환언하면 송신기 (100)에 있어서는 디지탈 음성 신호 S1에 포함된 데이타에 대해서 가중 처리를 행하고 있다.
송신기(100)에서는 이것을 이용하여 소위 그로스풀 정의(gross fulldeclaration)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송신기(100)에 의해 형성된 변조음성신호 S15 에 의거하여 적외선광 에미터(4)를 구동한다면 송신측과 수신측의 거리가 벌어짐에 따라 수신측에서는 에러 정정용 패리티의 적지 않은 데이타로부터 순서적으로 음질이 열화한다. 이결과 송신기(100)는 수신기(6)와의 거리가 어느 일정치 이상으로 될 때 돌연 전체 음성이 중도에서 끊어지는 일은 없으며 마치 아나로그 음성신호의 음질이 서서히 열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신측에 자연스런 음성을 공급할 수가 있다.
송신기(100)에서는 에러 정정용 패리티의 부가량을 소망의 값으로 미리 설정함므로써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전송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를 향상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송신기(100)는 데이타 음성신호 S1 에 포함된 데이타의 중요도에 따라 데이타를 배분한다.
다음에 이 배분된 데이타에 대해서 중요도가 높은 데이타에 대해서는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다수 부가하고 중요도가 낮은 데이타에 대해서는 에러 정정용 패리티의 부가량을 작게 한다.
다음에 에러 정정용 패리티가 부가된 데이타를 QPSK 변조하고 이결과 얻은 변조신호 S15 를 적외선광 에미터(4) (제 1 도)에 공급함으로써 광전송 신호 S3 을 얻는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광전송신호 S3 은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신기까지의 거리가 길게 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신기에 도달한 데이타량이 감소함으로써수신측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한 아나로그 전송의 경우에 가까운 자연음을 수신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중요도가 높은 데이타 범위의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다수 부가한 후 QPSK 변조를 하도록 함으로써 그로스풀 정의를 실현하여 얻고 수신측에서의 음질을 각별히 향상한다.
다른 실시예
상술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디지탈 음성신호 S1 에 포함된 데이타를 중요도에 따라 배분하고, 중요도가 큰 데이타 데이타에 에러 정정용 패리티를 다수 부가함으로써 그로스풀 정의를 실현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들면 송신기(3)(제 1 도)로서 그로스풀 정의를 실현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제 3 도의 대응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도시한 제 10 도에 있어서, 송신기(200)는 재포맷 회로(12)로부터 출력된 재포맷 신호 S10 을 데이타 분류회로(41)에 의해 데이타의 중요도 등에 따라 복수의 데이타로 분류한다. 분류된 데이타는 디지탈 변조부(42)에 의해 상이한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되고, 규격 주파수 대역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변조부(42)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회로(42A), QPSK 변조회로(42B) 및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회로(42C)로 구성하면 좋다. 각 변조회로(42A∼42C)에서는 상술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롤-오프 필터에 의한 파형 정형을 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각 변조방식의 데이타량의 비율은 이하의 고려 방법에 의거하여 정해진다. 즉, 디지탈 음성신호를 QPSK 변조만으로 전송한 경우, 이 QPSK 변조에 있어서 대역폭을 1 , 전송 데이타량은 1 로 규격화한 경우, BPSK 변조, QPSK 변조, 16QAM 변조의 데이타 비율을 x, y, z 라 하면, 데이타량에 대해서는 다음식
x+y+z=1 .... (2)
이 성립하고, 대역폭에 대해서는, 다음식
2x+y+z/2=1 .... (3)
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 2 개의 식으로부터 각 변조방식의 데이타량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QPSK 변조와 동일한 데이타량을 전송하려면 BPSK 변조에서는 2배의 대역을 필요로 하고 16QAM 변조에서는 1/2 의 대역으로 끝내기 위해 대역폭에 있어서 (2)식이 성립한다.
