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691B1 -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691B1
KR100235691B1 KR1019970700683A KR19970700683A KR100235691B1 KR 100235691 B1 KR100235691 B1 KR 100235691B1 KR 1019970700683 A KR1019970700683 A KR 1019970700683A KR 19970700683 A KR19970700683 A KR 19970700683A KR 100235691 B1 KR100235691 B1 KR 10023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oap
parts
mix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칼 위간드
알레얀드로 피가로
마이클 오거스트 브룬스만
알렉산더 진기어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95Solid transparent soaps or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11D10/042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based on anionic surface-active compounds and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06Ether- or thioether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10Amino carboxylic acids; Imino carboxylic acid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26Acylisethi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6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divalent or polyvalent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rom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8Sulfonation products derived from fatty acids or their derivatives, e.g. esters,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4Derivatives of acids of phosphorus
    • C11D1/345Phosphates or phosph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경도 특성을 나타내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의 제조를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Ⅰ) 18 내지 35부의 비누(50% 이상이 불용성 나트륨 비누이다); 14 내지 32부의 물; 5내지 37부의 합성 계면활성제; 및 18 내지 37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의 용융 혼합물(이때 용융 혼합물중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총량은 40부 이상이다)을 제조하는 단계; (Ⅱ) 단위량의 상기 용융 혼합물을 바-성형 금형 또는 튜브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성형된 단위를 상기 금형 또는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순하고 끈적임이 적은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람직한 바는 수 부의 알콜을 사용하여 제조된 바보다 중량 안정성이 크다. 본 발명의 중요한 잇점은 보다 빠른 결정화 및 보다 빠른 바 안정화에 의해 바 제조 시간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입 성형된 투명 및 반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는 우수한 경도 특성을 나타내며, 피부에 순하고, 덜 끈적거리며, 비누거품 형성이 우수하다.
[배경기술]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는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많은 소비자들에게 호감이 가게 한다. 불행하게도,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의 제조상 문제점은 상기 바가 높은 수준의 비누를 함유하는 바의 경우에서처럼 너무 거칠거나, 또는 1가 알콜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1991년 8월 20일자로 허여된 인스톤(Instone) 등의 미국 특허 제5,041,234호에는 40부 이상의 비누를 함유하는 투명 바(높은 비누 함량의 바)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높은 비누 함량의" 투명 바와 마찬가지로, 인스톤 등에 의해 개시된 바는 비누거품이 우수하게 형성되고 끈적임이 적으며 바 경도가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비누 함량의 투명 바는 피부에 대해 다소 거칠다. 이러한 바에 대한 또다른 단점은 그의 제조 공정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용매, 예를들어 휘발성 단쇄 1가 알콜의 사용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투명성을 얻기 위해서 특별히 분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보다 비누 함량이 적은 투명 바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비누 함량이 보다 적은" 투명 바는 40부 미만의 비누를 함유한다. 1991년 3월 26일자로 허여된 챔버스(Chambers) 등의 미국 특허 제5,002,685호에는 25 내지 34%의 비누, 5 내지 15%의 1가 알콜, 15 내지 30%의 당 및/또는 환상 폴리올, 및 15 내지 30%의 물로 제조된 투명 바가 개시되어 있다. 불행하게도, 투명 바의 제조에 1가 알콜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공정, 예를들어 챔버스 등에 의해 개시된 공정에 따라 제조된 투명 바는 대부분의 알콜의 휘발 특성으로 인해 과도하게 중량이 손실되기 쉽다. 이러한 투명 바는 또한 제조 단가가 비싸며, 대부분의 1가 알콜과 관련된 폭발 위험성을 수용하도록 고안된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피부에 순하고, 우수한 경도 특성을 나타내며, 배합시 1가 알콜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투명 바를 배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경도 특성을 나타내는 주입 성형된 투명 및 반투명 인체용 세정 바의 제조를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우수한 경도 특성을 나타내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바의 제조를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Ⅰ) 18 내지 35부의 비누(50% 이상이 불용성 나트륨 비누이다); 14 내지 32부의 물; 5 내지 37부의 합성 계면활성제; 및 18 내지 37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의 용융 혼합물(이때, 상기 용융 혼합물중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를 합한 양은 40부 이상이다)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용융 혼합물 단위량을 바 성형 금형 또는 튜브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성형된 단위를 상기 금형 또는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냉각시켜, 순하고 끈적임이 적은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람직한 바는 수 부의 1가 알콜을 사용하여 제조된 바보다 더욱 중량 안정성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잇점은 보다 빠른 결정화 및 보다 빠른 바 안정화에 의해 바 제조 시간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는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우수한 경도 특성을 나타내는 주입 성형된 투명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A) 18 내지 35부의 비누(50% 이상이 불용성 나트륨 비누이다); 14 내지 32부의 물; 5 내지 37부의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25℃에서 측정시 10 내지 50 다인/cm의 임계 미셀 농도 평형 표면 장력을 갖는다); 및 18 내지 37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의 용융 혼합물(이때, 상기 용융 혼합물중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를 합한 양은 40부 이상이다)을 제조하는 단계 : 및 (B) 상기 용융 혼합물을 바 성형 금형 또는 튜브내로 주입하고, 상기 주입된 용융 혼합물을 상기 금형 또는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냉각시켜, 순하고 끈적임이 적은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1/4 in 두께의 바를 통해 14포인트 타이프가 판독될 수 있는 경우 이 바를 투명한 것으로 간주한다. 1/4 in 두께의 바를 통해 14 포인트 타이프가 판독될 수 없는 경우 이 바는 투명하지 않다. 1979년 8월 21일자로 허여된 고든(Gordon)의 미국 특허 제4,165,293호(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를 참조하시오.
