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525B1 -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525B1
KR100376525B1 KR1019960068759A KR19960068759A KR100376525B1 KR 100376525 B1 KR100376525 B1 KR 100376525B1 KR 1019960068759 A KR1019960068759 A KR 1019960068759A KR 19960068759 A KR19960068759 A KR 19960068759A KR 100376525 B1 KR100376525 B1 KR 10037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blast furnace
combustion zone
pulverized coal
int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007A (ko
Inventor
최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6006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5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1Injecting additional fuel or reducing agents
    • C21B5/003Injection of pulverulent co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8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of indicators, of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공정(高爐工程;이하 '고로'라고 약칭)에 있어서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에 있어서, 광학센서와 음파유량계를 이용하여, 고로의 운전실에서 고로의 연소대에 대한 관찰 및 이상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관계로, 풍구선단막힘이나 연소대 이상발생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고로 공정(高爐工程;이하 '고로'라고 약함)에 있어서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센서와 음파유량계를 이용하여, 고로의 운전실에서 고로의 연소대에 대한 관찰 및 이상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하는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조업에 있어서, 연소대관리는 중요한 조업관리항목중에 하나이다. 상기 고로 연소대는 큰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서 빠른 유속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코크스나 미분탄과 만나서 격렬한 연소반응을 하여 고온의 연소가스(CO,CO2,H2,N2등)가 생성되는 곳이므로 항상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고로 연소대 감시는 주로 조업자의 육안관찰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로, 미처 용해되지 않은 철광석이 낙하하여 풍구가 막힐 경우나 미분탄의 미연소분이 풍구선단을 막을 경우등 돌발적인 변동을 검지하지 못하거나 즉시 대처하지 못하여 종종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점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센서와 음파유량계를 이용하여, 고로의 운전실에서 고로의 연소대에 대한 관찰 및 이상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풍구선단막힘이나 연소대 이상발생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는 고로내 연소대를 촬영하여 그 화상데이타를 영상처리기로 제공하도록된 CCD카메라; 상기 CCD카메라로부터의 화상데이타를 아날로그모니터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디지탈로 변환시켜서 컴퓨터로 제공하는 영상처리기; 상기 영상처리기로부터의 연소대에 대한 화상을 화면출력시키는 아날로그모니터; 상기 연소대(2)에 미분탄취입렌즈를 통해 결합된 미분탄배관을 통과하는 미분탄에 의한 음파강도를 측정하는 음파측정센서; 상기 음파측정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시킨 다음에 컴퓨터로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유량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분산제어장치; 상기 영상처리기로부터 제공된 화상데이타에 기초해서 연소대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상기 분산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음파강도에 기초해서 미분탄배관의 막힘을 판별하여, 상기 판별결과에 대한 화면출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각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판별결과와 윤곽선을 화면출력하는 디지탈 모니터, 상기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디지탈 모니터의 화면을 용지인쇄출력하는 프린터; 상기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연소대이상 또는 배관막힘을 경보하는 경보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고로 연소대 감시방법은 고로의 풍구선단에 대한 부착물을 감지하고, 미분탄 취입배관에 대한 막힘현상 및 연소대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관내의 미분탄에 의한 음파강도를 음파측정센서로부터 분산제어장치을 통해서 입력받아, 이 음파강도를 이용해서 미분탄 취입유량을 구한 다음에, 이 취입유량으로 취입배관의 막힘을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고로의 연소대에 대한 휘도데이타를 CCD카매라로부터 영상처리기를 통해서 획득하는 제2단계; 상기 휘도데이타를 이용해서 휘도분포비와 고휘도영역의 강도를 계산하는 제3단계; 상기 휘도분포비와 고휘도영역의 강도에 따라 