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156B1 -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 Google Patents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156B1
KR102163156B1 KR1020180008067A KR20180008067A KR102163156B1 KR 102163156 B1 KR102163156 B1 KR 102163156B1 KR 1020180008067 A KR1020180008067 A KR 1020180008067A KR 20180008067 A KR20180008067 A KR 20180008067A KR 102163156 B1 KR102163156 B1 KR 10216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cleansing
acid
cleans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496A (ko
Inventor
여혜림
윤명석
노민주
이준배
정동진
김기선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1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산의 공융점을 이용하여 안정한 결정 구조를 가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산으로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2.5~8:1 중량비로 혼합한 후, 폴리올을 혼합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안정화된 물성을 가지는 클렌징 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Preparation method of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eutectic point and the compostion}
본 발명은,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클렌징 제품은 클렌징 오일 및 워터 등의 1차 클렌저와 크림 타입의 클렌징 폼이 포함된 2차 클렌저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이크업 클렌징을 위해서 이중 세안이 기본으로 알려져 있지만, 메이크업을 하지 않거나 기본 노폐물 등 세안 목적을 위해서 클렌징 폼이 기본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클렌징 폼이라 불리는 크림 타입 지방산 비누는 1960년대에 처음 개발되어 시장에 나오기 시작했고 비누가 갖고 있는 우수한 세정력 및 기포력에 더하여, 보습제가 다량 함유되어 피부 보호기능을 갖고 있는 얼굴 전용의 제품이다. 상기 클렌징 폼의 제형은 크림 상태로 되어 있어, 단단한 화장비누(soap bar)에 비해 풍부한 거품을 얻기 쉬운 장점을 갖고 있어, 화장품의 중요한 세안제로 많은 발전을 해왔고, 현재는 크림 타입 외 젤, 거품 타입 등 제형의 변화가 다양해지고 있다.
클렌징 폼의 처방은 세정력이 높다고 알려진 탄소수 12개 내지 18개의 지방산 (스테아릭 애씨드, 팔미틱 애씨드, 미리스틱 애씨드, 라우릭 애씨드 등)의 혼합물, 중화제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폴리올(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라이콜-8, 부틸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등),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혼합비와 중화율에 따라 거품의 상태(거품량 및 크기, 탄성, 지속성, 세정력 등), 물성 및 안정성이 달라진다. 그러나 단순히 지방산과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만으로 안정한 크림 솝을 얻기 어렵고, 물성 조절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해 폴리올 및 비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클렌징 폼은 크리스탈 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화계와는 달리 shear stress에 약하며 고온의 보관조건에서 쉽게 분리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기존 클렌징 폼은 중화된 지방산이 거품력을 결정하고 중화되지 않은 유리 지방산으로 경도를 형성하는 결정 시스템으로 shear stress에 의해 쉽게 결정이 부서지고 고온에서 분리되는 등 제형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산 및 폴리올을 함유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방산의 공융점에서 가장 안정적인 구조를 보이는 비율로 지방산을 혼합한 후,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고온 조건에서 지방산 결정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10-1404969호
본 발명은 지방산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지방산의 공융점을 이용하여 안정한 결정 구조를 가지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안정한 제형을 가지는 조성을 가지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지방산 및 폴리올을 혼합하여, 견고한 구조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일 구현 예로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지방상부를 제조하는 단계(S1);
중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S1 단계의 지방상부에 S2 단계의 수상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는 2.5~8: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중화제는 상기 지방산부의 산가에 대한 중화 비율이 70 내지 80%가 되도록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알지닌, 및 아미노메칠프로판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및 말티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포함하는 지방상부; 및 중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미리스틱 애씨드와 스테아릭 애씨드의 비율을 3 : 1로 유지하고, 폴리올로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첨가하여 결정을 더욱 견고하게 만듦으로써, 고온과 전단응력(shear stress)에 비교적 제형이 안정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험예 1 내지 5에 대한 공융점의 DSC 그래프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표 1에 의해 제조된 제조예 1-1 내지 1-6의 제조 후 상온에서 하루 보관한 결정을 DSC로 측정한 결과이고, (B)는 제조예 1-1 내지 1-6을 37℃에서 2주 보관 한 후의 결정을 DSC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및 실시예에 대한 고온 안정도 광학 이미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및 실시예에 결정에 대한 현미경 광학 이미지 결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미리스틱 애씨드와 스테아릭 애씨드의 조성 비율이 2.5~8:1이며 폴리올로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물/중화제/지방산 시스템에서 지방산의 혼합비, 중화도, 여러 종류의 폴리올에 따라 크리스탈 겔 구조의 상 거동을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의 측정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DSC는 유화 제품 등의 상거동 연구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달라지는 결정구조를 이해하는데 적절한 기기라고 생각되어 본 발명 분석에 활용되었다.
