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202B1 -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 Google Patents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202B1
KR100379202B1 KR10-2000-0049523A KR20000049523A KR100379202B1 KR 100379202 B1 KR100379202 B1 KR 100379202B1 KR 20000049523 A KR20000049523 A KR 20000049523A KR 100379202 B1 KR100379202 B1 KR 10037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ceramic
piezoelectric
composition
ceramic
ceram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207A (ko
Inventor
사와다다쿠야
기무라마사히코
안도아키라
하야시고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5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04B35/47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bismuth tita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aBi4O15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1100℃ 이하에서 소성 가능하고, 실사용에 충분한 수준의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이며, 압전 필터, 압전 발진기, 및 압전 트랜스듀서 등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재료로 작용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식 CaBi4O15으로 표현되는 주성분을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Bi의 단위몰당 0.5몰 이하의 W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Ceramic Piezoelectric Device Employ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압전 세라믹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압전 필터, 압전 발진기, 및 압전 트랜스듀서 등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재료로 사용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상기 세라믹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성분으로 납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Pb(TixZr1-x)O3) 또는 납 티타네이트(PbTiO3)를 함유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압전 필터, 압전 발진기, 및 압전 트랜스듀서 등의 압전 기기를 제조하는데 폭 넓게 사용하여왔다. 그러나, 상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다량의 납을 함유하기 때문에, 납 산화물이 언급된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동안 증발되어, 제품마다 품질이 변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이 소량의 납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납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CaBi4Ti4O15등의 비스무트 층형(bismuth layered)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조성물 내에 납 산화물이 없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10%이상의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여 실제 사용에 충분하다고 보여지는 압전 세라믹 재료를 얻기 위해서는, CaBi4Ti4O15등의 비스무트 층형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115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시켜야만 한다. 그렇게 높은 온도에서 소성을 하려면 단가가 높은 고성능 소성 용광로가 요구된다. 게다가,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압전 필터 등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조할 때, 전극 재료가 그 자체 재료의 소성 온도보다 높은 융점 온도를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백금이나 팔라듐 등의 고가의 전극 재료가 사용되어야 하며, 그로 인해 생산 원가가 증가한다.
앞선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CaBi4Ti4O15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조성물은 1100℃이하에서 소성 가능하고, 실제 사용하기에 충분한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이며, 압전 필터, 압전 발진기, 및 압전 트랜스듀서 등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재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라믹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압전 트랜스듀서의 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 및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라믹 압전 트랜스듀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압전 세라믹 발진기 12...압전 기기
12a, 12b...압전 세라믹층 14a, 14b, 14c...진동 전극
16a, 16b, 16c...인출 전극 18a, 18b...리드
20a, 20b...외부 단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식 CaBi4Ti4O15으로 표현되는 주성분을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주성분 내에 포함된 Bi의 1 몰당 0.5몰 이하의 W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일반식 CaBi4(Ti1-yWy)4O15(0 < y ≤ 0.5)로 표현되는 주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Ca 대신에 Bi의 몰당 0.125 몰이하(그러나 0 몰 보다는 크다)의 2가 금속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가 금속 원소는 Mg, Sr, 및 Ba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Bi 대신에 Bi의 몰당 0.075 몰이하(그러나 0 몰 보다는 크다)의 3가 금속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가 금속 원소는 La, Ce, Pr, Nd, Sm, Gd, Dy, Er, Yb, Sc, 및 Y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더우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MnCO3으로 환산된 1.5wt.% 이하(그러나 0 보다 크다)의 Mn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재료 및 세라믹 재료에 부착된 전극들을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목적, 형상, 및 많은 부수적인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 상세한 기술을 참조로 첨부한 도면을 고려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Bi의 1몰을 기준으로 0.5몰 이하(그러나 0보다는 크다)의 W를 함유한다. 그 양이 0.5몰을 초과하면, 전기기계 결합계수 (kt)가 실사용에 불충분한 수준까지 감소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주성분에, Mg, Sr, 또는 Ba 등의 2가 금속 원소 또는 La, Ce, Pr, Nd, Sm, Gd, Dy, Er, Yb, Sc, 및 Y등의 3가 금속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전 세라믹 조성물이 La, Ce, Pr, Nd, Sm, Gd, Dy, Er, Yb, Sc, 및 Y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일종을 Bi의 1 몰당 0.075몰 이하(그러나 0 몰 보다는 크다)로 함유할 때, 이것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래 기술된 일반식으로 표현되듯이, 공진 주파수의 온도계수(frTC)가 -20℃ ~80℃의 영역에 있게 된다. 따라서,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1100℃이하에서 소성될 수 있고, 실사용에 충분한 수준의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가지므로, 압전 트랜스듀서 등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재료이다. La, Ce, Pr, Nd, Sm, Gd, Dy, Er, Yb, Sc, 및 Y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일종은 Bi의 1 몰당 0.075몰 이하(그러나 0몰 보다는 크다)로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 조성물에 포함된다. 그 양이 0.075몰을 초과하게 되면, 전기기계 결합계수(kt)가 상기 추가적인 3가 금속 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 조성물에 비해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금속 원소를 과다 추가하면 만족스러운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frTC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frTC = (fr(max) - fr(min))/(fr(20℃)·100)
여기서, fr(max)는 -20℃~80℃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최대 공진 주파수 ;
fr(min)는 -20℃~80℃ 온도 범위내에 있는 최소 공진 주파수 ; 및
fr(20℃)는 20℃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다.
