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130B1 -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130B1
KR100374130B1 KR10-2000-0067399A KR20000067399A KR100374130B1 KR 100374130 B1 KR100374130 B1 KR 100374130B1 KR 20000067399 A KR20000067399 A KR 20000067399A KR 100374130 B1 KR100374130 B1 KR 10037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eg
attachment
interi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0321A (ko
Inventor
히로세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6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룸 램프나 선 바이저 홀더 등의 자동차 부품을 헤드 라이닝등의 내장재와 함께 차체측의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을 내장재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부착장치(10)는 자동차용 부품을 유지하는 장치본체(40)와, 장치본체(40)에서 연장되며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을 통해서 패널(30)의 패널구멍(31)에 부착되는 부착다리(50)를 구비한다. 장치본체(40) 또는 부착다리(50) 중 어느 일측에는 오목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42)는 기립부(23)가 끼워지는 곳이다. 기립부(23)는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의 적어도 일변을 패널(30)을 향하여 일으켜 세워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attachment for vehicle part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룸 램프나 선 바이저 홀더등의 자동차용 부품을 헤드 라이닝등의 내장재와 함께 차체측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을 내장재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헤드 라이닝등의 내장재를 차체측 패널에 부착한 후, 부품을 나사등을 사용하여 패널에 부착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부착구조에서는 부품을 나사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 공정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부품을 내장재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을 내장재와 함께 패널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장재에 기립부를 형성함으로써 약한 내장재에 대하여 부품을 강고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오목부의 걸림부에 의해서 기립부의 자유단부를 확실하게 걸어 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임시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부착다리를 장치본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캡을 부착다리에 장착함으로써 부착다리를 임시 고정상태에서 실제 고정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내장재의 사시도
도 3은 장치본체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착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부착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착장치 20 - 내장재
21 - 내장구멍 22 - 슬릿
23 - 기립부 30 - 패널
31 - 패널구멍 40 - 장치본체
41 - 램프 수납부 42 - 오목부
43 - 걸림부 44 - 해제구멍
50 - 부착다리 60 - 커버
70 - 드라이버 80 - 가동(可動)다리
90 - 고정다리 45 - 오목부
32 - 패널구멍 100 - 장치본체
110 - 부착다리 120 - 다리본체
121 - 개구부 122 - 오목부
123 - 걸림부 124 - 해제구멍
125 - 돌기부 130 - 캡
131 - 힌지부 132 - 삽입부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또한, 괄호내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부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번호도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도면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장치본체(10) 또는 부착다리(50) 중 어느 일측, 예를 들면 장치본체(4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22)를 부착다리(110)측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4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부(23)가 끼워지는 곳이다.
상기 기립부(2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의 적어도 일변을 패널(30)을 향하여 일으켜 세워서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오목부(4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4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4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부(23)의 자유단부가 걸리는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장치본체(40) 또는 부착다리(50) 중 어느 일측, 예를 들면 장치본체(4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구멍(4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해제구멍(44)은 오목부(42)내로 드라이버(70)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해제구멍(44)을 부착다리(110)측에 형성하고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부착다리{예를 들면, 가동다리(8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4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부착다리(1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본체(120)와 돌기부(125)와 캡(130)과 삽입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리본체(1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21)를 가지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된 것이다.
상기 돌기부(125)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본체(120)의 중공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캡(130)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21)를 막는것이다.
상기 삽입부(13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30)에서 연장되며, 개구부(121)를 통해서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돌기부(125)가 중공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부착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내장재의 사시도, 도 3은 장치본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부착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7은 부착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부착장치〉
각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부착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부착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룸 램프등의 자동차용 부품을 헤드 라이닝등의 내장재(20)와 함께 차체측의 루프등의 패널(30)에 부착하기 위한것이다.
또한, 부품은 룸 램프에 한정하지 않고,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선 바이저 홀더 혹은 행거 훅, 어시스트 그립, 루프 콘솔 등이어도 된다.
상기 내장재(2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한 장방형의 내장구멍(21)을 형성하고 있다. 또, 내장구멍(21)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가장자리부의 양측에 1쌍의 슬릿(22)을 각각 형성하고 있으며, 양 슬릿(22)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을 패널(30)을 향하여 상측으로 일으켜 세워서 좌우 1쌍의 기립부(23)를 형성한다.
상기 패널(3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로 관통한 2개의 패널구멍(31)을 형성한다.
부착장치(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① 장치본체(40)
② 부착다리(50)
또한, 부착장치(10)는 상기한 ①, ②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치본체(40)〉
장치본체(40)는 부품으로서의 룸 램프의 램프 하우징을 겸하고 있으며, 중공의 램프 수납부(41)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60)가 부착된다.
또한, 장치본체(40)와 부품으로서의 룸 램프를 별체의 구조로 하여도 된다.