기존의 클렌징 폼은 shear stress가 약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충진 시 경도가 떨어지거나 고온에서 경도가 높아지는 등의 심한 물성 변화를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다양한 폴리올을 검토한 결과 글리세린이 결정 생성에 영향을 주어 제형 안정도 및 shear stress에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방산 중 미리스틱 애씨드와 스테아릭 애씨드의 비율이 특히 3 : 1일 때 각각의 결정이 하나의 화합물과 같은 결정으로 존재하게 되는 공융점을 갖게 되며 다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할 때 고온에서 안정하며 전단응력(shear stress)에 안정한 결정 구조를 가진 지방산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지방상부를 제조하는 단계(S1);
중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S1 단계의 지방상부에 S2 단계의 수상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
또한, 본 발명은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포함하는 지방상부; 및 중화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는 2.5~8: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5.5:1의 중량비를 가질 때, 가장 적은 엔트로피 차이를 보여, 결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실험예 1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1의 중량비에서 가장 우수한 안정성을 보인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상기 지방산부의 산가에 대한 중화 비율이 70 내지 80%가 되도록 첨가되는 것이 제형 구현 및 안정도 면에서 바람직하며, 상기 중화비율이 70% 미만일 경우 중화되지 못한 결정성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경시변화에 불안정함과 제조 시 교반의 어려움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세정제에서 기대할 수 있는 거품력을 얻을 수 없고, 80%를 초과할 경우 크림상 외관과 경도를 유지하기 위한 지방산 결정이 적어 액상으로 구현될 수 있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본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중화제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KOH), 소듐 하이드록사이드(NaOH), 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Mg(OH)2) 등과 같은 1가 및 2가 양이온으로 구성된 금속 중화제나,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알지닌, 아미노메칠프로판올 등의 중화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중화제를 단일 또는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는 지방산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서 상기 지방산의 종류는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 외에도 본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지방산도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에 해당하는 지방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혼합비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결정의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화학식 1]
CnH2n + 2O2
상기 화학식 1에서, C는 선형 또는 분지형 C8-C22 알킬 라디칼 또는 라디칼들의 혼합물, n은 8 내지 2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일 수 있는 정수 또는 2진수(평균값)이며,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될 수 있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단일 또는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화 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6 지방산, 오메가-7 지방산, 오메가-9 지방산이고 상기한 물질들은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독으로 혹은 혼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폴리올을 종래 클렌징 폼 조성물과 비교하여 다량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올이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유동성이 떨어져 안정도가 떨어지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유동성 증가로 엔탈피가 증가하여 제형 불안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레스-26, 피이지-32, 메칠글루세스-20, 피이지-8, 피이지-75, 메칠글루세스-10 등),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이노시톨, 소르비톨, 말티톨 또는 라피노오스 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것이 안정한 결정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에 유리하다.
상기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계면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상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클렌징 폼의 사용성 등을 고려할 때 크림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비누, 오일,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팩, 클렌징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20℃ 내지 55℃에서 안정적인 결정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미리스틱 애씨드와 스테아릭 애씨드가 3:1로 구성된 지방산은, 그 지방산 결정이 약 45℃에서 융점(melting point)을 가지므로 55℃를 초과한 온도를 가지면 결정이 녹아 액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또한, -20℃ 미만의 낮은 온도를 가지면 고체 형태의 결정을 이루어, 크림제형을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지방산의 공융점 확인을 통해 제형 안정도 평가를 확인한 결과, 미리스틱 애씨드와 스테아릭 애씨드가 3~5 : 1의 비율일 때 비교적 안정한 결정을 만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1 및 도 1 참조).
