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114B1 -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114B1
KR100376114B1 KR10-2000-0056990A KR20000056990A KR100376114B1 KR 100376114 B1 KR100376114 B1 KR 100376114B1 KR 20000056990 A KR20000056990 A KR 20000056990A KR 100376114 B1 KR100376114 B1 KR 10037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etal soap
soap
skin cleanse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306A (ko
Inventor
박성규
강철상
이상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0-005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11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02Non alkali-metal so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비누의 주성분인 지방산과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금속 비누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비알칼리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녹는점이 높은 지방산을 과량으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성물의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크림 타입의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부드러운 기포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Skin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of Metal Soap}
본 발명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 지방산을 다량 포함함으로 인하여 열적 안정도가 떨어지는 종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에 의한 금속 비누를 이용하여 열적 안정성을 개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분류하면, 비누의 주성분인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부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류, 기타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류 및 지방산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중에서 대표적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비누의 주성분인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유리 지방산에 의해서 제형성이 우수하여, 크림 타입의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어서, 사용시에 부드러운 기포 특성, 보습감, 세정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 크림 타입의 제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양이 포함되는 지방산은 열적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지방산으로는, 라우릭애씨드(Lauric acid), 미리스틱애씨드(Myristic acid) 또는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가 있는데, 이들의 녹는점은 각각 44℃, 57℃, 69℃이다.
따라서 종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45℃ 이상의 온도에서 보관하는 경우, 포함된 지방산이 녹아서 비누 수용액과 유리 지방산의 이중층이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일단 이중층이 발생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다시 온도를 낮추어도 원래의 제형성을 완전히 복원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열안정성이 떨어지는 종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녹는점이 높은 지방산인 스테아릭애씨드를 과량으로 사용하거나,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왁스류 등과 같은 고분자 또는 기타 제형화제를 첨가물로서 사용한다. 그러나, 스테아릭애씨드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pH가 높아지고, 첨가물의 경우에는 세정 성분이 많이 포함된 제형에서 첨가물에 의한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지방산을 다량 포함함으로 인하여 열 안정도가 떨어지는 종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하여, 열 안정도가 개선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각 실시예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시료들의 열안정도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
도2는 각 실시예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시료들의 레올로지 특성을 보여주는 도표로서, 도2a는 전단 응력을, 도2b는 점도를 각각 보여준다.
예로부터 일반적인 주기율표의 ⅠA족에 해당되는 알칼리금속의 지방산염인 비누와는 별도로, 비알칼리금속의 지방산염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제형화 및 에몰리언트 제제로 사용되며, 화장품, 특히 파우더 또는 기초 메이크업 제품에서 밀착감이나 분산 안정화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알칼리금속의 지방산염을 "금속 비누"로 통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비알칼리 금속의 지방산염을 금속 비누로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금속 비누의 열적 안정성을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도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비누의 주성분인 지방산과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금속 비누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비알칼리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금속 비누를 조성물 내에 분산시키기 위하여,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아실메칠타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아민옥사이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분산제를 상기 금속 비누에 대하여 금속 비누:분산제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5인 범위로 더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표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실시예 1과,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4 및 비교를 위하여 침강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시예5에 대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각 성분의 조성비와 완화도(Emolliency)를 정리한 것이다. 완화도(emolliency)는 적량을 손바닥에 놓고 기포 형성시 느껴지는 부드러운 정도를 의미한다. 실시예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열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녹는점이 높은 스테아릭애씨드를 과량으로 사용한 예이다. 실시예 2~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의한 실시예들로서, 각각 칼슘 수산화물, 마그네슘 수산화물 및 아연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실시예 5는 비교예로서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대신에 무기 점토광물인 침강실리카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각 조성물의 조성비는 중량%이다.
* : 피이지-8
** : 폴리소르베이트 20
***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실시예 1과 실시예 2~4 및 실시예 5에 따른 각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모두 37℃와 45℃의 항온실에서 보관하면서 12시간마다 제형 상태를 파악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에 의하여 녹아 내린 유리 지방산과 비누 수용액에 의한 이중층이 발생하여 제형이 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하고, 다시 냉각하여 복원하는 경우 제형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2에 정리하였다.
상기한 표2에 정리된 결과로부터,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에 의하여 금속 비누가 형성된 실시예 2~4의 조성물에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 금속 비누의 효과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각 조성물들을 45℃에서 일주일간 보관한 후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경우, 열에 의하여 녹아 내린 유리 지방산과 비누 수용액에 의한 이중층이 생기는 것에 반하여, 실시예 2~5의 경우, 이러한 이중층이 생기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2는 각 실시예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 시료들의 레올로지 특성을 보여주는 도표로서, 도2a는 전단력, 도2b는 점도를 각각 보여준다.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 레올로지(rheology) 특성은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브룩필드(BROOKFIELD) 모델 DV-Ⅲ 프로그래모블 유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실제로 크림상의 제형이 가지는 레올로지 특성 중 대표적인 것은, 사용시의 퍼짐성 부분과 연관이 있으며 손에 적량을 놓고 문지를 때에 제형성이 용이하게 무너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인 실시예 1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4 및 비교를 위한 실시예 5의 경우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인다. 도2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4에서 초기 항복값이 낮으며물리적인 힘에 의한 점도 저하 특성이 어느 정도 복원력을 가지며 한계 점도에 도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초기에는 높은 항복값을 보이지만, 전단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즉, 사용자가 피부위에서 제품을 문지르기 시작할 때) 전단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이는 퍼짐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4의 경우, 종래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레올로지 특성을 유지하면서 점도 회복력이 다소 향상된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에서는 유리 지방산을 과량으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제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금속 비누의 조성비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가 바람직하다. 5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형에서 안정도와 사용감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하고, 25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제형 형성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지방산과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금속 비누는 발수성 특성을 보여서 물을 포함하는 제형에서 쉽게 화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성물 내에 금속 비누를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분산제가 필요하다.
