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755B1 -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755B1
KR100379755B1 KR10-2000-0064693A KR20000064693A KR100379755B1 KR 100379755 B1 KR100379755 B1 KR 100379755B1 KR 20000064693 A KR20000064693 A KR 20000064693A KR 100379755 B1 KR100379755 B1 KR 10037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xyphenyl
phenyl
represented
butanoic aci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017A (ko
Inventor
정찬성
이소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6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7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45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condensation
    • C07C45/455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condensation with carboxyl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2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22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halogen
    • C07C49/23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2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255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R-(+)-메틸벤질아민을 광분할제로 사용하여 광학활성의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 분할하고, 얻어진 각각의 광학활성의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아닐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할로겐원자이거나, 또는 할로겐원자가 1 내지 3개 치환된 C1∼C4의 할로알킬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butanamide derivatives optically pure}
본 발명은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R-(+)-메틸벤질아민을 광분할제로 사용하여 광학활성의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 분할하고, 얻어진 각각의 광학활성의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아닐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할로겐원자이거나, 또는 할로겐원자가 1 내지 3개 치환된 C1∼C4의 할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많은 종류의 살균제, 살충제, 성장 조절제, 제초제 등이 농작물의 보호를 위하여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균주의 내성 등으로 인하여 그 효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선도 화합물의 발견을 위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의약 및 농약의 중간체 또는 완제품으로 많은 용도를 가지고 있는 알카노익산 또는 이의 유도체가 새로운 선도 화합물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 중에서 부타노익산 또는 이의 유도체는 많은 연구가 되어있지 않은 화합물이나, 최근 본 연구팀에 의해 제초 및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례로서, 3,4-치환부타노익산 유도체를 비롯한 여러 부타노익산 유도체의 합성방법 및 물성 등에 관한 여러 논문이 발표되어 있다[Synthesis and Antifungal Activities ofN-Aryl-4-phenyl-3-(4-phenoxyphenyl)butanamides,Archive der Pharmazie, 이소하, 김인오, 정찬성, 정봉영,1999,332, 333∼336;Kor. J. Med. Chem, Toward the development of new class of fungicides: Synthesis and antifungal activity of 3,4-diphenylbutanoic acids, 이소하, 이상기, 송충의, 김인오, 정봉영,1997,7(1), 34∼40].
본 발명은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원료물질로 사용하여 광학할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까지 분할된 바 없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광분할제로서R-(+)-메틸벤질아민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광분할하고 이를 여러 종류의 아닐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높은 광학할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합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살균제, 제초제 및 의약품 중간체로서 그 용도가 광범위한 광학할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다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R-(+)-메틸벤질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진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고형물과 여액은 각각 산 가수분해하여 다음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다음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3S)-(-)-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 각각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광학이성체를 다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닐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1a 또는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각각 제조하는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 X는 할로겐원자이거나, 또는 할로겐원자가 1 내지 3개 치환된 C1∼C4의 할로알킬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부터 광학활성의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얻는 과정과, 얻어진 광학활성의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아닐린 유도체를 반응시켜 고수율 및 고 광학순도로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광분할함에 있어 분할제로R-(+)-메틸벤질아민을 사용한다. 즉,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서 녹이고 여기에R-(+)-메틸벤질아민을 천천히 넣으면 바로 고체가 생기는데 이 고체, 즉 염을 메탄올에서 재결정하고 이 결정에 2% 염산 수용액과 클로로포름을 넣어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 여과 및 증류하여 얻어진 화합물은 99% 이상의 광학활성을 갖는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이다. 한편, 여액은 냉장고에 보관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취급하여 80%의 광학활성을 갖는 상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3S)-(-)-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얻는다.
그런 다음, 상기에서 수득한 화학식 2a 또는 2b로 표시되는 광학활성을 갖는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부터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a또는 1b로 표시되는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얻는다. 즉,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99% 이상의 광학활성을 갖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옥살릴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일 클로라이드를 얻고, 디클로로메탄과 이미다졸하에서 아닐린 유도체를 넣고 상온에서 반응시키게 되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99% 이상의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3S)-(-)-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반응을 시키게 되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상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얻게 된다.
