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753B1 -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753B1
KR100377753B1 KR10-2000-0061694A KR20000061694A KR100377753B1 KR 100377753 B1 KR100377753 B1 KR 100377753B1 KR 20000061694 A KR20000061694 A KR 20000061694A KR 100377753 B1 KR100377753 B1 KR 10037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oud
top plate
discharge guide
air conditioner
guid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655A (ko
Inventor
황유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0-006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7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이 일체로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쉬라우드 구조는, 일측에 실외측열교환기의 측면부가 삽입되는 협지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쉬라우드본체와;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상면에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쉬라우드본체와 힌지로 결합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상기 쉬라우드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쉬라우드에 상판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 및 생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와 함께, 토출가이드면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분산시켜,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A shroud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부품인 쉬라우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창문형이라 불리우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은 베이스팬(1)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팬(1) 상에 공기조화사이클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베이스팬(1) 위로 아웃케이스(미도시)가 체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의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전면 부근에는 에어가이드(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가이드(2) 내부에는 회전하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2)는 상기 블로워(3)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공기조화기 내부는 상기 에어가이드(2)의 후측면에 의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며, 실내측과 실외측 간의 공기유동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2)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3)의 전방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측열교환기(4)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전면에는 상기 블로워(3)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실내측열교환기(4)를 거치며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는 실외의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가 열교환되는 실외측열교환기(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의 전방에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7)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송풍팬(7)이 회전함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7)에 의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 내부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와 열교환된 후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블로워(3)와 송풍팬(7) 사이에는 상기 블로워(3)와 송풍팬(7)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7)은 쉬라우드(9)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쉬라우드(9)에는 중앙에 원형의 통공(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9a) 상에 상기 송풍팬(7)이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9)는 상기 송풍팬(7)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의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측으로 토출된 기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9a)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송풍팬(7)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 쪽으로 안내하는 소정 길이의 토출가이드면(9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에는 'ㄱ'형상으로 절곡된 측면부(6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쉬라우드(9)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부(6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를 대향하여 개구된 소정 공간의 협지부(9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쉬라우드(9)의 상측에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와 쉬라우드(9)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판이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쉬라우드(9)와 상판(10)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쉬라우드(9)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상판(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9e)이 형성된 체결리브(9d)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대되는 쪽에는 체결공(9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10)에는 상기 체결리브(9d)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걸이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쉬라우드(9)의 체결공(9e)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체결공(10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10)을 쉬라우드(9)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리브(9d)의 체결홈(9e)에 상기 걸이부(10a)를 끼워 넣고, 상기 각각의 체결공(9f,10b)을 통해 체결구(20)를 체결하면, 상기 상판(10)과 쉬라우드(9)의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쉬라우드와 상판의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먼저 상기 상판(10)을 체결함에 있어서 별도의 체결구(20)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 체결구(20) 사용에 따른 비용발생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체결구(20) 체결작업은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므로 작업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구(20)를 이용한 체결은 공기조화기의 가동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쉬라우드(9)와 상판(10)이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각기 따로따로 입고되어야 하므로 수송원가가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한 부분으로 지적되고 있다.
덧붙여, 상기 통공에 형성된 토출가이드면(9b)은 상기 송풍팬(7)에 의한 기류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기류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토출가이드면(9b)의 단부에서는 상기토출가이드면(9b)을 따라 유동하던 기류가 떨어져 나가며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류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여, 조용함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불만족스러운 사항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공정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비용이 저감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이 저감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쉬라우드와 상판의 체결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쉬라우드본체 31 : 통공
32 : 협지부 33 : 토출가이드면
34 : 지지리브 35 : 체결리브
35a : 체결홈 41 : 제1상판
41a,42a : 힌지 41b.42b : 측부
41c : 걸이부 41d : 돌출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쉬라우드 구조는, 일측에 실외측열교환기의 측면부가 삽입되는 협지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쉬라우드본체와;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상면에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쉬라우드본체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협지부의 상면을 덮는 제1상판과;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상면에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쉬라우드본체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협지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상판과; 상기 제1 및 제2 상판을 상기 쉬라우드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제1상판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가 체결되는 체결리브와; 상기 제1상판의 상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상판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돌출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통공 외주연에는 소정 폭의 토출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가이드면의 바깥쪽에는 상기 토출가이드면보다 넓은 폭을 갖는 원형의 지지리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쉬라우드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쉬라우드와; 상기 통공의 외주연에 형성된 소정 폭의 토출가이드면과; 상기 토출가이드면의 바깥쪽에 상기 토출가이드면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원형의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쉬라우드에 상판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 및 생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와 함께, 