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872B1 -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872B1
KR100373872B1 KR10-2000-0070155A KR20000070155A KR100373872B1 KR 100373872 B1 KR100373872 B1 KR 100373872B1 KR 20000070155 A KR20000070155 A KR 20000070155A KR 100373872 B1 KR100373872 B1 KR 10037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stud welding
welding
arc
shiel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041A (ko
Inventor
사토오시게노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피종합상사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피종합상사,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피종합상사
Publication of KR2001003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모품이 없게 되고, 용접의 신뢰성이 높고, 게다가 가공도 단순하고, 가공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크지 않은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스터드 용접건(11)의 선단부에 부착된 용접재(16)의 용접부위에 시일드 부재(13)를 장착한 상태에서, 피용접물과의 사이에 아아크를 발생시키고, 용접재(16)를 피용접물에 용접하는 본 발명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는, 시일드 부재(13)를 2개로 분리되는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을 지지부재(12)를 통해 스터드 용접건(11)에 부착하고,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을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에 힌지(20)를 통해서 개폐가능하게 부착하고, 또한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을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에 합체시킨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24)을 설치하고, 게다가 시일드 부재(13)에는 불활성 가스 공급부(42)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ARC STUD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스터드재, 핀, 볼트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아아크 스터드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종래에는 단열재 등을 지지하는 스터드 앵커(용접재의 한예)를 모재(강판)에 이식하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그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아크 스터드 용접법에는, 스터드 앵커의 선단부에 알루미늄의 볼을 부착하고, 주위를 페럴(ferrule)로 호칭되는 카바로 피복하여 용접을 행하는 방법(이하, A방법이라 한다)과, 용접부를 분리한 스터드 앵커의 주위를 카트리지로 포위하여 아아크를 발생시켜 용접을 행하는 방법(이하, B방법이라 한다)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A방법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다.
1) 스터드 앵커의 선단부에 알루미늄의 볼을 고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스터드 앵커의 단가가 고가이다.
2) 아아크 발생시 주위에 스퍼터(sputter)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럴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모품 비용이 고가로 된다.
3) 페럴의 부착이나 제거에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과 동시에, 제거된 페럴이 제품의 내부에 확산되므로, 청소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B방법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다.
1) 스터드 앵커의 용접부가 절단되어 떨어져 나가므로, 용접시 아아크의 발생이 일정하지 않고, 용접강도에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2) 용접시에 스퍼터가 주위로 크게 확산되고, 용접후 외관이 나빠진다.
3) 카트리지의 단가가 높으므로, 소모품 비용이 높게 된다.
4) 스터드 앵커를 모재에 용접한 후, 카트리지의 제거에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이므로, 소모품이 적고, 용접의 신뢰성이 높고, 게다가 시공도 간단하고, 시간과 노력이 필요없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아아크 스터드 용접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A-A라인을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의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11 : 스터드 용접건
12 : 지지부재 13 : 시일드 부재
14 : 제 1의 시일드 프레임 15 : 제 2 의 시일드 프레임
41 : 나사 42 : 불활성 가스 공급부
43 : 가스통로 44 : 커플링
45 : 호스 46 : 로드
상기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관한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는, 스터드 용접건의 선단부에 부착된 용접재의 용접부위에 시일드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피용접물(모재)과의 사이에 아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용접재를 피용접물에 용접하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부재를 2개로 분리되는 구조의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시일드 프레임을 지지부재를 통해 스터드 용접건에 부착하고, 상기 제 2 시일드 프레임을 제 1 시일드 프레임에 힌지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부착하고, 또한, 상기 제 2 시일드 프레임을 제 1 시일드 프레임에 합체시킨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게다가 상기 시일드 부재에는, 불활성 가스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페럴이나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대신에, 제 1, 제 2 시일드 프레임을 사용하고, 이것을 스터드 용접건에 부착시켜 반복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은 힌지로 연결된 2개의 분리구조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이 합체된 상태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간단히 용접재의 용접부를 피복할 수 있다. 그리고, 용접을 완료한 후에는, 2개로 분리하여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접시에는 상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의 내부에는 불활성 가스(예를들어, 아르곤 및/또는 탄산가스)를 충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접시에는 공기의 흡입이 없고, 깨끗한 용접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는, 하기와 같은 변형 실시형태가 있다.