일본 특허 출원 제 11-030322호에, CaBi4Ti4O15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의 전기기계 결합계수가 MnCO3로 환산하여 1.5 중량%의 Mn이 첨가됨으로써 높아질 수 있음을 분명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Mn이 첨가되는것 또한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1100℃이하에서 소성 가능하고, 실사용에 충분한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이며, 압전 세라믹 재료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시예)
CaCO3, Bi2O3, TiO2, MgCO3, SrCO3, BaCO3, La2O3, Nd2O3, Sm2O3, Y2O3, WO6, 및 MnCO3을 시작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들 재료를 칭량하고 볼밀로 약 4시간동안 습식 혼합을 하여, (Ca1-XMX)Bi4(Ti1-yWy)4O15+ MnCO3의 z wt.%(M = Mg, Sr, Ba, La, Nd,Sm, 또는 Y ; 0 ≤ y ≤0.6 ; 0 ≤ z ≤ 1.6 ; M = Mg, Sr, 또는 Ba 일 때, 0 ≤ x ≤ 0.6 ; 및 M = La, Nd, Sm, 또는 Y 일 때, 0 ≤ x ≤ 0.4)의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각 혼합물을 700~900℃에서 건조하고 하소하였다. 하소체를 일단 대충 분쇄한 후 적절한 양의 유기 바인더와 함께 볼밀로 4시간동안 습식조건하에서 다시 분쇄하였다. 이렇게 분쇄된 하소체를 40 메스 체(mesh sieve)를 통과시켜, 입자 크기를 조절하였다. 얻어진 분말을 1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직경 12.5mm 및 두께 1mm의 판(disk)를 형성하였고, 상기 판을 1100~1150℃의 대기에서 소성하여, 판형상의 세라믹 재료를 형성하였다. 은 페이스트를 세라믹판의 각 주면에 도포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소결하여, 은 전극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세라믹판을 150~200℃의 절연오일에 담그고 5~10kg/mm의 DC전압을 10~30분동안 가하여 극성화하여, 그로 인해 압전 세라믹 재료를 얻었다.(시험 시료)
얻어진 시료들의 밀도, 공진 주파수의 온도 계수(frTC), 및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상기 조성물 일반식에 있는 소성 온도, 금속 원소 (M)와 매개 변수 x, y, 및 z와 함께 표 1 내지 3에 보여진다. "*"로 표시된 시료들은 본 발명의 조성비를 벗어난 것들이다.
표 1 내지 3에서, 조성식에 있는 값 x/4 및 y는 각각 Bi 1 몰당 M 함유량(몰) 및 W 함유량(몰)을 나타낸다.
표 1 내지 3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y = 0인 시료들은 1100℃이하의 소성 온도에서 충분하게 소결될 수 없었고, 분극될 수 없었고, y > 0.1인 시료들은 실사용에 충분한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성식에서 y의 범위가 0 < y ≤ 0.5로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M이 Mg, Sr, 및 Ba 중 적어도 하나의 2가 금속원소일 때, x/4는 0 ≤ x/4 ≤ 0.125를 만족해야만 한다. x/4가 상한값 보다 클 때는, 전기기계 결합계수(kt)가 M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낮았고, 따라서 M의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 M이 La, Nd, Sm, 및 Y 중 적어도 하나의 3가 금속 원소일 때, x/4는 0 ≤ x/4 ≤ 0.075를 만족해야만 한다. x/4가 0.075보다 클 때, 전기기계 결합계수(kt)가 M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낮았고, 따라서 M의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 MnCO3으로 환산된 Mn의 양은 1.5 중량%이하이다. 그 양이 1.5 중량%보다 클 때는, Mn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전기기계 결합계수가 감소하고 공진 주파수의 온도계수 (frTC)가 증가한다.