연소대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배관막힘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제4단계에서 연소대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 미분탄공급과 산소공급에 대한 중단을 지령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의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 감시방법에 해당하는 플로우챠트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의 휘도분포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의 휘도레벨별 강도분포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센서 출력치와 미분탄 취입유량과의 상관그래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3×3 화소배열 예시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화염의 휘도분포도이고,
제8도(a)∼(d)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 취입배관이 막히는 경우에 대한 음파센서의 측정결과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선단이 막히는 경우에 해당하는 풍구단면도이고,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선단이 막히는 경우에 해당하는 휘도분포비의 변동경향도이고,
제11도(a)(b)는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선단의 부착물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화상 처리결과도이고,
제12도(a)∼(d)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선 검출결과 비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로 2 : 연소대
3 : 풍구 4 : 미분탄취입렌즈
5 : CCD카메라 6 : 영상처리기
7 : 아날로그 모니터 8 : 컴퓨터
9 : 분산제어시스템 10 : 음파측정센서
11 : 유량제어밸브 12 : 미분탄분배조
13 : 디지탈 모니터 14 : 프린터
15 : 경보기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의 구성도로서,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는 고로(1)내 연소대(2)를 촬영하여 그 화상데이타를 영상처리기(5)로 제공하도록된 CCD카메라(5)와, 상기 CCD카메라(5)로부터의 화상데이타를 아날로그모니터(7)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디지탈로 변환시켜서 컴퓨터(8)로 제공하는 영상처리기(6)와, 상기 영상처리기(6)로부터의 연소대(2)에 대한 화상을 화면출력시키는 아날로그모니터(7)와, 상기 연소대(2)에 미분탄취입렌즈(4)를 통해 결합된 미분탄배관을 통과하는 미분탄에 의한 음파강도를 측정하는 음파측정센서(10)와, 상기 음파측정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시킨 다음에 컴퓨터(8)로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8)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유량제어밸브(11)를 제어하는 분산제어장치(9)와, 상기 영상처리기(6)로부터 제공된 화상데이타에 기초해서 연소대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상기 분산제어장치(9)로부터 제공된 음파강도에 기초해서 미분탄배관의 막힘을 판별하여, 상기 판별결과에 대한 화면출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각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7)와, 상기 컴퓨터(7)로부터의 판별결과와 윤곽선을 화면출력하는 디지탈 모니터(13)와, 상기 컴퓨터(7)의 제어에 따라 디지탈 모니터(13)의 화면을 용지인쇄출력하는 프린터(14)와, 상기 컴퓨터(7)의 제어에 따라 연소대이상 또는 배관막힘을 경보하는 경보기(15)를 구성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 감시방법에 해당하는 플로우챠트이고,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의 휘도분포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연소대의 휘도레벨별 강도분포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파센서 출력치와 미분탄 취입유량과의 상관그래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3×3 화소배열 예시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화염의 휘도분포도이고, 제8도(a)∼(d)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탄 취입배관이 막히는 경우에 대한 음파센서의 측정결과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선단이 막히는 경우에 해당하는 풍구단면도이고,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선단이 막히는 경우에 해당하는 휘도분포비의 변동경향도이고, 제11도(a)(b)는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선단의 부착물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화상처리결과도이고, 제12도(a)∼(d)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선검출결과 비교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풍구부의 관찰구에 설치한 칼라 전하결합소자 CCD카메라, 미분탄 취입배관에 설치한 음파유량계, 화상해석기가 내장된 컴퓨터(8) 및 모니터(7,13), 연소대의 이상시 자동으로 조치를 취하는 분산제어시스템(9) 및 밸브(1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CCD카메라(5)에 의한 연소대(2)의 화상데이타와 음파측정센서(10)에 의한 미분탄 취입유량데이타, 그리고 공정용컴퓨터로부터의 연소조건을 좌우하는 송풍량등의 주요조업데이타등이 연소대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입력원으로 사용된다.