본 발명에 사용된 바와 같이, "불용성 비누"란 용어는 나트륨 미리스테이트보다 덜 가용성인 지방산 나트륨 비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바는 1가 알콜을 함유하지 않으며, 따라서 매우 중량 안정성이다. 알콜 함유 바는 휘발성 알콜의 증발로 인해 중량을 손실하기 쉽다. 이는 알콜을 제외시킨 잇점중 하나이다. 알콜을 제외시키는 또다른 잇점은, 알콜을 사용하는 공정이 전형적으로 대부분의 1가 알콜과 관련된 폭발위험성을 수용하도록 고안된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다 단순한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1가 알콜 비함유 공정은 또한 보다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양, 부, 퍼센트 및 비율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에서 "비누 혼합물"은 "비누의 중량%"로 표현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부"는 완성된 바의 중량부로서 사용된다. 모든 수치 한계값, 범위, 비율 등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대략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그에 사용된 물질들을 하기에 상세히 기술한다.
[주입 성형 공정]
본 발명은 우수한 경도 특성을 나타내는 주입 성형된 투명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A) 18 내지 35부의 비누(50% 이상이 불용성 나트륨 비누이다); 14 내지 32부의 물; 5 내지 37부의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25℃에서 측정시 10 내지 50 다인/cm의 임계 미셀 농도 평형 표면 장력을 갖는다); 및 18 내지 37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의 용융 혼합물(이때 상기 용융 혼합물중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를 합한 양은 40부 이상이다)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용융 혼합물 단위량을 바 성형 금형 또는 튜브로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된 단위를 상기 금형 또는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냉각시켜, 순하고 끈적임이 적은 투명한 인체용 세정 바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1가 알콜 비함유 공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1.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거의 불용성인 지방 물질과 수용성 폴리올을 혼합하는 단계.
2.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들), 물 및 약간의 염(들), 예를들어 염화 나트륨을 혼합하면서 첨가하는 단계.
3. 단계 2의 혼합물의 온도를 70 내지 100℃로 상승시켜 용융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70℃ 미만의 온도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반응 시간이 느려질 것이며 바 투명성 및/또는 경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단계 3의 혼합물에 지방 물질을 비누화시키고 비누화/중화 후에 소량의 유리 가성 소다(예를 들어 0.01 내지 0.07%)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가성 소다 용액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소량의 잔류 가성 소다는 지방 물질을 모두 확실히 반응시킬 것이다. 이는, 소량의 미반응된 지방 물질(특히 트리글리세라이드)이 투명성 및 바 경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투명성 및 바 경도를 성취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 비등을 막기 위해서 냉각시키나; 용융된 혼합물은 유지시킨다.
5. 약간의 유리 지방산(적어도 유리 가성 소다를 모두 중화시키는데 충분한 정도), 및 임의로 다른 합성 계면활성제를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6. 혼합 온도를 최대 85℃로 조절하는 단계.
7. 다른 임의의 성분들을 혼합하면서 첨가하고, 68 내지 85℃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 교반하는 동안 온도가 68℃ 미만으로 되면 투명성이 상실될 수도 있다. 85℃를 초과하는 온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바의 냉각에 필요한 시간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8. 용융 혼합물을 바 금형 또는 튜브에 주입하는 단계.
9. 바 금형 또는 튜브중의 혼합물을 콘디셔닝하여 결정화/고형화를 촉진시키는 단계. 상기 금형 또는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68℃ 미만의 제품 온도에서 냉각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바 투명성 및 경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0.1 내지 7.0℃/분의 평균 냉각 속도가 바를 냉각시키고 개선된 투명성을 얻는데 바람직하다. 약 0.07℃/분 이하의 평균 냉각 속도는 불투명한 바를 생성시킬 수 있다.
10.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비누 플러그를 바 크기의 플러그로 얇게 절단하는 단계.
11. 성형된 바로 압형하고 포장하는 단계.
바람직한 공정은 프레임식 바 공정(framed bar process)이다. 사출 성형과 같은 다른 공정들도 사용할 수 있다.
[비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투명 바는 비누 약 18 내지 약 35부,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2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4 내지 약 32부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약 35부 이상의 비누 함량에서는 투명한 바가 생성되지 않으며, 약 18부 미만의 비누 함량에서는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무른 바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비누 혼합물은 불용성 나트륨 비누를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약 87%,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3% 내지 약 72% 포함한다. 비누 성분이 50% 미만의 불용성 비누를 함유하는 투명 바는 만족할 수 없을 정도로 무를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불용성 비누"란 용어는 나트륨 미리스테이트보다 덜 가용성인 지방산 나트륨 비누로 정의된다. 특히, "불용성 비누"란 용어는 16 내지 24,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의 탄소 쇄 길이를 갖는 포화 지방 모노카복실산의 1가 염을 말한다. 이들 1가 염들은 보통 나트륨 염일 것이지만, K, Mg 또는 알칸올암모늄 이온과 같은 몇몇 양이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불용성 지방산 비누는 나트륨 팔미테이트 및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다. 기타 불용성 비누, 특히 고급 지방산 불용성 비누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비누 혼합물의 나머지 부분은 가용성 비누이다. "가용성" 비누란 용어는 8 내지 14의 탄소쇄 길이를 갖는 포화 지방 모노카복실산의 1가 염 및 추가로 올레산 및 8 내지 22의 탄소쇄 길이를 갖는 불포화 지방 모노카복실산의 1가 염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나트륨 미리스테이트를 "가용성" 비누로 정의한다. 바람직한 가용성 비누는 미리스트산, 올레산 및 라우르산 비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투명 바에 사용된 지방산 비누는 순수한 쇄로 이루어진 지방산,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오일을 사용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적절한 양 및 비율의 통상적인 지방산 및 오일 혼합물, 예를 들면 코코넛, 야자유 스테아린, 탈로우 및 삼중 압착된 스테아르산을 사용하므로써 제조할 수 있다.
"코코넛"이란 용어는 본원에서 비누 또는 지방산 혼합물과 관련하여 C88%; C107%; C1248%; C1417.5%; C169%; C182% : 올레산 6% 및 리놀레산 2.5%의 대략적인 탄소쇄 길이 분포를 갖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코코넛 비누는 대략적으로 불용성 비누 11% 및 가용성 비누 89%를 포함한다.