표 1 내지 3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따라 1100℃에서 소성에 의해 제조된 시료들은 실사용에 충분한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인다.
게다가, M이 La, Nd, Sm, 및 Y 중 적어도 하나일 때, 본 발명에 따라 1100℃에서 소성되어 제조된 시료들은 실사용에 충분한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였고공진 주파수의 온도계수(frTC)가 낮았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특성을 갖는 압전 세라믹 재료를 제조하는데 유용함을 나타낸다.
M이 Nd 및 Y 중 적어도 하나일 때,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조성물은 공진 주파수의 온도계수(frTC)가 특히 작았다.
다양한 조성비를 갖는 상술한 시료들을 본 발명에 제한하여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어떤 압전 세라믹 조성물도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일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CaBi4Ti4O15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이 상술한 조성 조건을 반드시 만족하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구성 원소의 화학양론으로부터 조금 벗어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압전 트랜스듀서의 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트랜스듀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과 2에 도시된 압전 트랜스듀서 10은 압전 세라믹 재료 12(예를 들어, 직방형(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를 포함한다. 압전 세라믹체 12는 본 발명의 압전 세라믹 조성물로 형성된 두 개의 압전 세라믹층 12a 및 12b를 포함한다. 압전 세라믹층 12a와 12b는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놓이고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보이듯이, 압전 세라믹층 12a와 12b는 화살표로 표시된 동일한 두께 방향으로 분극화된다.
진동 전극 14a(예를 들어, 원형)는 압전 세라믹층 12a와 12b 사이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인출(lead) 전극 16a(예를 들어, T형상)는 진동 전극 14a로부터 압전 세라믹체 12의 제 1 측면까지 연장된다. 진동 전극 14b(예를 들어, 원형)는 압전 세라믹층 12a의 외부면 위에 배치된다. 인출 전극 16b(예를 들어, T형상)는 진동 전극 14b로부터 압전 세라믹체 12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된다. 게다가, 진동 전극 14c(예를 들어, 원형)가 압전 세라믹층 12b의 외부면 위에 배치된다. 인출 전극 16c(예를 들어, T형상)는 진동 전극 14c로부터 압전 세라믹체 12의 제 2 측면까지 연장된다.
인출 전극 16a는 리드(lead) 18a를 통하여 외부 단자 20a에 접속되는 반면, 리드 전극 16b 및 16c는 분기된 리드 18b를 통하여 외부 단자 20b에 접속된다.
상술한 세라믹 압전 트랜스듀서 10 이외에, 본 발명은 다른 압전 트랜스듀서, 세라믹 압전 필터, 및 세라믹 압전 발진기 등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포함한다.
이상에 기술된 것처럼, 본 발명은 CaBi4Ti4O15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1100℃이하에서 소성 가능하고, 실사용에 충분한 수준의 전기기계 결합계수(kt)를 보이며, 그리고 압전 필터, 압전 발진기, 및 압전 트랜스듀서 등의 압전 세라믹 소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재료로 작용한다.

Claims (9)

  1. CaBi4Ti4O15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주성분 내에 함유된 Bi의 1 몰당 0을 초과하고 0.5몰 이하의 W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성분이 CaBi4(Ti1-yWy)4O15로 표현되고, 여기서 y는 0을 초과하고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Ca 대신에 Bi 1 몰당 0을 초과하고 0.125몰 이하의 2가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a 이외의 상기 2가 금속 원소가 Mg, Sr, 및 Ba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이 Bi 대신에 Bi의 몰당 0을 초과하고 0.075몰 이하의 3가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i 이외의 3가 금속 원소가 La, Ce, Pr, Nd, Sm, Gd, Dy, Er, Yb, Sc, 및 Y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이 MnCO3로 환산된 0을 초과하고 1.5 중량% 이하의 Mn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
  8. 제 1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재료.
