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902B1 - 예초기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902B1
KR101011902B1 KR1020100084272A KR20100084272A KR101011902B1 KR 101011902 B1 KR101011902 B1 KR 101011902B1 KR 1020100084272 A KR1020100084272 A KR 1020100084272A KR 20100084272 A KR20100084272 A KR 20100084272A KR 101011902 B1 KR101011902 B1 KR 10101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coupled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후
Original Assignee
이종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후 filed Critical 이종후
Priority to KR102010008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초기의 회전 커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을 장착하고, 지지 유닛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시 전후 방향 작업 또는 좌우 방향 작업 등 다양한 방향으로의 예초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구조를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를 통해 지지 유닛이 특정 배치 상태로 회전 구속되도록 탄성 고정함으로써, 지지 유닛의 의도되지 않은 방향 전환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조작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더욱 안정적인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지지 유닛의 배치 상태, 높이 및 폭을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조절하여 예초기의 활용 범위를 다양한 작업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지지 장치{Support Device for Weed Cutter}
본 발명은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초기의 회전 커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을 장착하고, 지지 유닛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시 전후 방향 작업 또는 좌우 방향 작업 등 다양한 방향으로의 예초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구조를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를 통해 지지 유닛이 특정 배치 상태로 회전 구속되도록 탄성 고정함으로써, 지지 유닛의 의도되지 않은 방향 전환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조작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더욱 안정적인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지지 유닛의 배치 상태, 높이 및 폭을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조절하여 예초기의 활용 범위를 다양한 작업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경작지에서 콩, 깨, 벼, 옥수수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거나 풀을 베는 작업 또는 정원, 묘역 등의 잔디를 베는 작업 등을 위해 낫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작업하였으나, 이러한 낫을 이용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최근에는 엔진 또는 모터를 이용한 휴대용 예초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예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예초기(1)는 모터 또는 엔진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등에 메고 이동하는 동력부(2)와, 동력부(2)의 동력이 전달되어 지면 상의 잔디나 풀을 자를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커터부(4)와, 회전 커터부(4)와 동력부(2)를 연결하는 일정한 직경의 작업 지지봉(3)으로 이루어지며, 회전 커터부(4)에는 회전 반경이 각기 다른 여러 종류의 회전 커터(5)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은 예초기(1)의 동력부(2)를 사용자의 등에 멘 후 작업 지지봉(3)을 두손으로 잡고 작업을 하되, 작업 지지봉(3)의 선단에 부착된 회전 커터(5)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한 채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시 회전 커터부(4) 및 작업 지지봉(3)의 무게 및 동력부(2)에 의한 작업 지지봉(3)의 진동 등의 영향으로 숙련된 작업자도 회전 커터(5)를 지면과 수평 상태로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에 따라 예초 작업시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 도중 회전 커터가 지면을 치게 되는 경우 회전 커터의 칼날이 부러지거나 지면의 돌 등이 비산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피로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예초기를 통해 비숙련자가 정원 등의 잔디를 손질하는 경우, 예초되는 잔디의 높이가 균일하지 못하여 오히려 미관을 해치게 되고, 따라서 일정한 높이로 잔디를 깍기 위해서는 별도의 잔디 깎는 기계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예초기는 소규모 경작지에서 수확을 목적으로 콩, 깨, 벼, 옥수수 등의 농작물을 베는 경우, 베어진 농작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눕혀지지 않고 사방으로 흩어져 농작물 수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으며, 아울러 풀을 베는 경우에도 베어진 풀이 사방으로 흩어지며 회전 커터의 회전 부위에 끼이게 되어 회전 커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예초기의 고장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들을 일부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회전 커터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예초기의 작업 지지봉 등에 결합되는데, 작업 도중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예초기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매우 단단한 고정 방법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예초기용 지지 장치를 예초기에 한번 장착하게 되면, 이후 예초기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려워 계속 지지 장치를 장착한 상태로 예초기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특정 작업 환경에서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의해 예초 작업이 더 불편하거나 심지어는 불가능할 수도 있으므로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예초기의 편리한 기능이 상당 부분 제한될 뿐만 아니라 아울러 예초기의 무게 및 부피가 증가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작업하는 경우에만 예초기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예초기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예초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예초기용 지지 장치가 불편함을 야기시키며, 예초기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초기의 회전 커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을 장착하고, 지지 유닛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시 전후 방향 작업 또는 좌우 방향 작업 등 다양한 방향으로의 예초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구조를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를 통해 지지 유닛이 특정 배치 상태로 회전 구속되도록 탄성 고정함으로써, 지지 유닛의 의도되지 않은 방향 전환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조작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더욱 안정적인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 유닛의 배치 상태, 높이 및 폭을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초기의 활용 범위를 다양한 작업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가이드 유닛을 장착하여 예초기의 회전 커터를 보호하고 예초 작업시 특정 수목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수확을 용이하게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초기의 작업 지지봉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커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지봉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 