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120Y1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120Y1 KR200461120Y1 KR2020100000371U KR20100000371U KR200461120Y1 KR 200461120 Y1 KR200461120 Y1 KR 200461120Y1 KR 2020100000371 U KR2020100000371 U KR 2020100000371U KR 20100000371 U KR20100000371 U KR 20100000371U KR 200461120 Y1 KR200461120 Y1 KR 2004611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pipe
- present
- height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3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type of wheels
- B60B33/0044—Roller type wheels, i.e. extra wide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0—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 A01D75/206—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for mowers carried by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으로써 상기 몸체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면 상의 잡초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와, 일측은 상기 몸체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가 구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면으로부터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면 상의 잡초의 길이를 조절하여 예초할 수 있는 예초기에 대한 고안이다.
예초기는 농가에서뿐만 아니라 일반가정에도 널리 보급되어 조상묘의 벌초작업시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예초기를 구성하는 회전하는 절단부(예를 들면, 칼날이나 플라스틱 끈 등)를 예초하고자 하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들고 상?하 또는 좌?우로 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면 상의 잡초를 절단한다.
이때, 사용자는 소정의 높이만큼 예초기를 계속 들고 있어야 하므로, 예초기에 대한 무게로 인해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또한, 사용자가 전?후로 예초 작업을 하는 도중에 좌?우로 예초 작업을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예초기의 방향 전환을 하는데 상당한 힘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추가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용자의 피로감 또는 예초기를 들고 있는 손과 팔의 무의식적인 상?하 이동으로 인하여, 예초기의 절단부(또는, 절단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지면 사이의 높이가 항상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예초된 지면의 잡초 높이가 고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지면으로부터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면 상의 잡초의 길이를 조절하여 예초할 수 있는 예초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는, 회전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으로써 상기 몸체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몸체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면 상의 잡초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와, 일측은 상기 몸체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가 구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서,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몸체의 회전축과 동일 축 상에 마련되는 제1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제1 파이프의 타단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면을 향하는 제2 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과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하여 상기 몸체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와, 일측은 상기 제2 파이프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가 구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볼(ball)과, 일측은 상기 제2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볼의 일부를 둘러싸는 구형의 홈이 형성된 볼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홀(hole)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 파이프에 형성된 홀과 상기 제2 파이프에 형성된 홀을 모두 관통하는 고정핀을 통해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과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 사이의 조절된 거리를 고정함으로써, 조절된 상기 몸체의 상기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서,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는 상기 절단부가 회전할 때 형성되는 절단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된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의하면, 이동부를 통해 예초하고자 하는 지면 상에서 몸체와 절단부를 쉽게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예초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의하면, 높이조절부를 통해 지면 상의 잡초의 길이를 조절하여 예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은 예초 작업시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줄여준다는 이점을 가져올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종래 기술에 따른 예초기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구성의 차이에서 오는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의 차이로부터 당업자가 예측할 수 있는 자명한 이점도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의 이동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높이조절부 및 이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이동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의 이동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높이조절부 및 이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의 이동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는, 몸체(100)와, 이동부(400) 및 절단부(5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지면과 수직된 축을 회전축(200)으로 하여 후술할 절단부(500)와 함께 회전한다. 몸체(10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회전시에 발생하는 불균형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대칭(rotary symmetry)되는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러한 몸체(100)의 하단면의 넓이는 후술할 이동부(400) 및 절단부(5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조정 가능하다. 즉, 예초 작업을 하는 지면이 울퉁불퉁한 정도에 맞추어 이동부(400)의 크기를 조정할 것이며, 이동부(400)의 크기에 맞추어 몸체(100)의 하단면의 넓이를 조절할 것이다. 또한, 절단부(500)의 크기가 큰 경우라면, 몸체(100)의 크기 또한 커져야 몸체(100)와 절단부(500) 사이의 소정의 결합력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안정성도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200)은 모터(미도시)에서 받은 구동력(회전력)을 몸체(100)에 전달하여 몸체(100)를 회전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회전축(200)은 몸체(10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초시 발생되는 잡초의 조각이나 예상치 못한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케이스(2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10)는 회전축(200)의 직경에 따라 적당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보호커버(6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홈(22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210)에는 바(bar) 형상의 부재(2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 형상의 부재(230)는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지면에 대하여도 쉽게 예초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바 형상의 부재(230)의 내부에는 모터(미도시)에서 회전축(200)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바 형상의 부재(230)는 케이스(21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예초시 바 형상의 부재(230)의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미도시)를 조절하여, 지면로부터의 절단부(500)의 