제1도에 도시한 아날로그 모니터(7)는 4분할하여 4개의 연소대 생화면을 10초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또한 디지탈 모니터(13)에는 연소대의 이상유무판단결과와 화상처리결과를 나타내어 준다. 만약, 연소대(2)의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경보기(15)를 통해서 경보를 울리고, 해당 연소대(2)의 미분탄 및 산소공급을 중단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풍구별 연소성 평가는 상기 CCD카메라(5)를 통해서 얻어진 연소대(2) 휘도분포데이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2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첫 번째 연소대의 휘도분포는 국부적으로 다르게 나타남으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소대 전체 단면적에 대한 화염의 단면적비를 구하여 종합적인 연소성을 평가하는 한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우선 제3도의 고로 연소대의 휘도분포를 살펴보면 상위 휘도레벨(250-256레벨)의 강도가 대체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연소대의 온도가 높을수록 연소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휘도와 온도와의 비례관계(온도와 흑체의 분광방사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Frank's식에 의함)를 이용하여 상위휘도레벨(250-256레벨)의 강도의 합을 연소성 평가의 한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미분탄 취입라인의 막힘은 취입라인의 외부에 부착된 음파측정센서(10)를 설치하고, 미분탄이 배관내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음파의 강도와 미분탄의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미분탄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미분탄 유량데이타를 사용하여 설정된 하한치와 비교하여 미분탄 취입배관의 막힘유무를 검지하였다. 상기 음파측정센서(10)(Detection frequancy: 150 kHz)의 출력값은 5-10 mA를 나타냈다. 미분탄의 취입유량과 미분탄 취입배관에 설치된 음파측정센서(10)의 출력값은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로공정에서 보조연료로 미분탄을 취입할 경우에는 풍구선단 내부에 미연소석탄 등의 부탁물이 점점 축적되어 풍구를 막아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미분탄취입렌스(4)의 선단이 마모되어 미분탄 취입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관리는 사람의 육안을 통해서 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연소대(2)는 수십만 cd/㎡의 휘도를 나타내어 연속적으로 육안관찰이 용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CCD카메라(5)에 의해 촬영한 영상자체로는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윤곽선을 검출(edge detection)하여 풍구(3)선단의 부착물 발생유무를 선명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였다.
우선, 상기 CCD카메라(5)에 의해 측정된 연소대(2) 단면의 2차원 휘도분포데이타에서 다음 제5도와 같이 3 × 3의 화소(pixel)를 가진 화상이 있다고 할때, 어떤 임의의 점(x,y)에서 휘도구배는 하기 식(1)에 의해서 구해진다.
상기 식1에서 x축방항의 휘도구배(Gx), y축 방향의 휘도구배(Gy) 및 대각선 방향의 휘도구배(Gxy)를 각각 하기 식(2)(3)(4)과 같이 정의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구해진 각 지점의 휘도구배를 이용하여 구배값이 크게 나타난 1부분을 디지탈 모니터(13)에 윤곽선으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연소대의 감시방법은 제2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풍구(3)선단의 부착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순서로, 상기에서 설명한 윤곽선검출방법에 의해 CCD카메라(5)로 촬영한 연소대(2) 영상을 영상처리기(6)와 컴퓨터(8)에서 화상처리하여 디지탈 모니터(13)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연소대의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순서로, 우선 CCD카메라(5)에 의해 검지된 각 화소별 전기적인 신호값(4-20 mA)을 하기 식(5)에 의해 상대휘도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Yi: 상대휘도, Xi: 전기적인 신호값, a,b,c: 상수
이와같은 변환방법은 일반적으로 선형식에 의해 변환하나 본 발명에서는 고로연소대와 같이 높은 휘도에 편중된 영역을 보다 세분화된 상대휘도로 구하기 위하여 식(4)와 같은 비선형식을 사용하였다.
다음에, 풍구의 단면적(ATi)을 구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한 상대휘도값을 이용하여 화상처리시 연소대의 단면만이 남을 수 있는 휘도레벨을 선정한 후 이 선정된 휘도레벨 이하의 화상은 삭제하고, 연소대의 단면만이 남을 수 있도록 한 후, 남은 화소수를 세어 풍구단면적을 구한다.