"바바수(babassu)"란 용어는 본원에서 비누 또는 지방산 혼합물과 관련하여 C86%; C103%; C1246%; C1420%; C167%; 및 C18 : 1올레산 18%의 대략적인 탄소쇄 길이 분포를 갖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바바수 비누는 대략적으로 불용성 비누 7% 및 가용성 비누 93%를 포함한다.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삼중 압착된 스테아르산"이란 용어는 미리스트산(C14) 5%, 팔미트산(C16) 50% 및 스테아르산(C18) 45%의 대략적인 탄소쇄 분포를 갖는 지방산을 말한다. 따라서 삼중 압착된 스테아르산 비누는 대략적으로 불용성 비누 95% 및 가용성 비누 5%를 포함한다.
"경화된 탈로우"란 용어는 미리스트산(C14) 3%, 팔미트산(C16) 50% 및 스테아르산(C18) 45% 및 올레산 2%의 대략적인 탄소쇄 길이 분포를 갖는 지방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경화된 탈로우 비누는 대략적으로 불용성 비누 95% 가용성 비누 5%를 포함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탈로우"란 용어는 C144%, C1629%, C1820%, 팔미트올레산 2%, 올레산 42% 및 리놀레산 3%의 대략적인 쇄 길이 분포를 갖는 비누 혼합물 [베일리즈 인더스트리알 오일 앤드 팻트 프로덕츠(Bailey's Industrial Oil and Fat Products, Volume 1, Wiley Intersciences)의 표 6.34로부터의 정규화된 중간 범위 값]로 정의된다. 따라서 탈로우 비누는 대략적으로 불용성 비누 49% 및 가용성 비누 5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완성된 바에 혼입된 유리 지방산의 양은 전형적으로 0.5 내지 3부, 더욱 전형적으로는 1 내지 2부의 범위이다. 그러나, 유리지방산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비누 혼합물의 비누화가 일어난 후 지방산을 비누 혼합물에 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사용된 비누 혼합물에 유리 지방산 성분을 바람직하게 도입한다. 또한 유리 지방산 성분을 비누와 유리 지방산의 예비 혼합물로서, 예를 들면 비누 제조 공정에서 중화시켜 제조한 비누와 유리 지방산의 산 반응 혼합물로서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지방산 비누는 나트륨 비누를 포함한다. 그러나, 칼륨, 마그네슘 및/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TEA) 비누와 같은 비-나트륨 비누도 소량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나트륨 비누는 사용한다면 바 비누의 0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투명 바에서 물 함량은 약 14 내지 약 32부,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27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2 내지 약 26부의 범위이다. 가공의 용이성, 바의 순함(mildness) 및 기타 잇점을 위해 상기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보다 많은 양의 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체용 세정 바에서 물 함량은 바람직한 경도 특성을 갖는 투명 바를 얻는데 중요하다. 물이 바의 약 14 중량부 미만일 때, 바는 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에 존재하는 물의 양이 바의 약 32 중량부를 초과할 때, 바는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무를 수 있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투명 바에서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완성된 바의 약 5 내지 약 3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22 중량부의 범위이다. 바의 특성을 개량하는데 합성 계면활성제가 필수적이다. 상기 특성중 몇몇 특성으로 거품 형성/거품 발생 특성, 바의 순함, 바의 헹굼 느낌 및 끈적임/경도 특성을 들 수 있다.
바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거품 형성 계면활성제는 25℃에서 CMC(임계 미셀 농도)에서 측정시 10 내지 50 다인/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다인/cm의 평형 표면 장력을 갖는 합성 계면활성제또는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정의된다. 일부 계면활성제혼합물은 그의 성분중 일부 성분보다 낮은 표면 장력을 갖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바 조성물에 거품 형성이 적은 계면활성제와 많은 계면활성제및 수용성이 높은 계면활성제와 수용성이 낮은 계면활성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경수에서 형성되는 비누 덩어리에 대한 우수한 분산제로 공지된 합성세제계면활성제및/또는 거품 증대 합성 세제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바람직한 선택으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쯔비터이온성/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순함 및 거품 형성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쯔비터이온성/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가 허용된다. 그러나, 이들의 첨가는 또한 바에서 조악한 구조 형성 특성을 유도하므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을 10부 미만으로 유지해야 한다. 바람직한 쯔비터이온성/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암포 모노 및 디-아세테이트, 알킬 베타인, 알킬 설타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들은 C8내지 C22알킬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합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 짐머러(Zimmerer)의 미국 특허 제3,351,558호(1967년 11월 7일 허여됨, 칼럼 6, 70행 내지 칼럼 7, 74행); 고돈(Gordon)의 미국 특허 제4,165,293호(1979년 8월 21일 허여됨); 챔버스(Chambers)와 인스톤(Instone)의 미국 특허 제5,002,685호(1991년 3월 26일 허여됨); 인스톤등의 미국 특허 제5,041,234호(1991년 8월 20일 허여됨)에 개시된 것이 있으며, 상기 특허는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에는 알킬 설페이트, 음이온성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메틸 아실 타우레이트, N-아실 글루타메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설포숙시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에톡실화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트리데세쓰 설페이트, 단백질 축합물, 에톡실화 알킬 설페이트와 알킬 아민 옥사이드의 혼합물, 베타인, 설타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몇몇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로는 에톡시 그룹 1 내지 12개를 갖는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특히 암모늄 및 나트륨 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가 있다.
특히 흥미로운 합성 설페이트 세제로는 탄소수 10 내지 22의 선형 1차 지방족 알콜의 황산 에스테르의 보통 고형인 알칼리 금속 염이 있다. 따라서, 탈로우를 환원시켜 유도하거나 또는 코코넛유, 야자유, 야자 핵유, 야자유 스테아린, 바바수 핵유 또는 코코넛 그룹의 기타 오일을 환원시켜 유도한 혼합된 고급 알콜에서 얻은 알킬 황산의 나트륨 및 칼륨염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지방족 황산 에스테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통상적인 세정 바에 혼입하기 매우 어려운 특정 흡습성 합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바에 매우 혼화성이다. 따라서, 세정 제품에 유용한 것으로 공지된 본질적으로 모든 합성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하다. 세정 제품 특허 문헌에 합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내용이 충분히 개시되어 있다. 바 외형, 안정성, 비누 거품, 세정성 및 순함을 위해 바람직한 합성계면활성제시스템을 선택적으로 디자인한다.