상기한 실시예 2~4에서는 분산제로서,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아실메칠타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되었으며, 이외에도 아민옥사이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등도 양호한 분산능을보인다.
예를 들어서, 금속 비누인 칼슘올레이트에 대한 분산제로는 다음의 표3에서 정리한 바와 같은 것들이 있다.
분산제 사용량*
RCONHC2H4OC2H4OSO3NaRCON(CH3)C2H4SO3NaRO(C2H4O)3SO3NaC17H35CON[(C2H4O)7H]2C16H33N+(CH3)2C3H6COO- 45427
사용량*은 경수(333ppm)에서 100g의 소듐올레이트를 분산시키는데 필요한 양(g)임(※소듐올레이트는 경수에서 칼슘올레이트로 치환됨)
금속 비누의 분산제는 제형에서 금속 비누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서 마이셀(micelle)을 이루도록 도와주며, 금속 비누 분자와 회합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이룬다.
분산제는 금속 비누에 대하여 동일한 몰 비에 해당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비누와 분산제의 종류에 따라서 다소 다르지만, 이를 중량비로 환산하면 2:1 정도이다. 금속 비누를 분산시키는데 필요한 분산제의 양은 금속 비누에 대한 중량비로 1:0.02 내지 1:5까지이다. 분산제 사용량이 최대치인 1:5 중량비는, 금속 비누를 5중량% 함유하는 경우 분산제를 분산 및 세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중량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녹는점이 높은 지방산을 과량으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성물의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크림 타입의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부드러운 기포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비누의 주성분인 지방산과 비알칼리금속 수산화물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금속 비누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비알칼리금속은, 칼슘, 마그네슘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비누를 조성물 내에 분산시키기 위하여,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아실메칠타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아민옥사이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분산제를 상기 금속 비누에 대하여 금속 비누:분산제의 중량비가 1:0.02 내지 1:5인 범위로 더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00-0056990A 2000-09-28 2000-09-28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037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990A KR100376114B1 (ko) 2000-09-28 2000-09-28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990A KR100376114B1 (ko) 2000-09-28 2000-09-28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06A KR20020025306A (ko) 2002-04-04
KR100376114B1 true KR100376114B1 (ko) 2003-03-15

Family

ID=1969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990A KR100376114B1 (ko) 2000-09-28 2000-09-28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1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8235A (en) * 1980-12-10 1982-06-18 Nippon Oil & Fats Co Ltd Preparation of metallic soap
JPS63264547A (ja) * 1987-04-17 1988-11-01 Asahi Denka Kogyo Kk 金属石鹸の製法
JPH01163116A (ja) * 1987-12-21 1989-06-27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H0873397A (ja) * 1994-09-05 1996-03-19 Kao Corp 金属石鹸の製造方法
KR20010013421A (ko) * 1998-04-21 2001-02-26 노미야마 아키히콰 몰리브덴비누함유금속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8630A (ko) * 2000-02-09 2001-08-21 성재갑 고급 지방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분백류 화장료의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8235A (en) * 1980-12-10 1982-06-18 Nippon Oil & Fats Co Ltd Preparation of metallic soap
JPS63264547A (ja) * 1987-04-17 1988-11-01 Asahi Denka Kogyo Kk 金属石鹸の製法
JPH01163116A (ja) * 1987-12-21 1989-06-27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H0873397A (ja) * 1994-09-05 1996-03-19 Kao Corp 金属石鹸の製造方法
KR20010013421A (ko) * 1998-04-21 2001-02-26 노미야마 아키히콰 몰리브덴비누함유금속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8630A (ko) * 2000-02-09 2001-08-21 성재갑 고급 지방산의 금속염을 함유하는 분백류 화장료의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06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5241A (en) Amphoteric surfactant gels
JP4056221B2 (ja) 向上した低温安定性を有する液体組成物
KR100322357B1 (ko) 세정조성물
JP5639472B2 (ja) 脂肪アシルイセチオネート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安定な液体クレンジング組成物
ES2209203T3 (es) Composicion liquida estable que comprende altos niveles de emolientes.
AU719223B2 (en) Liquid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soluble, lamellar phase inducing structurant
JP2007269662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剤組成物
US4026825A (en) Foaming and conditioning detergent composition
WO2004000982A1 (ja) 洗浄剤組成物
BR112012007254A2 (pt) composição líquida de limpeza pessoal
US4603005A (en)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pha olefin/maleic anhydride terpolymers
JP2002500621A (ja) 安定性を向上させる界面活性剤を含む液体組成物及びその低温安定性を向上させる方法
KR100376114B1 (ko) 금속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163156B1 (ko)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JP7234746B2 (ja) クリーム状洗浄料
JP3904812B2 (ja) 皮膚洗浄料
JP650384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4873439B2 (ja) 皮膚外用剤
JP2003213299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093876B2 (ja) 洗浄剤組成物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4320049B2 (ja) 皮膚洗浄料
JP4416084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2255788A (ja) 半固形状洗浄剤組成物
KR102083452B1 (ko) 고기포 고보습 피부 세정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