  9. 제 8 항에 기재된 상기 압전 세라믹 재료 및 상기 세라믹 재료에 부착된 전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KR10-2000-0049523A 1999-08-26 2000-08-25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KR100379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40146 1999-08-26
JP24014699 1999-08-26
JP2000-161832 2000-05-31
JP2000161832A JP3788198B2 (ja) 1999-08-26 2000-05-31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207A KR20010050207A (ko) 2001-06-15
KR100379202B1 true KR100379202B1 (ko) 2003-04-08

Family

ID=2653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523A KR100379202B1 (ko) 1999-08-26 2000-08-25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72152B1 (ko)
JP (1) JP3788198B2 (ko)
KR (1) KR100379202B1 (ko)
CN (1) CN1219297C (ko)
DE (1) DE10041307B4 (ko)
TW (1) TW469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1293C (zh) * 2004-03-30 2008-02-27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无模板丝网印刷制备织构化铋层状压电陶瓷的方法
JP2006169032A (ja) * 2004-12-15 2006-06-29 Ngk Spark Plug Co Ltd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圧電素子
CN101857430B (zh) * 2010-06-23 2012-10-10 湖南先导电子陶瓷科技产业园发展有限公司 一种钛酸盐系列电子陶瓷纳米晶体材料的合成方法
CN101928139B (zh) * 2010-09-02 2013-04-17 同济大学 一种钛酸铋钙基发光压电陶瓷材料及制备方法
CN102153342B (zh) * 2010-12-27 2013-02-06 南京工业大学 一种复合掺杂改性的Y2Ti2O7微波介质陶瓷材料
CN102173785B (zh) * 2011-01-21 2012-12-19 天津大学 一种宽工作温区热稳定型复合介质陶瓷的制备方法
CN102173782B (zh) * 2011-03-11 2013-07-10 西安交通大学 钼基钛基温度稳定型微波介质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TW201331150A (zh) * 2012-01-20 2013-08-01 Yageo Corp 用於製作被動元件的陶瓷材料組成
CN103102154B (zh) * 2013-02-03 2014-07-02 北京工业大学 Bi0.5Na0.5TiO3-BaTiO3–BiMg0.5Ti0.5O3无铅压电陶瓷材料
CN104529435B (zh) * 2014-12-26 2018-03-30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铋层状结构压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837200A (zh) * 2016-04-05 2016-08-10 四川大学 一种锰掺杂钛铌酸铋钙锂铈基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317054B (zh) * 2018-03-30 2022-03-01 Tdk株式会社 介电组合物和电子部件
CN110317055B (zh) * 2018-03-30 2022-03-01 Tdk株式会社 介电组合物和电子部件
CN110317056B (zh) * 2018-03-30 2022-03-01 Tdk株式会社 电介质组合物及电子部件
CN113929450B (zh) * 2021-11-09 2023-04-28 山东大学 一种高压电性能的CaBi4Ti4O15陶瓷的制备方法
CN117263674A (zh) * 2023-09-14 2023-12-22 景德镇陶瓷大学 一种镧系元素与Cr、W共掺杂型CaBi4Ti4O15高温压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263677A (zh) * 2023-09-14 2023-12-22 景德镇陶瓷大学 一种镧系元素与Cr、Mo共掺杂型CaBi4Ti4O15高温压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263676A (zh) * 2023-09-14 2023-12-22 景德镇陶瓷大学 一种镧系元素与Ga、W共掺杂型CaBi4Ti4O15高温压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263675A (zh) * 2023-09-14 2023-12-22 景德镇陶瓷大学 一种镧系元素与Ga、Mo共掺杂型CaBi4Ti4O15高温压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22A (ja) * 1997-07-10 1999-02-02 Daihatsu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3931513B2 (ja) * 1999-02-08 2007-06-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9447B (en) 2001-12-21
DE10041307B4 (de) 2005-03-17
DE10041307A1 (de) 2001-03-29
CN1286477A (zh) 2001-03-07
CN1219297C (zh) 2005-09-14
KR20010050207A (ko) 2001-06-15
JP3788198B2 (ja) 2006-06-21
JP2001130956A (ja) 2001-05-15
US6372152B1 (en) 200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202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JP3482394B2 (ja) 圧電磁器組成物
KR100282598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US6248254B1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and piezoelectric ceramic device using the same
JP3671791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JP4432969B2 (ja) 圧電磁器組成物、及び圧電素子
JP4493226B2 (ja) 圧電磁器および圧電素子
JP3791299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KR100661234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압전 세라믹 소자
JP3617411B2 (ja) 圧電セラミック振動子
JP2004002051A (ja) 圧電磁器組成物、圧電セラミック素子および圧電磁器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4323325A (ja) 圧電磁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磁器素子
KR100379201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압전 세라믹 장치
JP3912098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KR100380109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 소자
JP2737451B2 (ja) 圧電磁器材料
JP3791300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WO2002024602A1 (fr) Ceramique piezo-electrique et element en ceramique piezo-electrique
JP3228648B2 (ja) 圧電磁器組成物
JPH09142931A (ja) 圧電磁器組成物
JPH1017364A (ja) 圧電磁器組成物
JP2003002741A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JPH09175862A (ja) 圧電磁器組成物
JPH0558726A (ja) 圧電磁器および表面実装型圧電部品
JPH09235159A (ja) 圧電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