상기 고정 유닛에 결합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커터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회전 커터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의 배치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 유닛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 구간에서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유닛에 결합되고, 설정값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 위치에서 회전 구속되도록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에 의해 탄성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링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유닛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 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유닛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연결 유닛과의 결합 위치가 이동하며 상기 연결 유닛이 상기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 위치로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 유닛에 서로 다른 방향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작업 지지봉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이 상기 작업 지지봉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을 탄성 가압하는 제 1 큐알 레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큐알 레버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의 일측단부를 동시에 관통하며 외주면 일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1 로드 볼트;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 1 고정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너트;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타단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제 2 고정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블록; 및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제 1 작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블록은 상기 제 1 작동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에는 상기 회전 커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에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의 전방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시키는 제 2 큐알 레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큐알 레버 모듈은 상기 지지 유닛이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촉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을 동시에 관통하며 외주면 일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2 로드 볼트;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연결 브래킷에 삽입된 지지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너트;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타단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연결 브래킷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제 2 작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너트는 상기 제 2 작동 레버의 일방향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고정 블록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로드 볼트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지지 유닛을 상기 연결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높이 조절홀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 유닛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로드 볼트는 상기 높이 조절홀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 조절홀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 2 큐알 레버 모듈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 2 큐알 레버 모듈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 및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2개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초기의 회전 커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을 장착하고, 지지 유닛의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시 전후 방향 작업 또는 좌우 방향 작업 등 다양한 방향으로의 예초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구조를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를 통해 지지 유닛이 특정 배치 상태로 회전 구속되도록 탄성 고정함으로써, 지지 유닛의 의도되지 않은 방향 전환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 유닛의 방향 전환 조작시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더욱 안정적인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 유닛의 배치 상태, 높이 및 폭을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초기의 활용 범위를 다양한 작업 환경으로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가이드 유닛을 장착하여 예초기의 회전 커터를 보호하고 예초 작업시 특정 수목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수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예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고정 유닛과 작업 지지봉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연결 유닛에 대한 구성 및 지지 유닛에 대한 높이 조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가이드 유닛에 대한 방향 전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가이드 유닛에 대한 길이 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연결 유닛에 대한 구성 및 지지 유닛에 대한 높이 조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고정 유닛과 작업 지지봉과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예초기의 작업 지지봉(3)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100)과, 고정 유닛(100)에 결합되는 연결 유닛(200)과, 연결 유닛(200)에 결합되어 하단이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결 유닛(200)은 지지 유닛(300)의 배치 방향이 조절되도록 고정 유닛(100)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고정 유닛(100)은 예초기용 지지 장치 전체를 작업 지지봉(3)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 작업 지지봉(3)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지지봉(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고정 유닛(100)은 별도의 공구 없이 작업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작업 지지봉(3)에 탈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 유닛(300)은 고정 유닛(100)에 연결 결합되며, 회전 커터(5)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고정 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유닛(300)의 하단부가 회전 커터(5)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유닛(300)에 의해 예초기 사용자는 예초 작업시에 회전 커터(5)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작업 지지봉(3)을 일정 간격 들어올릴 필요 없이 지지 유닛(300)을 통해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예초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연결 유닛(200)은 고정 유닛(100)과 지지 유닛(300)을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연결 유닛(200)의 일측이 