다음에, 상기 연소대의 단면적 중 화상처리시 화염의 단면만이 남을 수 있게휘도 레벨을 선정한 후, 이 선정된 휘도레벨이하의 화상은 삭제하여 화염의 단면만 남게 하여 화소수를 세어 화염의 단면적(AWi)을 구한다.
그러나, 임의의 2가지 경우 화염단면적이 동일하다고 할지라고 휘도레벨에 따라 연소성은 차이가 있다. 즉 제 7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동일한 휘도분포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휘도레벨이 높은 (b)의 경우가 (a)에 비해 고온이어서 연소가 더욱 활발히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의 단면적(AWi)를 구함에 있어서 하기 식(6)과 같이 휘도레벨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구하였다.
여기서,εj·j휘도레벨의 가중치,εj= (Yj - YLOWER)/(YUPPER- YLOWER), Yj: j휘도레벨(YLOWER≤ Yj ≤ YUPPER), YLOWER: 화염의 상대휘도 하한치, YUPPER: 화염의 상대휘도 상한치, Dj: j휘도레벨의 화소수이다.
다음에, 연소대 단면적에 대한 화염의 단면적비인 휘도분포기(Xi)를 하기 식(7)과 같이 구한다.
다음에, 배관의 미분탄 취입렌스(4)(single lance)를 사용하는 고로(1)에서 일정한 미분탄 취입조건(120 Kg/t-p)하에서 풍구에 산소부화를 많이 할 경우(2%이상), 연소대(2)의 휘도가 급격히 상승하는데, 이때는 휘도분포비(Xi)를 구하기가 어려워 상대휘도가 250-256인 높은 휘도의 화소수를 세어 고휘도 강도(NHi)를 구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한 휘도분포기(Xi) 및 고휘도강도(NHi)를 이용하여 하기 식(8) 또는 식(9)와 같이 연소대의 이상유무를 판정한다.
여기서, BV는 송풍량이고, 조업이 정상상태에 있는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며 공정용 전산기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α와 β는 설정치이며, BVmin은 송풍량의 하한치이다.
그리고, 미분탄 취입배관막힘을 판단하는 순서는, 우선 미분탄 취입배관에 설치된 음파측정센서의 전기적인 신호값(Y, mA)을 분산제어시스템(9)를 통해서 입력받은 다음에, 하기 식(10)과 같은 상관식을 이용하여 미분탄 취입유량(Y, Kg/Hr.)으로 변환한다.
다음에, 미분탄 취입유량(Y)을 이용하여 미분탄 취입배관막힘 유무를 하기 식(11)과 같이 판정한다.
여기서, F는 미분탄 총 취입량으로 공정용컴퓨터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Ymin과 Fmin는 연소대별로 취입되는 취입량의 하한치와 미분탄 총 취입량의 하한치로 설청치이다.
다음에, 상기와같이 연소대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만약 이상이 발생하면 분산제어장치로 연소대 및 비분탄 취입배관막힘 여부 판단결과 정보를 보내 미분탄의 취입과 산소공급을 중지하고 대신 공기가 공급되게 조치를 취한다.
실시예
제 8 도는 실제 미분탄 수송라인이 막힘현상이 일어난 경웨 음파측정센서(10)에 의해 미분탄의 취입유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완전히 막히기 수시간 전부터 수차례에 걸쳐 일시적인 막힘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미분탄 취입배관에 설치한 음파측정센서(10)를 이용하여 미분탄 수송라인의 막힘을 조기에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 9 도 풍구선단부 미연석탄이 퇴적한 상황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때 휘도변동을 살펴보면 제 10도와 같이 휘도분포비가 수시간 전부터 점점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휘도변동의 분석으로 풍구부의 막힘현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제 11 도의 (a)는 풍구막힘현상을 발견하여 미분탄 취입을 중지하고 미분탄 공급라인에 15분간 공기를 불어넣은 후 풍구선단의 영상이다. 제 10도의 (b)는 화상처리기법으로 제11도의 (a)영상에 대한 윤곽선을 검출한 결과로 아직 풍구선단에 부착물이 남아있는 것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윤곽선 검출방법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직 및 수평적인 윤곽선 검출방법에 의한 화상처리 결과이다.