각 디지탈 변조회로(42A∼42C)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 (S30A∼S30C)는 가산회로(43) 및 증폭회로(14)를 거쳐서 적외선광 에미터에 공급된다. 각 변조방식마다 데이타의 전송 거리가 변화함으로써 그로스풀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QPSK 변조회로(13)의 실현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롤-오프 필터(132,133)를 직/병렬 변환회로 (131)의 후단 반송파에 의한 위상 변조의 전단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으며 위상 변조 후단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기(3)의 QPSK 변조회로 (13)에 롤-오프율 20∼30[%]의 롤-오프 필터를 설치한 경우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으며, 변조측 및 보조측 각각에 롤-오프 필터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경우에는 변조측의 롤-오프 필터와 복조측의 롤-오프 필터를 합친다면 롤-오프율이 20∼30[%]가 되도록 각 롤-오프 필터를 구성하면 좋다. 즉, 롤-오프의 실현은 전송로 전체로 성립하면 좋다. 통상은 송신축(변조측), 수신측(변조측)에서 같게 배분한 루트를 오프 특성을 가진 필터를 사용한다면 좋다.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IEC-958 에 근거한 디지탈 음성 신호 S1 을 규격으로 정한 주파수 대역내에 넣어 적외선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으며, 이것 이외의 데이타, 예를들면 미니디스크 (MD) 장치에 의해 구한 데이타, 컴퓨터 데이타 등의 데이타를 적외선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며, 상술의 실시에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의 데이타는 헤드 등을 가진 것등에 의해 식별 가능하다.
또한 수신측에 반송 기능을 부여하면 송신측의 발광 방향등을 수신측에서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제어하여 얻고, 한층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축소함으로서 노이즈가 줄어든 에러 레이트를 향상하여 얻고, 결과적으로 동일 송신 출력한 경우에 전송거리를 연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적외선광 에미터(4)에 의해 협각 전송을 함으로써 얻는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수신측이 스피커와 같이 고정된 것인 경우에 유효하다.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지탈 오디오 기기(2)와 송신기(3), 적외선광 에미터(4)를 별개의 몸체로 설치함과 아울러 아나로그 오디오 기기(7) 또는 디지탈 오디오 기기(8)와 적외선 수광기(5), 수신기(6)를 별개의 몸체로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으며, 송신기(3) 및 적외선광 에미터(4)를 디지탈 오디오 기기(2)에 설치함과 아울러 적외선 수광기(5) 및 수신기(6)를 아나로그 오디오 기기(7) 또는 디지탈 오디오 기기(8)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신호전송장치를 이용한 음성신호전송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 2 도는 실시예의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3 도는 DIO 규격의 데이타 블럭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제 4 도는 실시예의 음성신호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전송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개략도.
제 5 도는 실시예의 QPSK 변조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6 도는 실시예에 따른 롤 오프 필터(role-off filter)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7 도는 실시예의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8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9 도는 그로스 풀 정의(gross full declaration)의 설명에 제공되는 수신기까지의 거리와 도달하는 데이터와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제 10 도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11 도는 적외선 전송에 관한 주파수 할당 규격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성신호전송장치 3, 100, 200 : 송신기
4 : 적외선광 에미터 5 : 적외선 수광기
6 : 수신기 10 : 입력 회로
11, 30 : 패리티 부가회로 12 : 재포맷 회로
13 : QPSK 변조회로 21 : QPSK 복조회로
23 : 포맷 복원회로 24 : 에러 정정회로
32A 내지 32C : 에러 코드 부가회로
41 : 데이타 분류 회로
42A : QPSK 변조회로 42B : QPSK 변조회로
42C : 16QAM 변조회로 130 : 패칭회로
131 : 직/병렬 변환회로 132, 133 : 롤오프 필터
136 : 반송파 발생회로 SW1 내지 SW3 : 스위치
S1 : 디지탈 음성신호
S2, S4, S15, S30A 내지 S30C : 변조음성신호
S3 : 광전송신호 S5 : 복조음성신호
S6 : 샘플링 주파수 신호 S8 : 채널 클럭
S10 : 재포맷 신호 S11 : I 데이타
S12 : Q 데이타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탈 신호를 직/병렬 변환하여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필터처리하여 대역을 협소케 하며, 소정의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필터 처리후의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각각 2 상 위상 변조하는 수단과, QPSK 변조수단을 설치하고, QPSK 변조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탈 변조신호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적외선을 발생시켜 규격화된 주파수 대역내에 디지탈 신호를 적외선 전송하여 얻은 디지탈 신호 전송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탈 신호에 포함된 데이타의 미리 정해져 있는 중요도에 따라서 각각 다른 변조 처리를 행하고 각각 롤-오프 필터를 가진 복수의 변조수단을 설치하고 각 변조수단에 의해서 변조된 디지탈 변조신호에 의거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시킴으로써 규격화된 주파수 대역내에서 디지탈 신호를 적외선 전송할 수 있고 수신측에 대해서 소망의 신호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디지탈 신호전송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31)

  1.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이 축소되도록 하는 미리 정해진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QPSK-변조수단과;
    상기 QPSK-변조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프 필터의 롤-오프율은 약 20 내지 30%인 디지탈 신호 송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신호는 32 KHz, 44.056 KHz, 44.1 KHz, 48 KHz 중 하나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QPSK-변조 수단은 상기 디지털 신호를 3 MHz 내지 6 MHz의 주파수 대역내로 설정하는 디지탈 신호송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신호는 32 KHz, 44.056 KHz, 44.1 KHz, 48 KHz 중 하나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QPSK-변조 수단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3 MHz 내지 6 MHz의 주파수 대역내로 설정하는 디지탈 신호송신장치.
