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062B1 -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062B1
KR100379062B1 KR10-2000-0063391A KR20000063391A KR100379062B1 KR 100379062 B1 KR100379062 B1 KR 100379062B1 KR 20000063391 A KR20000063391 A KR 20000063391A KR 100379062 B1 KR100379062 B1 KR 10037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heat
feed
meat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756A (ko
Inventor
임정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예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예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예들
Priority to KR10-2000-006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0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추위를 보유한 초식성 동물인 한우를 인공적으로 사육하는데 필요한 양질의 사료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한우용 사료조성물 함량이 조단백질 12.0중량%이상, 조지방 2.0중량%이상, 칼슘 0.7중량%이상, 인 0.4중량%이상, 조섬유 15.0중량%이하, 조회분 10.0중량%이하,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 74.0중량%이상으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질개선 한우용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발명은, 상기 한우용 사료조성물의 원료는 옥수수(corn-coarse), 호밀(rye), 소맥(wheat), 소맥피(wheat br-p), 야자박(copra), 채종박(rape), 옥수수피, 사탕무우(beet pulp), 당밀(molasses), 지방부산물(By-Pass Fat), 글루탐산 모노나트륨(MSG-M), 석회석(lime), 가공염(NaCl), 인산칼슘(T.C.P), 미네랄합제, 필수비타민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양질의 사료를 제공하여 면역성이 뛰어난 건강한 한우 및 육질이 우수하여 고기맛이 탁월한 한우를 사육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FEED OF KOREAN CATTLE FOR MAKING GOOD MEAT WHICH IS INCREASING MARBLING AND LOW CHOLESTEROL}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축용 사료를 가정에서 생산한 음식물 찌꺼기나 볏짚, 들에서 생산되는 잡초들을 잡초생산시기에 채취하여 공급하는 방식으로 가축에 제공하였다. 최근 가축용 배합사료를 대량적으로 생산하고 있긴 하나 체계적인 사육관리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 년령이나 발육단계에 따라 조성된 사료를 제공하지 못해 필요한 영양소를 제때에 급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기존 배합사료 비율은 한우의 적절한 생리적 영양소 섭취에 따른 조성성분이 과학적으로 체계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체계화되지 못한 사료를 개선하여 한우에 적합한 사료를 각 년령이나 발육단계에 따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육 프로그램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추위 초식성 한우가 필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우 육성우 사료(생후 3개월령∼생체중 250㎏이하)와 한우 비육우 사료(500㎏이상)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육질개선 한우용 사료조성물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한우 육성용 사료조성물 함량이 조단백질 15.5중량%이상, 조지방 2.0중량%이상, 칼슘 0.7중량%이상, 인 0.4중량%이상, 조섬유 15.0중량%이하, 조회분 10.0중량%이하,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 69.0중량%이상으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한우 육성용 사료조성물의 원료는 옥수수(corn-coarse), 호밀(rye), 루핀씨(lupin kernel), 소맥피(wheat br-p), 옥수수피, 야자박(copra), 채종박(rape), 면실박(cotton seed meal), 당밀(molasses), 글루탐산 모노나트륨(MSG-M), 석회석(lime), 가공염(NaCl), 미네랄합제, 필수비타민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옥수수(corn-coarse), 호밀(rye), 소맥(wheat), 소맥피(wheat br-p), 야자박(copra), 채종박(rape), 옥수수피, 사탕무우(beet pulp), 당밀(molasses), 지방부산물(By-Pass Fat), 글루탐산 모노나트륨(MSG-M), 석회석(lime), 가공염(NaCl), 인산칼슘(T.C.P), 미네랄합제, 필수비타민합제를 포함하여 사료조성물 함량이 조단백질 12.0중량%이상, 조지방 2.0중량%이상, 칼슘 0.7중량%이상, 인 0.4중량%이상, 조섬유 15.0중량%이하, 조회분 10.0중량%이하,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 74.0중량%이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상기 한우 육성용 사료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옥수수(corn-coarse) 30중량%, 호밀(rye) 3.86중량%, 루핀씨(lupin kernel) 0.70중량%, 소맥피(wheat br-p) 21.54중량%, 옥수수피(corn G.F-H.St) 10.00중량%, 야자박(copra) 10.00중량%, 채종박(rape S.M) 5.00중량%, 면실박(cotton seed meal) 9.24중량%, 당밀(molasses) 5.00중량%, 글루탐산 모노나트륨(MSG-M) 1.00중량%, 석회석(lime S) 2.16중량%, 가공염(NaCl) 0.50중량%, 소량의 미네랄합제(철, 망간, 아연, 구리, 코발트, 요오드, 세레륨 등), 소량의 필수비타민합제(비타민 A, D3, E, K3, B2, B12, 나이아신, 팬토테닉 산(Patothenic acid), 폴릭 산(folic acid), 비오틴(Biotin), 에톡시퀸(Ethoxyquin) 등)를 적절히 배합하여 생산한다.