수평적인 휘도구배(G(x,y))는 하기 식(12)와 같다.
그리고, 수직적인 휘도구배(G(x,y))는 하기 식(13)과 같다.
상기 제12도에서 (a)는 원래의 영상, (b)는 수평적 윤곽선 검출결과, (c)는 수직적 윤곽선 검출결과, (d)는 본 발명에 의한 윤곽선 검출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결과가 훨씬 선명하게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센서와 음파유량계를 이용하여, 고로의 운전실에서 고로의 연소대에 대한 관찰 및 이상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풍구선단막힘이나 연소대 이상발생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이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고로(1)내 연소대(2)를 촬영하여 그 화상데이타를 영상처리기(5)로 제공하도록된 CCD카메라(5);
    상기 CCD카메라(5)로부터의 화상데이타를 아날로그모니터(7)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디지탈로 변환시켜서 컴퓨터(8)로 제공하는 영상처리기(6);
    상기 영상처리기(6)로부터의 연소대(2)에 대한 화상을 화면출력시키는 아날로그모니터(7);
    상기 연소대(2)에 미분탄취입렌즈(4)를 통해 결합된 미분탄배관을 통과하는 미분탄에 의한 음파강도를 측정하는 음파측정센서(10);
    상기 음파측정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시킨 다음에 컴퓨터(8)로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8)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유량제어밸브(11)를 제어하는 분산제어장치(9);
    상기 영상처리기(6)로부터 제공된 화상데이타에 기초해서 연소대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상기 분산제어장치(9)로부터 제공된 음파강도에 기초해서 미분탄배관의 막힘을 판별하여, 상기 판별결과에 대한 화면출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각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7);
    상기 컴퓨터(7)로부터의 판별결과와 윤곽선을 화면출력하는 디지탈 모니터(13);
    상기 컴퓨터(7)의 제어에 따라 디지탈 모니터(13)의 화면을 용지인쇄출력하는 프린터(14);
    상기 컴퓨터(7)의 제어에 따라 연소대이상 또는 배관막힘을 경보하는 경보기(15);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2. 고로(1)의 풍구(3)선단에 대한 부착물을 감지하고, 미분탄 취입배관에 대한 막힘현상 및 연소대(2)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관내의 미분탄에 의한 음파강도를 음파측정센서(10)로부터 분산제어장치을 통해서 입력받아, 이 음파강도를 이용해서 미분탄 취입유량을 구한 다음에, 이 취입유량으로 취입배관의 막힘을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고로(1)의 연소대(2)에 대한 휘도데이타를 CCD카메라(5)로부터 영상처리기(6)를 통해서 획득하는 제2단계;
    상기 휘도데이타를 이용해서 휘도분포비와 고휘도영역의 강도를 계산하는 제3단계;
    상기 휘도분포비와 고휘도영역의 강도에 따라 연소대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배관막힘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제4단계에서 연소대이상으로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 미분탄공급과 산소공급에 대한 중단을 지령하는 제5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연소대 감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휘도데이타에 따른 화소(임의의 점)에 대한 휘도구배를 구한 다음애, 휘도구배값이 큰 부분에 해당하는 풍구선단 윤곽선을 검출하여 이를 화면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연소대 감시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휘도데이타를 휘도레벨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대휘도로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휘도에 따라 연소대의 단면적과 화염의 단면적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연소대의 단면적과 화염의 단면적으로부터 휘도분포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분포비로부터 고휘도영역의 강도를 계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연소대 감시방법.