  5.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를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수신하는 입력수단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제 1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1 신호와 제 2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2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들의 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샘플링 주파수는 m:n (m>n, m,n 은 양의 정수)의 비율을 가지는,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이 축소되도록 하는 미리 정해진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QPSK-변조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신호를 제 1 신호에서와 같이 처리하기 위하여 패칭하는 패칭 수단이 제공된, 상기 QPSK-변조 수단과;
    상기 QPSK-변조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의 세트는 제 3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3 신호와 제 4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4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서로 근접 주파수이며;
    상기 롤-오프 필터는 상기 제 1 신호를 롤-오프 정형하는 제 1 롤-오프 필터와, 상기 제 3 신호 및 제 4 신호를 하나의 샘플링 주파수로 롤-오프 정형하는 제 2 롤-오프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롤-오프 필터의 출력과 상기 제 2 롤-오프 필터의 출력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출력을 상기 변조 반송파에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각각 32 KHz, 48 KHz, 44.056 KHz, 44.1 KHz 인 디지탈 신호 송신 장치.
  8. 디지털 송신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이 축소되도록 하는 미리 정해진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I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QPSK-변조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디지탈 신호에 에러 정정용 부호를 부가하며, 상기 에러 정정용 부호가 제공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QPSK-변조수단에 공급하는 에러 정정 부호 부가 수단과;
    상기 QPSK-변조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부호 부가 수단은, 상기 디지탈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 값들의 각각의 하나의 데이터 값에 미리 정해져 있는 중요도에 따라서 상기 디지탈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 값들로 분할하는 데이타 분할수단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값들의 각각의 하나의 데이터 값에 상이한 에러 정정 부호를 부가하기 위한 복수의 에러 정정 부호 수단들과;
    상기 상이한 에러 정정 부호들이 제공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값을 가산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탈 신호 송신 장치.
  10.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며, 상기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이 축소되도록 롤-오프율 필터링하며, 상기 롤-오프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함에 의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QPSK-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QPSK-변조된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여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QPSK-변조 단계에서 이용된 상기 롤-오프 필터링의 롤-오프율은 약 20 내지 30 %인 디지탈 신호 송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32 KHz, 44.056 KHz, 44.1 KHz, 48 KHz 중 하나를 갖는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32 KHz, 44.056 KHz, 44.1 KHz, 48 KHz 중 하나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QPSK-변조 수단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3 MHz 내지 6 MHz의 주파수 대역내로 설정하는 디지탈 신호송신장치.
  14.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제 1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1 신호와 제 2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2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들의 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샘플링 주파수는 m:n (m>n, m,n 은 양의 정수)의 비율을 가지는, 상기 수신 단계과;
    상기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이 협소하게 되도록 롤-오프 필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롤-오프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함에 의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QPSK-변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신호를 제 1 신호에서와 같이 처리하기 위하여 패칭하는, 상기 QPSK-변조단계와;
    상기 QPSK-변조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기기에 적외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의 세트는 제 3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3 신호와 제 4 샘플링 주파수를 갖는 제 4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서로 근접 주파수이며,
    상기 롤-오프 필터링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를 롤-오프-정형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신호 및 제 4 신호를 하나의 샘플링 주파수로 롤-오프-정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은, 2 상 변조를 위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롤-오프 정형 단계에 의해 얻어진 처리 결과와 상기 제 1 신호의 롤-오프 정형 단계에 의해 얻어진 처리결과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각각 32 KHz, 48 KHz, 44.056 KHz 및 44.1 KHz 인 디지탈 신호 송신 방법.