바람직한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는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설포네이트, 메틸아실 타우레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선형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N- 아실 글루타메이트, 알킬 설포숙시네이트, 알파 설포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에테르 카복실레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에톡실화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에톡시 그룹 1 내지 12를 갖는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C8내지 C22의 알킬 쇄를 함유한다)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다. C8내지 C18의 알킬쇄즐 함유하고 대이온이 Na, K, NH4, N(CH2CH2OH)3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의 일부 특정예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한다. 우수하게 순하고 거품 형성이 증대된 합성 세제계면활성제의 몇몇 예로는 나트륨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설폰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설폰화 지방산이 있다.
계면활성제의 순함은 계면활성제의 자극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피부차단막 파괴 시험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시험에서 계면활성제가 순할수록, 피부 차단막이 덜 파괴된다. 피부 차단막 파괴는 시험 용액으로부터 피부 진피를 통과하여 확산 챔버안에 함유된 생리학적 완충수내로 유입되는 방사능 표지 수(3H-H2O)의 상대적인 양으로 측정한다. 이 시험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한 티. 제이. 프란쯔(T. J. Franz)의 문헌[J. Invest. Dermatol., 1975, 64. pp. 190-195] 및 스몰(Small) 등의 미국 특허 제4,673,525호(1987년 6월 16일 허여됨)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참고 문헌은 "표준"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순한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AGS) 계면활성제기제신바(synbar)를 개시하고 있으며, "순한 계면활성제"에 대한 기준을 정의하고 있다. 차단막 파괴 시험은 순한 계면활성제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몇몇 바람직한 순한 합성 계면활성제가 상기에서 인용한 스몰 등의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용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투명 바는 수용성 유기 용매 약 18 내지 약 37부,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32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28부를 포함한다. 수용성 유기 용매는 우레아, 수용성 유기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아를 0 내지 8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부 또는 3 내지 6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폴리올과 우레아의 총량이 약 37부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수용성 유기 폴리올은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틸렌 글리콜, 1,7-헵탄-디올, 분자량 8,000 이하의 모노 및 폴리에틸렌 및 프로필렌 글리콜, 이들의 모노-C1-4알킬 에테르, 솔비톨, 글리세롤,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 2-아미노-1-부탄올, 비환원당, 예를 들면 슈크로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다.
사용할 때, 바람직한 비환원당을 바의 약 1 내지 약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7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슈크로즈"란 용어는 슈크로즈, 그의 유도체 및 유사한 빈환원당 및 약 210℉(99℃) 이하의 비누 가공 온도에서 실질적으로 안정한 유사 폴리올, 예를 들면 트리알로즈, 라피노즈 및 스타키오즈; 및 솔비톨, 락티톨 및 말티톨을 포함한다.
수용성 유기 용매는 바의 투명성에 필요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투명 바의 필수 성분이다. 더욱더, 인체용 세정 바의 투명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된 수용성 유기 용매의 특정량 및 유형이 중요하다.
[성분들의 조합]
투명한 바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인체용 세정 바는 특정 조합량의 비누와 수용성 유기 용매를 함유해야 한다. 특히, 투명성을 얻기 위해, 상기에서 인용한 물과 용매 모두의 최소량 외에, 바의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5 중량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와 물의 최소 조합량이 필수적이다.
투명 바를 얻기 위해, 또한 수용성 유기 용매, 물 및 비누를 특정 비율로 바내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를 약 2 : 1 내지 1 : 2의 비율,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 1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와 수용성 용매를 약 0.8 : 1 내지 2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8 : 1 내지 1.5 : 1의 비율로 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용성 비누 대 가용성 비누의 비율은 약 1.2 : 1 내지 약 2.4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7 : 1 내지 약 2.3 : 1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바 비누 조성물은 향료, 기타 충전제, 살균제또는 항균제, 염료등과 같이 화장 바에 통상 포함되는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바는 보습제, 착색제, 충전제, 중합체성 피부 감촉 및 순도 보조제, 향료, 보존제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또다른 바 성분을 1부 이상 함유한다.
양립할 수 있는 염 및 염 수화물을 충전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염으로 염화 나트륨, 황산 나트륨, 인산 수소 이나트륨, 피로인산 나트륨, 사붕산 나트륨이 있다.
일반적으로, 양립할 수 있는 염 및 염 수화물은 무기산 및 저급(탄소 원자 6개 미만) 카복실산 또는 기타 유기산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리튬 및 암모늄 염을 포함하여 상응하는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염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메타실리케이트, 오르토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폴리포스페이트, 메타보레이트, 테트라보레이트 및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유기 염은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메틸설페이트 및 시트레이트를 포함한다.
수용성 아민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TEA) 클로라이드 염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기타 점토가 본 발명에 유용하다. 일부 바람직한 점토는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605,509호 및 제4,274,975호에 개시되어 있다.
기타 유형의 점토는 제올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아터풀자이트, 일리트, 벤토나이트 및 할로이사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또다른 점토는 카올린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며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 언급한 바 없으면 모든 퍼센트, 부 및 비율은 중량에 의한다. 실시예에 사용된 유리 지방산은 지방산 비누와 동일한 비율로 사용된다. 달리 언급한 바 없으면 비누는 동일 반응계에서 제조한다. 비누의 양은 바의 중량부 뿐 아니라 총 비누 중량%로 나타낸다.
예시된 프레임 성형된 바를 제조하는데 하기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1. 용융 혼합물 배치를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제조한다.
2. 용융 혼합 생성물을 바 금형 또는 튜브에 주입한다.
3. 상기 금형 또는 튜브내의 조건하에 0.1 내지 7.0℃/분의 평균 냉각 속도로 바를 냉각시켜 결정화 및 고형화를 촉진시킨다.