한편, 광학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에 옥살릴 클로라이드를 넣어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일 클로라이드를 만들고 여기에R-(+)-메틸벤질아민을 넣으면N-(1-페닐에틸)-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가 얻어지는데 이 화합물의 메틸 피크를1H NMR로 적분하여 광학활성을 측정한다.
즉, (+)-아마이드의 메틸 피크가 1.4 ppm에서 나타나고, (-)-아마이드의 메틸 피크가 1.27 ppm에서 나타나는 바, 이 피크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학활성도를 알아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3R)-(+)-화합물은 99% 이상의 광학활성도를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3S)-(-)-화합물은 80%의 광학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절대배치를 밝히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였다. 99% 이상의 광학활성도를 갖는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N,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여기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아보디이미드·염산염(EDCI)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넣은 다음, (S)-(-)-1-(1-나프틸)-에틸아민을 넣고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물에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를 넣고 유기층을 분리, 여과 건조 및 증류하여 얻어진 화합물을n-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재결정하고 X-선 회절법에 의해 절대배치를 알아낸다. (+)형의 절대구조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임을 확인하였고, (-)형의 절대구조는 (3S)-(-)-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R-(+)-메틸벤질아민 또는 1R,2S,5R-(-)-멘톨과 반응시켜 얻어진 화합물로 절대배치를 알아내는데는 실패하였는데, 그 이유는 재결정이 되지않거나 재결정이 되었어도 결정이 작기 때문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R-(+)-메틸벤질아민을 광분할제로 사용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효율적으로 분할할 수 있었고, 또한 광학활성을 갖는 상기 화학식 2a 또는 2b로부터 고수율 및 고 광학순도로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에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 R )-(+)-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의 제조
무수 디클로로메탄(10 ㎖)에R-(+)-메틸벤질아민(1.48 ㎖, 11.5 mmol)을 넣고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3.8 g, 11.5 mmol)을 천천히 넣어 주었다. 즉시 염이 형성되고 이 혼합물을 1 시간 저어주었다. 석출된 결정을 뷰너 퍼넬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메탄올에서 세 번 재결정하였다. 이 염을 2% 염산 용액에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 여과 건조 및 증류하여 광학활성을 갖는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얻었다.
융점 110∼111 ℃(n-헥산:벤젠); [α]D= +49.9°(c 1.0, CHCl3);1H NMR(CDCl3) 7.40∼6.90(m, 14H), 3.43∼3.33(m, 1H), 2.95(d,J=7.4 Hz, 2H), 2.69∼2.59(m, 2H); IR(KBr) 3046, 1701, 1497 cm-1.
<광학할성도 측정>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0.11 g, 0.3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옥살릴 클로라이드(39 ㎕, 0.45 mmol)와 DMF 1∼2 방울을 넣고 질소 하에서 3 시간 저어주었다. 반응 완결 후 농축되고 무수 디클로로메탄(30 ㎖)과 트리에틸아민(0.21 ㎖, 1.5 mmol)을 넣었다. (R)-(+)-메틸벤질아민(39.3 ㎕, 0.3 mmol)을 반응 혼합물에 넣어주고 5 시간 실온에서 저어주었다. 반응 완결 후 2% 염산 수용액을 넣고 디클로로메탄층을 분리, 여과, 건조 및 증류하여 얻어진 화합물,N-(1-페닐에틸)-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의 메틸 피크를1H NMR로 적분하여 광학활성을 측정하였다.
(+)-아마이드의 메틸 피크는 1.4 ppm에서 나오고, (-)- 아마이드의 메틸 피크는 1.27 ppm에서 나오는데, 이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학활성도를 알아내었고,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의 광학활성도는 99% 이상이었다.
<절대 배치 측정>
99% 이상의 광학활성을 갖는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DMF에 녹이고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아보디이미드·염산염(EDCI) (64.3 mg, 0.34 mmol)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1 mg, 0.34 mmol)을 넣고(S)-(-)-1-(1-나프틸)-에틸아민(48.7 ㎕, 0.3 mmol)을 넣고 1 시간 저어주었다. 반응 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을 넣고 유기층을 분리, 여과 건조 및 증류하여 얻어진 화합물을n-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재결정하고 X-선 회절법에 의해 절대배치를 알아내었다. (+)형의 절대구조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이었다.