  17.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이 축소되도록 롤-오프율 필터링하며, 상기 롤-오프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함에 의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QPSK-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 에러 정정 부호를 부가하며, 상기 에러 정정 부호가 제공된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QPSK-변조 단계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QPSK-변조된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여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에러 정정 부호 부가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신호내에 포함된 각각의 데이터 값의 미리 정해진 중요도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 값들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이한 에러 정정 부호를 각각의 분할된 데이터값에 부가하는 단계와;
    상이한 에러 정정 부호들이 제공된 상기 데이터 값들을 가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19. 디지털 신호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를 가진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필터링을 통하여 대역이 축소되도록 미리 정해진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I 성분 신호와 Q 성분 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QPSK-변조 수단과;
    상기 QPSK-변조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탈 변조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시키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탈 신호를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상기 적외선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적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디지탈 변조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신호를 형성하는 적외선 수광수단과;
    상기 수신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는 복조수단을 포하는 디지탈 신호 송,수신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QPSK 변조수단 및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은 제 1 전자 기기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 수광수단 및 상기 복조수단은 상기 제 1 전자 기기의 외부의 제 2 전자기기에 배치되는 디지탈 신호 송,수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기기는 스피커 시스템인 디지탈 신호 송수신 장치.
  22. 디지털 신호송신 장치에 있어서:
    제 2 샘플링 주파수보다 높은 제 1 샘플링 주파수와 제 2 샘플링 주파수중 하나의 주파수로서 샘플링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을 축소시키는 미리 정해진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QPSK-변조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주파수를 상기 제 1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상기 데이터에서와 같이 패칭하도록 패칭수단이 제공되어지는, 상기 QPSK-변조 수단과;
    상기 QPSK-변조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의 상기 샘플링 주파수는 제 1 , 제 2 , 제 3 , 제 4 샘플링 주파수중 하나의 주파수이며, 상기 제 3 샘플링 주파수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근접 주파수이며;
    상기 롤-오프 필터는, 상기 제 1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가진 상기 디지털 신호를 롤-오프 정형하는 제 1 롤-오프 필터와, 하나의 샘플링 주파수로서 제 3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중 하나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갖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롤-오프 정형하는 제 2 롤-오프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제 1 롤-오프 필터의 출력과 상기 제 2 롤-오프 필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변조 반송파에 상기 선택된 출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각각 32 KHz, 48 KHz, 44.056 KHz, 44.1 KHz 인 디지탈 신호 송신 장치.
  25. 디지털 신호송신 방법에 있어서:
    제 2 샘플링 주파수보다 높은 제 1 샘플링 주파수와 제 2 샘플링 주파수중하나의 주파수로서 샘플링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디지탈 변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며, 대역을 축소시키기 위해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롤-오프 필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롤-오프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함에 의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QPSK-변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에서와 같이 처리되도록 패칭되어지는, 상기 QPSK-변조단계와;
    상기 QPSK-변조 단계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의 상기 샘플링 주파수는 제 1 , 제 2 , 제 3 , 제 4 샘플링 주파수중 하나의 주파수이며, 상기 제 3 샘플링 주파수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근접 주파수이며;
    상기 QPSK-변조 단계는, 상기 제 1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가진 상기 디지털 신호를 롤-오프 정형하는 제 1 롤-오프 필터 처리 단계와, 하나의 샘플링 주파수로서 제 3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데이터를 갖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롤-오프 정형하는 제 2 롤-오프 필터 처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은, 상기 제 1 롤-오프 필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처리 결과와 상기 제 2 롤-오프 필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처리결과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의 처리 결과가 2 상 변조되는 2 상 변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샘플링 주파수는 각각 32 KHz, 48 KHz, 44.056 KHz, 44.1 KHz 인 디지탈 신호 송신 방법.