이에 단순히 공융점으로는 45℃ 이상의 조건에서 안정한 폼 구조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폴리올을 이용한 추가적인 결정 구조의 안정화 방법을 고안해 내었다.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결과로 볼 때, 지방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결정 성장을 위한 원료로 글리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고온 조건에서 안정한 결정 구조를 형성함 억제함으로써 제형의 안정도를 높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지방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의 공융점 확인을 위한 제조
공융점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의 조성을 통해 제조예 1-1 내지 1-6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70~80℃의 온도로 가열하며 용해시켜 A상(지방상부)를 제조하였고, 정제수 및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를 70 ~ 80℃로 가열하며 일정하게 교반하여 B상(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A상에 상기 B상을 투입하여 교반한 후, 상온까지 냉각 교반하였다. 일반적 클렌징 폼 중화율을 반영하여 A상의 산가(acid value)와 대비하여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와의 중화 비율을 73~76%로 하여 지방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불투명한 크림상의 클렌징 폼이 제조되었다.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제조예 1-6
A 미리스틱 애씨드 22.0 20.0 18.0 20.0 21.0 22.0
A 스테아릭 애씨드 2.0 4.0 6.0 10.0 15.0 22.0
B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B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4.8 4.7 4.5 5.7 6.7 8.0
실험예 1: 지방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의 공융점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제조예 1-1 내지 1-6의 클렌징 폼을, DSC를 이용하여, 융점을 측정하였다. 45℃ 이상의 온도에서는 유리 지방산의 융점 이상이 되므로 액상인 형태로 존재하여 DSC 측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상온에서 하루 경과된 클렌징 폼의 엔탈피값을 측정한 결과(A) 및 37℃ 항온조에 넣고 2주간 보관한 클렌징 폼의 엔탈피값을 측정한 결과(B)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미리스틱 애씨드와 스테아릭 애씨드의 비율이 3:1인 제조예 1-3에서 엔탈피 비교 중 차이가 가장 적은 것이 확인되었다.
A B |B-A|
제조예 1-1 22.25 11.62 10.63
제조예 1-2 22.02 20.32 1.7
제조예 1-3 21.90 22.19 0.29
제조예 1-4 24.13 13.35 10.78
제조예 1-5 21.49 8.058 13.432
제조예 1-6 21.27 7.475 13.795
엔탈피란 열역학적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화학 결합의 상대적 세기, 서로 다른 원자들의 특성, 특정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지 등을 설명하는 데 쓰일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이다. 특히 물질 변화가 일어날 때의 엔탈피 변화량을 통해 화합물의 불안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결과는 미리스틱 애씨드와 스테아릭 애씨드의 유리 지방산이 일정 비율로 존재할 때 일종의 하나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공융점을 형성하여 안정한 결정 구조로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된다.
제조예 2 : 지방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
이에 상기 제조예 1-3의 조성물에 폴리올로 글리세린을 첨가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및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경우(실시예)의 안정도를 확인하고자,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과 유사하게, A상(지방상부)을 70~80℃로 가온 용해 시킨 후, B상(수상부)을 혼합하여 70 ~ 80℃로 일정하게 교반한 후, A상에 B상을 투입하여 교반 후 상온까지 냉각 교반하였다. 일반적 클렌징 폼 중화율을 반영하여 A상의 산가(acid value)와 대비하여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와의 중화 비율을 73~76%로 하여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A 미리스틱 애씨드 27.0 27.0
A 스테아릭 애씨드 9.0 9.0
B 정제수 To 100 To 100
B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7.0 7.0
B 글리세린 - 20.0
실험예 2: 지방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평가
지방산과 폴리올을 함유하는 클렌징 화장료의 안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예 2에서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 1을 4주간 냉장, 상온, 45℃, 50℃에서 항온조 보관하는 방법을 통해 안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항목 비교예 실시예
냉장 1주
냉장 2주
냉장 4주
상온 1주
상온 2주
상온 4주
37℃ 1주
37℃ 2주
37℃ 4주
45℃ 1주
45℃ 2주
45℃ 4주
50℃ 1주
50℃ 2주
50℃ 4주
○: 양호, △: 처음과 차이 있음, X: 성상 변화(분리, 현탁, 결정 석출, 경도 변화)
그 결과 상기 표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예와 실시예는 45℃와 50℃에서 결정이 녹는 현상이 1주차에 발견되었으나, 두 경우 모두 4주차까지 동일한 외관을 나타내었다. 다만, 고온의 샘플을 상온에 방치하였을 때 결정 생성 시간에서 차이를 보였다.