KR1019960068759A 1996-12-20 1996-12-20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37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759A KR100376525B1 (ko) 1996-12-20 1996-12-20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759A KR100376525B1 (ko) 1996-12-20 1996-12-20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007A KR19980050007A (ko) 1998-09-15
KR100376525B1 true KR100376525B1 (ko) 2003-06-09

Family

ID=3741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759A KR100376525B1 (ko) 1996-12-20 1996-12-20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5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0972B (zh) * 2011-03-07 2014-09-01 China Steel Corp 高爐熱風爐之鼓風流量配比的監控方法
KR101584186B1 (ko) 2013-11-12 2016-01-14 국방과학연구소 고체추진기관용 내열고무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62B1 (ko) * 1999-12-24 2003-08-06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풍구 원격감시 시스템
KR102075223B1 (ko) * 2017-12-26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조업 상황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6307A (en) * 1977-02-28 1978-09-16 Shiyoutoku Seisakusho:Kk Imaginng device for situation inside blast furnace
JPS57188606A (en) * 1981-05-16 1982-11-19 Nippon Steel Corp Inside observing device for blast furnace
JPS5855512A (ja) * 1981-09-29 1983-04-01 Kawasaki Steel Corp 高炉の炉況判定方法
JPH0693317A (ja) * 1991-07-12 1994-04-05 Nippon Steel Corp 高炉羽口内微粉炭吹き込み管理方法
KR940014818A (ko) * 1992-12-30 1994-07-19 박득표 고로미분탄의 연소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6307A (en) * 1977-02-28 1978-09-16 Shiyoutoku Seisakusho:Kk Imaginng device for situation inside blast furnace
JPS57188606A (en) * 1981-05-16 1982-11-19 Nippon Steel Corp Inside observing device for blast furnace
JPS5855512A (ja) * 1981-09-29 1983-04-01 Kawasaki Steel Corp 高炉の炉況判定方法
JPH0693317A (ja) * 1991-07-12 1994-04-05 Nippon Steel Corp 高炉羽口内微粉炭吹き込み管理方法
KR940014818A (ko) * 1992-12-30 1994-07-19 박득표 고로미분탄의 연소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0972B (zh) * 2011-03-07 2014-09-01 China Steel Corp 高爐熱風爐之鼓風流量配比的監控方法
KR101584186B1 (ko) 2013-11-12 2016-01-14 국방과학연구소 고체추진기관용 내열고무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00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082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arryover particles in the interior of a furnace
FI98557C (fi) Menetelmä ja laite uunin pohjakerroksen muodon tarkkailemiseksi
JP6179286B2 (ja) 高炉の操業状況判定方法
KR100376525B1 (ko) 고로 연소대 감시장치 및 그 방법
JP2015052148A (ja) 高炉の操業状況判定に基づく制御方法
US8842178B2 (en) Supervising system for image
JP2006266730A (ja) 液面位置監視システム及び液面位置監視プログラム
JPS5855512A (ja) 高炉の炉況判定方法
JP4419861B2 (ja) 転炉出鋼時のスラグ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175452B1 (ko) 풍구 점검 장치 및 방법
JP3115786B2 (ja) 炎検出装置および炎検出方法
JP4008312B2 (ja) 石炭ガス化プラント,及び石炭ガス化プラント監視方法
GB2390675A (en) Flame characteristic monitor using digitising image camera
JP3935640B2 (ja) ガス化炉のスラグ動態の監視・検出装置及びその監視方法
JP3140540B2 (ja) ボイラの火炎検出装置
JP3362605B2 (ja) 燃焼炎検出装置
JP7017973B2 (ja) 生下り判定装置及び方法
JP7017972B2 (ja) 生下り判定装置及び方法
KR100711364B1 (ko) 화상 이미지 분석을 통한 배출매연 인식 및 자동경보 장치및 방법
JPH0693317A (ja) 高炉羽口内微粉炭吹き込み管理方法
JPS62206675A (ja) 火炎画像処理方法
CN113419581B (zh) 一种土木工程施工动火作业管控系统及方法
JP2022144010A (ja) 高炉の羽口景観評価方法、羽口景観評価装置及び羽口景観評価プログラム
JPH11304634A (ja) 静止漏油の異常監視装置
JPH08127782A (ja) 炉設備のスラグ排出状況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