4. 튜브에 주입하는 경우, 비누 플러그를 바 크기의 플러그로 얇게 분할한다.
5. 바를 압형하고 포장한다.
[배치식 방법]
1. 트리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경화된 탈로우) 및 /또는 지방산(예를 들면, 라우르산)을 수용성 폴리올(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과 크러쳐(Crutcher)에서 혼합한다.
2. 크러쳐에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코코 베타인), 물 및 염(예를 들면, 염화 나트륨)을 첨가한다.
3. 배치 온도를 70℃ 내지 100℃로 상승시킨다.
4. 비누화 및 중화후에도 낮은 수준의 유리 가성 소다가 남아 있도록 충분량의 가성 소다 용액(예를 들면, 30% 수산화 나트륨)을 가한다. 필요한 경우, 비등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를 냉각시킨다.
5. 유리 지방산을 배치에 가한다.
6. 필요한 만큼 기타 합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나트륨 라우레쓰-3 설페이트)를 배치에 가한다.
7. 배치 온도를 최고 85℃로 조절한다.
8. 기타 임의 성분(예를 들면, 당, 향료)을 배치에 가하고 배치 온도를 68℃ 내지 85℃로 유지시킨다.
배치식 제조 공정에서의 온도는 근사치이다. 상기 공정의 온도는 다소 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 온도는 5℃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용융 혼합물의 점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하고(예를 들면, 전형적으로 68℃ 미만의 온도에서 공정을 수행한다), 혼합물을 상기 온도 범위 부근에서 냉각하는 동안 교반을 피하는 것이다.
지방 물질의 중화전에 혼합물에 폴리올 용매 및 바람직하게 약간의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보다 낮은 점도를 촉진시킨다. 보다 낮은 점도는 비누화 속도에 중요하다.
비누화 후에, 가수분해에 대해 보다 민감성인 계면활성제를 용융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실시예1]
Figure kpo00001
이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단히 바람직한 바이다. 하기 공정 조건을 사용하여 상기 바를 제조하였다 :
1. 바바수, 경화된 탈로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물, 염화 나트륨 및 코코 베타인을 크러쳐에서 혼합하고, 배치 온도를 75±2℃로 조절한다.
2. 30% 가성 소다를 배치에 혼합하면서 첨가한다. 온도는 반응 후에 99℃에 도달한다.
3. 유리 가성 소다를 분석한다(결과는 예상된 0.01 내지 0.07%범위 이내이다).
4. 지방산, 나트륨 라우릴 에톡시(3) 설페이트, 나트륨 라우릴 셀페이트, 슈크로즈 및 미량 성분들을 교반하에 첨가한다. 배치 온도는 언제든지 74℃ 이상이다. 최종 배치 온도를 73±2℃로 조절한다.
5. 용융 혼합물을 고형화 튜브로 이동시킨다.
6. 상기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대략 0.2℃/분의 평균 속도로 강제통풍시켜 냉각시킨다.
7. 냉각이 완료된 후에 가압된 물을 사용하여 고형 비누를 튜브 밖으로 밀어낸다(평균 비누 온도는 52℃ 미만이다).
8. 비누 플러그를 얇게 분할하고 바로 압형한다.
9. 통상적인 바 비누 포장 장치에서 포장한다.
상기 생성물을 또한 대략 0.7, 0.3 및 0.06℃/분의 평균 냉각 속도로 냉각시킨다. 가장 느린 냉각 속도(0.06℃/분)는 불투명한 바를 생성시키는 반면 다른 두 냉각 속도는 투명한 바를 생성시킨다.
본 실시예 1의 주입 성형된 인체용 세정 바는 실온(21℃)에서 6개월간 보관한 후에 4% 미만의 중량 손실을 나타냈다. 이러한 중량 손실은 산업상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며, 1가 알콜-함유 인체용 세정 바에 의해 전형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것보다 현저하게 낮다. 대조적으로, 50% 이상의 가용성 비누 42.5부, 에탄올 9.0부, 물 22.3부 및 수용성 폴리올 배합물 19.5부를 원래 함유하는 비누 바는 실온(21℃) 조건하에서 단지 2개월 보관 후에 4% 이상의 중량 손실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조건하에서 6개월간 보관한 후에는 12%를 넘는 중량 손실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Figure kpo00002
상기 바는 탁월한 투명성, 경도 및 거품 발생 특성을 갖는다. 상기 바는 또한 매우 순하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융 혼합물을 0.2℃/분의 평균 냉각 속도로 72℃의 온도에서 약 50℃의 고형화 온도로 고형화 튜브에서 냉각시킨다. 용융 혼합물을 별도로 72℃의 온도에서 바 형상의 금형에 주입하고, 상기 금형내의 조건하에서 1.3℃/분의 평균 속도로 냉각 터널 내부에서 냉각시킨다. 상기 두 경우 모두, 수득된 바들은 탁월한 성질을 나타내었다.
동일한 조성의 용융 혼합물을 초기에 교반하에서 82℃에서 65℃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이어서 혼합물을 금형에 주입하고 1.3℃/분의 평균 냉각 속도로 상기 금형내의 조건하에서 냉각시킨다. 생성된 바는 투명하지 않으나, 우수한 경도 및 거품 발생 특성을 보유한다.
[실시예 3]
Figure kpo00003
상기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또다른 바람직한 바이다. "합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는 57%의 불용성 비누와 43%의 가용성 비누를 함유한다. 상기 바는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내며, 대단히 순하고, 거품 발생 특성도 뛰어나며, 우수한 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바를 구조 형성제로서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바의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시스템은 약 29 다인/cm의 평형 표면 장력을 갖는다.
[실시예 4]
Figure kpo00004
상기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또다른 바람직한 바이다. 상기 바는 61%의 불용성 비누와 39%의 가용성 비누를 함유한다. 상기 바는 또한 탁월한 바 성능 특성, 특히 바 경도를 나타낸다. 상기 바는 8%의 글리세린을 함유한다.