장치본체(40)의 좌우 양측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좌우 각 기립부(23)가 각각 끼워지는 오목부(4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좌우 각 오목부(42)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기립부(23)의 각 자유단부가 각각 걸리는 걸림부(43)를 형성하고 있다.
또, 장치본체(40)의 측벽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 수납부(41)에서 오목부(42)를 향하여 관통되며, 램프 수납부(41)를 통해서 오목부(42)내로 드라이버(70)를 삽입할 수 있는 해제구멍(4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해제구멍(44)을 좌우 오목부(42)의 일측에만 형성하였으나, 좌우 양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부착다리(50)〉
부착다리(5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① 가동다리(80)
② 고정다리(90)
또한, 부착다리(50)는 상기한 ①, ②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다리(80)〉
상기 가동다리(8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40)와 별체로 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램프 수납부(41)의 바닥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가동다리(8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의 일측 패널구멍(31)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고정다리(90)〉
고정다리(9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40)의 상면에서 상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연장되며, 패널(30)의 타측 패널구멍(31)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사용방법〉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부착장치(1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장치본체(40)의 좌우 오목부(42)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좌우 기립부(23)를 각각 끼워 넣는다.
좌우 오목부(42)에 좌우 기립부(23)를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장치본체(4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에 임시로 부착된다.
이어서, 장치본체(40)의 가동다리(80)와 고정다리(90)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의 2개의 패널구멍(31)에 맞춰서 각각 삽입한다.
따라서, 장치본체(4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를 통해서 패널(30)에 고정된다.
한편, 장치본체(40)의 커버(60)를 떼어낸 후, 드라이버(70)로 해제구멍(44)을 통해서 기립부(23)를 누름으로써 걸림부(43)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장치본체(40)를 내장재(20)에서 떼어낼 수 있다.
또, 가동다리(80)를 패널(30)의 패널구멍(31)에서 빼냄으로써 장치본체(40)를 패널(30)에서 떼어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내장재(20)의 기립부(23)를 좌우 중 일측의 편측에만 형성한 점에 있다.
장치본체(40)의 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지는 오목부(45)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의 가장자리부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40)의 오목부(45)에 삽입하고, 기립부(23)를 오목부(42)에 끼워 넣음으로써, 장치본체(40)를 내장재(20)에 임시로 부착한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부착장치(10)를 선 바이저 홀더에 이용한 점에 있다.
부착장치(1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① 장치본체(100)
② 부착다리(110)
또한, 부착장치(10)는 상기한 ①, ②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치본체(100)〉
장치본체(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으로서의 선 바이저 홀더를 겸하고 있다.
또한, 장치본체(100)와 부품으로서의 선 바이저 홀더를 별체의 구조로 하여도 된다.
〈부착다리(110)〉
부착다리(11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① 다리본체(120)
② 캡(130)
또한, 부착다리(110)는 상기한 ①, ②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리본체(120)〉
다리본체(12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100)의 횡측으로 연이어져 있으며, 개구부(121)를 가지는 중공의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본체(120)를 장치본체(100)와 별체의 구조로 하여도 된다.
한편, 패널(3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본체(120)가 삽입가능한 1개의 사각형 패널구멍(32)을 형성한다.
다리본체(120)의 좌우 양측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좌우 각 기립부(23)가 각각 끼워지는 오목부(12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좌우 각 오목부(122)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기립부(23)의 각 자유단부가 각각 걸리는 걸림부(123)를 형성하고 있다.
또, 다리본체(120)의 좌우 측벽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외로 관통되며, 개구부(121)를 통해서 오목부(122)내로 드라이버(70)를 삽입할 수 있는 해제구멍(12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다리본체(120)의 전후 측벽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돌기부(12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1쌍의 돌기부(125)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본체(120)의 중공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이다.
〈캡(130)〉
캡(1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131)를 통해서 다리본체(120)의 횡측으로 연이어져 있으며, 개구부(121)를 막는 것이다.
또한, 캡(130)을 다리본체(120)와 별체의 구조로 하여도 된다.
캡(13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13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삽입부(13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여 대략 삼각형상으로 연장되며, 그 단면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32)는 개구부(121)를 통해서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돌기부(125)가 중공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사용방법〉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부착장치(1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착다리(110)의 좌우 오목부(122)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좌우 기립부(23)를 끼워 넣는다.
좌우 오목부(122)에 좌우 기립부(23)를 각각 끼워 넣음으로써, 부착다리(1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장재(20)의 내장구멍(21)에 임시로 부착된다.
이어서, 부착다리(110)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의 패널구멍(32)에 맞춰서 삽입한다.
부착다리(110)를 삽입하면, 1쌍의 돌기부(125)가 패널구멍(32)을 통과할 때에는 중공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고, 패널구멍(32)을 통과한 후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벌어짐으로써, 부착다리(110)가 패널구멍(3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때, 부착다리(110)를 패널구멍(32)에서 무리하게 빼내면, 1쌍의 돌기부(125)가 중공 내부를 향하여 재차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부착다리(110)가 패널(30)에 임시로 고정된 임시 고정상태가 된다.