토출가이드면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분산시켜,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쉬라우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쉬라우드본체(30)의 중앙에는 송풍팬(미도시)을 설치하기 위한 통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일측은 그 후측에 설치되는 실외측열교환기(미도시)의 측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의 협지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공(31)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폭의 토출가이드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면(33)은 송풍팬(미도시)의 회전에 의한 기류를 실외측열교환기(미도시)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가이드면(33)의 바깥쪽에는 상기 토출가이드면(33) 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형성된 지지리브(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리브(34)는 상기 토출가이드면(33)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분산시켜 소음을 저감하고,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쉬라우드본체(30)가 휘거나 상기 토출가이드면(33)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쉬라우드본체(30)와 실외측열교환기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상판(41,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41,42)은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협지부(32)의 상면을 덮는 제1상판(41)과, 상기 협지부(3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을 덮는 제2상판(4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상판(41)과 제2상판(42)은 각각 상기 쉬라우드본체(30)에 힌지(41a,42a)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상판(41)과 제2상판(42)에는 각각 상기 쉬라우드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 측부(41b,4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판(41)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그 단부가 고리모양으로 성형된 걸이부(4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41c)에 대응되는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이부(41c)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중앙에 체결홈(35a)이 형성된 체결리브(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판(4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2상판(42)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상판(42)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상판(42)과 대응되는 부분에 단턱진 형태의 돌출면(4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41,42)을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상판(42)을 힌지(42a)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상면을 덮는다. 이 때, 상기 제2상판(42)은 마치 뚜껑을 덮듯이 상기 제2상판(42)의 측부(42b) 내측이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외측면과 밀착되며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상판(41)을 힌지(41a)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덮는다. 이 때 역시 상기 제1상판(41)의 측부(41b) 내측이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끼워지게 되고, 상기 걸이부(41c)는 상기 체결리브(35)의 체결홈(35a)에 체결되어 상기 제1상판(41)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4와 같이, 상기 제2상판(42)의 상면을 상기 제1상판(41)의 돌출면(41d)이 덮게 되는데, 상기 제1상판(41)은 상기 걸이부(41c)와 체결리브(35)의 체결에 의해 완전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상판(42) 또한 유동이 구속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상판(41)과 제2상판(42)은 별도의 체결구 없이, 힌지(41a,41b)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상기 걸이부(41c)를 체결리브(35)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본체(30)의 통공(31) 상에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이 회전하여 기류가 형성되면, 상기 토출가이드면(33)의 단부에서는 상기 토출가이드면(33)을 따라 유동하던 기류가 떨어져 나가며 와류가 발생하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와류는 상기 토출가이드면(33)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리브(34)에 부딪혀 분산되게 되고, 이와 같이 와류가 상기 지지리브(34)에 부딪혀 분산되며 소멸되므로, 와류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쉬라우드의 상면에 체결되는 상판을 상기 쉬라우드와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이 별도의 부재로 구비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예를 들어 체결구 사용에 따른 비용의 증가, 상기 상판의 체결작업이 복잡함으로 인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의 증가, 상기 상판의 운반비에 따른 운송비 지출 등의 문제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의 통공 상에 형성된 토출가이드면의 바깥쪽에 지지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쉬라우드의 강도가 보강되고, 상기 토출가이드면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시 상기 쉬라우드가 휘는 것이 방지되어 종래에 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소음이 저감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만족감 및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일측에 실외측열교환기의 측면부가 삽입되는 협지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쉬라우드본체와;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상면에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쉬라우드본체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협지부의 상면을 덮는 제1상판과;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상면에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쉬라우드본체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협지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상판과;
    상기 제1 및 제2 상판을 상기 쉬라우드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제1상판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가 체결되는 체결리브와; 상기 제1상판의 상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상판의 상면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돌출면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본체의 통공 외주연에는 소정 폭의 토출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가이드면의 바깥쪽에는 상기 토출가이드면보다 넓은 폭을 갖는 원형의 지지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KR10-2000-0061694A 2000-10-19 2000-10-19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KR10037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694A KR100377753B1 (ko) 2000-10-19 2000-10-19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694A KR100377753B1 (ko) 2000-10-19 2000-10-19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655A KR20020030655A (ko) 2002-04-25
KR100377753B1 true KR100377753B1 (ko) 2003-03-29

Family

ID=1969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694A KR100377753B1 (ko) 2000-10-19 2000-10-19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973B1 (ko) * 2001-12-05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809473B1 (ko) * 2006-12-29 2008-03-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기
CN104296337B (zh) * 2013-07-19 2018-04-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311A (ko) * 1997-02-27 1998-10-26 구자홍 에어컨 실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311A (ko) * 1997-02-27 1998-10-26 구자홍 에어컨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655A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9327B1 (en) Air delivery unit
KR2019013905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7260953B2 (en) Air conditioner
KR100377753B1 (ko)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JP200321465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633611B1 (ko) 공기조화기
KR100461651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모터마운트
JPH0510546A (ja) 空気調和機
CN213514099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6336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469792B1 (ko) 천정형 에어컨의 흡입공기 안내구조
JP3503394B2 (ja) 空気調和機
KR200170281Y1 (ko) 공기조화기
KR20020061766A (ko)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CN114427702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2008226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
KR100889737B1 (ko) 송풍기 유니트
KR100725740B1 (ko) 공기조화기
KR2002000983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2002005993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장착구조
KR2003002306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20020039831A (ko)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장착구조
KR2004007041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
KR2006001567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9990071200A (ko)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