수율 95%; 융점 143∼144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α]D= +9.88(c 0.82, CHCl3);1H NMR(CDCl3) 8.03∼6.90(m, 22H), 5.75∼5.82(m, 1H), 5.36(d,J=7.9 Hz, 1H), 3.49∼3.45(m, 2H), 2.94∼2.89(m, 2H), 2.61(dd,J=5.4, 13.7 Hz, 1H), 2.34(dd,J=9.7, 13.7 Hz, 1H), 1.21(d,J=6.9 Hz, 3H); IR(neat) 3418, 1652, 1262, 1020, 802 cm-1; X-Ray Crystal data : C21H24N2O, M = 320.42, monoclinic, C2(#5),a20.003(4),b 8.612(4),c11.063(2) Å, α90 β99.97(2) γ90, V 1876.9(9) Å3, Z=4, Dc1.134 gcm-3, F(000) 688. Final R indices: R1= 0.0588, wR2= 0.1440.
실시예 2: (3 S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의 제조
무수 디클로로메탄(10 ㎖)에R-(+)-메틸벤질아민(1.48 ㎖, 11.5 mmol)을 넣고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3.8 g, 11.5 mmol)을 천천히 넣어 주었다. 즉시 염이 형성되고 이 혼합물을 1 시간 저어주었다. 석출된 결정을 뷰너 퍼넬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그 여액은 냉장고에 보관하여 생긴 소량의 결정은 제거하고 여액을 2% 염산 용액에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 여과 건조 및 증류하여 80%의 광학활성을 갖는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얻었다.
[α]D= -48.13°(c 1.0, CHCl3).
<광학활성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광학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아마이드의 메틸 피크는 1.4 ppm에서 나오고, (-)-아마이드의 메틸 피크는 1.27 ppm에서 나오는데, 이의 크기를 측정하여 광학활성도를 알아내었고,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의 광학활성도는 80%인 것을 알아내었다.
<절대 배치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절대 배치를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의 절대구조는 (3S)-(-)-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이었다.
실시예 3: (3 R )-(+)- N- (3-클로로페닐)-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3R)-(+)-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0.29 g 0.82 mmol)을 디클로로메탄(10 ㎖)에 녹이고 이미다졸(0.26 g, 3.8 mmol)과 3-클로로아닐린(87.1 ㎕, 0.82 mmol)을 넣고 5 시간 저어주었다. 2% 염산 수용액으로 닦아주고 유기층을 취하여 건조, 여과, 증류하여 얻어진 화합물을n-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1/4, v/v)로 관 크로마토르램을 하여 (3R)-(+)-N-(3-클로로페닐)-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를 얻었다.
수율 91%; [α]D= +0.81°(c 1.55, CHCl3);1H NMR(CDCl3) 7.50∼6.92(m, 19H), 3.54∼3.49(m, 1H), 2.98(d,J=7.2 Hz, 2H), 2.73(dd,J=14.3, 5.5 Hz, 2H), 2.59(dd,J=14.3, 9.0 Hz, 1H).
실시예 4: (3 S )-(-)- N- (3-클로로페닐l)-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3R)-(+)-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대신하여 (3S)-(-)-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사용하였다.
수율 93%; [α]D= -2.81°(c 3.1, CHCl3); IR(neat) 3028, 1705, 1592, 1488, 1238, 750 cm-1.
실시예 5 : (3 R )-(+)- N- (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3-클로로아닐린을 대신하여 3-트리플루오르메틸아닐린을 사용하였다.
수율 98%; [α]D= +26.96°(c 0.28, CHCl3);1H NMR(CDCl3) 7.59∼6.90(m, 19H), 3.54∼3.50(m, 1H), 3.00(d,J=7.5 Hz, 2H), 2.73(dd,J=14.4, 5.6 Hz, 1H), 2.60(dd,J=14.4, 9.0 Hz).
실시예 6: (3 S )-(-)- N- (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4-페닐-3-(4-페녹시페닐)부탄아마이드의 제조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3R)-(+)-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대신하여 (3S)-(-)-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을 사용하고, 3-클로로아닐린을 대신하여 3-트리플루오르메틸아닐린을 사용하였다.