[실시예 5]
Figure kpo00005
본 실시예는 보다 많은 양의 비누 및 보다 적은 양의 물을 갖는다. 상기 바를 트리글리세라이드(코코넛 오일)와 지방산(삼중 압착된 스테아르 지방산)의 혼합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Figure kpo00006
상기는, 보다 적은 수준의 합성 계면활성제를 갖는, 바 성능 특성이 우수한 바의 예이다.
[실시예 7]
Figure kpo00007
상기는 단지 지방산만으로 제조된 바의 예이다. 상기 바는 탁월한 성능 특성을 갖는다. 상기 바는 당을 함유하지 않는다.
[실시예 8]
Figure kpo00008
상기는 단지 25%의 비누를 사용하여 제조하였지만, 탁월한 투명성 및 우수한 성능 특성을 갖는 바의 예이다.

Claims (15)

  1. Ⅰ. (A) 18 내지 35부의 비누(50% 이상이 불용성 나트륨 비누이다); (B) 5 내지 37부의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25℃에서 측정시 10 내지 50 다인/cm의 임계 미셀 농도 평형 표면 장력을 갖는다); (C) 14 내지 32부의 물; 및 (D) 18 내지 37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의 용융 혼합물(이때, 바중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총량은 40부 이상이다)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용융 혼합물을 바 형상의 주형 또는 성형 튜브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이동된 용융 혼합물을 상기 바 형상의 주형 또는 성형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약0.1내지 0.7℃/분의 속도로 냉각시켜 혼합물을 결정화 및 고형화시키고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지방 물질과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 상기 물 및 상기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예비혼합물을 제조하고, 2) 상기 예비혼합물을 70 내지 1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고, 3) 가성 소다 용액을 상기 예비혼합물에 가하여 상기 지방 물질을 비누화시키고 이에 의해 용융 혼합물을 제공함으로써, 용융 혼합물을 제조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지방 물질을 반응시키고 상기 용융 혼합물에 극소량의 과잉 가성 소다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가성 소다를 가하고, 후속적으로 상기 극소량의 과잉 가성 소다를 유리 지방산의 첨가에 의해 중화시키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과잉의 가성 소다를 중화시킨 후에 상기 용융 혼합물의 온도를 68 내지 85℃의 온도로 조절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열 민감성 바 비누 성분 및 임의적인 바 비누 성분들을 상기 용융 혼합물에 가하고, 상기 용융 혼합물의 온도가, 상기 혼합물을 바 형상의 주형 또는 튜브에 주입하기 전에 68℃ 이상인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혼합물을 상기 바 형상의 주형 또는 튜브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형 또는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대략 0.1 내지 7.0℃/분의 평균 속도로 냉각시켜 결정화 및 고형화시킴으로써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 또는 비누 플러그를 제공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가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용융 혼합물의 온도가 상기 혼합물을 바 형상의 주형 또는 튜브내로 주입하기 전에 68℃ 이상인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8. I. (A) 18 내지 35부의 비누(50% 이상이 불용성 나트륨 비누이다); (B) 5 내지 37부의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25℃에서 측정시 10 내지 50 다인/cm의 임계 미셀 농도 평형 표면 장력을 갖는다); (C) 14 내지 32부의 물; 및 (D) 18 내지 37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의 용융 혼합물(이때, 바중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총량은 40부 이상이다)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용융 혼합물을 바 형상의 주형 또는 성형 튜브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이동된 용융 혼합물을 상기 바 형상의 주형 또는 성형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약 0.1 내지 7.0℃/분의 속도로 냉각시켜 혼합물을 결정화 및 고형화시키고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단계 Ⅰ에서, 용융 혼합물의 온도를 68 내지 85℃로 조절하고, 열 민감성 물질 및 임의적인 바 비누 성분들을 교반하에 용융 혼합물에 가하고, 용융 혼합물의 온도를, 단계 Ⅱ에서 상기 혼합물을 바 형상의 주형 또는 성형 튜브내로 주입하기 전에 68 내지 85℃로 다시 조절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가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1,7-헵탄-디올, 분자량 8,000 이하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롤,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비환원당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가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설포네이트, 메틸아실 타우레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선형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N-아실 글루타메이트, 알킬 설포숙시네이트, 알파 설포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에테르 카복실레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에톡실화된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하나 내지 12개의 에톡시 그룹을 갖는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고, C8내지 C22알킬 쇄 및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1)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지방 물질과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 상기 물 및 상기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예비혼합물을 제조하고, 2) 상기 예비혼합물을 70 내지 1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고, 3) 가성 소다 용액을 상기 예비혼합물에 가하여 상기 지방 물질을 비누화시키고 이에 의해 용융 혼합물을 제공함으로써, 용융 혼합물을 제조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지방 물질을 반응시키고 상기 용융 혼합물에 극소량의 과잉 가성 소다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가성 소다를 가하고, 후속적으로 상기 극소량의 과잉 가성 소다를 유리 지방산의 첨가에 의해 중화시키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과잉의 가성 소다를 중화시킨 후에 상기 용융 혼합물의 온도를 68 내지 85℃의 온도로 조절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14. Ⅰ. (A) 18 내지 35부의 비누(50% 이상이 불용성 나트륨 비누이다); (B) 5 내지 37부의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25℃에서 측정시 10 내지 50 다인/cm의 임계 미셀 농도 평형 표면 장력을 갖는다); (C) 14 내지 32부의 물; 및 (D) 18 내지 37부의 수용성 유기 용매의 용융 혼합물(이때, 바중의 물과 수용성 유기 용매의 총량은 40부 이상이다)을 제조하는 단계; Ⅱ. 상기 용융 혼합물을 바 형상의 주형 또는 튜브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Ⅲ. 상기 이동된 용융 혼합물을 상기 바 형상의 주형 또는 성형 튜브내의 조건하에서 약 0.1 내지 7.0℃분/분의 속도로 냉각시켜 혼합물을 결정화 및 고형화시키고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용융 혼합물을, 1)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지방 물질과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 상기 물 및 제1 분취량의 상기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예비혼합물을 제조하고, 2) 상기 예비혼합물을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3) 상기 지방 물질을 모두 비누화시키고 소량의 과잉 가성 소다를 갖는 용융 혼합물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가성 소다 용액을 상기 예비혼합물에 가하고, 4) 용융 혼합물의 온도를 68 내지 85℃의 온도로 조절하고, 5) 유리 지방산 및 제2 분취량의 상기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용융 혼합물에 가함으로써 제조하는,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취량의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가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상기 제2 분취량의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거품 형성 합성 계면활성제인 주입 성형된 투명한 인체용 세정 비누 바를 제조하기 위한 1가 알콜 비함유 방법.