  28.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재 포맷 수단에 의해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의 필터링을 통해 대역이 축소되도록 하는 미리 정해진 롤-오프율을 가진 롤-오프 필터와, 상기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QPSK-변조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재 포맷하며 상기 재 포맷된 신호를 상기 QPSK-변조 수단에 공급하는 재 포맷 수단과;
    상기 QPSK-변조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29. 디지털 신호송신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송신 레이트에서 디지탈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기초하여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대역이 축소되도록 롤-오프 필터링하며, 상기 롤-오프 필터링된 I 성분신호와 Q 성분신호를 이용하여 반송파를 변조함에 의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QPSK-변조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재 포맷하며 상기 재 포맷된 신호를 상기 QPSK-변조 단계에 공급하는 재 포맷 단계와;
    QPSK-변조 수신 디지털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적외선 에미터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적외선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30. 제 1 내지 9항, 제 22 내지 24 항, 또는 제 28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클럭을 채널 클럭으로 적합하게 변환하며, 상기 QPSK-변조 수단으로 상기 채널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변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장치.
  31. 제 10 내지 18 항, 제 25 내지 27 항, 또는 제 29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데이터 클럭을 채널 클럭으로 적합하게 변환하며, 상기 QPSK-변조 단계들로 상기 채널 클럭을 제공하는 클럭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송신 방법.
KR1019950019427A 1994-06-30 1995-06-30 디지탈신호전송장치,디지탈신호전송방법및디지탈신호송수신장치 KR100380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58994 1994-06-30
JP94-173589 199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204A KR960003204A (ko) 1996-01-26
KR100380877B1 true KR100380877B1 (ko) 2003-07-18

Family

ID=1596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427A KR100380877B1 (ko) 1994-06-30 1995-06-30 디지탈신호전송장치,디지탈신호전송방법및디지탈신호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02669A (ko)
EP (1) EP0690598B1 (ko)
KR (1) KR100380877B1 (ko)
DE (1) DE695338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978B1 (en) * 1994-11-14 2001-07-03 W. L. Gore & Associates, Inc. Ultra-thin integral composite membrane
US5999570A (en) * 1995-11-21 1999-12-07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send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EP0872049B1 (en) * 1996-01-03 2003-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bust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multi-mode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EP0827310A3 (en) * 1996-08-30 2001-01-24 Sony Corporation Infra-red transmission of digital audio signals
JPH1092444A (ja) 1996-09-13 1998-04-10 Japan Gore Tex Inc 電気化学反応装置用固体高分子電解質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反応装置
DE19710750A1 (de) * 1997-03-14 1998-10-01 Siemens Ag Einrichtung zur akustischen Wiedergabe drahtlos übertragener Audioinformationen mit einer zugeordneten Empfangseinrichtung
US6635384B2 (en) * 1998-03-06 2003-10-2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olid electrolyte composite for electrochemical reaction apparatus
WO1999018761A2 (de) * 1997-10-06 1999-04-15 Jens Kurrat Vorrichtung zur drahtlosen übertragung digitaler daten, insbesondere audiodaten
JPH11154910A (ja) * 1997-11-20 1999-06-08 Nec Corp 赤外線通信機
JP3166705B2 (ja) * 1998-04-16 2001-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送信方法
JP2000041294A (ja) * 1998-07-23 2000-02-08 Sony Corp ヘッドホンおよびその送信回路
US6763060B1 (en) * 1999-02-19 2004-07-13 Oasis Silicon System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network of power managed transceivers that can generate a clocking signal or enable data bypass of a digital system associated with each transceiver
US6433904B1 (en) * 1999-07-27 2002-08-13 Sycamore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ransmission performance ove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 links using forward error correction coding
US6510182B1 (en) * 1999-10-25 2003-01-21 Freesystems Pte. Ltd. Wireless infrared digital audio system
US6741659B1 (en) 1999-10-25 2004-05-25 Freesystems Pte. Ltd. Wireless infrared digital audio transmitting system