고정 유닛(100)에 결합되고 연결 유닛(200)의 타측에 지지 유닛(300)이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 유닛(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 유닛(300)의 배치 방향이 조절되도록 고정 유닛(100)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200)이 고정 유닛(100)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결 유닛(200)에 결합된 지지 유닛(300)의 배치 방향이 직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지지 유닛(300)의 배치 방향 전환은 예초 작업시 전후 방향 작업 또는 좌우 방향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예초기를 이용한 예초 작업시 전후 방향 작업 또는 좌우 방향 작업 등 예초 작업 과정에서 용이하게 지지 유닛(30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예초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200)은 고정 유닛(100)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 구간에서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 유닛(100)에 결합되고, 설정값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 위치에서 회전 구속되도록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E)에 의해 탄성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200)이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상태인 제 1 각도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인 제 2 각도 사이 구간을 왕복회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유닛(200)의 회전축(212)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 유닛(300)은 연결 유닛(200)의 회전 상태에 따라 그 배치 상태가 지면상에서 동일한 회전 각도만큼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 유닛(200)은 탄성 링크 부재(E)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 상태에서 회전 구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 유닛(200)이 자유 자재로 회전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경우에만 회전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링크 부재(E)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고정 유닛(10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결 유닛(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탄성 링크 부재(E)는 연결 유닛(200)의 회전 상태에 따라 연결 유닛(200)과의 결합 위치가 이동하며 연결 유닛(200)이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 위치로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연결 유닛(200)에 서로 다른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고정 유닛(100)과 연결 유닛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고정 유닛(100)은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초기의 작업 지지봉(3)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판(110,120)과, 제 1 및 제 2 고정판(110,120)을 탄성 가압하여 작업 지지봉(3)에 결합시키는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고정판(110)과 제 2 고정판(120)은 작업 지지봉(3)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작업 지지봉(3)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 1 고정판(110)에는 작업 지지봉(3)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고정판(120)에는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유닛(100)의 작업 지지봉(3)과의 결합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판(110)에 대해 제 2 고정판(120)이 작업 지지봉(3)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판(1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작업 지지봉(3)을 제 1 고정판(110)의 안착부(111)에 삽입한 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판(120)을 다시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에 의해 결합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을 조작하여 제 1 고정판(110)과 제 2 고정판(120)을 상하 양측에서 가압하여 제 1 및 제 2 고정판(110,120)이 작업 지지봉(3)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고정 유닛(100)과 작업 지지봉(3)이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은 제 1 고정판(110) 및 제 2 고정판(120)을 탄성 가압하여 고정 유닛(100)을 작업 지지봉(3)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시키거나 또는 고정 유닛(100)을 탄성 가압 해제하여 작업 지지봉(3)의 외주면으로부터 밀착 결합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은 지렛대 운동을 통해 작동하는 큐알 레버(Quick Release) 방식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사용자의 단순 조작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 유닛(100)은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을 통해 작업 지지봉(3)에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사용자의 단순 조작을 통해 예초기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예초 작업시 작업 환경에 따라 지지 장치를 예초기로부터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다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예초기의 활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장치를 예초기로부터 신속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예초기의 운반 및 보관 또한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은 회전축(150)의 맞은편에 장착되어 제 1 고정판(110)과 제 2 고정판(120)을 상하 가압하는 방향으로 체결력을 발생시키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고정판(110,120)의 일측단부를 동시에 관통하며 외주면 일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1 로드 볼트(141)와, 제 1 로드 볼트(141)의 수나사산이 형성된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고정 너트(142)와, 제 1 로드 볼트(141)의 타단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 1 고정 블록(143)과, 제 1 로드 볼트(141)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제 1 작동축(14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가 제 1 로드 볼트(14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작동 레버(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1 고정 너트(142)는 제 1 고정판(110)의 외측, 즉 제 1 고정판(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 1 고정 블록(143)은 제 2 고정판(120)의 외측, 즉 제 2 고정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 고정 블록(143)은 제 1 작동 레버(144)의 회동에 연동하여 제 1 로드 볼트(14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작동 레버(144)가 제 1 작동축(145)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제 1 고정 블록(143)이 직선 이동하게 되므로, 제 1 고정 블록(143)과 제 1 고정 너트(142)의 상대 거리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고정 블록(143)과 제 1 고정 너트(14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고정판(110)과 제 2 고정판(120)은 상대적으로 더욱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동작 원리에 따라 제 1 고정판(110)과 제 2 고정판(120)은 작업 지지봉(3)을 향해 탄성 가압되며 작업 지지봉(3)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된다. 반대로, 제 1 작동 레버(14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고정 블록(143)이 반대로 이동하여 제 1 고정판(110)과 제 2 고정판(120)에 대한 탄성 가압이 해제된다.
