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358B1 - 주름형 웹, c형상 플랜지, 및 엔드 플레이트를 보유한경간 부재 - Google Patents

주름형 웹, c형상 플랜지, 및 엔드 플레이트를 보유한경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358B1
KR100379358B1 KR10-2000-0010054A KR20000010054A KR100379358B1 KR 100379358 B1 KR100379358 B1 KR 100379358B1 KR 20000010054 A KR20000010054 A KR 20000010054A KR 100379358 B1 KR100379358 B1 KR 10037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flange
beam member
oppos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718A (ko
Inventor
로버트지. 맥크라켄
Original Assignee
윌리언홀딩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언홀딩캄파니 filed Critical 윌리언홀딩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0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apertured web, e.g. tr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 E04C2003/043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the open cross-section free of enclosed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한쌍의 서로 대향하는 C형상 플랜지와 파형 웹(corrugated web)을 포함한 구조에 사용되는 신장(spanning) 또는 빔(beam) 부재가 개시된다. 상기 웹의 횡으로 연장된 돌출부는 웹을 강화시키고, 상기 빔 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 지지력(load bearing force)을 파쇄(crushing)됨이 없이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빔 부재를 강화시킨다. 상기 C형상 플랜지는 보다 얇은 판재로부터 주어진 강도의 빔 부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상기 웹의 돌출부에 용접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압축 요소(compression element)의 브레이싱(bracing) 및 강화되지 않는 치수를 감소시킨다. 엔드 플레이트(end plate)는 대향하는 플랜지들과 그 사이에 끼워진 파형 웹에 단단히 고정되어, 빔 부재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진보된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름형 웹, C형상 플랜지, 및 엔드 플레이트를 보유한 경간 부재{SPANNING MEMBER WITH CONVOLUTED WEB, C-SHAPED FLANGES, AND END PLAT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경간 또는 빔 부재(spanning or beam members)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히는, 한 쌍의 대향하는 C형상 플랜지와, 강도를 부가하기 위한 주름형 웹과, 빔 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엔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빔 부재에 관한 것이다.
빔 부재는 영구적 건물 구성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비계(scaffolding), 콘크리트 거푸집(concrete form) 등과 같은 건설 골조(construction framework)의 일부로서도 건설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골조에 사용되는 빔의 예로서는 수직·수평 구조재, 경사 브레이스(inclined brace), 기둥(column), 버팀목(shore) 또는 왈러(waler)로서 사용되는, 미국특허 No.4,964,256에 개시된 솔저(soldier)가 포함된다. 또 다른 예로서 미국특허 No.5,307,60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콘그리트 성형 시스템(concrete forming system)의 일부로서 데킹(decking)이나 시팅(sheeting)을 위한 지지대로 사용되는 경량 강철 빔 부재(light weight steel beam member)가 있다. 이들 빔 부재는 또한 금속 스터드(metal stud)나, 종래의 부피가 큰 목재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건물 구성요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빔 부재는 매우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 매우 다양한 재료로서 만들어진다. 롤 성형 기술(roll-forming technique)이 널리 확산됨에 따라, 금속 판재를먼저 롤 성형하여 비교적 가벼우나 강하게 만들어진 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최종적인 빔 부재가 요구되는 강도 및 다른 특성들을 보유하도록 설계될 수만 있다면, 상기 롤 성형 공정에서 보다 얇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는 것이, 요구되는 효율성을 달성하고 빔 부재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 된다. 보다 얇은 판재는 가격이 저렴하고, 롤 성형하기에 용이하고 저렴하며, 중량이 적다.