1) 본 발명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공급부는 제 1의 시일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제 2의 발명). 제 1의 시일드 프레임은 지지부재를 통해 스터드 용접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1의 시일드 프레임에 불활성 가스공급부를 설치하므로서, 불활성 가스 공급부에 접속하는 호스(hose)나 배관 등을 고정배관으로 할 수 있게 된다.
2) 본 발명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은 내식성을 갖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내측에는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다(제 3의 발명). 이것에 의해서, 용접 금속과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이 강력히 고정 부착되지 않고, 박리성이 좋게 된다. 따라서, 용접후,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 및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절연재가 설치되어 있다(제 4의 발명). 이것에 의해서, 용접시에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이나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유동하는 용접전류를 없앨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므로서 본 발명의 보다 용이한 이해를 제공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A-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아아크스터드 용접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 도 3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10)는 스터드 용접건(11)에 지지부재(12)를 통해 고정하는 시일드 부재(13)를 갖고 있다. 이 시일드 부재(13)는 2개의 분리형 구조로 구성되어, 제 1 및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을 구비한다.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은 스테인레스 등의 내열성 및 내식성을 갖는 금속을 주재료로 하고, 도 2에 도시되듯이 이들이 조합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거의 정방형으로 되어, 중앙에 용접재의 일예인 Y형 스터드(16)가 근소한 간격을 갖고 삽입하는 환형의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듯이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의 접촉면(18,19)의 한측면(도 2에 있어서, A방향)의 외주면에는 힌지(20)가 설치되어,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 15)이 힌지핀(21)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연결되고, 폐쇄된 상태에서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에 형성된 반구의 환형상의 절개부(22,23)가 합쳐져 상기 환형의 구멍(17)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의 접촉면(18,19)의 다른 방향측면(도 2에 있어서는 B 방향)에는,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을 합체시킨 경우에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수단(24)은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의 다른 측면의 상부면에 나사(25)에 의해서 부착되고, 선단측면의 바닥부에는 사선형 돌출부(26)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27)과,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고,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돌출부(26)가 삽입 가능한 V(또는 U)자형상의 홈(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므로서,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을 폐쇄한 경우에는, 걸림편(27)의 돌출부(26)가 홈(28)속으로 삽입되고,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 15)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에는 손잡이(29)가 나사(30)에 의해 부착되고, 이 손잡이(29)의 조작에 의해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을 고정상태의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에 대해 상기 핀(21)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의 바닥부에는 1 ~ 5 mm정도의 비교적 얇은 반구형의 링형상의 절연재로 구성된 절연판(세라믹 등으로 구성됨, 31,32)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연판(31,32)을 포함하여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의 하부측면에는, 환형의 구멍(17)에 축 중심을 일체시켜 용접부를 포함하는 시일드 공간(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드 공간(33)의 직경은 환형의 구멍(17)의 직경에 비하면 110 ~ 160%정도이거나, 환형의 구멍(17)의 직경에 2 ~ 10mm를 더하는 정도로 구성된다. 또한, 이 높이는, 예를들어 환형의 구멍(17)의 직경의 10 ~ 50%, 또는 2 ~ 10mm정도로 구성된다. 그리고, 실제의 시일드 공간의 치수는 용접하려고 하는 Y형스터드(16)의 크기 또는 재질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이 시일드 공간(33)의 형상은, 실시형태에서는 원형상의 칼럼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원형상의 칼럼에 한정하지 않고, 각형상의 칼럼, 타원형상의 칼럼이라도 상관없다.