이때, 제 1 작동 레버(144)의 회전과 제 1 고정 블록(143)의 연동 관계는 제 1 작동 레버(144)의 회전 중심이 편심되게 위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작동축(145)으로부터 제 1 작동 레버(144)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L1이 L2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 1 작동 레버(144)가 회전하게 되면 L2-L1의 거리만큼 제 1 고정 블록(143)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은 제 1 작동 레버(144)가 제 1 작동축(145)을 중심으로 지렛대 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통해 강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고정 유닛(100)이 제 1 및 제 2 고정판(110,120)으로 분리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작업 지지봉(3)의 형상이나 크기에 무관하게 다양한 종류의 작업 지지봉(3)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 유닛(100)에는 제 1 고정판(110)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 프레임(130)이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 프레임(130)에 연결 유닛(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연결 유닛(200)은 고정 유닛(100)의 결합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210)와, 지지 유닛(300)을 가압하여 연결 플레이트(210)에 밀착 결합시키는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고, 여기서는 연결 플레이트(210)와 고정 유닛(100)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 플레이트(210)는 단순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결합 프레임(130)의 측면에 가이드되며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의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130)에는 이러한 연결 플레이트(210)의 회전 경로가 유지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모서리 부위에 곡선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210)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프레임(130)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며 서로 직각 상태인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구간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 플레이트(210)와 결합 프레임(130)에는 전술한 탄성 링크 부재(E)의 양단이 결합되는데, 결합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별도의 고정구(131)가 형성되어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연결 플레이트(210)의 일측에는 별도의 가이드 고리(211)가 형성되어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고리(2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가이드 고리(21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 플레이트(210)의 제 1 각도 회전 상태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링크 부재(E)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가이드 고리(211)에서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고, 연결 플레이트(210)의 제 2 각도 회전 상태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링크 부재(E)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가이드 고리(211)에서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프레임(130)에는 연결 플레이트(210)가 일정 각도 구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토퍼(S)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S)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210)가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구간에서만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210)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 프레임(130)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스토퍼(S)가 없이도 연결 플레이트(210)의 회전 각도는 상호 직각인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 구간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210)가 제 1 각도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 링크 부재(E)는 그 배치 구조상 연결 플레이트(210)에 대해 θ1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의 탄성력 F1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210)에는 탄성력 F1의 수평 방향 분력 F1x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의 작용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210)에는 제 1 각도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계속해서 작용하게 되므로, 연결 플레이트(210)가 탄성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된다. 물론, 이때 연결 플레이트(210)는 제 1 각도 상태에서 스토퍼(S)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2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결 플레이트(210)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해야만 연결 플레이트(210)의 시계 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 링크 부재(E)의 탄성력에 의한 회전 구속력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각도 상태에서도 마찬가지 원리로 작용한다. 즉, 제 2 각도 상태에서는 연결 플레이트(210)에 대해 θ2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의 탄성력 F2가 작용하고, 이에 따라 탄성력의 수직 방향 분력 F2y가 작용하게 되어, 연결 플레이트(210)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연결 플레이트(210)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구속되고 탄성력의 크기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해야만 연결 플레이트(2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탄성 링크 부재(E)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210)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방향은 제 1 각도 상태와 제 2 각도 상태에서 연결 플레이트(210)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도 5의 (a)에 도시된 제 1 각도 상태에서는 가이드 고리(211)와 탄성 링크 부재(E)가 이루는 각도 θ1을 둔각이 되도록 구성하고 마찬가지로 도 5의 (b)에 도시된 제 2 각도 상태에서는 가이드 고리(211)와 탄성 링크 부재(E)가 이루는 각도 θ2를 둔각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에 따라 탄성 링크 부재(E)는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θ1이 둔각을 이루므로 일단이 가이드 고리(211)의 우측단으로 미끄럼 이동하며 연결 플레이트(210)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F1x)을 가하여 연결 플레이트(2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게 되며, 반대로, 도 5의 (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θ2가 둔각을 이루므로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가이드 고리(211)의 좌측단으로 미끄럼 이동하며 연결 플레이트(210)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F2y)을 가하여 연결 플레이트(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210)가 도 5의 (a) 상태에서 도 5의 (b)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경우, (a)에서 (b)상태까지는 탄성 링크 부재(E)와 가이드 고리(211)가 이루는 각도 θ1이 둔각을 유지하므로 탄성 링크 부재(E)는 계속해서 연결 플레이트(210)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F1x)을 가하게 된다. (b)상태는 탄성 링크 부재(E)가 고정구(13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축에 대해 45°각도만큼 회전한 순간인데, 이때, θ1은 직각을 이룬 후 둔각 상태를 이탈하게 된다. 