건설 골조의 내부구조상, 상기 빔 부재는 통상적으로 지지 기둥(support-post; mono-postsTM)의 상부에 놓인다. 상기 빔 부재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나, 보통은 요구되는 길이 만큼의 경간을 가지도록 빔 부재끼리 상호 연결되어야 한다. 흔히, 상기의 상호 연결은 2개의 빔이 겹쳐진 단부 주위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이음 고리(collar)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결은 일반적으로 취약 지점을 포함하므로, 상기 상호 연결 지점은 통상 별개의 지지 기둥을 필요로 한다. 상기 빔 부재를 겹치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더 많은 빔 부재나 혹은 더 긴 빔 부재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구 건물 건설에 사용되는 빔 부재에도 이와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호 연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정도의 복잡성을 초래하고, 더 많은 지지 기둥을 요하며, 상기 상호 연결 지점은 지지 시스템 내에서 잠재적인 취약 지점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대향하는 플랜지를 가진 빔 부재로구성되는데, 상기 플랜지는 중앙 웹부(central web section)와 내부로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보통 횡방향 단면이 C형상으로 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웹 부재는 한쌍의 대향하는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측부를 보유하는데, 상기 측부 각각은 상기 한쌍의 대향하는 플랜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플랜지의 중앙 웹부를 따라 접촉하여 맞물려있다. 상기 웹 부재는 웹의 폭 또는 높이를 가로지르는, 횡방향의 엇갈린 돌출부를 보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름부(convoluted section)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의 대향하는 한쌍의 다리부 중 대응하는 다리부의 일부를 따라 인접하게 횡으로 연장된다. 상기 웹의 측부는 중앙 웹부에서 상기 플랜지에 용접되고, 상기 웹의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의 다리부의 인접부에 용접된다.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들과 그 사이에 끼워진 상기 웹 부재에 단단히 고정되어, 빔 부재들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진보된 수단을 제공한다. 그 결과, 빔 부재는 비교적 얇은 판재로부터 제작될 수 있는 반면, 높은 강성과 높은 파쇄 전 하중 지지력을 가진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성형 장치로 사용되거나 건설된 건물의 영구 부분을 형성하는 건물 구성요소로서의 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 판재로부터 롤 성형된 주름형 웹을 보유하며, 하중하에서의 파쇄에 대한 향상된 강성과 저항력을 가지는 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중하에서의 파쇄에 대한 향상된 강성과 저항력을 가지는 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횡단 부분이 U형상 또는 C형상으로 된 한쌍의 대향하는 플랜지에 용접되어진 파형의 웹을 가진 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피가 큰 목재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고, 나사 또는 수동 못을 이용하여 관통 가능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금속 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사한 빔 부재와의 상호 연결이 용이한 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빔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빔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빔 부재의 단부도(end view)이다.
도 4는 빔 부재의 웹을 빔 부재의 플랜지 부재에 고정시키는 용접을 나타낸 확대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랜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플랜지 부재의 단부도(end view)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웹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웹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부재의 엔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개선(relief line)을 보유한 대안적인 플랜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대안적인 플랜지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a, 도 12b는 대안적인 빔 부재의 단부도(end view)이다.
도 13은 도 12b의 13-13선을 따라 취해진 도 12b의 대안적인 빔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첨부 도면,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한쌍의 대향하는 플랜지(12, 14)를 가진 빔 부재(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12, 14)의 사이에는, 도 7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횡방향으로 엇갈리게 연장된 돌출부를 가진 웹(16)이 끼워져 있는데, 상기 돌출부는 참조부호 18a로 식별되어지는 웹(16)의 제1 측부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거나, 참조부호 18b로 식별되어지는 웹(16)의 제2 측부에 대해 횡으로 연장된다(도 2 참조).
상기 플랜지(12, 14)들은 동일 형상이고, 각각의 플랜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웹부(20)와 상기 중앙 웹부(2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22, 24)를 포함한다(도 5, 도 6).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부(22, 24)의 자유단부(free end portion)(26, 28)는 각각 플랜지(12, 14)의 횡단면이 대체로 C형상이 되도록 서로를 향해 굽어 있다.
상기 웹(16)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가로선을 따라 굽혀진 직사각형의 판으로부터 형성된다. 도 8에서 도면부호(30)으로 지시되는 굽힘(bend)은 일정한 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주름형 또는 파형을 가지는 웹(16)의 적어도 한 부분을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돌출부(18a, 18b)가 상기 웹(16)의 일측부으로 연장된다(도 7).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8a, 18b)는 상호 대칭이고, 각각 플랜지(12, 14)의 상기 다리부(22, 24)의 자유단부(26, 28) 간의 가로 거리 혹은 간격에 부합하는 평평한 외측부(32a, 32b)를 보유한다. 따라서, 상기 웹(16)과 플랜지(12, 14)를 조립할 때, 상기 플랜지(12, 14)는 상기 웹(1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와 맞추어지며, 이때 상기 웹(16)의 측부 엣지는 각 플랜지(12, 14)의 중앙 웹부(20) 및 상기 플랜지 다리부(22, 24)의 자유단부(26, 28)에 인접한 상기 돌출부의 평평한 외측부(32a, 32b)와 동일 평면으로 맞물려서 접촉된다(도 3).