높이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후술할 이동부(400)의 바퀴(410)가 일시적으로 특정 위치에 놓여져 있을 때, 바 형상의 부재(230)와 케이스(210) 사이의 둔각을 더 크게 하여, 바퀴(4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몸체(100) 자체를 앞쪽으로 기울임으로써 지면로부터의 절단부(50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300)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부(400)는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예초하고자 하는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으로써 몸체(100)를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자가 몸체(100) 및 절단부(500)의 무게만큼 힘을 줘서 이들을 들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즉, 이동부(400)가 지면에 접촉하므로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이 몸체(100) 및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절단부(500)에 발생되는 중력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동부(400)는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으로써 몸체(100)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어떠한 부재 및 장치여도 상관없다. 그러나 지면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음과 같이 이동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동부(400)를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410)와, 일측은 몸체(100)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바퀴(410)가 구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회전연결부(420)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410)는 몸체(100)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라면, 회전연결부(420)는 바퀴(410)를 회전시켜 몸체(10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때, 회전연결부(420)가 바퀴(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몸체(100)와 회전연결부(420)가 연결되는 지점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구름판(422)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부(400)는 경우에 따라서는 교체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구름판(422)을 직접적으로 몸체(100)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플레이트(424)를 매개로 하여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400)는 몸체(100)의 회전과는 무관하여야 하므로, 몸체(100)와 회전연결부(420)가 연결되는 지점에 베어링(bearing)과 같은 동시 회전 방지 부재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이동부(400)는 몸체(100)의 회전축(200)과 동일한 축 상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예초 중에 몸체(100)의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결정하는데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즉, 이동부(400)가 회전축(200)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예초 중에 회전축(200)을 기준으로 이동 방향을 확인하고 결정하여 생각하지도 못한 지역의 예초까지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절단부(500)는 지면 상의 잡초를 절단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외주면 상에 마련되어 몸체(100)와 함께 회전하는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절단부(5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몸체(100)의 외주면과 수직되게 길게 마련된 다수의 판재 형상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긴 끈(band) 형상일 수도 있다. 즉, 절단부(500)는 회전에 의해 지면 상의 잡초를 절단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 및 형상의 부재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변형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일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의 이동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높이조절부 및 이동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의 이동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또는 도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변형된 일 실시예는, 몸체(100)와, 높이조절부(300)와, 이동부(400), 절단부(5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 중 수동 방식으로 순간순간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나, 높이조절부를 통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경우 일관된 예초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높이 조절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바람직하다.
몸체(1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몸체(100)는 지면과 수직된 축을 회전축(200)으로 하여 후술할 절단부(500)와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몸체(100)는 회전시에 발생하는 불균형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대칭(rotary symmetry)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100)의 하단은 개방되어, 후술할 높이조절부(300) 및 이동부(400)의 일부가 삽입되어 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한편, 몸체(100)의 내부 용적(internal volume)은 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부(300) 및 이동부(400)의 크기뿐만 아니라, 후술할 절단부(500)의 크기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절단부(500)의 크기에 비하여 몸체(100) 내부 용적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절단부(500)에 대한 회전 관성(rotary inertia)이 커서 몸체(100)와 절단부(500)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절단부(500)의 크기에 비하여 몸체(100) 내부 용적이 매우 큰 경우에는 몸체(100)에 의해 지면 상의 잡초가 많이 가려져서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높이조절부(300)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파이프(310)와 제2 파이프(320)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몸체(1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제1 파이프(310)의 일단은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어 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고, 타단은 제2 파이프(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이프(310)의 일단은 몸체(100)의 회전과 무관하게 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몸체(100)의 내부 연결 지점에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파이프(320)의 일단은 제1 파이프(310)에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제1 파이프(310)의 타단에 삽입되되 제1 파이프(310)의 내측과 외측을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으며, 타단은 후술할 이동부(400)를 구비하여 지면을 향한다. 제1 파이프(310) 및 제2 파이프(320)는 삼각 기둥이나 사각 기둥과 같이 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회전시에 발생하는 불균형에 따른 진동 및 회전 관성력을 고려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긴 부재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 파이프(310)와 제2 파이프(320)를 통해 몸체(1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제1 파이프(310)의 타단 내측으로 제2 파이프(320)의 일단을 밀어 넣음으로써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본 고안의 효과인 예초된 지면 상의 잡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파이프(310)와 제2 파이프(320) 사이를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유동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한 연결의 경우 잦은 사용에 의한 마모로 제1 파이프(310)와 제2 파이프(320) 사이가 헐거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예초된 지면 상의 잡초의 높이가 고르지 않고 유동적일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부(300)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으로, 잦은 사용에도 예초된 잡초의 길이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예초된 지면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도 가져올 수 있다.