KR1019970700683A 1994-08-03 1995-07-26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KR100235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526194A 1994-08-03 1994-08-03
US8/285,261 1994-08-03
PCT/US1995/009437 WO1996004361A1 (en) 1994-08-03 1995-07-26 Process for making a transparent personal cleansing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5691B1 true KR100235691B1 (ko) 1999-12-15

Family

ID=2309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0683A KR100235691B1 (ko) 1994-08-03 1995-07-26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703025A (ko)
EP (1) EP0775195A1 (ko)
JP (1) JPH10504336A (ko)
KR (1) KR100235691B1 (ko)
CN (1) CN1157633A (ko)
AU (1) AU3200995A (ko)
BR (1) BR9508501A (ko)
CA (1) CA2196612C (ko)
CZ (1) CZ31997A3 (ko)
EG (1) EG20691A (ko)
HU (1) HUT78015A (ko)
MX (1) MX9700842A (ko)
PE (1) PE2797A1 (ko)
TR (1) TR199500951A2 (ko)
TW (1) TW340871B (ko)
WO (1) WO1996004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4162C2 (de) * 1996-06-18 1998-07-09 Dalli Werke Waesche & Koerperp Transparente Seifen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 Seifenstücke
CO5031343A1 (es) * 1997-05-16 2001-04-27 Unilever Nv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una barra detergente
DE19815888C1 (de) * 1998-04-08 1999-10-07 Beiersdor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Waschmittelkörpern
US6143704A (en) 1998-10-13 2000-11-07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oap bars with little or no synthetic surfactant comprising organic salts
US6310015B1 (en) 1999-08-10 2001-10-30 The Dial Corporation Transparent/translucent moisturizing/cosmetic/personal cleansing bar
AU6400100A (en) * 1999-08-10 2001-03-05 Dial Corporation, The Transparent/translucent moisturizing/cosmetic/personal cleansing bar
US6147040A (en) * 1999-08-13 2000-11-14 Surrey, Inc. Transpatent toilet bar containing a decorative concentric pattern
GB0003925D0 (en) 1999-10-25 2000-04-12 Unilever Plc Cast detergent composition
GB0008553D0 (en) * 2000-04-06 2000-05-24 Unilever Plc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 detergent bar
US6362145B1 (en) * 2000-11-14 2002-03-26 Clariant International Ltd. Clear soap bar comprising metal catalyst sodium cocoyl isethionate
US6514919B2 (en) * 2000-12-21 2003-02-0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r cleansing bar compositions that are efficient and are not irritating to the eyes
US6689728B2 (en) 2001-04-06 2004-02-10 The Dial Company Composite transparent bar soap containing visible soap insert(s)
US6838420B2 (en) 2002-02-28 2005-01-04 Colgate-Palmolive Company Soap composition
US20040157760A1 (en) * 2002-12-05 2004-08-12 Man Victor Fuk-Pong Solid alkaline foaming cleaning compositions with encapsulated bleaches
US20040157761A1 (en) * 2002-12-05 2004-08-12 Man Victor Fuk-Pong Encapsulated, defoaming bleaches and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20040157762A1 (en) * 2002-12-05 2004-08-12 Meinke Melissa C. Solid solvent-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KR100541440B1 (ko) * 2003-06-02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JP4578144B2 (ja) * 2004-04-27 2010-11-10 花王株式会社 石鹸組成物の製造方法
US7351682B2 (en) * 2005-03-08 2008-04-0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Mild, low soluble soap bars which have non-slimy quick rinse perception in use
ES2388116T3 (es) * 2007-04-16 2012-10-09 Unilever N.V. Bloque para limpieza de inodoros
MX2009010979A (es) * 2007-04-16 2009-10-30 Unilever Nv Bloque de limpieza de superficie dura auto-adhesiva.
US8076278B2 (en) * 2007-04-16 2011-12-13 Conopco, Inc. Self adhesive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US7867964B2 (en) * 2008-09-16 2011-01-11 Conopco, Inc. Shaped toilet bars
US20110166370A1 (en) 2010-01-12 2011-07-07 Charles Winston Saunders Scattered Branched-Chain Fatty Acids And Biological Production Thereof
JP5815750B2 (ja) 2011-02-17 2015-11-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C10〜c13アルキルフェニルスルホネートの混合物を含む組成物
EP2675784B1 (en) 2011-02-17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io-based linear alkylphenyl sulfonates
CA2832451A1 (en) 2011-04-04 2012-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me care article
MX2014001896A (es) 2011-08-15 2014-05-27 Procter & Gamble Metodos para el cuidado personal.