빔 부재(10)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2, 14)는 상기 웹(16)에 용접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8)의 상기 평평한 외측부(32a, 32b)는 상기 플랜지 다리부(22, 24)의 자유단부(26, 28)에 대해 지점(34)에서 용접되고, 상기 웹(16)의 측부 엣지는 상기 각 플랜지(12, 14)의 중앙 웹부(20)에 대해 지점(36)에서 용접된다. 결과적인 조립체에서, 상기 주름형 웹(16)은 지지점들에 걸쳐 보강된 부재를 제공하여 상기 빔 부재(10)가 상부 플랜지에 가해지는 하중하에서 파쇄에 저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로 연장된 다리부(22, 24)는 상기 중앙 웹부(20)의 내부 지점에서 상기 웹(16)에 용접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압축 요소(compression element)의 브래이싱되지 않고 보강되지 않는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빔 부재(10)의 제작에 보다 얇은 금속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8)는 73 mm만큼 떨어진 62.5 mm 길이의 평평한 부분(32)과 약 120° 엇갈리게 굽혀서 형성된다. 이로써, 65 mm의 외측 가로방향 폭을 보유한 파형의 웹(16)이 된다. 상기 플랜지(12, 14)는 89 mm 폭의 중앙 웹부(20)를 구비하도록 90°굽혀서 형성되는데, 상기 다리부(22, 24)는 내부 횡단 방향으로 36 mm 연장되고 상기 자유단부(26, 28)는 내부쪽 횡 방향으로 12 mm 연장되어 대향하는 자유단부의 간격이 65 mm가 되도록 한다. 상기 웹(16)은 0.0598 inch(16 gauge)의 두께를 가진 고강도 저합금판강(high strength low alloy sheet steel)으로부터 롤-성형되고, 상기 플랜지(12, 14)는 0.0747 inch(14 gauge)의 두께를 가진 고강도 저합금판강으로부터 롤-성형된다. 상기 빔 부재(10)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화되어질 수 있는데, 1.2 m 내지 7.2 m 범위 내에서 0.6 m씩 증가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의 빔 부재(10)는 주거용 건설에서의 차고 문 헤더(garage door header), 창문 헤더(window header), 및 장경간의 기타 적용분야의 3.5 inch 폭의 목재 대신 사용되기에 알맞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12, 14)는 목재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나사나 수동 못을 이용하여 관통시켜 다른 건물 요소에 부착시키기에 충분한 두께이다. 상기 빔 부재는 또한 콘크리트 성형 산업에서, 수평 성형 분야(horizontal forming application)에서거푸집(concrete form)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빔 부재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성형 시스템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중간 지지부재로서 사용된다.
비록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웹과 플랜지가 특정 판재로부터 제작되었으나, 결과적인 빔 부재의 요구되는 성능 특성에 따라 이와 다른 두께 또는 다른 특성의 판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웹의 돌출부나 파형은 판 전체의 가로방향 폭에 걸친 일련의 굽힘에 의한 곧거나 평평한 부분들로 이루어졌으나, 다른 다양한 주름형태(convolution)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웹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나, 전체의 길이보다 짧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름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C형상의 플랜지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었으나, 강도가 약간 감소하거나 재료 비용이 상승하더라도 U형상의 단면을 가진 플랜지가 채용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특히, 도 12a 및 12b는 원형의 통공(51)을 가진 엔드 플레이트(52)(도 9 참조)를 포함하는 빔 부재(50)를 나타낸다. 상기 빔 부재(50)는 또한 한쌍의 대향하는 오목한 플랜지(recessed flange)(54)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54)는 일반적으로 도 6에 도시한 플랜지(12)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 상기 플랜지(5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웹부(60)와, 상기 중앙 웹부(6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상호 연결된 한 쌍의 다리부(58, 62)를 포함한다. 또한, 자유단부(56, 64)는 서로를 향해 상기 다리부(58,62)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도록 굽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플랜지(54)는 횡단면이 대체로 C형상을 형성한다.