즉, 제1 파이프(310) 및 제2 파이프(32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홀(hole)들(312, 322)과, 홀들(312, 322)에 삽입 가능한 고정핀(330)을 이용함으로써,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조절된 거리를 고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몸체(1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고려하여 홀들(312, 322)을 선택 - 특히, 제2 파이프(320)에 형성된 홀(322)을 선택할 수 있음 - 한 이후에, 고정핀(330)을 홀들(312, 322)에 모두 관통시켜,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조절된 거리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이프(310)에 형성된 홀(312)은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파이프(320)에 형성된 홀(32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320)에 형성된 홀(322) 주변에는 몸체(100) 또는 절단부(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눈금(미도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홀들(312, 322)은 내주면에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핀(330)은 외주면에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의 나사결합으로 고정핀(33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3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파이프(310)와 제2 파이프(320)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연결하여,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이프(3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1 파이프(3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는 좁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파이프(3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1 파이프(3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나사산에 의한 결합력으로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동부(400)는 예초하고자 하는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으로써 몸체(100)를 상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2 파이프(320)에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부(400)는 몸체(10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몸체(100)를 이동시키는 어떠한 부재 및 장치여도 상관없다. 그러나 지면을 기준으로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첫째, 이동부(400)를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410)와, 일측은 제2 파이프(320)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퀴가 구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회전연결부(420)로 구성함으로써, 몸체(100)를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즉,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410)가 몸체(100)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라면, 회전연결부(420)는 바퀴(410)를 회전시켜 몸체(10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때, 회전연결부(420)가 바퀴(4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제2 파이프(320)와 회전연결부(420)가 연결되는 지점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구름판(422)을 이용할 수 있다.
둘째, 이동부(400)를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볼(ball, 430)과, 일측은 제2 파이프(320)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볼(430)이 이탈되지 않도록 볼(430)의 일부를 둘러싸는 구형의 홈이 형성된 볼고정부(440)로 구성함으로써, 몸체(100)를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볼(430)은 지면에 대하여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한 부재이나 볼(430)을 고정하기가 용이하지는 않다. 따라서, 이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볼(430)의 회전 중심(C)이 위치하는 가상의 평면보다 하측에 볼고정부(440)의 하측면을 배치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볼고정부(440)에 마련된 구형의 홈(442)의 입구측 직경이 볼(43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볼고정부(440)에 마련된 홈(4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320)의 타단을 지나 제2 파이프(320)에도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일 실시예와 이의 변형된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보호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600)는 절단부(500)의 회전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보호커버(600)는 절단부(500)가 회전할 때 형성되는 절단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절단부(500)가 닿기 전에 보호커버(600)가 먼저 닿게 함으로써, 절단부(500)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보호커버(60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하측을 향하여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절단부(500)가 닿을 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보호커버(600)는 예초 작업시 예초하는 지면으로부터 튀어 오르는 돌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보호커버(600)가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된 보호커버의 교체를 위하여 보호커버(600)는 케이스(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600)는 케이스(210) 이외에 케이스(210)에 형성된 바 형상의 부재(230)에도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변형된 일 실시예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예초할 지면 상의 잡초가 절단된 이후의 높이를 고려하여 높이조절부(300)를 조절한다. 즉, 예초된 후의 잡초 길이가 짧아야 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부(300)에서의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짧게 조절함으로써, 몸체(100) 및 몸체(100)에 마련된 절단부(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낮게 설정한다. 반대로, 예초된 후의 잡초 길이가 길어야 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부(300)에서의 제1 파이프(310)의 일단과 제2 파이프(320)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길게 조절함으로써, 몸체(100) 및 몸체(100)에 마련된 절단부(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높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몸체(100) 및 몸체(100)에 마련된 절단부(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설정한 이후에, 고정핀(330)을 제1 파이프(310)에 형성된 홀(312)과 제2 파이프(320)에 형성된 홀(322) 모두에 삽입함으로써 몸체(100) 및 몸체(100)에 마련된 절단부(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일정하게 고정한다.
