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290B1 -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290B1
KR100373290B1 KR10-2000-0048044A KR20000048044A KR100373290B1 KR 100373290 B1 KR100373290 B1 KR 100373290B1 KR 20000048044 A KR20000048044 A KR 20000048044A KR 100373290 B1 KR100373290 B1 KR 10037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flexible hose
pipe
clip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863A (ko
Inventor
이재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2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호스(1)에 피팅(2)이 구비되고, 파이프(3)에 플레어너트(4)가 구비되어, 이 피팅(2)과 상기 플레어너트(4)가 나사체결됨으로써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가 연결되되, 플레어너트(4)에 클립(5)이 용접되어 있어 나사체결작업만 이루어지면 클립(5)은 자연히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팅(2)의 헤드(2b)가 육각으로 형성되어 메인브라켓(6)에 형성된 육각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연결된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가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피팅(2)의 플랜지(2c)가 메인브라켓(6)에 걸리고 클립(5)이 플레어너트(4)를 메인브라켓(6)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연결상태의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가 유체의 흐름방향인 전후방향으로도 유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5)의 별도체결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의 연결 및 분리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종래 피팅(2)의 회전방지를 위해 사용되던 홀더가 적용되지 않게 되었으며, 피팅(2)의 형상이 단순해지고, 클립(5)이 일체화됨으로써 부품수 감소, 피팅(2)제작을 위한 금형설계,제작비용의 절약, 클립(5)의 개별적 관리시 소요되던 물류비용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a fitting structure of flexible hose and pip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 및 분리작업이 간편해지고, 부품수의 저감으로 인해 중량이 감소하며 소요비용이 줄어들도록 된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오일 등의 유체는 주로 금속제의 파이프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유체의 이동경로는 해당 장치의 형상과 주변장치들의 배치상태에 영향을 받아 항상 직선을 유지할 수는 없으므로 파이프에 플렉시블호스를 연결하여 적절히 유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였는바, 즉 플렉시블호스(11)의 단부에 피팅(12)을 설치하고, 파이프(13)의 단부에 플레어너트(14)를 설치하여, 상기 피팅(12)을 차체에 용접된 메인브라켓(16)에 고정한 뒤, 피팅(12)에 상기 플레어너트(14)를 나사체결하고, 클립(15)을 끼워 넣어 플렉시블호스(11)와 파이프(13)를 연결고정하였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팅(12)은 대략 원통형의 바디(12a) 단부에 암나사(12b′)가 형성된 헤드(12b)가 형성되고, 이 헤드(12b)와 상기 바디(12a)의 사이에 외측으로 돌출된 육각의 플랜지(12c)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12b)의 플랜지(12c)측 부위에는 홈(12d)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어너트(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너트형의 바디(14a)에 원통형의 헤드(14b)가 형성되고, 이 헤드(14b)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4b′)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호스(11)와 파이프(13)의 연결부위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몸체나 차체 패널상에 메인브라켓(16)을 용접고정하고, 이 메인브라켓(16)의 상부에 사각판재형의 홀더(17)를 용접부착하였다.
여기서, 상기 메인브라켓(16)과 홀더(17)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홀더(17)에는 상기 피팅(12)의 육각 플랜지(12c)가 꼭 맞게 끼워지는 육각형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브라켓(16)에는 피팅(12)의 헤드(12b)만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2c)가 통과되지 못하고 걸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호스(11)가 연결된 피팅(12)을 홀더(17) 및 메인브라켓(16)의 구멍에 끼우고, 피팅(12)의 헤드(12b)에 파이프(13)의 단부에 구비된 플레어너트(14)의 헤드(14b)를 나사체결(14b′→12b′)하며, 탄성판재가 소정형상으로 굴곡성형된 클립(15)을 상기 피팅(12) 헤드(12b)의 홈(12d)에 끼우면 플렉시블호스(11)와 파이프(13)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팅(12)의 육각 플랜지(12c)가 홀더(17)의 육각 구멍에 맞춤끼움되어 있으므로 상호 연결된 상태의 플렉시블호스(11)와 파이프(13)가 회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고, 플랜지(12c)가 메인브라켓(16)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클립(15)이 피팅(12)의 헤드(12b)를 메인브라켓(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면에서 오른쪽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연결상태의 플렉시블호스(11)와 파이프(13)에 유로의 전후방향 즉, 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유동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상호 나사체결되는 피팅(12)과 플레어너트(14)를 사용하여 플렉시블호스(12)와 파이프(13)를 연결하고, 또 이 연결부를 메인브라켓(16)과 홀더(17) 및 클립(15)으로써 해당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로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플렉시블호스(11)와 파이프(13)를 상호 연결하거나 해제할 때 피팅(12)에 플레어너트(14)를 나사체결하거나 해제하는 작업 외에도 클립(15)을 끼워넣거나 빼내는 작업이 있어서 작업공수가 많았고, 더욱이 상기 클립(15)을 삽입 또는 탈거하는데는 고무망치나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플렉시블호스(11)와 파이프(13)의 연결부가 고정될 위치가 협소한 공간에 있게 되면 공구의 사용이 곤란하여 작업이 상당히 더디고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팅(12)의 플랜지(12c)가 육각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헤드(12b)에 홈(12d)이 형성되는 등, 피팅(12)의 형상이 복잡하여 금형설계 및 제작에 비용이 많이 들었다.