수율 98%; [α]D= -20.9°(c 0.19, CHCl3); IR(neat) 3315, 2926, 1696, 1480,1238, 700 cm-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살균제, 제초제 및 성장조절제 등을 비롯한 농약원료 및 의약품 중간체로서 그 용도가 광범위한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고수율 및 고 광학순도로 제조할 수 있어 공업적 대량생산에도 유용하다.

Claims (3)

  1.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은 다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R-(+)-메틸벤질아민을 분할제로 사용하여 다음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다음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3S)-(-)-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 각각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광학이성체를 다음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닐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를 각각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화학식 1]상기 화학식에서 : X는 할로겐원자이거나, 또는 할로겐원자가 1 내지 3개 치환된 C1∼C4의 할로알킬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세믹 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R-(+)-메틸벤질아민을 반응시켜 얻어진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고형물과 여액을 각각 산 가수분해하여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3R)-(+)-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과 상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3S)-(-)-4-페닐-3-(4-페녹시페닐)부타노익산으로 각각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 가수분해에는 염산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0-0064693A 2000-11-01 2000-11-01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37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693A KR100379755B1 (ko) 2000-11-01 2000-11-01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693A KR100379755B1 (ko) 2000-11-01 2000-11-01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017A KR20020034017A (ko) 2002-05-08
KR100379755B1 true KR100379755B1 (ko) 2003-04-11

Family

ID=1969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693A KR100379755B1 (ko) 2000-11-01 2000-11-01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7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8244A (ja) * 1988-02-19 1989-12-12 Kuraray Co Ltd (±)―2―ヒドロキシ―4―フェニルブタン酸の光学分割法
JPH10204027A (ja) * 1996-11-20 1998-08-04 Kuraray Co Ltd (±)−3,4−ジヒドロキシブタン酸の光学分割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8244A (ja) * 1988-02-19 1989-12-12 Kuraray Co Ltd (±)―2―ヒドロキシ―4―フェニルブタン酸の光学分割法
JPH10204027A (ja) * 1996-11-20 1998-08-04 Kuraray Co Ltd (±)−3,4−ジヒドロキシブタン酸の光学分割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017A (ko)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5466B1 (en) Processes to produce certain 2-(pyridine-3-yl)thiazoles
AU2013272007B2 (en) Processes to produce certain 2-(pyridine-3-yl)thiazoles
KR940000811B1 (ko) N-(r)-(1-아릴-에틸)-1-알킬-2,2-디클로로-사이클로프로판 카복스아미드의 입체이성체
JPH04360858A (ja) 抗微生物剤、並びに置換2−シクロヘキサン−2−イル−アミン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AU612000B2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rolidone derivatives
KR100379755B1 (ko) 광학활성을 갖는 부탄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WO2015097850A1 (ja) 2-アミノニコチン酸ベンジルエステ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H01221371A (ja) 環状オキシアミ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S6332073B2 (ko)
JP4879907B2 (ja) フェニル2−ピリミジニルケトン類の製造方法及びその新規中間体
KR20030017473A (ko) 항균 퀴놀론 약제용 중간물질로서의 알킬3-시클로프로필아미노-2-[2,4-디브로모-3-(디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2-프로페노에이트의 원-폿 합성방법
JPH0822853B2 (ja) ピラゾール−4−カルボン酸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35554A (ja) N−(2−シアノ−2−オキシミノアセチル)−アミノニトリル
HU188074B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imetidin
JP2809482B2 (ja) 2―アルコキシ―1,4―ジヒドロ―4―オキソ―3―ピリジン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除草剤
JP2951002B2 (ja) 4−置換5−クロル−2−ヒドラジノチアゾール及びその製造用の中間体
JP2809481B2 (ja) 2―アルコキシカルボニル―3―ピリジンカルボン酸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除草剤
JPH06340623A (ja) ベンジルコハク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中間体
JPH08193011A (ja) 除草性スルホンアミド化合物
JP2809483B2 (ja) 6―インドリジン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その中間体それらの製造法および除草剤
JP2726404B2 (ja) 置換フェニルカーボナート誘導体
US692437A (en) Hydrochlorid of cinnamyl-quinin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S5888372A (ja) N−カルバモイル安息香酸スルフイミド誘導体の製法
JPH07291970A (ja) ピラゾール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除草剤
JPH04112873A (ja) ピラゾール―5―カルボン酸エステル類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