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766A -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766A
KR20020061766A KR1020010002719A KR20010002719A KR20020061766A KR 20020061766 A KR20020061766 A KR 20020061766A KR 1020010002719 A KR1020010002719 A KR 1020010002719A KR 20010002719 A KR20010002719 A KR 20010002719A KR 20020061766 A KR20020061766 A KR 20020061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oud
heat exchanger
outdoor side
air
sid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766A/ko
Publication of KR2002006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76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쉬라우드커버(40)의 하면에 공기를 실외측열교환기(50)로 안내되는 가이드경사면(45)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경사면(45)에 인접하여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의 상단면에 안착되는 상단안착면(46)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안착면(46)과 가이드경사면(45)의 사이에는 걸림턱(47)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경사면(45)에 의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로 보다 많은 공기가 보다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열교환효율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A shroud cover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실외측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부품인 쉬라우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창문형이라 불리우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은 베이스팬(1)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팬(1) 상에 공기조화사이클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베이스팬(1) 위로 아웃케이스(미도시)가 체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의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전면 부근에는 에어가이드(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가이드(2) 내부에는 회전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2)는 상기 블로워(3)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공기조화기 내부는 상기 에어가이드(2)의 후측면에 의해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며, 실내측과 실외측 간의 공기유동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2)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3)의 전방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내의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측열교환기(4)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전면에는 상기 블로워(3)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실내측열교환기(4)를 거치며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는 실외의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가 열교환되는 실외측열교환기(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의 전방에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7)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송풍팬(7)이 회전함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7)에 의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 내부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와 열교환된 후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블로워(3)와 송풍팬(7) 사이에는 상기 블로워(3)와 송풍팬(7)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7)은 쉬라우드(9)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쉬라우드(9)에는 중앙에 원형의 통공(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9a) 상에 상기 송풍팬(7)이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9)는 상기 송풍팬(7)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의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측으로 토출된 기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9a)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송풍팬(7)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 쪽으로 안내하는 소정 길이의 토출가이드면(9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에는 'ㄱ'형상으로 절곡된 측면부(6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쉬라우드(9)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부(6a)가 삽입될 수 있도록상기 실외측열교환기(6)를 대향하여 개구된 소정 공간의 협지부(9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쉬라우드(9)의 상측에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와 쉬라우드(9)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쉬라우드커버(10)가 체결된다.
이러한 쉬라우드(9)와 쉬라우드커버(10)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쉬라우드(9)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쉬라우드커버(1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9e)이 형성된 체결리브(9d)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대되는 쪽에는 체결공(9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커버(10)에는 상기 체결리브(9d)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걸이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쉬라우드(9)의 체결공(9e)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체결공(10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커버(10)의 선단에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의 전면상단에 걸려지는 차단스컷트(11)가 하부로 소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단스컷트(11)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의 상단과 쉬라우드커버(10)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쉬라우드와 상판의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와 쉬라우드(9) 및 쉬라우드커버(10) 사이의 관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쉬라우드(9)에 의해 안내되어 실외측열교환기(6)를 통과하는 기류가 상기 쉬라우드커버(10)의 주변에서 제대로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쉬라우드커버(10)의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쉬라우드커버(10)의 하면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의 상단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틈은 상기 차단스컷트(11)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쉬라우드(9)의 통공(9a)을 통과하여 전달되어온 공기중 상기 쉬라우드커버(10) 근처로 전달된 것은 상기 쉬라우드커버(10)와 실외측열교환기(6)의 사이로 유동되어 열교환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쉬라우드커버(10)와 실외측 열교환기(6)의 상단사이로 공기가 일부 유동됨에 따라 송풍팬(7)에 의해 전달되어온 공기가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 전체로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실외측열교환기(6)에서 열교환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면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커버(10)와 실외측열교환기(6) 사이는 별도의 고정을 위한 구조가 없고, 상기 차폐스컷트(11)를 제외하고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없어 외력에 의해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대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6)로 안내되는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측열교환기로 열교환을 위한 공기가 보다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쉬라우드와 실외측열교환기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요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쉬라우드와 주변부분과의 관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쉬라우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그 주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쉬라우드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9: 베이스팬30: 쉬라우드
32 통공33: 토출가이드면
35: 협지부36: 체결홈
37: 체결리브38: 체결공
40: 쉬라우드커버42: 걸이부
43: 체결공45: 가이드경사면
46: 상단안착면47: 걸림턱
48: 차단스컷트50: 실외측열교환기
52: 절곡부60: 송풍팬
62: 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쉬라우드의 상단에 장착되어 쉬라우드 상단을 통한 누설을 방지하는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실외측열교환기를 향해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부와, 상기 커버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단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부와 상단안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상단 일측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커버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의 상단을 차폐하는 차단스컷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경사부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쉬라우드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에 의하면 쉬라우드내부로 유입된 공기 전체가 실외측 열교환기로 균일하게 전달되어 열교환하므로 열교환효율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29)의 실외측에는 쉬라우드(30)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30)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쉬라우드(30)의 전방에 설치된 실외측열교환기(50)로 모터(62)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전달하여 열교환하게 한다.