그래서, 상기 시일드 공간(33)은,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에 분할(2등분)하여 형성되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 15)이 합쳐진 상태에서 1개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드 공간(33)의 내측은, 용접 금속과 융합하기 어려운 세라믹(예를들어, 알루미나 등)에 의해 코팅되어 있다.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과 지지부재(12)는 부착판(3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직경확대부(35), 이것의 수직 아래에 있는 각형 칼럼(36), 각형 칼럼(3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나사부(37), 수나사(37)에 나선형으로 결합하는 너트(38) 및 너트(38)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절연재의 한 예인 절연판(39)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판(34)의 한 단부에는, 상기 각형 칼럼(36)에 밀착 삽입하는 각형 구멍(40)이 설치되어 있다. 각형 칼럼(36)의 높이는 부착판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되어, 부착판(34)을 각형 칼럼(36)에 장착하여도, 너트(38)로 부착판(34)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34)의 다른 단부측면은 2개의 나사(41)를 통해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20)의 핀(21)에는 스프링(40a)이 설치되며, 그 한단부는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에 고정되며, 다른 단부는 부착판(34)에 고정되며,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을 상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부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힌지(20)에는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을 소정 이상 개방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가 설치되어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이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으로부터 개방된 경우에는 소정의 위치(예를들어, 도 2의 2점 쇄선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38)를 분리하면 부착판(34)을 포함하여 시일드 부재(13) 전체를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판(34)의 각형 구멍(40)이 지지부재(12)의 각형 칼럼(36)에 밀착 삽입하여 지지부재(12)에 대하여 시일드 부재(13)가 소정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각형 칼럼(36)을 단면이 원형인 기둥형상으로 구성하고, 부착판(34)의 각형 구멍(40)을 환형구멍으로 구성하므로서 시일드 부재(13)를 지지부재(12)에 대하여 자유롭게 각도를 변화시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의 경사면 상부측면에는, 불활성 가스 공급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불활성 가스 공급부(42)가 설치되어 있지만, 1개만의 설치도 가능하다. 불활성 가스 공급부(42)는 내부에 시일드 공간(33)과 가스 통로(4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불활성 가스 공급부(42)에는 호스 니플(hose nipple) 등의 커플링(44)을 통해서 호스(또는 고정 배관, 45)의 선단부가 접속되며, 아르곤이나 탄산가스 등의 시일드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호스(45)의 기단(基端)측에는 전자 밸브가 설치되어 용접개시의 직전 및 용접 중에 시일드 공간(33)내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2)의 선단부는 스터드 용접건(1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상태는, 지지부재(12)의 로드(46)가 삽입.통과하는 로드 파지부(손잡이 부분, 도시되지 않음)를 스터드 용접건(11)에 설치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 파지부는 로드(46)를 상하 이동조절가능하게 파지(把持)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 용접건(11)은 통상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에 사용하는 용접건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이 실시형태에서는 Y형 스터드(16)의 상부를 양측으로부터 파지하여 전기를 통과시키는 통전(通電)부(47), 아아크 발생시에 Y형 스터드(16)를 조금 끌어올려 아아크를 발생시키고, 그 후 피용접물(모재)에 압축하는 상부 이동기구, 푸쉬(phsh)버튼 스위치로 구성되는 용접개시 스위치를 갖고, 다른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원, 시일드 가스(아르곤, 탄산가스) 등의 용기 및 부속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스터드 용접건(11)의 축심과, 지지부재(12)를 통하여 부착하는 시일드 부재(13)와의 축심은 원래 일치되어 있지만, 용접재의 형상에 의해서 스터드 용접건(11)의 축심과, 시일드 부재(13)와의 축심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상기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10)는 사용하는 용접재의 선단부는 원추각(θ)이 약 150도 내지 170도 정도로 가공하여 선단부에 높이가 낮은 원추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10)의 사용에 있어서는, 피용접재의 일예인 Y형스터드(16)를 스터드 용접하는 경우에는, Y형스터드(16)를 스터드 용접건(11)의 선단부에 부착한다. 이 경우, Y형스터드(16)의 상부를 통전부(47)에 의해 파지하고, Y형 스터드(16)의 하부(통전부위)는 2개로 분리된 시일드 부재(13)의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의 반원형상의 절개부(22)에 장착한다. 그리고, 손잡이(29)를 조작하여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을 제 1의 시일드 프레임(14)에 합체시킨다. 이때, 유지수단(24)을 구성하는 걸림편(27)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6)가 홈(28)속으로 삽입하므로,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은 합병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터드 용접건(11)에 장착된 Y형스터드(16)의 선단부를 피용접물(모재)에 압압하여 접촉시켜 용접개시 스위치를 누른다. 용접개시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우선 호스(45)의 기단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밸브가 개방되고, 불활성 가스가 시일드 공간(33)에 충진된다. 이것에 의해 Y형 스터드(16)의 선단부에 형성된 원추부의 주변에 불활성 가스가 충진된다.