사료성분명 조단백질(중량%)이상 조지방(중량%)이상 칼슘(중량%)이상 인(중량%)이상 조섬유(중량%)이하 조회분(중량%)이하 TDN(중량%)이상
한우육성용 15.5 2.0 0.72 0.38 15.0 10.0 69.0
대조구 14.0 1.5 0.6 0.4 15.0 10.0 69.0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가소화 영양소 총량
실시예2
본 발명의 상기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옥수수(corn-coarse) 25.00중량%, 호밀(rye) 14.80중량%, 소맥(wheat-10) 5.00중량%, 소맥피(wheat br-p) 12.90중량%, 야자박(copra) 10.00중량%, 채종박(rape S.M) 3.60중량%, 옥수수피(corn G.F-H.St) 10.00중량%, 사탕무우(beet pulp) 10.00중량%, 당밀(molasses) 3.75중량%, 지방부산물(By-Pass Fat) 0.60중량%, 글루탐산 모노나트륨(MSG-M) 0.75중량%, 석회석(lime S) 2.00중량%, 가공염(NaCl) 0.40중량%, 인산칼슘(T.C.P) 0.20중량%, 기타 소량의 미네랄합제(철, 망간, 아연, 구리, 코발트, 요오드, 세레륨 등), 소량의 필수비타민합제(비타민 A, D3, E, K3, B2, B12, 나이아신, 팬토테닉 산(Patothenic acid), 폴릭 산(folic acid), 비오틴(Biotin), 에톡시퀸(Ethoxyquin) 등)를 적절히 배합하여 생산한다.
사료성분명 조단백질(중량%)이상 조지방(중량%)이상 칼슘(중량%)이상 인(중량%)이상 조섬유(중량%)이하 조회분(중량%)이하 TDN(중량%)이상
한우비육용 12.0 2.0 0.70 0.40 15.0 10.0 74.0
대조구 10.0 1.5 0.7 0.4 15.0 10.0 74.0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가소화 영양소 총량
본 발명은 한우 사육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통상의 한우 사양조건과 사료급여방법에 따라 거세한 한우, 일반 암소 및 수소에 본 발명의 한우 비육용 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육질을 한국식품개발연구원(박우문, 1999. 10)에서 실험한 분석치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구성 중 사료의 조성분석표 1, 2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볼 때 조단백질, 조지방의 함량이 우수하여 좋은 육질을 생산하였다.
1. 지방함량(marbling)
마블링정도는 근육내에 지방이 촘촘히 박힌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마블링이우수한 고기는 고기를 씹을 때 부드럽고 고기 고유의 고소한 풍미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육질개선 한우용 사료에 의한 거세한우의 마블링정도가 5배이상 우수하게 나타났다.
구분 거세한우 일반 암소 일반 수소
함량(%) 23.00p ± 0.01 10.28p ± 0.13 4.28p ± 0.04
차이 5.37 2.40 1.00
*차이와 수치는 일반 수소를 기준으로 차이를 배수로 나타냄.