이어서, 힌지부(131)를 구부려서 캡(130)의 삽입부(132)를 개구부(121)를 통해서 다리본체(120)의 중공 내부로 삽입한다.
삽입부(132)를 삽입하면, 돌기부(125)가 중공 내부로 돌출된 삽입부(132)와 맞닿게 되어 중공 내부를 향하여 휘어져 들어가지 않게 됨으로써, 부착다리(110)가 패널(30)에 실제로 고정되는 실제 고정상태가 된다.
한편, 캡(130)의 삽입부(132)를 다리본체(120)에서 빼낸 후, 드라이버(70)로 개구부(121)와 해제구멍(124)을 통해서 기립부(23)를 누름으로써 걸림부(123)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부착다리(110)를 내장재(20)에서 떼어낼 수 있다.
또, 1쌍의 돌기부(125)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손가락으로 쥠으로써, 부착다리(110)를 패널구멍(32)에서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을 내장재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을 내장재와 함께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장재에 기립부를 형성함으로써 약한 내장재에 대하여 부품을 강고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의 걸림부에 의해서 기립부의 자유단부를 확실하게 걸어 둘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임시 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착다리를 장치본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캡을 부착다리에 장착함으로써 부착다리를 임시 고정상태에서 실제 고정상태로 할 수 있다.

Claims (5)

  1. 패널구멍이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측에 위치되며 내장구멍이 형성되는 내장재와;
    자동차용 부품을 유지하는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서 연장되며 내장재의 내장구멍을 통해서 패널의 패널구멍에 부착되는 부착다리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 또는 상기 부착다리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내장재의 내장구멍의 적어도 일변을 상기 패널을 향하여 일으켜 세워서 형성한 기립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구비하되,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기립부의 자유단부가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 또는 상기 부착다리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오목부내로 드라이버를 삽입할 수 있는 해제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다리는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다리는,
    개구부를 가지는 중공의 다리본체와,
    상기 다리본체의 중공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와,
    상기 개구부를 막는 캡과,
    상기 캡에서 연장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중공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중공 내부를 향하여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부착장치.
KR10-2000-0067399A 1999-12-15 2000-11-14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KR100374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5654 1999-12-15
JP35565499A JP2001171438A (ja) 1999-12-15 1999-12-15 自動車用部品の取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321A KR20010060321A (ko) 2001-07-06
KR100374130B1 true KR100374130B1 (ko) 2003-03-03

Family

ID=1844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399A KR100374130B1 (ko) 1999-12-15 2000-11-14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71438A (ko)
KR (1) KR100374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9604C1 (de) * 2001-04-21 2002-10-31 Porsche Ag Innenausst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JP2007022518A (ja) * 2005-06-17 2007-02-01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天井材の浮上り防止構造
JP4501907B2 (ja) * 2006-08-11 2010-07-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天井モジュール
DE102009048159B4 (de) * 2009-10-02 2018-06-28 Audi Ag 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 Verkleidungsteil
KR101400985B1 (ko) * 2012-06-15 2014-05-28 주식회사 일흥 낙하가 방지되는 포터블 램프
JP6154685B2 (ja) * 2013-07-08 2017-06-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バイザーの取付構造
DE102019116206A1 (de) * 2019-06-14 2020-1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eckklappe mit mechanisch gesicherter Heck- und Seitenspoilerverbindung
ES2836211B2 (es) * 2019-12-24 2022-05-23 Seat Sa Sistema y método de unión entre componentes de un vehícu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71438A (ja) 2001-06-26
KR20010060321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5097B1 (en) Fixing clip for interior part of vehicle
JP2006151047A5 (ko)
KR100374130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JP2007147060A (ja) 部品の取付装置
KR100408190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부착장치
JP4010641B2 (ja) フットレストの取付構造
JPH10274222A (ja) 軸体操作用ハンドル
JPH0127530Y2 (ko)
KR10032163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KR100320964B1 (ko) 자동차의 가니쉬 장착용 클립
KR200197641Y1 (ko) 자동차용 보조 팔걸이
JP3829039B2 (ja) クリップ
JP2000287328A5 (ko)
KR200247551Y1 (ko) 자동차용 화장지 홀더
KR100233607B1 (ko) 센터 패시아 패널 탈장착구조
JP3591685B2 (ja) スイッチ構造
JPH0782949A (ja) 開閉リッド用のヒンジ構造
KR0139564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KR100505877B1 (ko)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KR950001959Y1 (ko) 자동차용 메모판
JP4245935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KR950004683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0120797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타 그릴 장착 구조
JPS589259Y2 (ja) 表示体用支持具
KR19990000664U (ko) 진공 청소기의 종이 필터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