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564Y1 -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564Y1
KR0139564Y1 KR2019960017831U KR19960017831U KR0139564Y1 KR 0139564 Y1 KR0139564 Y1 KR 0139564Y1 KR 2019960017831 U KR2019960017831 U KR 2019960017831U KR 19960017831 U KR19960017831 U KR 19960017831U KR 0139564 Y1 KR0139564 Y1 KR 0139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fuse box
box cov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184U (ko
Inventor
김성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7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564Y1/ko
Publication of KR980002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5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운전석의 대쉬 보드 로우 패널에 부착된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 및 정비사가 휴즈를 점검하고자 커버를 개방할 때, 적은 힘으로 휴즈박스의 커버를 개방하기 위하여, 자동차 실내에 설치한 대쉬보드 판넬의 일부에 제1고리로 결합하여 삽입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일부에 제2고리로 결합하여 삽입된 손잡이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대쉬보드 판넬의 일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홀의 하단을 형성하는 걸림턱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후면 상단 일부에 형성된 후크와, 상기 손잡이의 후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손잡이 스프링과, 상기 손잡이가 원위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의 일부에 형성된 브라킷과,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턱에서 이탈시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게 커버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계기판으로서,
(a)는 계기판 사시도.
(b)는 A-A'선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작동 상태로서,
(a)는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개방 작동시 상태 단면도.
(b)는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개방 작동후 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로서,
(a)는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의 정면도.
(b)는 A-A'선 단면도.
(c)는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로서,
(a)는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작동시 상태 단면도.
(b)는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작동후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대쉬보드 판넬 102 : 손잡이
103 : 커버 104 : 홀
105 : 걸림턱 106 : 후크
107 : 제2연결고리 108 : 손잡이 스프링
109 : 브라킷 110 : 스프링
111 : 제1연결고리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 및 정비사가 휴즈를 점검하고자 커버를 개방할 때, 간편하게 휴즈박스의 커버를 개방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는 제1도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쉬보드 판넬(1)의 일부에 연결고리(6)으로 결합된 커버(3)와 상기 커버(3)의 상단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였으며, 커버(3)의 개폐시 외력이 작용되는 손잡이(2)와, 상기 대쉬보드 판넬(7)에 형성된 걸림턱(5)과 체결되어 잠김작용을 하도록 상기 손잡이(2)의 상단 일부에 형성된 후크(4)로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휴즈박스의 커버 개폐장치는 제2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전자 및 정비사가 휴즈를 점검하기 위하여 커버(3)를 개방할 때, 손잡이(7) 하단부가 a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작용하면, 대쉬보드 로우 판넬(7)에 형성된 걸림턱(5)에 체결하여 잠금작용을 하는 후크(4)가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김상태가 풀리면서, 제2도의 (b)와 같이 상기 커버(3)을 개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는 커버와 손잡이가 일체형 방식의 탄성부재로 형성되였으므로, 커버를 개방할 때 손잡이에 큰 힘이 작용되고 특정부위 c에 굽힘과 복원형상이 반복작용하므로, 상기 특정부위 c에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의 기능 및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작은 힘으로 휴즈박스 커버를 손쉽게 개폐하고, 특정부위에 소성변형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인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는 제3도의 (a),(b),(c)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 실내에 설치한 대쉬보드 판넬(101)의 일부에 제1고리(111)로 결합하여 삽입된 커버(103)와, 상기 커버(103)의 일부에 제2고리(107)로 결합하여 삽입된 손잡이(102)로 구성되었으며, 상기 대쉬보드 판넬(101)의 일단에 형성된 홀(104)에 삽입되어 홀(104)의 하단을 형성하는 걸림턱(105)에 체결되는 손잡이(102)의 후면 상단 일부에 형성된 후크(106)와, 상기 손잡이(102)의 후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손잡이(102)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손잡이 스프링(108)과, 상기 손잡이(102)가 원위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103)의 일부에 형성된 브라킷(109)과, 상기 후크(106)가 상기 걸림턱(105)에서 이탈시 커버(103)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게 커버(103)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11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는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전자나 정비자가 휴즈상태를 점검하고자할 때 손잡이(102)의 하단부에 c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하면 후크(106)가 걸림턱(105)에서 d 방향으로 이탈되며, 제4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손잡이(102)의 하단부에서 외력을 제거하며, 손잡이 스프링(108)의 복원력에 의하여 후크(106)가 걸림턱(105)에 체결되기 전에, 커버 스프링(1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103)가 개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는 단순조작과 작은 힘으로 커버를 개방하며, 개폐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므로 특정부위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대쉬보드 판넬의 일부에 후크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일부가 걸림턱으로 형성된 홀과, 상기 홀과 걸림턱에 상기 후크가 삽입 및 체결시,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손잡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이탈되는 상기 손잡이의 정위치 유지를 위하여 커버에 형성된 브라킷과, 상기 걸림턱에서 상기 후크가 이탈시, 커버가 개방되도록 커버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커버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는 각각의 탄성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KR2019960017831U 1996-06-27 1996-06-27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KR0139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831U KR0139564Y1 (ko) 1996-06-27 1996-06-27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831U KR0139564Y1 (ko) 1996-06-27 1996-06-27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84U KR980002184U (ko) 1998-03-30
KR0139564Y1 true KR0139564Y1 (ko) 1999-05-01

Family

ID=1945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831U KR0139564Y1 (ko) 1996-06-27 1996-06-27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5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84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64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커버 개폐장치
JP2001171438A (ja) 自動車用部品の取付装置
JPH0782949A (ja) 開閉リッド用のヒンジ構造
KR100197274B1 (ko) 자동 옷걸이
KR200205049Y1 (ko) 자동차용 본넷트의 릴리이스 와이어구조
KR19990003142U (ko) 글로브박스의 록킹장치
KR0115801Y1 (ko) 차량트렁크 잠금장치의 도난방지구조
KR19990003109U (ko) 자동차용 엔진 후드 래치시스템
KR0113381Y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캡
KR0117359Y1 (ko) 도난방지용 세이프티 노브
KR0140656Y1 (ko) 자동차용 후드릴리즈 레버의 케이블 고정관
KR100320964B1 (ko) 자동차의 가니쉬 장착용 클립
JPS6321657Y2 (ko)
KR200141624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록캐치구조
KR200142395Y1 (ko) 와이어 고정 패스너
KR0117282Y1 (ko) 차량용 사이드 내측미러 작동장치
KR200143942Y1 (ko) 컨솔 마운팅 클럽
KR200159429Y1 (ko) 자동차퓨즈상자덮개
KR0160036B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외측핸들의 복귀스프링 장착구조
KR0112762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및 연료 필러 릴리스 레버 스톱퍼
KR200184775Y1 (ko) 자동차 퓨즈상자 덮개 결속장치
KR970002718Y1 (ko) 잠금용 스토퍼를 갖춘 공구박스
KR0114862Y1 (ko) 자동차의 도어 록장치
KR19980048961U (ko) 자동차 후드 및 트렁크리드 통합해제장치
KR19980042658U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걸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