상기 쉬라우드(30)에는 중앙에 아래에서 설명될 실외측열교환기(50)로 공기를 전달하는 원형의 통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32)내에 송풍팬(60)이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30)는 상기 송풍팬(6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의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측으로 토출된 기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32)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송풍팬(6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 쪽으로 안내하는 소정 길이의 토출가이드면(3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에는 'ㄱ'형상으로 절곡된 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쉬라우드(30)의 일측에는 상기 측면부(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를 대향하여 개구된 소정 공간의 협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쉬라우드(30)의 상측에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와 쉬라우드(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쉬라우드커버(40)가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쉬라우드커버(40)를 체결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쉬라우드(3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쉬라우드커버(4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36)이 형성된 체결리브(3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반대되는 쪽에는 체결공(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커버(40)에는 상기 체결리브(37)에 대응되는 부분에 하방으로 돌출된 걸이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쉬라우드(30)의 체결공(38)에대응되는 부분에는 체결공(4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30)의 상단에는 쉬라우드커버(40)가 장착된다.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커버몸체(41)는 상기 쉬라우드(30)를 상부에서 볼 때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몸체(41)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홈(36)에 체결되는 걸이부(42)가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걸이부(42)의 반대쪽에는 상기 체결공(38)과 대응되는 체결공(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하면에는 실외측열교환기(50)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하면에는 가이드경사면(4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45)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열교환기(5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경사면(45)은 실외측 열교환기(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양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경사면(45)은 실외측 열교환기(50)의 절곡부(52)와도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경사면(45)의 끝부분에는 걸림턱(47)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7)은 실외측열교환기(50)의 상단 후방이 걸려지게 하여 실외측열교환기(50)의 상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하면에는 실외측열교환기(5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단안착면(46)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안착면(46)은 상기 가이드경사면(45)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양측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전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열교환기(50)의 상단면을 차폐하는 차단스컷트(4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단스컷트(48)는 실외측열교환기(50)의 전면 상단에 위치되어 이 부분을 통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쉬라우드(30)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즉 모터(62)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60)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쉬라우드(30)가 안내한다.
상기 쉬라우드(30)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상기 통공(32)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팬(60)을 지나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50)로 유동된다.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를 상기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동작된다면, 상기 공기는 상기 작동유체로부터 냉방을 위한 공간의 열을 전달받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쉬라우드(3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에서 유동됨에 있어서, 상기 통공(32)을 통과하여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하부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가이드경사면(45)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가이드경사면(46)을 따라 안내된 공기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의 상단 쪽으로 전달되고, 상기 실외측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쉬라우드커버(40)의 가이드경사면(45)에 의해 쉬라우드커버(50) 측으로 유동되었던 공기가 실외측열교환기(50)로 안내됨에 의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에 의하면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열교환기와 열교환되는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측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공기조화기의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커버에 형성된 상단안착면과 걸림턱에 의해 실외측열교환기의 상단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쉬라우드와 실외측열교환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쉬라우드의 상단에 장착되어 쉬라우드 상단을 통한 누설을 방지하는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실외측열교환기를 향해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경사부와,
    상기 커버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측열교환기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단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경사부와 상단안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상단 일측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커버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의 상단을 차폐하는 차단스컷트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경사부는 상기 실외측열교환기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쉬라우드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를 상기 실외측열교환기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KR1020010002719A 2001-01-17 2001-01-17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KR20020061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719A KR20020061766A (ko) 2001-01-17 2001-01-17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719A KR20020061766A (ko) 2001-01-17 2001-01-17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766A true KR20020061766A (ko) 2002-07-25

Family

ID=1970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719A KR20020061766A (ko) 2001-01-17 2001-01-17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7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6149A1 (en) Air conditioner
KR20050022680A (ko) 에어컨 실내기
KR20020061766A (ko)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커버
KR10043739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509055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377753B1 (ko)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
KR1006336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43274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조
KR10243893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230213213A1 (en) Air conditioner
KR1004616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부품 조립구조
KR1004327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유동구조
KR100407303B1 (ko)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구조
KR20020009139A (ko) 공기조화기용 송풍장치
KR100379169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 시스템
KR2004008432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장착구조
KR100553045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7651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팬 지지구조
KR100564458B1 (ko) 공기조화기
KR10054893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루버그릴
KR2002008226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
KR20040076464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KR20020059484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KR19990071200A (ko)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