플랜지(12)의 자유단부(26, 28)에 비해, 플랜지(54)의 자유단부(56, 64)는 상기 다리부(58, 62)의 상단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다.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오목한 영역(66)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52)를 수용하기 위한 렛지(ledge)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플랜지(12)의 상기 자유단부(26, 28)가 연장되어 상기 다리부(22, 24)와 동일 평면으로 만나게되는 곳에서, 상기 플랜지(54)의 상기 자유단부(56, 64)가 윗쪽 끝까지 연장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다리부(58, 62)와 만난다. 도 12a 및 도 12b는 이러한 구성을 은선으로 나타내었는데, 상기 자유단부(56, 64)가 상기 엔드 플레이트(52)의 밑에서 연장된다(점선 참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52)는, 상기 오목부(66)가 엔드 플레이트(52) 두께의 1/2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기 오목 자유단부(56, 64)에 의해 형성된 렛지 상에 놓여진다. 이로써 상기 엔드 플레이트(52)가 상기 플랜지(54) 내에 안정적으로 놓여지는 것과 아울러, 상기 엔드 플레이트(52)가 상기 플랜지(54) 위로 충분히 돌출되어 필렛 용접(fillet weldment)(68)을 통해 단단히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12b). 상기 엔드 플레이트(52)는 상기 플랜지(54)와 상기 웹(16) 양자에 단단히 고정된다. 필렛 용접부(68)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52)가 상기 플랜지(54)에 대해 이들 두 구성요소의 교차점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단단히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내측 용접부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52)를 상기 웹(16)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도 12a 및 도 12b는 밑에 놓여 있는 웹(16)의 방위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상기 웹(16)은,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방위로 상기 엔드 플레이트(52)의 밑에 위치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52)와 상기 웹(16)의 밑에 놓여 있는 내부의 인터페이스를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된 필렛 용접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 위치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도 13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52), 상기 플랜지(54), 및 상기 웹(16) 간의 공유영역을 나타내는 빔 부재(50)의 단면도이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52)는 역시 상기 플랜지(54)의 대향하는 오목한 자유단부(56, 64)에 의해 형성된 렛지 상에 놓인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52) 두께의 약 1/2을 수용하여 상기 플랜지(54) 위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정용 용접부(68)를 위한 충분한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52)가 상기 플랜지(54) 내에 안착하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본 발명은 엔드 플레이트(52)와 플랜지(54) 간의 확실한 연결을 달성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52)는 길이방향의 축선을 따라 약 224 mm의 길이와, 가로방향의 축선을 따라 약 84 mm의 폭과, 그리고 약 7 mm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통공(51)은 약 150 mm 만큼 떨어지고, 중심이 고르게 나있다. 상기 통공(51)은 약 20 mm의 직경을 가진다. 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기술된 특정 치수와 재료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은 치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과장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오목한 영역(66)은 설명을 위해 과장되어졌다.
이 실시예는 상기 빔 부재(50)가 예컨대, 상기 엔트 플레이트(52) 내의 원형 통공(51)을 통해 볼트 체결됨으로써 다른 빔 부재(5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는 장점을 포함한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서 사용된 체결용 이음고리(securing collar)와 겹침 연결은 불필요해진다.