CN103717727A (zh) 2011-08-15 2014-04-09 宝洁公司 具有包含适形个人护理组合物的多个区域的个人护理制品
JP5878327B2 (ja) * 2011-10-12 2016-03-08 花王株式会社 手洗い用食器洗浄剤組成物
JP5875827B2 (ja) * 2011-10-12 2016-03-02 花王株式会社 手洗い用食器洗浄剤組成物
WO2013148639A1 (en) 2012-03-26 2013-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ph-switchable amine surfactants
WO2014138141A1 (en) 2013-03-05 2014-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xed sugar compositions
EP3013431B1 (en) 2013-06-27 2018-07-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articles
EP3121204A1 (en) 2015-07-23 2017-01-25 Sasol Performance Chemicals GmbH Polymeric additives for paraffin-containing fluids
BR112018000807B1 (pt) * 2015-07-29 2022-05-10 Unilever Ip Holdings B.V. Composição de limpeza, uso da composição, método para a deposição de um agente beneficiador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a composição
JP7038271B2 (ja) * 2020-07-30 2022-03-18 孝昭 小原 石鹸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2167A (en) * 1966-10-28 1971-02-09 Revlon Solid transparent detergent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206069A (en) * 1976-04-22 1980-06-03 Colgate-Palmolive Company Transparent detergent pellets
US4165293A (en) * 1977-05-16 1979-08-21 Amway Corporation Solid transparent cleanser
JPS5730798A (en) * 1980-07-30 1982-02-19 Shiseido Co Ltd Transparent soap
US4290904A (en) * 1980-12-01 1981-09-22 Neutrogena Corporation Transparent soap
DE3272256D1 (en) * 1981-04-07 1986-09-04 Mitsubishi Chem Ind Soap composition
US4474683A (en) * 1981-08-10 1984-10-02 Armour-Dial, Inc. Soap making process
US4504433A (en) * 1982-05-19 1985-03-12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eparation of soap articles containing dried shapes of soap
US4490280A (en) * 1982-09-02 1984-12-25 Colgate-Palmolive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translucent antibacterial soap
US4468338A (en) * 1983-06-13 1984-08-28 Purex Corporation Transparent soap composition
US4754874A (en) * 1987-01-28 1988-07-05 Haney Robert J Bar soap and its package
US4963284A (en) * 1987-02-26 1990-10-16 Finetex, Inc. Translucent combination soap-synthetic detergent bar
US4851147A (en) * 1987-02-26 1989-07-25 Finetex, Inc. Transparent combination soap-synthetic detergent bar
US4758370A (en) * 1987-04-30 1988-07-19 Neutrogena Corp.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ransparent soap
LU87179A1 (fr) * 1988-03-24 1989-10-26 Oreal Composition de savon transparent a base de savons d'acides gras de suif et d'eau et d'au moins un alcanediol-1,2
GB8807754D0 (en) * 1988-03-31 1988-05-05 Unilever Plc Transparent soap bars
GB8816201D0 (en) * 1988-07-07 1988-08-10 Unilever Plc Detergent bar
GB8904938D0 (en) * 1989-03-03 1989-04-12 Unilever Plc Detergent bar
US5082600A (en) * 1989-04-26 1992-01-21 Ethyl Corporation Transparent soap bar process using trialkylamine oxide dihydrate
US5340492A (en) * 1990-11-26 1994-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solid made with a rigid, interlocking mesh of neutralized carboxylic acid
US5204014A (en) * 1991-03-13 1993-04-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mild personal cleansing bar with lathering mild synthetic surfactant and magnesium soap
GB9106959D0 (en) * 1991-04-03 1991-05-22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CA2085900A1 (en) * 1991-04-26 1992-10-27 C. Eric Westbrook Method and product of calcium sulfate dihydrate as filler in polymer emulsions
JPH04328200A (ja) * 1991-04-30 1992-11-17 Jiyunsei Sangyo Kk 透明石けん
US5264144A (en) * 1991-05-30 1993-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eezer personal cleansing bar with selected fatty acid soaps for improved mildness and good lather
US5264145A (en) * 1991-06-18 1993-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freezer bar with selected fatty acid soaps and synthetic surfactant for reduced bathtub ring, improved mildness, and good lather
FR2707300B1 (fr) * 1993-07-09 1995-09-22 Oreal Composition de savon solide, transparente, à base de sels d'acides gras contenant de l'isoprènegly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633A (zh) 1997-08-20
CZ31997A3 (en) 1997-10-15
WO1996004361A1 (en) 1996-02-15
TW340871B (en) 1998-09-21
TR199500951A2 (tr) 1996-06-21
EG20691A (en) 1999-11-30
AU3200995A (en) 1996-03-04
CA2196612C (en) 2001-12-18
US5703025A (en) 1997-12-30
CA2196612A1 (en) 1996-02-15
JPH10504336A (ja) 1998-04-28
HUT78015A (hu) 1999-05-28
EP0775195A1 (en) 1997-05-28
BR9508501A (pt) 1998-11-03
MX9700842A (es) 1997-04-30
PE2797A1 (es) 199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691B1 (ko)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KR100235692B1 (ko)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
US5264144A (en) Freezer personal cleansing bar with selected fatty acid soaps for improved mildness and good lather
US6297205B1 (en) Monohydric alcohol-free transparent moisturizing bar soap
US5786311A (en) Monohydric alcohol-free process for making a transparent pour molded personal cleansing bar
CA2131307C (en) Skin ph cleansing bar
EP2154234B1 (en) Transparent solid soap
JPH10168494A (ja) 枠練り石鹸組成物
US6730643B2 (en) Detergent bar and a process for manufacture
AU2002319277A1 (en) Improved detergent bar and a process for manufacture
WO1997022684A1 (en) Pour molded personal cleansing bar
JP2010180381A (ja) 透明固形石鹸組成物の製造方法
JP3828547B2 (ja) 枠練り石鹸組成物
WO2010090354A1 (ja) 固形洗浄剤製造用増粘剤
US7427585B2 (en) Framed soap compositions
US5328629A (en) Process for producing a synthetic detergent soap base from n-acyl sarcosine
JP3463298B2 (ja) 透明固形洗浄剤
JP5711934B2 (ja) 枠練り石鹸
JP3752033B2 (ja) 固形洗浄剤組成物
JPH11172297A (ja) 固形石鹸組成物及びそれに適した製造方法
AU667733B2 (en) Improved freezer personal cleansing bar with selected fatty acid soaps for improved mildness and good lather
KR20030090015A (ko) 약산성 인체세정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NZ248471A (en) A "freezer" soap bar comprising mostly na and k soaps of: myristic, palmitic and stearic acids plus oleic and/or lauric acid and/or minor fatty acid soap; water; and optionally a lathering synthetic surfactant and a sugar
KR20240076823A (ko) 헤어 컨디셔너 조성물
JPH01308498A (ja) 透明固型洗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