그리고, 메인브라켓(16)에 홀더(17)를 추가로 용접하여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조립체의 중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클립(15)는 별도의 독립적인 부품이므로 관리 및 물류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를 연결 또는 분리할 때 피팅과 플레어너트를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작업 외에 클립을 끼워넣거나 빼내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연결 및 분리작업이 매우 단순용이해지고, 피팅의 형상이 단순해져서 금형설계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홀더가 적용되지 않게 되어 부품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중량이 저감되며, 또한 클립이 독립부품으로 사용되지 않게 됨으로써 관리 및 물류비용이 절약되도록 된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서 플렉시블호스 측의 정면도와 우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서 파이프 측의 정면도와 좌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는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서 플렉시블호스 측의 정면도와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서 파이프 측의 정면도와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는 조립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렉시블호스, 2 : 피팅,
2a : 바디, 2b : 헤드,
2b′ : 암나사, 2c : 플랜지,
3 : 파이프, 4 : 플레어너트,
4a : 바디, 4b : 헤드,
4b′ : 수나사, 5 : 클립,
5a : 용접부, 5b : 탄성편,
6 : 메인브라켓.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호스에 연결된 피팅의 헤드가 육각으로 형성되어 이 헤드가 메인브라켓에 형성된 육각의 구멍에 끼워지고, 파이프에 연결된 플레어너트의 헤드에 클립이 용접되어 있어서 상기 피팅에플레어너트를 나사체결하였을 때 클립이 플레어너트의 헤드를 메인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별도의 클립조립작업이 필요없으며, 홀더가 사용되지 않고, 피팅의 형상이 단순화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플렉시블호스측과 파이프측 및 상호 연결된 조립상태를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시블호스측 구조는 플렉시블호스(1)의 단부에 피팅(2)이 구비되되, 이 피팅(2)은 원통형의 바디(2a)에 육각형의 헤드(2b)가 형성되고 이 헤드(2b)와 상기 바디(2a)의 사이에는 원형의 단순한 플랜지(2c)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2b)에는 암나사(2b′)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이프측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3)의 단부에 플레어너트(4)가 구비되고, 이 플레어너트(4)는 육각너트형의 바디(4a)에 원형의 헤드(4b)가 형성되며 이 헤드(4b)의 외주면에 수나사(4b′)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바디(4a)에 클립(5)이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클립(5)은 하나의 직사각금속판재로 형성된 것이며, 평평한 용접부(5a)의 양단이 헤드(4b)쪽으로 절곡되어 두 탄성편(5b)이 형성되며, 이 탄성편(5b)의 단부는 둥글게 굴곡성형되어 있다.
한편,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의 연결지점에 해당되는 장치의 몸체 표면이나 차체 패널상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의 메인브라켓(6)이 용접되는데, 이 메인브라켓(6)에는 상기 피팅(2)의 육각 헤드(2b)가 맞추어 끼워지는 육각형의 구멍이 형성되되, 이 구멍은 플랜지(2c)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플랜지(2c)가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브라켓(6)의 육각 구멍에 피팅(2)의 헤드(2b)를 정확히 끼우고, 이 피팅(2) 헤드(2b)에 플레어너트(4)의 헤드(4b)를 나사체결(4b′→2b′)하면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팅(2)의 헤드(2b)가 메인브라켓(6)의 구멍에 끼워져 회전되지 않으므로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로 이루어진 유로가 회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피팅(2)의 플랜지(2c)가 메인브라켓(6)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플레어너트(4)를 클립(5)이 메인브라켓(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줌(피팅과 플레어너트를 나사체결하게 되면 클립의 두 탄성편(5a)이 메인브라켓(6)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벌어지게 되어 상기 방향으로 반탄력이 작용하게 된다.)으로써 연결된 상태의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는 유체흐름의 전후방향으로도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와 동일하게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를 연결하고 이들의 회전방향 및 전후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클립(5)이 플레어너트(4)에 일체화되어 있어 피팅(2)과 플레어너트(4)의 나사체결작업만으로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또한 클립(5)을 끼우거나 빼내기 위해 고무망치,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사용할 일이없으므로 협소한 곳에 연결부가 위치하게 되어도 작업이 곤란하지 않게 된다.