도 2는 고온의 샘플을 상온에 방치하고 5분이 경과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비교예는 결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온 방치시 유리 지방산의 용해도 저하로 빠르게 결정이 석출되는 것에 반하여, 실시예는 알파겔에 의한 결정구조로 비교예와 동일한 시간 경과 후에도 고온에서 상온에 방치한 직후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고, 천천히 결정화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외부 온도 변화에 기존 클렌징 폼의 결정 구조 보다 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지방산을 포함하는 클렌징 조성물의 결정 구조 확인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를 제조한 후, 상온의 조성물들을 편광 현미경 및 Cryo-SEM (Cryogenic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구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비교예는 실시예보다 결정의 수가 작고 침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결정이 많고 성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글리세린이 멀티 라멜라 구조 생성을 도와 shear stress에 비교적 안정한 결정 구조를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렌징 폼은 안정한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클렌징 폼을 제조할 경우 고온 및 전단응력(shear stress)에 의해 물성이 변경되지 않는 우수한 클렌징 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를 3~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20~55℃의 공융점에서 제조하고 70~80℃로 가온하여 지방상부를 제조하는 단계(S1);
    중화제는 상기 지방산부의 산가에 대한 중화 비율이 70 내지 80%가 되도록 첨가하고, 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S2); 및
    상기 S1 단계의 지방상부에 S2 단계의 수상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알지닌, 및 아미노메칠프로판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및 말티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미리스틱 애씨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는 3~5:1의 중량부를 포함하는 지방상부; 및
    중화제는 상기 지방산부의 산가에 대한 중화 비율이 70 내지 80%가 되도록 포함하고, 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중량%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알지닌, 및 아미노메칠프로판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및 말티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08067A 2018-01-23 2018-01-23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KR10216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67A KR102163156B1 (ko) 2018-01-23 2018-01-23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067A KR102163156B1 (ko) 2018-01-23 2018-01-23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96A KR20190089496A (ko) 2019-07-31
KR102163156B1 true KR102163156B1 (ko) 2020-10-08

Family

ID=6747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067A KR102163156B1 (ko) 2018-01-23 2018-01-23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02A (ko)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2351914B1 (ko) * 2020-02-25 2022-01-17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마주 필링용 피부 세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961A (ja) 2000-08-28 2002-03-08 Noevir Co Ltd 皮膚洗浄料
JP2003089614A (ja) * 2001-09-18 2003-03-28 Noevir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010229066A (ja) 2009-03-26 2010-10-14 Kose Corp 洗浄剤組成物
JP2015131771A (ja) 2014-01-09 2015-07-23 小林製薬株式会社 皮膚用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69B1 (ko) 2007-09-14 2014-06-19 (주)아모레퍼시픽 오일과 폴리올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및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60256B1 (ko) * 2012-09-14 2014-11-12 유선주 액상 비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961A (ja) 2000-08-28 2002-03-08 Noevir Co Ltd 皮膚洗浄料
JP2003089614A (ja) * 2001-09-18 2003-03-28 Noevir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010229066A (ja) 2009-03-26 2010-10-14 Kose Corp 洗浄剤組成物
JP2015131771A (ja) 2014-01-09 2015-07-23 小林製薬株式会社 皮膚用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96A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5241A (en) Amphoteric surfactant gels
KR100235691B1 (ko)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EP0451949B1 (en) Transparent stick compositions
NZ251538A (en) Skin ph cleansing bar 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and anionic and/or nonionic bar "firmness" aid
WO2000076460A2 (en) Personal care formulations
EP2154234A1 (en) Transparent solid soap
KR102163156B1 (ko) 공융점을 이용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
US7709431B2 (en) Solid dispersions comprising aphrons
WO1998014559A1 (en) Mild cleansing bar compositions
JPH0940526A (ja) 無水透明液状洗浄料
JPS591600A (ja) 洗剤
US6262130B1 (en) High solids, pumpable aqueous compositions of high monoalkyl phosphate ester salt content
US4790956A (en) Acyloxyalkanesulfonate pas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5380808B2 (ja) クリーム状洗浄剤組成物
KR102664458B1 (ko) 화장료 조성물
JP2618311B2 (ja) 乳液状洗浄剤組成物
JP6320602B1 (ja) 洗浄剤組成物。
JP2003336091A (ja) 洗浄剤組成物
JP2653089B2 (ja) 液状皮膚洗浄剤組成物
JPS62226921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8094812A (ja) 洗浄剤組成物
JPH075911B2 (ja) 真珠様光沢剤分散液の製造方法
JPH0510969B2 (ko)
JP2830130B2 (ja) 洗浄剤組成物
JP4416084B2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