상기 가스를 2 ~ 4초 정도 흐르게 한후, 용접전원으로부터 스터드 용접건(11)에 전류를 공급하여 아아크를 발생한다. 아아크가 발생하면, Y형 스터드(16)는 그 위치를 유지하든가, 미소한 범위로 상승하여 아아크 발생을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불활성 가스는 공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1 ~ 4초 정도의 아아크에 의해서 Y형 스터드(16)의 선단부 및 피용접물의 접촉부 부분이 용융하므로, 바로 Y형 스터드(16)를 피용접물에 압압하여 부착하고, 이것에 의해서 용접이 완료된다. 이 경우, Y형 스터드(16) 및 피용접물의 용융부는 불활성 가스로 시일드 되어 있으므로, 산화물이나 질화물이 작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접합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용접시에 발생하는 스퍼터 등은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에 의해서 확산이 상당히 저지되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에 의해서 형성되는 시일드 공간(33)내에서 그 형상이 결정된다. 시일드 부재(13)의 내부, 즉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4,15)에 의해서 형성되는 시일드 공간(33)의 내벽에는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용접금속의 부착이 작게 되고, 임시로 부착하여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스터드 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제 2의 시일드 프레임(15)을 개방하므로서, 이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10)로부터 용접된 Y형 스터드(16)를 분리할 수 있다. 이 시일드 부재(13)는 반복하여 사용하게 된다.
Y형 스터드(16)를 직경 등이 다른 용접재로 바꾸는 경우에는, 부착판(34)을 지지부재(12)로부터 분리하여 시일드 부재(13) 전체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치수를 기재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치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불활성 가스 공급부는 2개이지만, 1개라도 상관없다.
청구항1 ∼ 청구항4에 기재된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는, 시일드 부재를 2개로 분리된 구조의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제 1의 시일드 프레임을 지지부재를 통해 스터드 용접건에 부착하고,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을 제 1의 시일드 프레임에 힌지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부착한다. 또한, 상기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을 제 1의 시일드 프레임에 합체시킨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므로서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1) 용접재의 선단부에 알루미늄의 호스 등을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접재가 저렴하게 되고, 가공이 단순하게 된다.
2)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페럴이나 카트리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본 발명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시일드 부재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모품이 적게되어 저렴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3)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페럴이나 카트리지를 용접부분으로부터 제거하고, 이 부분을 청소할 필요가 없게 된다.
특히, 청구항2에 기재된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는, 불활성 가스 공급부는 제 1 시일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의 시일드부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청구항3에 기재된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는,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은 내식성을 갖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내측에는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용접 금속의 부착이 적게 된다. 그래서 수명이 길게되고, 용접의 신뢰성이 높게 된다.