또한, 피팅(2)에 클립 체결을 위한 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피팅(2)의 형상이 단순해져 초기의 금형설계 및 제작비용이 줄어들며, 홀더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줄고 이에 따른 작업공정과 구조물의 중량도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5)은 플레어너트(4)에 일체화되어 동시에 관리되므로 부품의 관리와 물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품수가 줄어들며, 클립이 일체화됨으로써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를 연결 및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작업시 별도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중량이 감소되고, 금형비용 및 부품의 관리와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렉시블호스(1)에 바디(2a), 플랜지(2c), 헤드(2b)로 이루어진 피팅(2)이 구비되고, 파이프(3)에는 바디(4a), 헤드(4b)로 이루어진 플레어너트(4)가 구비되어 상기 피팅(2)과 플레어너트(4)가 나사체결(2b′,4b′)됨으로써 플렉시블호스(1)와 파이프(3)가 상호 연결되고, 이 연결부위는 해당장치의 몸체 또는 해당위치의 차체 패널상에 고정된 메인브라켓(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팅(2)의 헤드(2b)가 육각으로 형성되고 메인브라켓(6)에 육각의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에 상기 피팅(2)의 헤드(2b)가 끼워지며, 상기 플레어너트(4)의 헤드(4a)에는 피팅(2)과 플레어너트(4)를 나사체결하였을 때 메인브라켓(6)에 탄성접촉되는 두 탄성편(5b)를 갖춘 클립(5)이 용접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KR10-2000-0048044A 2000-08-19 2000-08-19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KR10037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044A KR100373290B1 (ko) 2000-08-19 2000-08-19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044A KR100373290B1 (ko) 2000-08-19 2000-08-19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863A KR20020014863A (ko) 2002-02-27
KR100373290B1 true KR100373290B1 (ko) 2003-02-25

Family

ID=1968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044A KR100373290B1 (ko) 2000-08-19 2000-08-19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902B1 (ko) * 2010-08-30 2011-02-01 이종후 예초기용 지지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6227U (ko) * 1977-05-13 1978-12-07
JPS5468223U (ko) * 1977-10-25 1979-05-15
JPS6166295U (ko) * 1984-10-08 1986-05-07
US5222768A (en) * 1992-07-31 1993-06-29 Micron Technology, Inc. Fluid line nut locking device
JPH07103222A (ja) * 1993-09-24 1995-04-18 Bai Corp 回転止めロック装置
JPH07239057A (ja) * 1994-02-18 1995-09-12 Dana Corp 継手アセンブリ
JPH0814448A (ja) * 1994-06-24 1996-01-16 Nichirin:Kk ホース金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6227U (ko) * 1977-05-13 1978-12-07
JPS5468223U (ko) * 1977-10-25 1979-05-15
JPS6166295U (ko) * 1984-10-08 1986-05-07
US5222768A (en) * 1992-07-31 1993-06-29 Micron Technology, Inc. Fluid line nut locking device
JPH07103222A (ja) * 1993-09-24 1995-04-18 Bai Corp 回転止めロック装置
JPH07239057A (ja) * 1994-02-18 1995-09-12 Dana Corp 継手アセンブリ
JPH0814448A (ja) * 1994-06-24 1996-01-16 Nichirin:Kk ホース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863A (ko)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21089A (en) Expansion type adapter for use with a conduit adapted to deliver fluid under pressure
US3973789A (en) Coupling structure
JP2530220Y2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653480A (en) Pipe coupling
EP2759748A1 (en) Fluid device unit
US6250524B1 (en) Spare-tire fastening structure
JPH08109978A (ja) 配管/ケーブル用ブラケット
US10422435B2 (en) Diaphragm valve
KR100373290B1 (ko)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US6871401B1 (en) Tool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corporation stop and method for use thereof
CN213018176U (zh) 一种防拆连接件及防拆连接件组件
JP2002354637A (ja) 配線・配管材の固定具
EP2181283B1 (en) Push-in adaptor
JP2007138980A (ja) 管継手
KR200242197Y1 (ko) 파이프 연결구
JP3125287U (ja) 流量調節装置
CN111590496A (zh) 一种安装在螺丝刀上的螺丝钉夹紧装置
JP2965511B2 (ja) 管継手
US9216498B2 (en) Tube clamp detaching tool
KR102617066B1 (ko) 연결기 및 그 분리 도구
KR100324547B1 (ko) 퀵타입 커플링
KR100321614B1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
JP2002357295A (ja) 管継手
JPH116514A (ja) ナット仮止め構造
JP4256450B1 (ja) グロメット取付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