이 순간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가이드 고리(211) 상에서 좌측단으로 이동하게 되는 변환 순간이 된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210)가 이러한 변환 순간을 통과하여 회전 조작되면, (b)상태를 거치는 순간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은 가이드 고리(211) 상에서 좌측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θ2가 둔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θ2가 둔각을 이루게 되면, 탄성 링크 부재(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210)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F2y)을 가하게 되며, 결국 (c)에 도시된 상태까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연결 플레이트(210)의 회전 조작을 통해 지지 유닛(300)의 배치 방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한 방향으로 연결 유닛(200) 및 지지 유닛(300)을 배치시킨 상태에서는 탄성 링크 부재(E)에 의한 탄성력 이상의 하중을 가하는 경우에만 연결 유닛(200) 및 지지 유닛(3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초 작업 중에 지지 유닛(300)의 배치 상태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 유닛(300)의 방향 전환시 일정 각도 이상 연결 유닛(200) 및 지지 유닛(300)의 배치 각도를 변경하게 되면, 그 이후 구간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배치 각도가 변경 완료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 전환 조작시 사용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더욱 안정적인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연결 유닛에 대한 구성 및 지지 유닛에 대한 높이 조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유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210)와, 연결 플레이트(210)에 지지 유닛(300)을 가압하여 밀착 결합시키는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로 구성되는데,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은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공구 없이 사용자의 단순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동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은 지지 유닛(300)이 삽입 결합되도록 연결 플레이트(210)의 일면에 접촉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226)과, 연결 플레이트(210) 및 연결 브래킷(226)을 동시에 관통하며 외주면 일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2 로드 볼트(221)와, 제 2 로드 볼트(221)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연결 브래킷(226)에 삽입된 지지 유닛(3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너트(222)와, 제 2 로드 볼트(221)의 타단부에 관통 결합되며 연결 플레이트(210) 및 연결 브래킷(226)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블록(223)과, 제 2 로드 볼트(221)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제 2 작동축(22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가 제 2 로드 볼트(22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작동 레버(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2 고정 너트(222)는 제 2 작동 레버(224)의 일방향 회동에 연동하여 제 2 고정 블록(2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2 로드 볼트(221)와 함께 이동하며 지지 유닛(300)을 연결 플레이트(210) 측으로 가압한다.
즉,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은 전술한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과 마찬가지 원리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작동 레버(224)를 제 2 작동축(225)을 중심으로 일방향 회전함에 따라 제 2 고정 너트(222)와 제 2 고정 블록(223) 사이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여 제 2 고정 너트(222)와 제 2 고정 블록(223)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유닛(300)과 연결 플레이트(210)를 밀착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 2 작동 레버(224)는 지렛대 원리에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적은 조작력을 통해 큰 밀착 결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의 동작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때, 연결 플레이트(2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홀(213)이 형성되고,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의 제 2 로드 볼트(221)는 이러한 높이 조절홀(213)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에 의한 지지 유닛(300)과 연결 플레이트(210)의 결합 위치를 높이 조절홀(213)을 따라 상하 조절함으로써, 지지 유닛(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을 통해 예초 작업이 필요한 지면 상태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좀 더 원활하고 편리하게 예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연결 유닛(200)에 결합되는 지지 유닛(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 플레이트(210)에 밀착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310)와,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지지 플레이트(3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310)가 연결 유닛(200)의 연결 브래킷(226)에 삽입되어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에 의해 가압되며 연결 플레이트(210)에 밀착 결합되고,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310)의 하단에 지지 가이드(320)가 결합된다. 