2. 콜레스테롤 함량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은 경우 동맥경화나 고혈압, 심근경색, 고지혈증 등 성인병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거세한우의 콜레스테롤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치의 결과를 나타냈다.
구분 거세한우 일반 암소 일반 수소
함량(㎎%) 66.83 ± 0.00 98.75 ± 4.21 85.85 ± 6.86
차이 0.78 1.15 1.00
3. 육색의 밝기
육색이 밝고 선홍색계열이 많으면 고기가 먹음직스럽다. 본 발명에 의한 거세한우는 명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구분 거세한우 일반 암소 일반 수소
명도 40.06 37.60 35.78
차이 1.12 1.05 1.00
4. 보수력
육즙의 양을 많이 있게 하는 보수력은 고기 내의 물이 결합수로 인하여 비타민이나 미네랄, 아미노산 등의 유출을 막아 영양분 뿐만 아니라, 맛, 풍미를 우수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거세한우가 보수력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구분 거세한우 일반 암소 일반 수소
함량(㎎%) 76.03 ± 1.22 67.13 ± 0.64 66.85 ± 2.34
차이 1.14 1.00 1.00
5. 이노신함량
고기 등의 풍미와 관련된 핵산물질인 이노신함량은 거세한우가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구분 거세한우 일반 암소 일반 수소
함량(㎎%) 8.51 ± 0.40 5.78 ± 0.27 6.32 ± 0.15
차이 1.35 0.91 1.00
6. 기계적 조직감
기계적 조직감은 하드니스(hardness: 어금니로 끝까지 씹었을 때 느끼는 강도)와 츄이니스(chewiness: 어금니로 삼키기 전까지 씹었을 때 느끼는 강도)를 말하며, 기계적 조직감은 질긴 정도를 나타내는데 거세한우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생육(raw meat)
거세한우 일반 암소 일반 수소
하드니스 1684.9 1730.3 1746.0
차이 0.97 0.99 1.00
츄이니스 665.4 396.9 584.4
차이 1.14 0.68 1.00
익혔을 때(cooked meat)
거세한우 일반 암소 일반 수소
하드니스 1178.5 1364.3 1980.2
차이 0.59 0.69 1.00
츄이니스 455.9 185.7 280.3
차이 1.63 0.66 1.00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표에 기재된 내용에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육질개선 한우용 사료에 의하여 생산된 육질이 종래의 사육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육질보다 뛰어난 육질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육질은 지방이 고루 분포되어 있는 마블링 정도, 콜레스테롤 함량, 기계적 조직감(질김여부), 선홍색감 정도 등 다양하게 판단하여 특상등(1+, 1등급), 상등(2등급), 중등육(3등급), 그리고 등 외를 판단하나 본 발명에 따른 사육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육질은 60∼70%이상이 특상등육으로 판단될 정도로 우수한 육질을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특히,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육질개선 사료용 조성물은 사료를 급여한 동물의 근육조직의 마블링 정도를 증가시키고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옥수수(corn-coarse), 호밀(rye), 소맥(wheat), 소맥피(wheat br-p), 야자박(copra), 채종박(rape), 옥수수피, 사탕무우(beet pulp), 당밀(molasses), 지방부산물(By-Pass Fat), 글루탐산 모노나트륨(MSG-M), 석회석(lime), 가공염(NaCl), 인산칼슘(T.C.P), 미네랄합제, 필수비타민합제를 포함하여 사료조성물 함량이 조단백질 12.0중량%이상, 조지방 2.0중량%이상, 칼슘 0.7중량%이상, 인 0.4중량%이상, 조섬유 15.0중량%이하, 조회분 10.0중량%이하,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 74.0중량%이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KR10-2000-0063391A 2000-10-27 2000-10-27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KR10037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391A KR100379062B1 (ko) 2000-10-27 2000-10-27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391A KR100379062B1 (ko) 2000-10-27 2000-10-27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756A KR20020032756A (ko) 2002-05-04
KR100379062B1 true KR100379062B1 (ko) 2003-04-08

Family