그 후, 모터(미도시)가 구동하고, 회전축(200)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몸체(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예초 작업을 시작한다. 이때, 몸체(100) 및 절단부(500)는 회전을 하나, 높이조절부(300)와, 이동부(400), 및 보호커버(600)는 회전하지 않는다.
예초 작업을 시작한 이후, 이동부(400)를 통해 몸체(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예초할 지면 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를 쉽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400)가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의 무게로 인한 피로감을 많이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에서 회전축(200)과, 몸체(100)의 중심축과, 높이조절부(300)부의 대칭축, 및 이동부(400)의 이동 중심축은 동축(축 X-X')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축들이 동축 상에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위치에 대한 자유도의 제한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이동부(400)가 몸체(100)를 이동시킬 때 더욱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몸체(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예초 작업을 하는 중에도 좌?우로 쉽게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몸체 200 : 회전축
300 : 높이조절부 310 : 제1 파이프
320 : 제2 파이프 330 : 고정핀
400 : 이동부 410 : 바퀴
420 : 회전연결부 422 : 구름판
430 : 볼 440 : 볼고정부
500 : 절단부 600 : 보호커버
300 : 높이조절부 310 : 제1 파이프
320 : 제2 파이프 330 : 고정핀
400 : 이동부 410 : 바퀴
420 : 회전연결부 422 : 구름판
430 : 볼 440 : 볼고정부
500 : 절단부 600 : 보호커버
Claims (5)
- 회전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지면과 접촉하여 구르는 바퀴 또는 볼을 구비하고, 일측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바퀴를 구르도록 하는 회전연결부 또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가 각각의 홀에 삽입시킨 고정핀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조립되어 구비되는 높이조절부를 설치한 이동부;
상기 몸체와 함께 회전하여 지면상의 잡초를 절단할 수 있도록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회전연결부 또는 높이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0371U KR200461120Y1 (ko) | 2010-01-14 | 2010-01-14 | 예초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0371U KR200461120Y1 (ko) | 2010-01-14 | 2010-01-14 | 예초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229U KR20110007229U (ko) | 2011-07-20 |
KR200461120Y1 true KR200461120Y1 (ko) | 2012-06-21 |
Family
ID=4559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0371U KR200461120Y1 (ko) | 2010-01-14 | 2010-01-14 | 예초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12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5080B1 (ko) * | 2019-10-31 | 2021-11-10 | 이도연 | 스프링클러 헤드부 주변 정리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7401Y1 (ko) * | 2006-03-03 | 2006-05-26 | 구기선 |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
-
2010
- 2010-01-14 KR KR2020100000371U patent/KR20046112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7401Y1 (ko) * | 2006-03-03 | 2006-05-26 | 구기선 |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7229U (ko) | 2011-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90613B1 (en) | Lawn mower and hand pushed power tool | |
EP3110242B1 (en) | Cutting blade | |
JP6699021B2 (ja) | 草刈機用の刈刃部 | |
CN207321914U (zh) | 农业生产用割草机 | |
US20110030328A1 (en) | Trimmer with cutting height adjustment | |
CN104798526B (zh) | 打草机 | |
EP1623615B1 (en) | Garden tool adjustment | |
EP1435194B1 (en) | Trimmer | |
US6874306B2 (en) | Hand-pushed mower | |
JP2017176153A (ja) | 自走草刈機 | |
KR200461120Y1 (ko) | 예초기 | |
AU2020376702B2 (en) | Swing assistance device for lawn mower | |
US20040088867A1 (en) | Trimmer | |
US3126968A (en) | Lawn edger | |
EP0222515A1 (en) | Wheeled line trimmer | |
US20190069481A1 (en) | Attachment plate for supporting walk behind trimmers with third wheel | |
KR20080029075A (ko) | 예초기용 보조 거치대 | |
US10874047B1 (en) | String cutter with support | |
KR101011902B1 (ko) | 예초기용 지지 장치 | |
CN219679248U (zh) | 一种带有整体提升装置的万向割草机 | |
KR200417401Y1 (ko) | 볼 바퀴가 달린 예초기 지지대 | |
KR200259711Y1 (ko) | 작업성을 향상시킨 예초기 | |
US3009305A (en) | Mowing machine with pitch control therefor | |
KR200494874Y1 (ko) | 예초기 칼날 | |
KR200290431Y1 (ko) | 지면의 형상에 따라 제초가 가능한 농기계용 제초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