지지 가이드(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폐루프 형태의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어 예초기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특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 플레이트(310)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연결 유닛(200)에 결합되고,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310)의 양단에 지지 가이드(320)가 형성되어 회전 커터(5)의 양측에서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가이드 유닛에 대한 방향 전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가이드 유닛에 대한 길이 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가이드 유닛(400)이 회전 커터(5)의 전방 및 측방에 배치되어 회전 커터(5)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이러한 가이드 유닛(400)은 고정 유닛(100)에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로드(410)와, 가이드 로드(410)의 전방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로드(4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조절 슬롯(411)이 형성되어 고정 유닛(100)의 결합 프레임(13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별도의 큐알 레버 모듈(Q)에 의해 결합 프레임(130)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큐알 레버 모듈(Q)은 전술한 제 1 큐알 레버 모듈(140)과 동일한 구조 및 원리에 따라 작동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가이드 로드(410)의 전방 끝단부에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가이드 플레이트(4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20)에는 회전축(421)의 주변을 따라 곡선형의 회전 조절 슬롯(422)이 형성되며, 별도의 큐알 레버 모듈(Q)에 의해 가이드 로드(410)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큐알 레버 모듈(Q)을 조작하여 가이드 로드(410)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한 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큐알 레버 모듈(Q)을 조작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 후 특정 각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유닛(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커터(5)의 전방으로부터 측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회전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규모 경작지에서 콩, 깨, 벼, 옥수수 등의 농작물을 수확할 때 농작물을 벰과 동시에 가이드 유닛(400)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유닛(400)은 회전 커터(5)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예초 작업시 회전 커터(5)에 의해 베어진 풀이 회전 커터(5)의 회전 부위로 끼어들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예초 작업 진행 경로를 따라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나는 경우 회전 커터(5)의 전방 진행 경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정원을 손질하는 경우 잔디를 베고 특정 수목 등은 베이지 않도록 보호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 유닛(400)이 특정 수목에 먼저 접촉하며 회전 커터(5)의 진행을 차단하여 수목을 보호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방향 전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연결 유닛에 대한 구성 및 지지 유닛에 대한 높이 조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예초기용 지지 장치는 지지 유닛(300)의 구조가 전술한 구조와 달리 지지 바퀴(330)를 적용하여 구성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예초기용 지지 장치의 지지 유닛(30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큐알 레버 모듈(220)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 플레이트(210)에 밀착 결합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340)와,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2개의 지지 플레이트(34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 바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지 바퀴(330)는 전술한 지지 가이드(320)의 형태로 교체 가능하며, 이 경우 지지 가이드(320)는 단순한 바(bar)의 형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지지 유닛(300)의 배치 상태는 전술한 연결 유닛(200)의 방향 전환에 의해 다양한 배치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능할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지지 유닛(300)은 2개의 지지 플레이트(340)가 연결 유닛(200)에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 플레이트(34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340)의 양단에 결합된 지지 바퀴(330)의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높이 조절홀(213)을 통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지 바퀴(33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40)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바퀴(330)의 지지 플레이트(340)에 대한 방향 전환 구조는 전술한 연결 유닛(200)의 방향 전환 구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 바퀴(330)가 별도의 바퀴 브래킷(331)에 결합되고, 바퀴 브래킷(331)은 수직 방향의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지지 플레이트(3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바퀴 브래킷(331)과 지지 플레이트(340)에는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E)가 결합되어 바퀴 브래킷(331)의 회전 상태를 도 12의 (a)에 도시된 제 1 각도 상태 및 (b)에 도시된 제 2 각도 상태로 회전 구속되게 탄성 고정할 수 있다. 바퀴 브래킷(331)에는 별도의 고정구(332)가 형성되어 탄성 링크 부재(E)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지지 플레이트(340)에는 가이드 고리(342)가 형성되어 탄성 링크 부재(E)의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연결 유닛(200)의 방향 전환 구조와 마찬가지로 바퀴 브래킷(331)은 지지 플레이트(340)에 대해 제 1 각도 상태와 제 2 각도 상태에서 회전 구속되며, 탄성 링크 부재(E)에 의한 탄성력보다 더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회전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바퀴 브래킷(331)의 회전에 따라 지지 바퀴(330)의 배치 상태가 변환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전술한 연결 유닛(200)의 방향 전환에 의해서도 지지 유닛(300)의 방향이 전환되어 실질적으로 지지 바퀴(330)의 진행 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 유닛 110: 제 1 고정판
120: 제 2 고정판 130: 결합 프레임
140: 제 1 큐알 레버 모듈 200: 연결 유닛
210: 연결 플레이트 220: 제 2 큐알 레버 모듈
300: 지지 유닛 310: 지지 플레이트
320: 지지 가이드 330: 지지 바퀴
E: 탄성 링크 부재

Claims (11)

  1. 예초기의 작업 지지봉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커터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지지봉에 결합되는 고정 유닛;
    상기 고정 유닛에 결합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커터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회전 커터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지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의 배치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 유닛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 구간에서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유닛에 결합되고, 설정값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 위치에서 회전 구속되도록 별도의 탄성 링크 부재에 의해 탄성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유닛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 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유닛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연결 유닛과의 결합 위치가 이동하며 상기 연결 유닛이 상기 제 1 각도 또는 제 2 각도 위치로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 유닛에 서로 