그리고, 청구항4의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는,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 및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절연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접시의 전류가 분리되지 않고, 용접전류를 보다 유효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스터드 용접건의 선단부에 부착된 용접재의 용접부위에 시일드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피용접물과의 사이에 아아크를 발생시켜, 상기 용접재를 피용접물에 용접하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부재를 2개로 분리되는 구조의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시일드 프레임을 지지부재를 통해 스터드 용접건에 부착하고, 상기 제 2 시일드 프레임을 제 1 시일드 프레임에 힌지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제 2 시일드 프레임을 제 1 시일드 프레임에 합체시킨 경우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설치하고,
    게다가 상기 시일드 부재에는, 불활성 가스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 공급부는 제 1의 시일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은 내식성을 갖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내측에는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 및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절연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시일드 프레임 및 지지부재의 하부에는 절연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KR10-2000-0070155A 1999-11-24 2000-11-24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KR100373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931 1999-11-24
JP33393199A JP2001150139A (ja) 1999-11-25 1999-11-25 アークスタッド溶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41A KR20010035041A (ko) 2001-05-07
KR100373872B1 true KR100373872B1 (ko) 2003-03-03

Family

ID=1827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155A KR100373872B1 (ko) 1999-11-24 2000-11-24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50139A (ko)
KR (1) KR100373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3022B2 (en) 2006-11-30 2014-08-12 Newfrey Llc Welding head
DE102006058180A1 (de) * 2006-11-30 2008-06-05 Newfrey Llc, Newark Schweißkopf
FR2923739A1 (fr) * 2007-11-16 2009-05-22 Valeo Systemes De Liaison Sa Piece a souder et procede de soudure a etancheite amelioree
WO2010018778A1 (ja) * 2008-08-13 2010-02-18 ミヤチテクノス株式会社 アーク溶接用トーチ
CN102856599B (zh) * 2012-04-19 2014-11-12 浙江天能电池江苏新能源有限公司 铸焊电池尾部极柱维修侧焊装置
CN103208658B (zh) * 2013-04-19 2015-06-17 浙江天能电池(江苏)有限公司 一种蓄电池极柱修复装置
CA3195370A1 (en) 2014-08-13 2016-02-13 Silicon Holding B.V. An anchoring assembly for anchoring a liner of a cured lining materi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6081A (en) * 1980-03-08 1981-10-02 Nippon Doraibuitsuto Kk Method and device for stud welding
JPS60174280A (ja) * 1984-02-17 1985-09-07 Nippon Doraibuitsuto Kk ア−クスタツド溶接用不活性ガスシ−ルド装置
JPS60174279A (ja) * 1984-02-17 1985-09-07 Nippon Doraibuitsuto Kk ア−クスタツド溶接用不活性ガスシ−ルド装置
JPS60174281A (ja) * 1984-02-17 1985-09-07 Nippon Doraibuitsuto Kk ア−クスタツド溶接用不活性ガス供給制御装置
JPS6475181A (en) * 1987-09-18 1989-03-20 Toyota Motor Corp Gas shielding method for stud weld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6081A (en) * 1980-03-08 1981-10-02 Nippon Doraibuitsuto Kk Method and device for stud welding
JPS60174280A (ja) * 1984-02-17 1985-09-07 Nippon Doraibuitsuto Kk ア−クスタツド溶接用不活性ガスシ−ルド装置
JPS60174279A (ja) * 1984-02-17 1985-09-07 Nippon Doraibuitsuto Kk ア−クスタツド溶接用不活性ガスシ−ルド装置
JPS60174281A (ja) * 1984-02-17 1985-09-07 Nippon Doraibuitsuto Kk ア−クスタツド溶接用不活性ガス供給制御装置
JPS6475181A (en) * 1987-09-18 1989-03-20 Toyota Motor Corp Gas shielding method for stud we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50139A (ja) 2001-06-05
KR20010035041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872B1 (ko) 아아크 스터드 용접장치
EP0872300A1 (en) Torch for working
CA2754830C (en)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US6768082B2 (en) Parts welding device
EP1187703B1 (fr) Outil de centrage et de serrage
JP2006281278A (ja) 抵抗溶接法
EP0500410B1 (fr) Pince à souder par points
JP2000150263A (ja) 負荷タップ選択器用の接触子
KR101706062B1 (ko) 탄소봉이 구비된 스팩터방지 가스용접컨택트팁
KR20170096464A (ko) 진공인터럽터 정렬용 지그
US3735085A (en) Cutting and gouging torch
KR20210146480A (ko) 스터드 건
JPH0335497Y2 (ko)
JP7364897B2 (ja) スタッド溶接方法およびスパッタ付着防止用治具
JP2668771B2 (ja) スポット溶接機
JPH08309541A (ja) スタッド溶接治具
KR102581715B1 (ko) 가스 퍼지 캡
US20020117479A1 (en) Techniques for resistance welding attachments to small pressure vessels
KR101931267B1 (ko) 용접 토치
JPS61169180A (ja) スポツト溶接装置
JP2000210773A (ja) 溶接スパッタ付着防止装置
JP2001105142A (ja) スタッド溶接による部材接合方法
JP2002250445A (ja) Icf用センターリング付きoリング
FR2801001A1 (fr)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de d'immobilisation d'un conduit secondaire destine a etre fixe intimement a un conduit principal
JPH10223396A (ja) プラズマトー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