상기 빔 부재(50)는 빔 부재(50) 간의 확실한 연결을 형성하는 탁월한 단부간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52)는 빔 부재(50)의 이동, 체결, 및 제거 등에 의해 빔 부재(50)의 단부에 발생하는 일반적인 마모 손상으로부터 상기 빔 부재(50)의 자유단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도된 전체의 범위 내에서 변화와 수정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는 것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중앙 웹부와 상기 중앙 웹부의 대향면 상에서 내부로 연장된 한쌍의 다리부를 각각 포함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향하는 한쌍의 플랜지;
    상기 대향하는 한쌍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며,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측부를 가지고 이들 측부 각각이 상기 대향하는 한쌍의 플랜지 중 대응하는 1개의 플랜지의 상기 중앙 웹부를 따라 맞물려 접촉하고 있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웹 부재;
    상기 웹 부재의 상기 측부를 상기 플랜지의 상기 중앙 웹부에 단단히 고정하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플랜지의 상기 인접한 다리부에 단단히 고정하는 수단; 및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와 상기 웹 부재에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상기 빔 부재를 구조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빔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웹 부재는 횡으로 연장되고 그 일부를 따라 상기 플랜지의 대응하는 상기 대향하는 한쌍의 다리부에 인접하는 엇갈리는 돌출부를 보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의 상기 내부로 연장된 다리부가 오목하게 들어가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렛지를 형성하는 빔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의 상기 내부로 연장된 다리부가 상기 엔드 플레이트 두께의 1/2 만큼 오목하게 들어간 빔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부재와 상기 플랜지는 그 길이가 동일하게 연장된 빔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부재는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된 빔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웹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금속판이 고강도 금속판으로부터 롤-성형되고, 상기 웹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고강도 금속판의 두께가 상기 플랜지를 형성하는 롤-성형 고강도 금속판보다 얇은, 빔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웹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금속판이 상기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금속판의 두께와 다른 두께를 가지는 빔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부재를 상기 플랜지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상기 수단이 용접을 포함하는 빔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다리부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상기 수단이 상기 돌출부의 상기 인접부와 상기 다리부를 연결시키는 용접을 포함하는 빔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나사 또는 수동 못을 이용한 관통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두께를 갖는, 빔 부재.
  11. 빔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C형상의 한쌍의 대향하는 플랜지;
    한쌍의 대향하는 측부를 가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앙 웹부;
    상기 중앙 웹부의 상기 대향하는 측부 중 대응하는 하나로부터 각각 내부로 연장되는 한쌍의 다리부;
    상기 다리부 각각의 내부로 굽어진 부분;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며, 그리고 상기 플랜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플랜지의 중앙 웹부와 맞물려 접촉하고 있는 한쌍의 대향하는 측부를 가진 수직 웹;
    횡으로 연장되는 엇갈리는 돌출부로서, 상기 돌출부 중 엇갈리는 한쌍의 돌출부가 실질적으로 상기 플랜지 각각의 상기 한쌍의 다리부 사이의 거리를 경간으로 하고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웹의 주름부;
    상기 수직 웹의 상기 측부를 상기 플랜지의 상기 중앙 웹부 중 대응하는 하나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수단과, 상기 돌출부를 상기 다리부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수단; 및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와 상기 웹 부재에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상기 빔 부재를 구조적으로 보호하고 상기 빔 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능력을 제공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대향하는 플랜지의 상기 내부로 연장된 다리부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 두께의 1/2 만큼 오목하게 들어간 빔 부재.
KR10-2000-0010054A 1999-06-18 2000-02-29 주름형 웹, c형상 플랜지, 및 엔드 플레이트를 보유한경간 부재 KR100379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36,207 US20030167724A1 (en) 1999-06-18 1999-06-18 Spanning member with convoluted web, c-shape flanges, and end plate
US09/336,207 1999-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718A KR20010006718A (ko) 2001-01-26
KR100379358B1 true KR100379358B1 (ko) 2003-04-08

Family