ID=1969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391A KR100379062B1 (ko) 2000-10-27 2000-10-27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65B1 (ko) 2007-12-11 2009-06-24 박효도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KR101288392B1 (ko) * 2011-06-01 2013-07-23 대한민국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의 육질개선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350A (ja) * 1990-05-23 1992-01-30 Hideki Kondo 霜降肉牛の肥育のための配合飼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49855A (ja) * 1991-05-17 1992-12-04 Nippon Nousan Kogyo Kk 馬用飼料
KR19990017098A (ko) * 1997-08-21 1999-03-15 권순헌 사료의 제조방법
KR100198727B1 (ko) * 1995-12-22 1999-06-15 신영일 비육소 또는 돼지 사료용 알콜발효당밀액
KR19990046812A (ko) * 1999-04-29 1999-07-05 전봉열 어성초를함유한돼지사료제조방법
KR100330751B1 (ko) * 1999-06-10 2002-04-03 박준호 한약재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및 사료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350A (ja) * 1990-05-23 1992-01-30 Hideki Kondo 霜降肉牛の肥育のための配合飼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49855A (ja) * 1991-05-17 1992-12-04 Nippon Nousan Kogyo Kk 馬用飼料
KR100198727B1 (ko) * 1995-12-22 1999-06-15 신영일 비육소 또는 돼지 사료용 알콜발효당밀액
KR19990017098A (ko) * 1997-08-21 1999-03-15 권순헌 사료의 제조방법
KR19990046812A (ko) * 1999-04-29 1999-07-05 전봉열 어성초를함유한돼지사료제조방법
KR100330751B1 (ko) * 1999-06-10 2002-04-03 박준호 한약재를 이용한 닭 사료 제조 방법 및 사료사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65B1 (ko) 2007-12-11 2009-06-24 박효도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소사료 및 이를 이용한 소 사육방법
KR101288392B1 (ko) * 2011-06-01 2013-07-23 대한민국 육질개선을 위한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가축의 육질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756A (ko) 200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5222B (zh) 一种利用思南黄牛生产雪花牛肉的育肥方法
CN105475639A (zh) 一种生产雪花牛肉的肉牛饲用日粮及精料补充料配方
CN100429991C (zh) 仔猪断奶饲料
KR101909002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CN102524578B (zh) 一种龟用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935310A (zh) 一种肉牛分阶段育肥方法
CN101253946A (zh) 一种宠物猫生长期用营养组合物
CN103875989B (zh) 一种肉羊饲料及其生产方法
CN1322484A (zh) 动物营养素
KR20170057907A (ko) 꽃송이 버섯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JP2542655B2 (ja) 動物用混合飼料
KR100379062B1 (ko)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한우 비육용 사료조성물
JP5885245B2 (ja) 畜牛の飼育方法
CN103875990A (zh) 一种幼羊饲料及其生产方法
CN1200605C (zh) 甜叶菊植物组织的细粉产物在防止家禽蛋破碎中的应用
KR100222132B1 (ko) 가축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5929B1 (ko) 반추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79061B1 (ko) 마블링과 저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육질개선 사료급여방법
KR100385930B1 (ko) 반추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급여방법
KR100429583B1 (ko) 쑥을 주원료로 한 돼지용 첨가사료 제조방법
JPS62224246A (ja) 家畜・家禽用飼料添加剤
Partama Inclusion of dietary multi-mineral-vitamin (“Pignox”) on growth performance in weaned piglet
CN108935991A (zh) 一种肉牛育肥后期用饲料
CN107232413A (zh) 乳猪养殖营养高效摄取中药型猪饲料
KR101833491B1 (ko) 자이언트 켈프를 포함하는 기능성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사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