다른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상기 작업 지지봉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이 상기 작업 지지봉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을 탄성 가압하는 제 1 큐알 레버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큐알 레버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의 일측단부를 동시에 관통하며 외주면 일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1 로드 볼트;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 1 고정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너트;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타단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제 2 고정판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블록; 및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제 1 작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1 작동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블록은 상기 제 1 작동 레버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로드 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에는 상기 회전 커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에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의 전방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고정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시키는 제 2 큐알 레버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큐알 레버 모듈은
    상기 지지 유닛이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촉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을 동시에 관통하며 외주면 일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2 로드 볼트;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연결 브래킷에 삽입된 지지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너트;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타단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 연결 브래킷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의 제 2 작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제 2 로드 볼트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작동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 너트는 상기 제 2 작동 레버의 일방향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고정 블록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로드 볼트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지지 유닛을 상기 연결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높이 조절홀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 유닛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로드 볼트는 상기 높이 조절홀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 조절홀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 2 큐알 레버 모듈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 2 큐알 레버 모듈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밀착 결합되는 2개의 지지 플레이트; 및
    하단부가 지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기 2개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 바퀴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퀴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방향 전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지지 장치.
KR1020100084272A 2010-08-30 2010-08-30 예초기용 지지 장치 KR10101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72A KR101011902B1 (ko) 2010-08-30 2010-08-30 예초기용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272A KR101011902B1 (ko) 2010-08-30 2010-08-30 예초기용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902B1 true KR101011902B1 (ko) 2011-02-01

Family

ID=4377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272A KR101011902B1 (ko) 2010-08-30 2010-08-30 예초기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263A (ko) 2019-08-27 2021-03-09 유재영 예초기용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863Y1 (ko) 2000-08-17 2001-02-15 최승열 예초기 지지대
KR20020014863A (ko) * 2000-08-19 2002-02-27 류정열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JP2006006260A (ja) 2004-06-29 2006-01-12 Ito Denki Kk 除草装置
KR100894678B1 (ko) 2006-09-05 2009-04-24 최진강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863Y1 (ko) 2000-08-17 2001-02-15 최승열 예초기 지지대
KR20020014863A (ko) * 2000-08-19 2002-02-27 류정열 자동차의 플렉시블호스와 파이프 연결구조
JP2006006260A (ja) 2004-06-29 2006-01-12 Ito Denki Kk 除草装置
KR100894678B1 (ko) 2006-09-05 2009-04-24 최진강 농업용 제초기의 안전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263A (ko) 2019-08-27 2021-03-09 유재영 예초기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29B1 (ko) 2개의 샤프트를 갖는 기계화된 휴대용 전기 공구
US4829755A (en) Trimmer wheels
US7360350B1 (en) Weed trimmer carriage
US7975459B1 (en) String trimmer attachment for a riding lawn mower
US20140260839A1 (en) Powered grounds tool supporting handle
US20170118913A1 (en) Three headed cut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lawnmower tractor
KR101011902B1 (ko) 예초기용 지지 장치
US20030136003A1 (en) Mechanical device with oscillating blades which may be moved on all the orthogonal planes
KR100983156B1 (ko) 예초기용 지지 장치
KR200443646Y1 (ko) 예취기용 가이드
JP4733732B2 (ja) 手持ち式農具及び手持ち式農具用補助具
KR200460767Y1 (ko) 주행가능한 농작물 예초기
KR200404883Y1 (ko) 예초기
EP3370500B1 (en) Three headed cut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lawnmower tractor
KR101407531B1 (ko) 농업용 다목적 안전커버
KR20050028231A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JP5035827B2 (ja) 草刈機
KR20044364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예취기용 가이드
CN212876740U (zh) 一种园林绿化养护装置
KR200461120Y1 (ko) 예초기
KR200336992Y1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WO2021024580A1 (ja) 往復動刈刃装置及び刈り払い機
JPH11220916A (ja) 収穫鎌
JPH02299517A (ja) 刈込機
JPS6033792Y2 (ja) 半自走式茶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