US6614849B1 (en) * 1999-10-25 2003-09-02 Free Systems Pte. Ltd. Wireless infrared digital audio receiving system
FR2823046B1 (fr) * 2001-03-30 2003-06-27 Roland Sayag Ensemble sans fil comportant une oreillette et un module intermediaire connecte a un telephone mobile
US6990296B2 (en) * 2001-12-21 2006-01-24 Fujitsu Limited Optical phase modulation
AU2003216630A1 (en) * 2002-04-23 2003-1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20040086141A1 (en) * 2002-08-26 2004-05-06 Robinson Arthur E. Wearable buddy audio system
US7657041B1 (en) * 2005-05-19 2010-02-02 Jimmy Ko Laser audio preamplifier, volume control, and multiplexer
US20080222636A1 (en) * 2007-03-05 2008-09-11 David Tzat Kin Wang System and method of real-time multiple-user manipulation of multimedia threads
TWI500276B (zh) * 2010-03-22 2015-09-11 Unwired Technology Llc 雙模編碼器、包括此編碼器之系統、及用以產生紅外線信號之方法
TWI581582B (zh) * 2013-05-02 2017-05-01 國富發科技有限公司 紅外線接收電路及其接收方法
CN106510028B (zh) * 2016-11-04 2018-06-22 华尔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气接口和智能衣物
US10749607B2 (en) * 2017-07-06 2020-08-18 Tyco Fire & Security Gmbh Integrated infra-red receiver and low/high-frequency receiver in portable transponder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8140A (en) * 1982-03-31 1985-08-27 Gould Inc. Fiber optic acoustic transducer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4959828A (en) * 1988-05-31 1990-09-25 Corporation Of The President 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Multi-channel infrared cableless communication system
DE3924186A1 (de) * 1989-07-21 1991-01-31 Frowin Derr Optischer qpsk-ueberlagerungs-empfaenger mit orthogonaler demodulation
KR910013774A (ko) * 1989-12-20 1991-08-08 문정환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통신회로
KR920000186A (ko) * 1990-02-22 1992-01-10 원본미기재 도파관(wave guide)이 없는 전기신호의 양방향광 또는 적외선전송장치
JPH065000A (ja) * 1992-06-18 1994-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送受信装置
EP0599632A2 (en) * 1992-11-27 1994-06-0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940020729A (ko) * 1993-02-13 1994-09-16 이헌조 디지탈 오디오 적외선 수신기의 에러처리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721A (en) * 1972-01-31 1975-09-30 Signatron Signal processing system
FR2258751B1 (ko) * 1974-01-18 1978-12-08 Thomson Csf
EP0082905B1 (de) * 1981-12-24 1986-04-09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Verarbeitung, Übertragung und akustischen Wiedergabe von digitalisierten Tonfrequenzsignalen
JPS60206388A (ja) * 1984-03-30 1985-10-17 Pioneer Electronic Corp 音声付静止画再生装置
JPH0342770Y2 (ko) * 1985-02-08 1991-09-06
EP0196347B1 (en) * 1985-04-02 1989-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rared communication system
US4682352A (en) * 1985-08-20 1987-07-21 Cermetek Microelectronics, Inc. Universal modem receiver transmitter
US4737968A (en) * 1985-10-25 1988-04-12 Phillips Petroleum Company QPSK transmission system having phaselocked tracking filter for spectrum shaping
JPH0763171B2 (ja) * 1986-06-10 1995-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音声送受信方法
US5081711A (en) * 1987-02-24 1992-01-14 Rickman Jr James D Computer peripheral device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JPH01176127A (ja) * 1987-12-28 1989-07-12 Ncr Corp 光空間通信システム
JPH01260938A (ja) * 1988-04-11 1989-10-18 Canon Inc 赤外線通信装置
US4977618A (en) * 1988-04-21 1990-12-11 Photonics Corporation Infrared data communications
US5075792A (en) * 1989-03-20 1991-12-24 Hewlett-Packard Company Low power optical transceiver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4975926A (en) * 1989-03-30 1990-12-04 Guenther Knapp Wireless indoor data communication system
DE3922041A1 (de) * 1989-07-05 1991-01-17 Thomson Brandt Gmbh Fernbedienung
US5142398A (en) * 1989-07-11 1992-08-25 Tandy Corporation Timer system for learning and replaying of infrared signals
US5077552A (en) * 1989-08-10 1991-12-31 Abbate Mark P Interface for coupling audio and video equipment to computer
US5239295A (en) * 1990-04-16 1993-08-24 Motorola, Inc. Serial light interface which also functions as an ambient light detector
US5189543A (en) * 1990-11-19 1993-02-23 Acer Incorporated Infra-red wireless keyboard system
