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200A -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200A
KR19990071200A KR1019980006518A KR19980006518A KR19990071200A KR 19990071200 A KR19990071200 A KR 19990071200A KR 1019980006518 A KR1019980006518 A KR 1019980006518A KR 19980006518 A KR19980006518 A KR 19980006518A KR 19990071200 A KR19990071200 A KR 19990071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intake structure
suction hole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1200A/ko
Publication of KR1999007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200A/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흡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흡입 및 토출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로워 수납부(52)의 전면에 실내 공기가 증발기(55)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공(53)이 형성된 상, 하부 프레임(51, 54)을 포함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공(53)의 외주 선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본 발명은 공기 흡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가정 또는 산업체의 생산 현장에서 공기 조화 즉, 온도 및 습도 조절등에 사용된다.
상기한 공기 조화기는 통상 에어컨(Air-Conditioner)으로 지칭되고, 이는 사용 장소 및 냉방 능력에 따라 일체형, 분리형, 패키지형등으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일체형 에어컨은 비교적 냉방 능력이 작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즉, 일체형 공기 조화기는 증발기와 응축기 그리고 압축기가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통합 설치되어 있는 것인 바, 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50)와,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상면 일측에 안착됨과 아울러 상부 프레임(51)과 블로워 수납부(52)를 형성하고 그 전면에 흡입공(53)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54)과, 상기한 흡입공(53)의 전면에 위치된 증발기(55)와, 상기한 상부 프레임(51)과 연결됨과 아울러 응축기(56)가 수납된 팬 하우징(5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상, 하부 프레임(51), 54)의 사이에는 팬(58)과 블로워(59)가 연결되어 있는 모터(60)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체형 공기 조화기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가 동작됨과 동시에 모터(60)가 회전하게 된다.
모터(60)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블로워(59)가 회전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바, 상기한 증발기(5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함과 아울러 실내 공기가 흡입공(53)으로 유입된다.
흡입공(53)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다시 도시되지 않은 토출공을 통해 실내로 송풍됨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로워가 회전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할 때 상기한 흡입공의 외주변에서 와류가 발생됨과 아울러 이로 인해 흡입 풍량이 저하되고, 흡입 풍량의 저하에 따라 토출량이 감소됨으로써 냉방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흡입 및 토출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로워 수납부의 전면에 실내 공기가 증발기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공이 형성된 상,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공의 외주 선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상, 하부 프레임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이드부 51: 상부 프레임
53: 흡입공 54: 하부 프레임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로서, 상, 하부 프레임(51, 54)에 형성된 흡입공(53)의 외주 선단에 증발기(55)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유선형의 가이드부(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증발기(55)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한 흡입공(53)의 외주면에서 와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가이드부(1)를 형성함으로써 흡입 시 실내 공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흡입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가이드부(1)는 공기 유입 방향으로 흡입공의 선단 직경이 증대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공기 조화기가 동작되면 모터(60)에 의해 블로워(59)가 회전하게 된다.
블로워(59)가 회전하게 되면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바, 상기한 실내 공기는 증발기(5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고, 상기한 열교환된 공기는 흡입공(53)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한 흡입공(53)의 외주변에 형성된 가이드부(1)를 타고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바, 상기한 유입 시 가이드부(1)는 공기의 유입 방향에 대해 동일 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흡입공(53) 유입 시 저항이 발생되지 않게 되면 종래와 같이 흡입공(53) 주변에서 손실되는 흡입 공기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흡입 공기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게 되면 블로워(59)의 흡입력에 따른 정확한 흡입 능력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블로워(59)의 흡입력이 정확하게 유지되면 동일한 모터(60) 및 블로워(59)를 사용하면서 보다 향상된 흡입 및 토출 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흡입공(53)의 주변부에서 와류에 의해 손실되는 공기량만큼 블로워(59)의 흡입량이 증대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냉방 능력이 증대되는 바, 이는 블로워(59)에 의한 흡입량이 증대되면 실질적으로 열교환되는 공기량이 증대되고, 상기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토출되는 양이 증대되면서 냉방 능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블로워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흡입공에서 와류를 일으킴과 아울러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의 량이 증대되어 실질적인 냉방 능력이 증대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블로워 수납부의 전면에 실내 공기가 증발기를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공이 형성된 상,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흡입공의 외주 선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부는 공기 유입 방향으로 흡입공의 직경이 증대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KR1019980006518A 1998-02-27 1998-02-27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KR19990071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518A KR19990071200A (ko) 1998-02-27 1998-02-27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518A KR19990071200A (ko) 1998-02-27 1998-02-27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200A true KR19990071200A (ko) 1999-09-15

Family

ID=6589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518A KR19990071200A (ko) 1998-02-27 1998-02-27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12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10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10046846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7916A (ko) 시로코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9990071200A (ko)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JP2766475B2 (ja) 空気調和機のクロスフローファン支持構造
KR10043739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20020027965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조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JPH11287474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US20070079628A1 (en) Air conditioner
KR1006336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20040001102A (ko) 양방향 송풍구를 가진 창문형 에어컨
KR100469792B1 (ko) 천정형 에어컨의 흡입공기 안내구조
KR100412415B1 (ko) 에어컨의 흡입구조
KR100379169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 시스템
KR100564457B1 (ko) 공기조화기
KR950006255Y1 (ko) 에어컨
KR20010027697A (ko) 에어컨 실외기
KR100564456B1 (ko) 공기조화기
KR10101630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서비스밸브 설치구조
KR200178057Y1 (ko) 개량된 에어컨 실내기용 하우징 조립체
KR200340246Y1 (ko) 에어컨용블레이드고정장치
KR20010063073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0142344Y1 (ko) 창문형 공기 조화기
KR19990010654U (ko) 일체형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