ID=2331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054A KR100379358B1 (ko) 1999-06-18 2000-02-29 주름형 웹, c형상 플랜지, 및 엔드 플레이트를 보유한경간 부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30167724A1 (ko)
EP (1) EP1061196B1 (ko)
JP (1) JP3294581B2 (ko)
KR (1) KR100379358B1 (ko)
AR (1) AR018996A1 (ko)
AT (1) ATE307239T1 (ko)
BR (1) BR0002627A (ko)
CA (1) CA2303040C (ko)
CO (1) CO5271763A1 (ko)
DE (2) DE1061196T1 (ko)
PE (1) PE20001409A1 (ko)
TW (1) TW4482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556B2 (en) * 2006-06-12 2010-06-29 Garlock Equipment Company Latch assembly for safety rail system
US8366079B2 (en) * 2006-06-14 2013-02-05 Garlock Equipment Company Safety rail system
JP4783248B2 (ja) * 2006-09-12 2011-09-28 東芝ストレージデバイス株式会社 外乱抑圧機能を持つ位置制御方法、位置制御装置および媒体記憶装置
US20080256864A1 (en) * 2007-04-23 2008-10-23 Stoffels Richard B Skylight Protector
WO2008128275A1 (en) * 2007-04-23 2008-10-30 Csr Building Products Limited Permanent formwork system
KR101229467B1 (ko) * 2010-09-01 2013-02-07 최현철 건축용 구조재
KR101821909B1 (ko) * 2013-10-09 2018-01-2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자동차 차체용 구조 부재의 제조 방법 및 프레스 성형 장치
CN109750790A (zh) * 2019-01-04 2019-05-14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波纹腹板钢连梁
CN113911314B (zh) * 2021-11-16 2024-04-16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龙骨梁缘条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US11536030B2 (en) * 2022-03-24 2022-12-27 B&H Solutions LLC Composite open web beam-joist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469U (ko) * 1997-04-03 1997-07-29 장석규 트러스용 강화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8261A (en) * 1971-02-01 1974-07-03 Acrow Eng Ltd Structural supports for concrete formwork panels
US4964256A (en) * 1990-01-05 1990-10-23 Economy Forms Corporation Beam member for concrete forming system
US5307601A (en) 1992-02-06 1994-05-03 Mccracken Robert G Beam member for use in concrete forming apparatus
US5956919A (en) * 1997-09-08 1999-09-28 Wilian Holding Co. Spanning member with convoluted web and C-shaped flan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469U (ko) * 1997-04-03 1997-07-29 장석규 트러스용 강화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3210D1 (de) 2005-11-24
KR20010006718A (ko) 2001-01-26
ATE307239T1 (de) 2005-11-15
EP1061196B1 (en) 2005-10-19
DE60023210T2 (de) 2006-07-20
JP3294581B2 (ja) 2002-06-24
CA2303040A1 (en) 2000-12-18
EP1061196A3 (en) 2001-06-06
CA2303040C (en) 2005-02-08
DE1061196T1 (de) 2001-10-25
PE20001409A1 (es) 2000-11-25
US20030167724A1 (en) 2003-09-11
AR018996A1 (es) 2001-12-26
BR0002627A (pt) 2001-01-02
JP2000356005A (ja) 2000-12-26
TW448259B (en) 2001-08-01
EP1061196A2 (en) 2000-12-20
CO5271763A1 (es) 200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358B1 (ko) 주름형 웹, c형상 플랜지, 및 엔드 플레이트를 보유한경간 부재
JP2011518265A (ja) 建築構造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237525C (en) Spanning member with convoluted web and c-shaped flanges
US3328931A (en) Composite i-beam with splice at supports
JPH1144002A (ja) ブレース接合構造
JPH09221830A (ja) ブレース材およびブレース材の建築物への取り付け構造
JP5486430B2 (ja) 耐力フレームの構造
KR101879034B1 (ko) 보 접합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구조
JP2001262859A (ja) 制振ダンパー装置
WO1993015353A1 (en) Element for composite structural member
JP4286239B2 (ja) 梁材及び梁材使用の鉄骨構造物
CA2303965C (en) Hollow flange section
KR200436580Y1 (ko) 결합구조를 갖는 경량 형강
KR0128541Y1 (ko) 접합부 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각형강관기둥과 에이치 형강보-기둥 접합구조
KR102571669B1 (ko) 좌굴방지판을 이용한 얇은 강판 웨브형 강박스 부재
JP6115151B2 (ja) 耐震壁および耐震構造
KR102641227B1 (ko) H형강 및 절곡강판을 이용한 선조립 src기둥용 조립체
JP3582558B2 (ja) ウエブに直交する軸まわりの曲げ性能に優れた建築構造用支持部材
JP7340435B2 (ja) 鋼管柱の継手構造
JP4559793B2 (ja) 連層耐震壁
JP3898417B2 (ja) スチールハウス構築用の枠組体と枠組連接体
KR101953015B1 (ko) 철골건물 내진성능향상을 위한 가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새의 무용접/비좌굴 보강방법
KR101743867B1 (ko) 경량철골구조물의 처마 접합 구조
JP5795022B2 (ja) ダンパー付き耐力壁およびダンパー
AU9409998A (en) A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