US5214656A (en) * 1990-12-13 1993-05-25 At&T Bell Laboratories Multiplexed coded modulation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KR920014231A (ko) * 1990-12-31 1992-07-30 이헌조 무선헤드폰 송 수신회로
EP0557959B1 (en) * 1992-02-25 1998-04-22 Sony Corporation Modulation/demodul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H05308373A (ja) * 1992-04-28 199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ター型分散制御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れに用いる端末装置
WO1994000943A1 (en) * 1992-06-23 1994-01-06 Motorola, Inc. Multi-modulation scheme compatible radio
GB9217819D0 (en) * 1992-08-21 1992-10-07 Philips Electronics Uk Ltd Data coding system
DE69332587T2 (de) * 1992-09-25 2003-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Übertragung mit mehreren Auflösungen, insbesondere für Mehrträgersysteme
JP3141308B2 (ja) * 1993-02-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6276158A (ja) * 1993-03-22 1994-09-30 Sony Corp 光空間伝送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8140A (en) * 1982-03-31 1985-08-27 Gould Inc. Fiber optic acoustic transducer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4959828A (en) * 1988-05-31 1990-09-25 Corporation Of The President 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Multi-channel infrared cableless communication system
DE3924186A1 (de) * 1989-07-21 1991-01-31 Frowin Derr Optischer qpsk-ueberlagerungs-empfaenger mit orthogonaler demodulation
KR910013774A (ko) * 1989-12-20 1991-08-08 문정환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통신회로
KR920000186A (ko) * 1990-02-22 1992-01-10 원본미기재 도파관(wave guide)이 없는 전기신호의 양방향광 또는 적외선전송장치
JPH065000A (ja) * 1992-06-18 1994-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送受信装置
EP0599632A2 (en) * 1992-11-27 1994-06-0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940020729A (ko) * 1993-02-13 1994-09-16 이헌조 디지탈 오디오 적외선 수신기의 에러처리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0598A2 (en) 1996-01-03
DE69533885D1 (de) 2005-02-03
US5602669A (en) 1997-02-11
EP0690598B1 (en) 2004-12-29
DE69533885T2 (de) 2005-12-08
KR960003204A (ko) 1996-01-26
EP0690598A3 (en) 199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877B1 (ko) 디지탈신호전송장치,디지탈신호전송방법및디지탈신호송수신장치
US5745582A (en) Audio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udio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audio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US4656629A (en) Digital signal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system
US20040223622A1 (en) Digital wireless loudspeaker system
EP0952696B1 (en) Technique for communi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over an amplitude-modulation frequency band
EP0880827A1 (en) Digital wireless speaker system
US7689132B2 (en) Interference-rejection coding method for a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JPH09321808A (ja) 固定レート通信のための可変レートデータの再フォーマット化
EP0952689B1 (en) Transmitter, receiver and distribution medium for an infrared communication system
US5999570A (en) Transmission apparatus, send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JPH07264177A (ja) 並列信号光伝送方式
US6025946A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20030026989A (ko) 대역 제한된 채널들을 통해 높은 데이터율을 제공하는변조 테크닉
JP7208392B2 (ja) ハイブリッドデジタルマルチバンド光受信器および送信器
JP2515809B2 (ja) デイジタル伝送方式
JP3483067B2 (ja) デイジタル信号伝送装置及びデイジタル信号伝送方法
US20050231783A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ser signals, as well as transmitter and receiver which carry out said methods
EP1191726A1 (en)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symbols in a digital teletransmission network; a digital teletransmission network and network elements therefor
AU715471B2 (en) A system of FM data broadcasting and a method of processing data signals thereof
EP1512235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ser signals, as well as transmitter and receiver which carry out said methods
CN1153580A (zh) 将引导符号用于均衡和帧同步的高性能调制解调器
WO2005024785A1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JPS61181230A (ja)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
JPH1198207A (ja) デジタル衛星放送用受信機とこれを用いた装置
JPS5916439A (ja) Catvラインを用いたデイジタル信号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